본문 바로가기
  • 산에는 꽃이 피네

*** 詩 ***/東坡居士 蘇軾 詩686

答任師中家漢公(답임사중가한공) : 소식(蘇軾) 산과바다 蘇軾 詩 HOME 答任師中家漢公(답임사중가한공) : 소식(蘇軾) 임사중과 가한공의 시에 화답하여(一題:奉和師中丈漢公兄見寄詩一首) 先君昔未仕,杜門皇祐初。道德無貧賤,風采照鄕閭。何嘗疏小人,小人自闊疏。出門無所詣,老史在郊墟。 門前萬竿竹,堂上四庫書。高樹紅消梨,小池白芙蕖。常呼赤脚婢,雨中擷園蔬。矯矯任夫子,罷官還舊廬。 是時里中兒,始識長者車。烹雞酌白酒,相對歡有余。有如龐德公,往還葛與徐。妻子走堂下,主人竟誰歟。 我時年尙幼,作賦慕相如。侍立看君談,精悍實起予。歲月曾幾何,耆老逝不居。史侯最先沒,孤墳拱桑樗。 我亦涉萬里,淸血滿襟祛。漂流二十年,始悟萬緣虛。獨喜任夫子,老佩刺史魚。威行烏白蠻,解辮請冠裾。 方當入奏事,淸廟陳璠璵。胡爲厭軒冕,歸意不少紓。上蔡有良田,黃沙走淸渠。罷亞百頃稻,雍容十年儲。 閑隨李丞相,搏射鹿與豬。蒼鷹十斤重,猛犬如黃驢。豈比陶.. 2022. 9. 26.
和孔周翰二絶(화공주한이절) : 소식(蘇軾) 산과바다 蘇軾 詩 HOME 和孔周翰二絶(화공주한이절) : 소식(蘇軾) 공주한의 시에 화답하여 再觀邸園留題 小園香霧曉蒙籠,醉手狂詞未必工。魯叟錄詩應有取,曲收彤管邶鄘風。 觀凈觀堂效韋蘇州詩 弱羽巢林在一枝,幽人蝸舍兩相宜。樂天長短三千首,卻愛韋郞五字詩。 其一 再觀邸園留題 : 저가원에 남긴 나의 시를 다시 보고 지은 시 小園香霧曉蒙籠 : 몽롱한 새벽에 작은 정원이 향긋한 안개에 덮여있다는 醉守狂詞未必工 : 취한 태수의 미치광이 소리야 훌륭할 게 없지 魯守錄詩應有取 : 노나라 노인이 시를 적을 때 틀림없이 취한 게 있었을 텐데 曲牧彤管邶鄘風 : 정녀 같은 패풍(邶風)과 용풍(鄘風)도 두루 수록하였네. 其二 觀靜觀堂效韋蘇州詩 : 정관당 위소주 詩를 본뜬 시를 보고 弱羽巢林在一枝 : 숲속에 사는 작은 새가 가지 하나 차지하.. 2022. 9. 26.
陽關詞三首(양관사삼수) : 소식(蘇軾) 산과바다 蘇軾 詩 HOME 陽關詞三首(양관사삼수) : 소식(蘇軾) 양관사 삼수 陽關詞三首·贈張繼願 受降城下紫髥郞,戲馬臺南古戰場。恨君不取契丹首,金甲牙旗歸故鄕。 陽關詞三首·答李公擇 濟南春好雪初晴,行到龍山馬足輕。使君莫忘霅溪女,時作陽關腸斷聲。 陽關詞三首·中秋月 暮雲收盡溢淸寒,銀漢無聲轉玉盤。此生此夜不長好,明月明年何處看。 其一 贈張繼愿(증장계원) : 장계원에게 受降城下紫髥郞 : 수항성 밑에서 있던 털보 장수가 戱馬臺前古戰場 : 희마대 남족의 옛 전장에 있네. 恨君不取契丹首 : 한탄스럽다 그대가 거란의 목을 베어 金甲牙旗歸故鄕 : 황금갑옷 상아 깃발로 금의환향 못함이여 其二 答李公擇 : 이공택에게 답하여 濟南春好雪初晴 : 봄빛 고운 제남에 눈이 막 개었고 行道龍山馬足輕 : 용산에 도착하자 말발굽이 경쾌했네. 使君莫忘.. 2022. 9. 26.
贈王仲素寺丞(名景純) 증왕중소시승(명경순) : 소식(蘇軾) 산과바다 蘇軾 詩 HOME 贈王仲素寺丞(名景純) 증왕중소시승(명경순) : 소식(蘇軾) 왕중소 시승께(이름은 경순) 養氣如養兒,棄官如棄泥。人皆笑子拙,事定竟誰迷。歸耕獨患貧,問子何所賫。尺宅足自庇,寸田有余畦。 明珠照短褐,陋室生虹霓。雖無孔方兄,顧有法喜妻。彈琴一長嘯,不答阮與嵇。曹南劉夫子,名與子政齊。 家有鴻寶書,不鑄金褭蹄。促膝問道要,遂蒙分刀圭。不忍獨不死,尺書肯見梯。我生本强鄙,少以氣自擠。 孤舟倒江河,赤手攬象犀。年來稍自笑,留氣下暖臍。苦恨聞道晩,意象颯已淒。空見孫思邈,區區賦病梨。 養氣如養兒 : 어린애를 기르듯이 원기를 기르시고 棄官如棄泥 : 진흙을 버리듯이 벼슬을 버리시네. 人皆笑子拙 : 사람들이 선생을 못났다고 비웃지만 事定竟誰迷 : 만사가 미리 정해져 있거늘 미혹할 이 누구리오 歸耕獨患貧 : 돌아가서 밭을 갈면 가난해질.. 2022. 9. 26.
過雲龍山人張天驥(과운용산인장천기) : 소식(蘇軾) 산과바다 蘇軾 詩 HOME 過雲龍山人張天驥(과운용산인장천기) : 소식(蘇軾) 운용산 은거지로 장천기를 방문하고 郊原雨初足,風日淸且好。病守亦欣然,肩輿白門道。荒田咽蛩蚓,村巷懸梨棗。下有幽人居,閉門空雀噪。 西風高正厲,落葉紛可掃。孤僮臥斜日,病馬放秋草。墟裏通有無,垣墻任摧倒。君家本冠蓋,絲竹鬧鄰保。 脫身聲利中,道德自濯澡。躬耕抱羸疾,奉養百歲老。詩書膏吻頰,菽水媚翁媼。饑寒天隨子,杞菊自擷芼。 慈孝董邵南,雞狗相乳抱。吾生如寄耳,歸計失不早。故山豈敢忘,但恐迫華皓。從君學種秫,鬥酒時相勞。 郊原雨初足 : 들녘에 흡족하게 비가 내린 뒤 風日淸且好 : 날이 개고 시원한 바람이 불어오네. 病守亦欣然 : 병치레하던 태수도 기분 좋아져 肩輿白門道 : 교자에 올라 남문 길로 나가보았네. 荒田咽蛩蚓 : 묵은 밭에는 메뚜기와 지렁이로 차 있고 村巷懸梨.. 2022. 9. 26.
留題石經院三首(유제석경원삼수) : 소식(蘇軾) 산과바다 蘇軾 詩 HOME 留題石經院三首(유제석경원삼수) : 소식(蘇軾) 석경원에 남긴 시 蔥蒨門前路,行穿翠密中。卻來堂上看,巖谷意無窮。 夭矯庭中檜,枯枝鵲踏消。瘦皮纏鶴骨,高頂轉龍腰。 窈窕山頭井,潛通伏澗淸。欲知深幾許,聽放轆轤聲。 其一 葱倩門前路 : 산문 앞에 나 있는 울창한 산길을 行穿翠密中 : 빽빽한 푸르름을 걸어서 뚫고 나와 却來堂上看 : 마침내 불당 위에 올라와서 돌아보니 巖谷意無窮 : 바위 덮인 계곡은 감개무량하네. 其二 夭矯庭中檜 : 구부정한 마당의 노송나무 한 그루가 枯枝鵲踏消 : 까치가 밟아대어 마른 가지가 닳았는데 瘦皮纏鶴骨 : 얇은 껍질이 학의 뼈대를 칭칭 감아 놓았고 高頂轉龍腰 : 높다란 꼭대기엔 용허리를 휘어 감았네. 其三 窈窕山頭井 : 산꼭대기의 깊숙한 석불정 우물은 潛通伏澗淸 : 마른.. 2022. 9. 26.
子由將赴南都與余會宿於逍遙堂作兩絶句(자유장부남도여여회숙어소요당작양절구) : 소식(蘇軾) 산과바다 蘇軾 詩 HOME 子由將赴南都 與余會宿於逍遙堂 作兩絶句。讀之 殆不可爲懷 因和其詩以自解。 余觀子由自少曠達天資 近道又得至人養生長年之訣 而余亦竊聞其一二 以爲 旣以自解 且以慰子由雲。: 소식(蘇軾) 동생 자유가 남녘 땅으로 부임해 가면서 나와 함께 유숙하였는데 바로 소요당(逍遙堂)에서였다. 절구(絶句)의 시(詩) 두 수를 지었는데 그것을 읽어보니 아무리 기억을 억누르려고 했으나 결국 터져 나오고 말았다. 그 시(詩)의 뜻들이 저절로 터져 나왔다. 그 여파여서인지 동생 자유(子由)의 글을 보며 적으나마 활달하여 졌다. (동생은) 천부적인 자질이 도(道)에 가까이했고 게다가 그 경지가 섭생(攝生)하는 양생(養生)으로 불로장생(不老長生)하는 사람의 요결(要訣)이지 싶었다. 그래서 나도 역시 그 시의 제1수와 .. 2022. 9. 26.
蠍虎(갈호) : 소식(蘇軾) 산과바다 蘇軾 詩 HOME 蠍虎(갈호) : 소식(蘇軾) 도마뱀붙이 黃雞啄蠍如啄黍,窗間守宮稱蠍虎。暗中繳尾伺飛蟲,巧捷功夫在腰膂。 跂跂脈脈善緣壁,陋質從來誰比數。今年歲旱號蜥蜴,狂走兒童鬧歌舞。 能銜渠水作冰雹,便向蛟龍覓雲雨。守宮努力搏蒼蠅,明年歲旱當求汝。 黃鷄啄蝎如啄黍 : 노랑 닭에게 기장처럼 마구 쪼이는 도마뱀이지 ​窗間守宮稱蠍虎 : 창문에 붙은 저 수궁은 갈호라고 부르네. 闇中繳尾伺飛蟲 : 몰래 숨어서 꼬리 붙이고 날벌레 노리는데 巧捷功夫在腰膂 : 민첩한 그 솜씨가 허리와 등골에서 나오네. 跂跂脈脈善緣壁 : 꿈틀꿈틀 살금살금 벽을 잘도 타지만 陋質從來誰比數 : 흉측한 몰골이야 누가 우열을 가린 적 있으랴? 今年歲旱號蜥蜴 : 올해는 가뭄이 들어 석척을 부르느라 狂走兒童鬧歌舞 : 아이들이 질주하며 노래와 춤으로 부산.. 2022. 9. 25.
送顔復兼寄王鞏(송안복겸기왕공) : 소식(蘇軾) 산과바다 蘇軾 詩 HOME 送顔復兼寄王鞏(송안복겸기왕공) : 소식(蘇軾) 안복을 전송하고 아울러 왕공에게 부친다 彭城官居冷如水,誰從我遊顔氏子。我衰且病君亦窮,衰窮相守正其理。胡爲一朝舍我去,輕衫觸熱行千里。 問君無乃求之與,答我不然聊爾耳。京師萬事日日新,故人如故今有幾。君知牛行相君宅,扣門但覓王居士。 淸詩草聖俱入妙,別後寄我書連紙。苦恨相思不相見,約我重陽嗅霜蕊。君歸可喚與俱來,未應指目妨進擬。 太一老仙閑不出,踵門問道今時矣。因行過我路幾何,願君推挽加鞭箠。吾儕一醉豈易得,買羊釀酒從今始。 彭城宮居冷如水 : 물처럼 차가운 팽성의 관사 생활 誰從我游顔氏子 : 누가 나를 따르는가? 안씨의 아들일세 我衰且病君亦窮 : 나는 늙고 병들고 그대 또한 곤궁하니 衰窮相守正其理 : 이게 바로 쇠잔한 이와 곤궁한 이가 지킨다는 이치 胡爲一朝捨我去 : 그.. 2022. 9. 25.
次韻答邦直子由四首(차운답방직자유사수) : 소식(蘇軾) 산과바다 蘇軾 詩 HOME 次韻答邦直子由四首(차운답방직자유사수) : 소식(蘇軾) 이방직과 자유의 시에 차운하여 화답한다. 簿書顚倒夢魂間,知我疏慵肯見原。閑作閉門僧舍冷,病聞吹枕海濤喧。 忘懷杯酒逢人共,引睡文書信手翻。欲吐狂言喙三尺,怕君瞋我卻須呑。 城南短李好交遊,箕踞狂歌總自由。尊主庇民君有道,樂天知命我無憂。 醉呼妙舞留連夜,閑作淸詩斷送秋。瀟灑使君殊不俗,樽前容我攬須不。 老弟東來殊寂寞,故人留飮慰酸寒。草荒城角開新徑,雨入河洪失舊灘。 車馬追陪跡未掃,唱酬往復字應漫。此詩更欲憑君改,待與江南子布看。 君雖爲我此遲留,別後淒涼我已憂。不見便同千里遠,退歸終作十年遊。 恨無揚子一區宅,懶臥元龍百尺樓。聞道鵷鴻滿臺閣,網羅應不到沙鷗。 次韻答邦直、子由一首 五斗塵勞尙足留,閉關卻欲治幽憂。羞爲毛遂囊中穎,未許朱雲地下遊。 無事會須成好飮,思歸時欲賦登樓。羨君幕府如僧.. 2022. 9. 25.
與梁先舒煥泛舟得臨釀字二首(여양선서환범주득임양자이수) : 소식(蘇軾) 산과바다 蘇軾 詩 HOME 與梁先舒煥泛舟得臨釀字二首(여양선서환범주득임양자이수) : 소식(蘇軾) 양선 서환과 함께 뱃놀이 하다가 臨.釀(임.양) 두 글자를 운자로 얻어 짓다 彭城古戰國,孤客倦登臨。汴泗交流處,淸潭百丈深。 故人輕千里,足繭來相尋。何以娛嘉客,潭水洗君心。 老守厭簿書,先生罷函丈。風流魏晉間,談笑羲皇上。 河洪忽已過,水色綠可釀。君毋輕此樂,此樂淸且放。 其一 彭城古戰國 : 팽성은 그 옛날의 전쟁이 잦았던 곳이고 孤客倦登臨 : 외로운 이 나그네는 실컷 구경했었네. 汴泗交流處 : 변수와 사수가 합류하는 이곳에는 淸潭百丈深 : 깊이가 백 길이나 되는 맑은 못이 있다네. 故人輕千里 : 친구가 천 리 길을 멀다고 하지 않고 繭足來相尋 : 발에 굳은살이 생기는 것도 마다하지 않고 왔다네. 何以娛嘉客 : 무엇으로 귀한 손.. 2022. 9. 25.
和子由與顔長道同遊百步洪相地築亭種柳(화자유여안장도동유백보홍상지축정종유) : 소식(蘇軾) 산과바다 蘇軾 詩 HOME 和子由與顔長道同遊百步洪相地築亭種柳(화자유여안장도동유백보홍상지축정종유) : 소식(蘇軾) 자유가 안장도와 함께 백보홍에 놀면서 지은 시에 차운하여 땅을 골라 버들 심고 지은 정자에서 짓다. (次韻子由與顔長道同遊百步洪으로 題 되어 있는 곳도 있다.) 平明坐衙不暖席,歸來閉閣閑終日。臥聞客至倒屣迎,兩眼蒙籠余睡色。 城東泗水步可到,路轉河洪翻雪白。安得靑絲絡駿馬,蹙踏飛波柳陰下。 奮身三丈兩蹄間,振鬣長鳴聲自幹。少年狂興久已謝,但憶嘉陵繞劍關。 劍關大道車方軌,君自不去歸何難。山中故人應大笑,築室種柳何時還。 平明坐衙不暖席 : 새벽에 관아에 앉아 있다 자리도 데워지기 전에 歸來閉閣閑終日 : 돌아와서 문을 닫고 하루종일 가만히 누웠다네. 臥聞客至倒屣迎 : 손님이 왔다는 소리 들리면 신 거꾸로 신고 나가 兩眼蒙籠餘.. 2022. 9. 25.
和李邦直沂山祈雨有應(화이방직기산기우유응) : 소식(蘇軾) 산과바다 蘇軾 詩 HOME 和李邦直沂山祈雨有應(화이방직기산기우유응) : 소식(蘇軾) 기산에서 기우제를 지낸 뒤 효험을 보고 지은 이방직의 시에 화답하여 高田生黃埃,下田生蒼耳。蒼耳亦已無,更問麥有幾。 蛟龍睡足亦解慚,二麥枯時雨如洗。不知雨從何處來,但聞呂梁百步聲如雷。 試上城南望城北,際天菽粟靑成堆。饑火燒腸作牛吼,不知待得秋成否。 半年不雨坐龍慵,共怨天公不怨龍。今朝一雨聊自贖,龍神社鬼各言功。 無功日盜太倉谷,嗟我與龍同此責。勸農使者不汝容,因君作詩先自劾。 高田生黃埃 : 비옥한 땅에는 먼지가 나고 下田生蒼耳 : 척박한 땅에는 도꼬마리가 났었네. 蒼耳亦已無 : 도꼬마리조차도 이미 없어졌거늘 更問麥有幾 : 남은 보리가 얼마냐고 더 물을 필요가 없네. 蛟龍睡足亦解慚 : 교룡도 잠을 깬 뒤 부끄러워할 줄 알아 二麥枯時雨如洗 : 보리와 .. 2022. 9. 25.
司馬君實獨樂園(사마군실독락원) : 소식(蘇軾) 산과바다 蘇軾 詩 HOME 司馬君實獨樂園(사마군실독락원) : 소식(蘇軾) 사마광의 독락원에서 (司馬溫公獨樂園이라 題로 한 곳도 있다.) 靑山在屋上,流水在屋下。中有五畝園,花竹秀而野。花香襲杖屨,竹色侵盞斝。樽酒樂餘春,棋局消長夏。 洛陽古多士,風俗猶爾雅。先生臥不出,冠蓋傾洛社。雖云與衆樂,中有獨樂者。才全德不形,所貴知我寡。 先生獨何事,四海望陶冶。兒童誦君實,走卒知司馬。持此欲安歸,造物不我捨。名聲逐吾輩,此病天所赭。 撫掌笑先生,年來效瘖啞。 靑山在屋上 : 청산은 지붕 위에 우뚝 솟아 있고 流水在屋下 : 흐르는 강물은 지붕 밑으로 유유히 흐르네. 中有五畝園 : 그 안에 조그마한 숲과 밭이 있고 花竹秀而野 : 아름다운 꽃과 대나무로 전원 정취 가득하네 花香襲杖履 : 꽃향기가 지팡이와 짚신에 배어나고 竹色侵杯斝 : 대나무의 푸른 빛.. 2022. 9. 25.
和趙郞中見戲二首(화조랑중견희이수) : 소식(蘇軾) 산과바다 蘇軾 詩 HOME 和趙郞中見戲二首(趙以徐妓不如東武, 詩中見戲云, 只有當時燕子樓) 화조랑중견희이수(조이서기불여동무 시중견희운 지유당시연자루) : 소식(蘇軾) 조낭중이 나를 희롱한 시에 화답하여(조낭중의 서기는 동무와 같지 않아서 그 당시 연자루에 있을 때 나를 희롱한 시를 운으로) 燕子人亡三百秋,卷簾那復似揚州。西行未必能勝此,空唱崔徽上白樓。 我擊藤床君唱歌,明年六十奈君何。醉顚只要裝風景,莫向人前自洗磨。 其一 燕子人亡三百秋 : 연자루에 살던 사람 죽은 지 이미 삼백 년이니 捲簾那復似揚州 : 발을 걷은들 어찌 더 이상 옛날 양주와 같으리오 西行未必能勝此 : 서쪽으로 갔다 해도 반드시 이보다 나을 순 없고 空唱崔徽上白樓 : 최휘가를 부르면서 백루에나 오르겠지 其二 我擊藤牀君唱歌 : 나는 침대를 두드리고 그대.. 2022. 9. 25.
和孔密州五絶(화공밀주오절) : 소식(蘇軾) 산과바다 蘇軾 詩 HOME 和孔密州五絶(화공밀주오절) : 소식(蘇軾) 밀주지주 공씨의 시에 화답하여 見邸家園留題 大旆傳聞載酒過,小詩未忍著磚磨。陽關三疊君須秘,除卻膠西不解歌。 春步西園見寄 歲歲開園成故事,年年行樂不辜春。今年太守憂難繼,慈愛聰明惠利人。 東欄梨花 梨花淡白柳深靑,柳絮飛時花滿城。惆悵東欄一株雪,人生看得幾淸明。 和流杯石上草書小詩 蜂腰鶴膝嘲希逸,春蚓秋蛇病子雲。醉裏自書醒自笑,如今二絶更逢君。 堂後白牡丹 城西千葉豈不好,笑舞春風醉臉丹。何似後堂冰玉潔,遊蜂非意不相幹。〈 其一 見邸家園留題 : 관사정원에 남은 시의 절구를 보고 大旆傳聞載酒過 : 황제 깃발 펄럭이는 술통 실은 수레가 지나간다는 말을 듣고 小詩未忍著磚磨 : 정원 벽돌에 또렷했던 시구는 차마 갈아버리지 못했네. 陽關三疊君須秘 : 시인 왕유가 지은 양관삼첩을 그.. 2022. 9. 25.
徐州送交代仲達少卿(서주송교대중달소경) : 소식(蘇軾) 산과바다 蘇軾 詩 HOME 徐州送交代仲達少卿(서주송교대중달소경) : 소식(蘇軾) 서주에서 전임 태수 강중달 소경을 전송하며 此身無用且東來,賴有江山慰不才。舊尹未嫌衰廢久,淸尊猶許再三開。 滿城遺愛知誰繼,極目扁舟挽不回。歸去靑雲還記否,交遊勝絶古城隈。 此身無用且東來 : 쓸모없는 이 몸이 또 동쪽으로 왔더니 賴有江山慰不才 : 강산의 힘을 입어 재주 없는 이를 위로 하네. 舊尹未嫌衰廢久 : 옛날 사또는 오래 버려진 걸 아직도 싫어 않고 淸樽猶許再三開 : 맑은 술독 두 번 세 번 열어 주시네. 滿城遺愛知誰繼 : 성안에 가득 남긴 사랑을 누가 뒤를 이을까? 極目扁舟挽不回 : 뚫어져라 바라봐도 배 돌리긴 어렵겠네. 歸去靑雲還記否 : 구름 속으로 돌아간 뒤에도 여전히 기억하네. 交遊勝絶古城隈 : 옛날 성과 모퉁이에서 정말 멋.. 2022. 9. 25.
宿州次韻劉涇(숙주차운유경) : 소식(蘇軾) 산과바다 蘇軾 詩 HOME 宿州次韻劉涇(숙주차운유경) : 소식(蘇軾) 숙주에서 유경의 시에 차운하여 我欲歸休瑟漸希,舞雩何日著春衣。多情白髮三千丈,無用蒼皮四十圍。 晩覺文章眞小技,早知富貴有危機。爲君垂涕君知否,千古華亭鶴自飛。 我欲歸休瑟漸希 : 나는 돌아가 쉬고파서 슬(瑟) 소리가 점점 낮아지고 舞雩何日著春衣 : 무우(舞雩)에서 어느 날 분명하게 봄옷을 입을까? 多情白髮三千丈 : 정이 많으면 백발이 삼천 장이고 無用蒼皮四十圍 : 쓸모가 없으면 푸른 껍질이 마흔 뼘이나 된다네. 晩覺文章眞小技 : 문장이 정말 하찮은 재주임을 늘그막에 깨닫고 早知富貴有危機 : 부귀에 위기가 있음은 일찌감치 알았네. 爲君垂涕君知否 : 그대를 위해 눈물 흘림을 그대는 아시려나? 千古華亭鶴自飛 : 천고의 화정에는 학이 스스로 날겠네. * .. 2022. 9.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