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詩 ***/東坡居士 蘇軾 詩686 春菜(춘채) : 소식(蘇軾) 산과바다 蘇軾 詩 HOME 春菜(춘채) : 소식(蘇軾) 봄 나물 蔓菁宿根已生葉,韭芽戴土拳如蕨。爛烝香薺白魚肥,碎點靑蒿涼餅滑。 宿酒初消春睡起,細履幽畦掇芳辣。茵陳甘菊不負渠,繪縷堆盤纖手抹。 北方苦寒今未已,雪底波棱如鐵甲。豈如吾蜀富冬蔬,霜葉露牙寒更茁。 久抛菘葛猶細事,苦筍江豚那忍說。明年投劾徑須歸,莫待齒搖枋髮脫。 蔓菁宿根已生葉 : 순무의 묵은 뿌리는 벌서 잎을 틔우고 韭芽戴土拳如蕨 : 부추 싹은 흙을 인 채 고사리처럼 말렸네. 爛蒸香薺白魚肥 : 푹 삶은 냉이를 얹은 뱅어는 통통하고 碎點靑蒿凉餠滑 : 푸른 쑥 가루로 점을 찍은 식은 쑥떡은 매끈하네. 宿酒初消春睡起 : 숙취가 막 사라지자 봄 잠에서 깨어나서 細履幽畦掇芳辣 : 고요한 밭을 살살 밟으며 향긋하고 매운 걸 따네. 茵陳甘菊不負渠 : 인진쑥과 감국은 도랑의 은혜를.. 2022. 9. 26. 張寺丞益齋(장시승익재) : 소식(蘇軾) 산과바다 蘇軾 詩 HOME 張寺丞益齋(장시승익재) : 소식(蘇軾) 장시승의 익재 張子作齋舍,而以益爲名。吾聞之夫子,求益非速成。譬如遠遊客,日夜事征行。今年適燕薊,明年走蠻荊。 東觀盡滄海,西涉渭與涇。歸來閉戶坐,八方在軒庭。又如學醫人,識病由飽更。風雨晦明淫,跛躄瘖聾盲。 虛實在其脈,靜躁在其情。榮枯在其色,壽夭在其形。苟能閱千人,望見知死生。爲學務日益,此言當自程。 爲道貴日損,此理在旣盈。願君書此詩,以爲益齋銘。 張子作齋舍 : 장선생이 서재를 하나 지어서 而以益爲名 : 그 이름을 익재라 명명하셨네. 吾聞諸夫子 : 나는 공부자께 들었거니와 求益非速成 : 진보란 서둔다고 되는 것이 아니라네 譬如遠遊客 : 비유하자면 먼 곳으로 유람 가는 사람이 日夜事征行 : 밤이나 낮이나 여기저기를 다녀서 今年適燕薊 : 금년에는 북쪽의 연 땅 계 당을 .. 2022. 9. 26. 送李公恕赴闕(송이공서부궐) : 소식(蘇軾) 산과바다 蘇軾 詩 HOME 送李公恕赴闕(송이공서부궐) : 소식(蘇軾) 궁궐로 가는 이공서를 전송하며 君才有如切玉刀,見之凜凜寒生毛。願隨壯士斬蛟蜃,不願腰間纏錦絛。用違其才志不展,坐與胥吏同疲勞。 忽然眉上有黃氣,吾君漸欲收英髦。立談左右俱動色,一語徑破千言牢。我頃分符在東武,脫略萬事惟嬉遨。 盡壞屛障通內外,仍呼騎曹爲馬曹。君爲使者見不問,反更對飮持雙螯。酒酣箕坐語驚衆,雜以嘲諷窮詩騷。 世上小兒多忌諱,獨能容我眞賢豪。爲我買田臨汶水,逝將歸去誅蓬蒿。安能終老塵土下,俯仰隨人如桔槹。 君才有如切玉刀 : 그대의 재주는 옥을 자르는 칼과도 같아서 見之凜凜寒生毛 : 바라보면 늠름하여 오싹하니 털이 솟네. 願隨壯士斬蛟蜃 : 장사를 따라 교룡과 이무기를 베려고 하는데 不願腰間纏錦條 : 허리춤에 비단끈을 매려고 하지 않네. 用違其才志不展 : 그대의 재주.. 2022. 9. 26. 顔樂亭詩(並敘) 안락정시(병서) : 소식(蘇軾) 산과바다 蘇軾 詩 HOME 顔樂亭詩(並敘) 안락정시(병서) : 소식(蘇軾) 안락정을 읊은 시와 그 서문 並敘 顔子之故居所謂陋巷者,有井存焉,而不在顔氏久矣。 膠西太守孔君宗翰始得其地,浚治其井,作亭於其上,命之曰顔樂。 昔夫子以簞食瓢飮賢顔子,而韓子乃以爲哲人之細事,何哉?蘇子曰:古之觀人也,必於其小者觀之,其大者容有僞焉。 人能碎千金之璧,不能無失聲於破釜;能搏猛虎,不能無變色於蜂蠆。 孰知簞食瓢飮之爲哲人之大事乎?乃作《顔樂亭詩》以遺孔君,正韓子之說,且以自警雲。 天生烝民,爲之鼻口。美者可嚼,芬者可嗅。 美必有惡,芬必有臭。我無天遊,六鑿交鬥。 鶩而不返,跬步商受。偉哉先師,安此微陋。 孟賁股栗,虎豹卻走。眇然其身,中亦何有。 我求至樂,千載無偶。執瓢從之,忽焉在後。 並敘(병서) 顔子之故居所謂陋巷者,有井存焉,而不在顔氏久矣。 膠西太守孔君宗翰始得其地,浚治其井.. 2022. 9. 26. 答孔周翰求書與詩(답공주한구서여시) : 소식(蘇軾) 산과바다 蘇軾 詩 HOME 答孔周翰求書與詩(답공주한구서여시) : 소식(蘇軾) 글씨와 시를 요구한 공주한의 시에 화답하여 身閑曷不長閉口,天寒正好深藏手。吟詩寫字有底忙,未脫多生宿塵垢。不蒙譏訶子厚疾,反更刻畫無鹽醜。 征西自有家雞肥,太白應驚飯山瘦。與君相從知幾日,東風待得花開否。撥棄萬事勿復談,百觚之後那辭酒。 身閑曷不長閉口 : 한가하면 어찌 오래 입을 다물지 못하나? 天寒正好深藏手 : 날이 추워서 손을 깊이 감추는 게 좋네. 吟詩寫字有底忙 : 시를 읊고 글씨를 쓰고 무엇이 이리 바쁜가? 未脫多生宿塵垢 : 전생에 쌓인 때를 못 벗겨낸 탓이겠지요 不蒙譏訶子厚疾 : 유자후가 병을 앓는다고 나무라지를 않으시니 反更刻畵無鹽醜 : 그건 외려 무염의 몰골을 잘 그린 셈이네. 征西自有家鷄肥 : 정서 장군은 자기 집안에 살찐 닭이 있었.. 2022. 9. 26. 答呂梁仲屯田(답여량중둔전) : 소식(蘇軾) 산과바다 蘇軾 詩 HOME 答呂梁仲屯田(답여량중둔전) : 소식(蘇軾) 여량홍에 사는 중둔전의 시에 화답하여 亂山合沓圍彭門,官居獨在懸水村。居民蕭條雜麋鹿,小市冷落無雞豚。 黃河西來初不覺,但訝淸泗流奔渾。夜聞沙岸鳴甕盎,曉看雪浪浮鵬鯤。 呂梁自古喉吻地,萬頃一抹何由呑。坐觀入市卷閭井,吏民走盡餘王尊。 計窮路斷欲安適,吟詩破屋愁鳶蹲。歲寒霜重水歸壑,但見屋瓦留沙痕。 入城相對如夢寐,我亦僅免爲魚黿。旋呼歌舞雜詼笑,不惜飮釂空缾盆。 念君官舍冰雪冷,新詩美酒聊相溫。人生如寄何不樂,任使絳蠟燒黃昏。 宣房未築淮泗滿,故道堙滅瘡痍存。明年勞苦應更甚。我當畚鍤先鯨髡。 付君萬指伐頑石,千錘雷動蒼山根。高城如鐵洪口決,談笑卻掃看崩奔。 農夫掉臂免狼顧,秋穀布野如雲屯。還須更置軟脚酒,爲君擊鼓行金樽。 亂山合沓圍彭門 : 들쑥날쑥한 산들이 겹겹이 에워싼 팽문 고을 官居獨在懸水村.. 2022. 9. 26. 哭刁景純(곡조경순) : 소식(蘇軾) 산과바다 蘇軾 詩 HOME 哭刁景純(곡조경순) : 소식(蘇軾) 조경순을 애도하여 讀書想前輩,每恨生不早。紛紛少年場,猶得見此老。此老如松柏,不受霜雪槁。直從毫末中,自養到合抱。 宏材乏近用,千歲自枯倒。文章餘正始,風節貫華皓。平生爲人爾,自爲薄如縞。是非雖難齊,反覆看愈好。 前年旅吳越,把酒慶壽考。扣門無晨夜,百過跡未掃。但知從德公,未省厭丘嫂。別時公八十,後會知難保。 昨日故人書,連年喪翁媼。傷心范橋水,漾漾舞寒藻。華堂不見人,瘦馬空戀皁。我欲江東去,匏樽酌行潦。 鏡湖無賀監,慟哭稽山道。忍見萬松岡,荒池沒秋草。 讀書想前輩 : 책을 보면 그때마다 선배들이 생각나서 每恨生不早 : 일찍 태어나지 못한 것을 한탄했었네. 紛紛少年場 : 젊은이들이 분분하게 모여 있는 곳에서는 猶得見此老 : 오히려 이 어른을 만나 뵐 수가 있었네. 此老如松柏 : 이 어른은.. 2022. 9. 26. 贈寫御容妙善師(증사어용묘선사) : 소식(蘇軾) 산과바다 蘇軾 詩 HOME 贈寫御容妙善師(증사어용묘선사) : 소식(蘇軾) 임금님 용안을 그린 묘선 스님에게 드리며 憶昔射策幹先皇,珠簾翠幄分兩廂。紫衣中使下傳詔,跪捧冉冉聞天香。 仰觀眩晃目生暈,但見曉色開扶桑。迎陽晩出步就坐,絳紗玉斧光照廊。 野人不識日月角,仿佛尙記重瞳光。三年歸來眞一夢,橋山松檜淒風霜。 天容玉色誰敢畫,老師古寺晝閉房。夢中神授心有得,覺來信手筆已忘。 幅巾常服儼不動,孤臣入門涕自滂。元老侑坐須眉古,虎臣立侍冠劍長。 平生慣寫龍鳳質,肯顧草間猿與麞。都人踏破鐵門限,黃金白璧空堆床。 爾來摹寫亦到我,謂是先帝白髮郞。不須覽鏡坐自了,明年乞身歸故鄕。 憶昔射策于先皇 : 옛날에 대책을 펼쳐 선황께 벼슬을 간구하고자 珠簾翠幄分兩廂 : 구슬 발과 비취 휘장이 쳐진 곁채 앞에 나섰네. 紫衣中使下傳詔 : 자주 도포 입은 칙사가 어명을 전달할 .. 2022. 9. 26. 韓幹馬十四匹(한간마십사필) : 소식(蘇軾) 산과바다 蘇軾 詩 HOME 韓幹馬十四匹(한간마십사필) : 소식(蘇軾) 한간의 말 열네 마리 二馬並驅攢八蹄,二馬宛頸騣尾齊。一馬任前雙擧後,一馬卻避長鳴嘶。老髥奚官騎且顧,前身作馬通馬語。 後有八匹飮且行,微流赴吻若有聲。前者旣濟出林鶴,後者欲涉鶴俯啄。最後一匹馬中龍,不嘶不動尾搖風。 韓生畫馬眞是馬,蘇子作詩如見畫。世無伯樂亦無韓,此詩此畫誰當看。 有言郡東北荊山下可以溝畎積水因與吳正字王戶曹同往相視以地多亂石不果還遊聖女山山有石室如墓而無棺槨或云宋司馬桓魋墓二子有詩次其韻二首 側手區區未易遮,奔流一瞬卷千家。共疑智伯初圍趙,猶有張湯欲漕斜。 已坐迂疏來此地,分將勞苦送生涯。使君下策眞堪笑,隱隱驚雷響踏車。 茫茫淸泗繞孤岑,歸路相將得暫臨。試著芒鞋穿犖確,更然松炬照幽深。 縱令司馬能鑱石,奈有中郞解摸金。强寫蒼崖留歲月,他年誰識此時心。 二馬並驅攢入蹄 : 두 마리는 나란.. 2022. 9. 26. 書望洪亭壁(서망홍정벽) : 소식(蘇軾) 산과바다 蘇軾 詩 HOME 書望洪亭壁(서망홍정벽) : 소식(蘇軾) 망홍정 벽에 쓰다. (登望谼亭의 題로 된 곳도 있군요) 河漲平來出舊洪,山城都在水光中。 忽然歸壑無尋處,千里禾麻一半空。 河漲平來出舊洪 : 황하가 창평(漲平)에서 오니 옛날 급류가 나가고 山城都在水光中 : 도읍의 산성이 온통 물바다에 빠졌네. 忽然歸壑無尋處 : 갑자기 계곡으로 들어가 버려서 찾을 데가 없고 千里禾麻一半空 : 천 리나 뻗은 벼와 삼이 반은 없어져 버렸네. 望洪亭과 望谼亭의 洪同谼 書望洪亭壁와 登望谼亭의 내용이 비슷하군요. 登望谼亭 망홍정에 올라서 河漲西來失舊谼 : 황하가 불어서 서쪽에서 오니 전 급류가 사라지고 孤城渾在水光中 : 외로운 성이 온통 물바다에 빠졌네. 忽然歸壑無尋處 : 갑자기 계곡으로 들어가 버려서 찾을 데가 없고 千.. 2022. 9. 26. 河復(並敘) 하부(병서) : 소식(蘇軾) 산과바다 蘇軾 詩 HOME 河復(並敘) 하부(병서) : 소식(蘇軾) 황하가 물길을 회복한 것을 서문과 함께 쓰다. 並敘 熙寧十年秋,河決澶淵,註鉅野,入淮泗。自澶、魏以北皆絶流,而濟、楚大被其害。彭門城下水二丈八尺,七十余日不退,吏民疲於守禦。十月十三日,澶州大風終日,旣止,而河流一枝已復故道,聞之喜甚,庶幾可塞乎。乃作《河復》詩,歌之道路,以致民願而迎神休,蓋守土者之誌也。 君不見西漢元光元封間,河決瓠子二十年。鉅野東傾淮泗滿,楚人恣食黃河鱣。 萬里沙回封禪罷,初遣越巫沈白馬。河公未許人力窮,薪芻萬計隨流下。 吾君仁聖如帝堯,百神受職河神驕。帝遣風師下約束,北流夜起澶州橋。 東風吹凍收微淥,神功不用淇園竹。楚人種麥滿河淤,仰看浮槎棲古木。 並敘(병서) 熙寧十年秋,河決澶淵,註鉅野,入淮泗。 희녕(熙寧) 십년 가을 황하가 단연(澶淵)에서 둑을 무너트리고 거야(鉅.. 2022. 9. 26. 送楊奉禮(송양봉례) : 소식(蘇軾) 산과바다 蘇軾 詩 HOME 送楊奉禮(송양봉례) : 소식(蘇軾) 봉례랑 양씨를 전송하며 譜牒推關右,風流出靖恭。時情任險陂,家法故雍容。 南去河千頃,余惟酒一鐘。更誰哀老子,令得放疏慵。 譜牒推關右 : 관우에서 알아주는 대단한 집안이니 風流出靖恭 : 전해오는 풍속이 정공방에서 나왔을 터이고 時情任險陂 : 음험한 세상인심이 아랑곳하지 않으니 家法故雍容 : 그 가풍이 옛날부터 대범했다네. 南去河千頃 : 만경창파에 조각배 타고 남쪽으로 떠나시면 餘惟酒一鍾 : 남는 것은 술 한 잔뿐 이겠지요 更誰哀老子 : 더 이상 누가 이 늙은이 가엾이 여겨 令得放疎慵 : 마음대로 게으름을 피우게 놔두겠나? 산과바다 이계도 2022. 9. 26. 代書答梁先(대서답양선) : 소식(蘇軾) 산과바다 蘇軾 詩 HOME 代書答梁先(대서답양선) : 소식(蘇軾) 편지를 대신하여 양선에게 답한다. 此身與世眞悠悠,蒼顔華髮誰汝留。强名太守古徐州,忘歸不如楚沐猴。 魯人豈獨不知丘,蹸藉夫子無罪尤。異哉梁子淸而修,不遠千里從我遊。 了然正色懸雙眸,世之所馳子獨不。一經通明傳節侯,小楷精絶規摹歐。 我衰廢學懶且婾,畏見問事賈長頭。別來紅葉黃花秋,夜夢見之起坐愁。 遺我駁石盆與甌,黑質白章聲琳球。謂言山石生澗溝。追琢尙可王公羞。 感子佳意能無酬,反將木瓜報珍投。學如富賈在博收,仰取俯拾無遺籌。 道大如天不可求,修其可見致其幽。願子篤實愼勿浮,發憤忘食樂忘憂。 此身與世眞悠悠 : 세상과는 정말 멀리도 떨어진 이 몸이 蒼顔華髮誰汝留 : 창백한 얼굴 흰 머리여 누가 그대를 붙잡으리 强名太守古徐州 : 유서 깊은 서주 땅에서 억지로 태수라 불리며 忘歸不如楚沐猴 : .. 2022. 9. 26. 臺頭寺雨中送李邦直赴史館分韻得憶字人字兼寄孫巨源二首(대두사우중송이방직부사관분운득억자인자겸기손거원이수) : 소식(蘇軾) 산과바다 蘇軾 詩 HOME 臺頭寺雨中送李邦直赴史館分韻得憶字人字兼寄孫巨源二首(대두사우중송이방직부사관분운득억자인자겸기손거원이수) : 소식(蘇軾) 대두사에서 우중에 사관으로 부임해 가는 이방직을 전송할 때 겸해서 憶字 人字의 운을 얻어 시를 지어 손거원에게 주다 霜林日夜西風急,老送君歸百憂集。淸歌窈眇入行雲,雲爲不行天爲泣。 紅葉黃花秋正亂,白魚紫蟹君須憶。憑君說向髥將軍,衰鬢相逢應不識。 珥筆西歸近紫宸,太平典冊不緣麟。付君此事寧論晉,載我當時舊過秦。 門外想無千斛米,墓中知有百年人。看君兩眼明如鏡,休把春秋坐素臣。 其一 霜林日夜西風急 : 서리 내린 숲에는 밤낮으로 서풍이 몰아치는데 老送君歸百憂集 : 늘그막에 그대를 돌려보내니 온갖 근심 다이네 淸歌窈眇入行雲 : 구성진 노래가 아득히 구름 따라 흘러가니 雲爲不行天爲泣 : 구름은 멈춰.. 2022. 9. 26. 九日邀仲屯田爲大水所隔以詩見寄次其韻(구일요중둔전위대수소격이시견기차기운) : 소식(蘇軾) 산과바다 蘇軾 詩 HOME 九日邀仲屯田爲大水所隔以詩見寄次其韻(구일요중둔전위대수소격이시견기차기운) : 소식(蘇軾) 중양절에 중둔전을 초청했는데 큰물로 길이 막혔다고 보내온 시에 차운하여 無復龍山對孟嘉,西來河伯意雄誇。霜風可使吹黃帽,樽酒那能泛浪花。 漫遣鯉魚傳尺素,卻將燕石報瓊華。何時得見悲秋老,醉裏題詩字半斜。 無復龍山對孟嘉 : 용산에서 맹가를 다시 보지 못하게 되어서 西來河伯意雄夸 : 서쪽에서 온 하백이 속으로 자랑스러웠겠네. 霜風可使吹黃帽 : 서릿바람이 노란 모자를 날려버릴 정도이거늘 樽酒那能泛浪花 : 한 동이 술을 어떻게 물보라 속에 띄우겠나? 漫遺鯉魚傳尺素 : 공연히 잉어를 통해 흰 비단을 전했나니 却將燕石報瓊華 : 돌맹이로 보옥에 보답하고 있네. 何時得見悲秋老 : 가을을 슬퍼하는 노인을 언제나 볼 수 있을.. 2022. 9. 26. 王鞏屢約重九見訪(왕공루약중구견방) : 소식(蘇軾) 산과바다 蘇軾 詩 HOME 王鞏屢約重九見訪(왕공루약중구견방) : 소식(蘇軾) 왕공이 중양절에 찾아오기로 여러 차례 약속해 놓고도 原題는 王鞏屢約重九見訪 旣而不至以詩送將官梁交且見寄次韻答之交頗文雅不類武人家有侍者甚惠麗(왕공루약중구견방 기이불지이시송장관양교차견기차운답지교파문아불류무인가유시자심혜려) 이다. 知君月下見傾城,破恨懸知酒有兵。老守無何惟日飮,將軍競病自詩鳴。 花枝不共秋欹帽,筆陣空來夜斫營。愛惜微官將底用,他年只好寫銘旌。 知君月下見傾城 : 그대가 달 아래서 뛰어난 미인을 보는 줄 알고 破恨懸知酒有兵 : 한을 없애주는 데 좋은 무기는 술이라네. 老守亡何惟日飮 : 늙은 태수는 날마다 술이나 퍼마시고 將軍競病自詩鳴 : 장군은 병과 겨루며 스스로 시를 읊네. 花枝不共秋敲帽 : 꽃가지는 함께 못하고 가을바람에 모자가 떨어.. 2022. 9. 26. 次韻呂梁仲屯田(차운여량중둔전) : 소식(蘇軾) 산과바다 蘇軾 詩 HOME 次韻呂梁仲屯田(차운여량중둔전) : 소식(蘇軾) 여량홍 부근에 사는 둔전 원외랑 중씨의 시에 차운하여서 雨葉風花日夜稀,一杯相屬竟何時。空虛豈敢酬瓊玉,枯朽猶能出菌芝。 門外呂梁從迅急,胸中雲夢自逶遲。待君筆力追靈運,莫負南臺九日期。 雨葉風花日夜稀 : 비 맞은 잎과 날리는 꽃이 밤낮으로 적어지는데 一杯相屬竟何時 : 서로 한 잔을 권할 날이 언제일런가? 空虛豈敢酬瓊玉 : 쭉정이로 어찌 감히 경옥(瓊玉)에 보답하리오 枯朽猶能出菌芝 : 말라 죽은 나무에도 영지는 나오네. 門外呂梁從迅急 : 대문 밖엔 여량홍이 거침없이 달리고 胸中雲夢自透遲 : 가슴 속엔 운몽택이 절로 늦게 통할 터이네. 待君筆力追靈運 : 그대의 필력이 사령운을 따라잡아 莫負南臺九日期 : 희마대에서 중양절의 기약을 저버리지 말아요 *.. 2022. 9. 26. 初別子由(초별자유) : 소식(蘇軾) 산과바다 蘇軾 詩 HOME 初別子由(초별자유) : 소식(蘇軾) 자유와 막 작별하고 我少知子由,天資和而淸。好學老益堅,表裏漸融明。豈獨爲吾弟,要是賢友生。不見六七年,微言誰與賡。 常恐坦率性,放縱不自程。會合亦何事,無言對空枰。使人之意消,不善無由萌。森然有六女,包裹布與荊。 無憂賴賢婦,藜藿等大烹。使子得行意,靑衫陋公卿。明日無晨炊,倒床作雷鳴。秋眠我東閣,夜聽風雨聲。 懸知不久別,妙理重細評。昨日忽出門,孤舟轉西城。歸來北堂上,古屋空崢嶸。退食悞相從,入門中自驚。 南都信繁會,人事水火爭。念當閉閣坐,頹然寄聾盲。妻子亦細事,文章固虛名。會須掃白髮,不復用黃精。 我少知子由 : 나는 어렸을 때부터 자유를 알았거니와 天資和而淸 : 타고난 자질이 온화하고도 해맑으며 好學老益堅 : 학문을 좋아함이 나이가 들수록 더 굳건하고 表裏漸融明 : 외면과 내면이 점점 .. 2022. 9. 26. 이전 1 ··· 6 7 8 9 10 11 12 ··· 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