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산에는 꽃이 피네

*** 詩 ***/東坡居士 蘇軾 詩686

十拍子(십박자) : 소식(蘇軾) 산과바다 蘇軾 詩 HOME 十拍子(십박자) : 소식(蘇軾) 십박자 白酒新開九醞,黃花已過重陽。 身外徜來都似夢,醉裡無何卽是鄕。 東坡日月長。 玉粉旋烹茶乳,金薤新搗橙香。 强染霜髭扶翠袖。莫道狂夫不解狂。 狂夫老更狂。 白酒新開九醞(백주신개구온) : 백주를 새로 열어보니 구온주(九醞酒)라 黃花已過重陽(황화이과중양) : 국화꽃은 이미 중양절을 보냈네. 身外儻來都似夢(신외당래도사몽) : 몸 외 뜻밖에 생긴 것은 모두가 꿈과 같은 것 醉裏無何卽是鄕(취리무하즉시향) : 취중에 보는 무하유(無何有)가 고향이라네. 東坡日月長(동파일월장) : 동파의 세월은 길기만 하다. 玉粉旋烹茶乳(옥분선팽다유) : 옥가루가 빨리 끓어 차에서 유향(乳香)이 나고 金齏新搗橙香(금제신도등향) : 금빛 양념 갓 빻아 등자 향이 가득하네. 强染霜髭扶翠袖.. 2022. 9. 28.
食荔支二首(並引) 식여지이수(병인) : 소식(蘇軾) 산과바다 蘇軾 詩 HOME 食荔支二首(並引) 식여지이수(병인) : 소식(蘇軾) 여지를 먹으며 並引 惠州太守東堂,祠故相陳文惠公,堂下有公手植荔支一株,郡人謂將軍枝。 今風大熟,賞啖之餘,下逮吏卒,其高不可致者,縱猿取之。 丞相祠堂下,將軍大樹旁。炎雲騈火實,瑞露酌天漿。 料紫垂先熟,高紅掛遠揚。分甘遍鈴下,也到黑衣郞。 羅浮山下四時春,盧橘楊梅次第新。 日啖荔支三百顆,不妨長作嶺南人。 並引(병인) 惠州太守東堂,祠故相陳文惠公,堂下有公手植荔支一株,郡人謂將軍枝。 今風大熟,賞啖之餘,下逮吏卒,其高不可致者,縱猿取之。 혜주(惠州) 태수(太守) 동당(東堂)에 고 상진문혜공(相陳文惠公)을 제사하다. 동당(東堂) 아래 公이 손수 심은 여지 한그루가 있고 郡 안의 주민은 이것을 장군(將軍) 나무(樹)라 일컫는다. 올해에 열매가 많이 열려서 나는 맛보았.. 2022. 9. 28.
書李世南所畫秋景(서이세남소화추경) : 소식(蘇軾) 산과바다 蘇軾 詩 HOME 書李世南所畫秋景(서이세남소화추경) : 소식(蘇軾) 이세남의 가을풍경 그림에 적다 野水參差落漲痕,疏林欹倒出霜根。扁舟一棹歸何處,家在江南黃葉村。 人間斤斧日創夷,誰見龍蛇百尺姿。不是溪山曾獨往,何有解作掛猿枝。 野水參差落漲痕 : 들판 시냇물 물이 불었던 흔적 그대로 남아 있고 疎林敧倒出霜根 : 성긴 숲 넘어진 나무 서리 맞은 뿌리들. 扁舟一櫂歸何處 : 일엽편주 노저어서 어디로 돌아가나 家在江南黃葉邨 : 내 고향은 강남땅 황엽촌(黃葉村)에 있다오. 人間斤斧日創夷 : 사람들 일년내내 도끼로 나무 찍어내니 誰見龍蛇百尺姿 : 용과 뱀처럼 키 큰 나무를 누가 볼 수 있나 不是溪山曾獨往 : 산과 계곡이 험준하여 사람들 왕래가 적고 何有解作掛猿枝 : 그 많던 나무에 원숭이가 살았음을 몇 사람이나 알까?.. 2022. 9. 28.
西江月(黃州中秋) 서강월(황주중추) : 소식(蘇軾) 산과바다 蘇軾 詩 HOME 西江月(黃州中秋) 서강월(황주중추) : 소식(蘇軾) 西江月은 사패명(詞牌名)이다. ​ 世事一場大夢,人生幾度秋涼。夜來風葉已鳴廊,看取眉頭鬢上。 酒賤常愁客少,月明多被雲妨。中秋誰與共孤光,把盞淒然北望。 ​ 世事一場大夢(세사일장대몽) : 세상 살아감은 한바탕의 커다란 꿈 人生幾度新涼(인생기도신량) : 인생에 몇 번이나 가을을 맞을까. 夜來風葉已鳴廊(야래풍엽이명랑) : 밤바람 불어 벌써 회랑에 낙엽 소리 들리니 看取眉頭鬢上(간취미두빈상) : 양미간에 근심과 희어진 귀밑머리를 바라보네. 酒賤常愁客少(주천상수객소) : 천한 술이 늘 객의 시름을 덜어주지 못하고 月明多被雲妨(월명다피운방) : 구름이 밝은 달을 자주 가리네. 中秋誰與共孤光(중추수여공고광) : 중추절 누구와 함께 외로운 달빛을 볼까.. 2022. 9. 28.
西江月(世事一場大夢) 서강월(세사일장대몽) : 소식(蘇軾) 산과바다 蘇軾 詩 HOME 西江月(世事一場大夢) 서강월(세사일장대몽) : 소식(蘇軾) 西江月은 사패명(詞牌名)이다. 世事一場大夢,人生幾度新涼。夜來風葉已鳴廊,看取眉頭鬢上。 酒賤常愁客少,月明多被雲妨。中秋誰與共孤光,把盞淒然北望。 世事一場大夢 : 세상살이야 한바탕 커다란 꿈일 진데 人生幾度新凉 : 인생의 변덕이야말로 그 얼마였던고. 夜來風葉已鳴廊 : 밤 들어 바람결엔 이미 낙엽 지는 소리 들려오고 看取眉頭髮上 : 눈썹이며 머리카락도 희어만 가네. 酒賤常愁客少 : 그 많은 술마저도 나그네 시름 달랠 수 없고 月明多被雲姑 : 명월도 구름에 가려 빛을 잃어 가는구나. 中秋誰與其孤光 : 한가위 외로운 저 달을 뉘와 같이 볼거나 把盞悽然北望 : 잔 잡고 바라보는 북녘 하늘가엔 슬픔이 어리네. * 西江月(서강월): 당(唐.. 2022. 9. 28.
西江月(重九) 서강월(중구) : 소식(蘇軾) 산과바다 蘇軾 詩 HOME 西江月(重九) 서강월(중구) : 소식(蘇軾) 중양절에 서하루에서 짓다(重陽節 棲霞樓) 西江月은 사패명(詞牌名)이다. 點點樓頭細雨,重重江外平湖。當年戲馬會東徐,今日凄涼南浦。 莫恨黃花未吐,且敎紅粉相扶。酒闌不必看茱萸,俯仰人間今古。 點點樓頭細雨 : 누대 밖에는 방울방울 가랑비 흩날리고 重重江外平湖 : 강 건너 호수에는 안개비 가득해지네. 當年戲馬會東徐 : 그때에는 서주(徐州)의 희마대(戲馬臺)에서 모였는데 今日凄涼南浦 : 오늘은 홀로 남포(南浦)에서 처량하게 지내네. 莫恨黃花未吐 : 국화꽃이 덜 피었다 한탄하지 마라, 且敎紅粉相扶 : 잠시 가인(歌人)에게 부축시킴만 못 하다네. 酒闌不必看茱萸 : 술판이 끝난 후 수유를 볼 필요는 없다네. 俯仰人間今古 : 인간 세상 지금이 옛날 되기는 순.. 2022. 9. 28.
西江月(照野彌彌淺浪) 서강월(조야미미천랑) : 소식(蘇軾) 산과바다 蘇軾 詩 HOME 西江月(照野彌彌淺浪) 서강월(조야미미천랑) : 소식(蘇軾) 西江月은 사패명(詞牌名)이다. 頃在黃州,春夜行蘄水中。過酒家飮酒,醉。乘月至一溪橋上,解鞍曲肱,醉臥少休。及覺已曉。亂山攢擁,流水鏗然,疑非人世也。書此語橋柱上。 照野彌彌淺浪, 橫空隱隱層霄。障泥未解玉驄驕, 我欲醉眠芳草。 可惜一溪風月, 莫敎踏碎瓊瑤。解鞍欹枕綠楊橋, 杜宇一聲春曉。 ​​頃在黃州,春夜行蘄水中。過酒家飮酒,醉。乘月至一溪橋上,解鞍曲肱,醉臥少休。及覺已曉。亂山攢擁,流水鏗然,疑非人世也。書此語橋柱上。 지난날 황주에 있을 때, 봄날 밤에 기수(蘄水)에 갔었다. 술집에 들러 술을 마시고 취했다. 달빛을 타고 어느 개울에 놓인 다리 위에 이르러 말의 안장을 풀어놓고 팔을 베고 취해 누워서 잠시 쉬었다. 깨어보니 벌써 새벽이었다. 산들이 높고.. 2022. 9. 28.
虢國夫人夜遊圖(괵국부인야유도) : 소식(소식) 산과바다 蘇軾 詩 HOME 虢國夫人夜遊圖(괵국부인야유도) : 소식(소식) 虢國夫人이 밤에 노는 그림 佳人自鞚玉花驄,翩如驚燕蹋飛龍。金鞭爭道寶釵落,何人先入明光宮。 宮中羯鼓催花柳,玉奴弦索花奴手。坐中八姨眞貴人,走馬來看不動塵。 明眸皓齒誰復見,只有丹靑余淚痕。人間俯仰成今古,吳公臺下雷塘路。 當時亦笑張麗華,不知門外韓擒虎。 佳人自鞚玉花驄 : 미인이 스스로 옥화마(玉花馬) 고삐를 잡으니 翩如驚燕踏飛龍 : 놀란 제비처럼 펄럭이며 나는 용처럼 뛰어오르네. 金鞭爭道寶釵落 : 금 채찍으로 길을 다투다 보석 비녀 떨어뜨리니 何人先入明光官 : 어느 사람이 먼저 명광궁(明光官)에 들어갔나? 宮中羯鼓催花柳 : 궁중에서는 갈고(羯鼓)로 꽃과 버들 재촉하니 玉奴絃索花奴手 : 양귀비가 비파 줄 타고 화노(花奴)가 갈고(羯鼓)친다오. 坐中八姨眞.. 2022. 9. 28.
溪陰堂(계음당) : 소식(蘇軾) 산과바다 蘇軾 詩 HOME 溪陰堂(계음당) : 소식(蘇軾) 시냇물이 휘도는 亭子에서 白水滿時雙鷺下,綠槐高處一蟬吟。酒醒門外三竿日,臥看溪南十畝陰。 白水滿時雙鷺下 : 맑은 물 가득한 江 白鷺(백로) 한 쌍이 내려오고 綠槐考處一蟬吟 : 홰나무 높은 곳에서 매미가 울어대네. 酒醒門外三竿日 : 술에서 깨어 바깥을 보니 해는 벌써 중천인데 臥省溪南十畝陰 : 누워서 바라보니 남쪽 잘 가꾼 밭이랑 보이네. * 溪陰(계음) : 개울의 뒤쪽, 즉 개울의 북쪽을 말함 * 三竿(삼간) : 낚시대 셋의 길이 * 十畝(십무) : 열 골. 즉 제법 넓은 밭을 가리킨다. 산과바다 이계도 2022. 9. 28.
江城子(乙卯正月二十日夜記夢) 강성자(을묘정월이십일야기몽) : 소식(蘇軾) 산과바다 蘇軾 詩 HOME 江城子(乙卯正月二十日夜記夢) 강성자(을묘정월이십일야기몽) : 소식(蘇軾) 죽은 아내를 꿈에 보고(原名 江城子記夢) 十年生死兩茫茫,不思量,自難忘。千里孤墳,無處話淒涼。縱使相逢應不識,塵滿面,鬢如霜。 夜來幽夢忽還鄕,小軒窗,正梳妝。相顧無言,惟有淚千行。料得年年腸斷處,明月夜,短松岡。 十年生死兩茫茫 : 생사 갈려 아득한 십 년 세월 不思量 : 생각지 않으려도 自難忘 : 잊기 어려워 千里孤墳 : 천리 멀리 외로운 무덤 無處語凄凉 : 처량히기 이를 데 없어라. 縱使相逢應不識 : 설사 만난다 해도 알아보지 못하리 塵滿面 : 먼지 얼굴 가득하고 鬢如霜 : 귀밑머리도 서리 같으니. 夜來幽夢忽還鄕 : 밤들어 꿈속에 홀연히 찾은 고향 小軒窓 : 작은집 창가에 正梳妝 : 단정히 머리를 빗고 있었네. 相顧無.. 2022. 9. 28.
送將官梁左藏赴莫州(송장관양좌장부막주) : 소식(蘇軾) 산과바다 蘇軾 詩 HOME 送將官梁左藏赴莫州(송장관양좌장부막주) : 소식(蘇軾) 막주로 부임해 가는 장관 양좌장을 전송하며 燕南垂,趙北際,其間不合大如礪。至今父老哀公孫,烝土爲城鐵作門。 城中積谷三百萬,猛士如雲驕不戰。一朝鼓角鳴地中,帳下美人空掩面。 豈如千騎平時來,笑談謦欬生風雷。葛巾羽扇紅塵靜,投壺雅歌淸燕開。 東方健兒虓虎樣,泣涕懷思廉恥將。彭城老守亦淒然,不見君家雪兒唱。 燕南垂, 趙北際 : 연나라의 남쪽 변방, 조나라의 북쪽 경계 其間不合大如礪 : 그 사이에 숫돌만 한 한 완충지대가 있었지요 至今父老哀公孫 : 지금도 노인들이 공손씨를 애도 하나니 蒸土爲城鐵作門 : 흙을 구워 성을 쌓고 쇠로 문을 만들어서 城中積穀三百萬 : 성안에 곡식을 삼백만 섬을 쌓았는데 猛士如雲驕不戰 : 운집한 용사들이 교만 부리며 안 싸운지라 一.. 2022. 9. 28.
和鮮于子駿鄆州新堂月夜二首(前次韻,後不次)화선우자준운주신당월야이수(전차운,후불차) : 소식(蘇軾) 산과바다 蘇軾 詩 HOME 和鮮于子駿鄆州新堂月夜二首(前次韻,後不次)화선우자준운주신당월야이수(전차운,후불차) : 소식(蘇軾) 운주 신당의 달밤을 노래한 선우 자준의 시에 화답하여 去歲遊新堂,春風雪消後。池中半篙水,池上千尺柳。佳人如桃李,胡蝶入衫袖。山川今何許,疆野已分宿。 歲月不可思,駛若船放溜。繁華眞一夢,寂寞兩榮朽。惟有當時月,依然照杯酒。應憐船上人,坐穩不知漏。 明月入華池,反照池上堂。堂中隱几人,心與水月涼。風螢已無跡,露草時有光。起觀河漢流,步屐響長廓。 名都信繁會,千指調絲簧。先生病不飮,童子爲燒香。獨作五字詩,淸卓如韋郞。詩成月漸側,皎皎兩相望。 其一 去歲遊新堂 : 작년에 신당에서 놀고 있더니 春風雪消後 : 봄바람에 눈이 다 녹아버렸네. 池中半蒿水 : 상앗대 반쯤 되게 물이 찬 연못에는 池上千尺柳 : 천 자나 되는 버드나무가 우.. 2022. 9. 28.
次韻答王定國(차운답왕정국) : 소식(蘇軾) 산과바다 蘇軾 詩 HOME 次韻答王定國(차운답왕정국) : 소식(蘇軾) 왕정국의 시에 차운하여 화답한다 每得君詩如得書,宣心寫妙書不如。眼前百種無不有,知君一以詩驅除。傳聞都下十日雨,靑泥沒馬街生魚。 舊雨來人今不來,油然獨酌臥淸虛。我雖作郡古雲樂,山川信美非吾廬。願君不廢重九約,念此衰冷勤呵噓。 每得君詩如得書 : 그대 시를 받을 때마다 편지 받는 것 같거니와 宣心寫妙書不如 : 속마음 오묘함을 그리기엔 편지가 시보다 못한 법이라 眼前百種無不有 : 없는 것 없이 다 있는 눈앞의 온갖 심사 知君一以詩驅除 : 하나같이 시로써 퇴치하는 줄 알겠네. 傳聞都下十日雨 : 서울에는 열흘 동안 비가 온다고 들었나니 靑泥沒馬街生魚 : 푸른 진흙에 말이 빠지고 길에 물고기가 생길 터 舊雨來人今不來 : 옛날엔 비 와도 오던 사람이 지금은 오지 않.. 2022. 9. 28.
答范祖禹(답범조우) : 소식(蘇軾) 산과바다 蘇軾 詩 HOME 答范祖禹(답범조우) : 소식(蘇軾) 범조우의 시에 화답하여 吾州下邑生劉季,誰數區區張與李。重瞳遺跡已塵埃,惟有黃樓臨泗水。 而今太守老且寒,俠氣不洗儒生酸。猶勝白門窮呂布,欲將鞍馬事曹瞞。 吾州下邑生劉季 : 우리 주의 하읍에서 유계가 태어났나니 誰數區區張與李 : 그 누가 보잘것없는 장씨 이씨를 꼽으리오? 重瞳遣迹已塵埃 : 겹 눈동자의 유적은 이미 티끌과 먼지가 되고 惟有黃樓臨泗水 : 황루 만이 사수 가에 솟아 있네. 而今太守老且寒 : 지금의 태수는 노쇠하고 빈번한 몸 俠氣不洗儒生酸 : 호기롭게 유생의 궁상을 씻진 못했네. 猶勝白門窮呂布 : 백문루 위에서 궁지에 몰린 여포가 欲將鞍馬事曹瞞 : 기마병으로 조조를 섬기려 한 것보단 낫겠네. * 范祖禹(범조우) : 북송 성도(成都) 화양(華陽) 사.. 2022. 9. 28.
密州宋國博以詩見紀在郡雜詠次韻答之(밀주송국박이시견기재군잡영차운답지) : 소식(蘇軾) 산과바다 蘇軾 詩 HOME 密州宋國博以詩見紀在郡雜詠次韻答之(밀주송국박이시견기재군잡영차운답지) : 소식(蘇軾) 밀주의 국자박사 송씨가 시로써 그 고을에 있을 때 잡다하게 차운하여 읊은 시 吾觀二宋文,字字照縑素。淵源皆有考,奇險或難句。後來邈無繼,嗣子其殆庶。胡爲尙流落,用舍眞有數。 當時苟悅可,愼勿笑杕杜。斫窗誰赴救,袖手良優裕。山城辱吾繼,缺短煩遮護。昔年謬陳詩,無人聊瓦註。 於今賡絶唱,外重中已懼。何當附家集,擊壤追鹹濩。 吾觀二宋文 : 내가 두 송씨의 글을 보니 字字照縑素 : 한 글자 한 글자가 흰 비단을 비추네. 淵源皆有考 : 모두가 사물의 근원을 다져가며 쓴 것이라서 奇險或難句 : 간혹가다 까다롭고 난해한 구절도 있었네. 後來邈無繼 : 그 뒤로 아득하게 후계자가 없다가 嗣子其殆庶 : 이 집안의 장손이 거의 비등해졌거늘 .. 2022. 9. 28.
送胡掾(송호연) : 소식(蘇軾) 산과바다 蘇軾 詩 HOME 送胡掾(송호연) : 소식(蘇軾) 호연을 전송하며 亂葉和淒雨,投空如散絲。遊年一如此,遊子去何之。 節義古所重,艱危方自茲。他時著淸德,仍復畏人知。 亂葉和凄雨 : 어지러운 잎에 맺혀있던 찬 빗방울이 投空如散絲 : 허공에다 뿌려지니 흩어지는 실과 같구나 流年一如此 : 흘러가는 세월이 하나같이 이러한데 遊子去何之 : 나그네는 여길 떠나 어디로 가려나? 節義古所重 : 절개와 의리는 옛날부터 중시 한 것이고 艱危方自玆 : 부친상의 두려움이 한창 시작되겠구나 他年著淸德 : 언제나 맑은 덕을 드러내시되 芿復畏人知 : 여전히 또 남이 알까 겁내시게나 산과바다 이계도 2022. 9. 28.
次韻答舒敎授觀余所藏墨(차운답서교수관여소장묵) : 소식(蘇軾) 산과바다 蘇軾 詩 HOME 次韻答舒敎授觀余所藏墨(차운답서교수관여소장묵) : 소식(蘇軾) 내가 소장한 먹을 보고 지은 서교수의 시에 차운하여 異時長笑王會稽,野鶩膻腥汙刀几。暮年卻得庾安西,自厭家雞題六紙。二子風流冠當代,顧與兒童爭慍喜。 秦王十八已龍飛,嗜好晩將蛇蚓比。我生百事不掛眼,時人謬說雲工此。世間有癖念誰無,傾身障簏尤堪鄙。 人生當著幾兩屐,定心肯爲微物起。此墨足支三十年,但恐風霜侵髮齒。非人磨墨墨磨人,甁應未罄罍先恥。 逝將振衣歸故國,數畝荒園自鋤理。作書寄君君莫笑,但覓來禽與靑李。一螺點漆便有餘,萬竈燒松何處使。 君不見永寧第中搗龍麝,列屋閑居淸且美。倒暈連眉秀嶺浮,雙鴉畫鬢香雲委。 時聞五斛賜蛾綠,不惜千金求獺髓。聞君此詩當大笑,寒窗冷硯冰生水。 異時長笑王會稽 : 옛날엔 늘 왕회계가 들오리 누린내로 野鶩羶腥汚刀几 : 칼과 도마를 더럽힌다고 비웃.. 2022. 9. 28.
次韻黃魯直見贈古風二首(차운황노직견증고풍이수) : 소식(蘇軾) 산과바다 蘇軾 詩 HOME 次韻黃魯直見贈古風二首(차운황노직견증고풍이수) : 소식(蘇軾) 황노직이 보내온 고풍 2수에 차운하여 佳谷臥風雨,稂莠登我場。陳前漫方丈,玉食慘無光。大哉天宇間,美惡更臭香。君看五六月,飛蚊殷回廊。 茲時不少暇,俯仰霜葉黃。期君蟠桃枝,千歲終一嘗。顧我如苦李,全生依路傍。紛紛不足慍,悄悄徒自傷。 空山學仙子,妄意笙簫聲。千金得奇藥,開視皆豨苓。不知市人中,自有安期生。今君已度世,坐閱霜中蒂。 摩挲古銅人,歲月不可計。閬風安在哉,要君相指似。 其一 嘉穀臥風雨(가곡와풍우) : 잘 익은 벼 비바람 속에 쓰러져 있고 稂莠登我場(낭유등아장) : 잡초들이 벼 있는 곳으로 몰려들어서 陳前漫方丈(진전만방장) : 이르는 곳마다 잡초로 가득 차게 만들어 玉食慘無光(옥식참무광) : 잘 익은 벼 보이지 않게 가려버렸네. 大哉天宇間(대재천.. 2022. 9.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