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산에는 꽃이 피네
*** 詩 ***/東坡居士 蘇軾 詩

食荔支二首(並引) 식여지이수(병인) : 소식(蘇軾)

by 산산바다 2022. 9. 28.

산과바다

荔支(여지)
食荔支二首

蘇軾 詩 HOME

 

 

 

               食荔支二首(並引) 식여지이수(병인) : 소식(蘇軾)

               여지를 먹으며

 

並引

惠州太守東堂祠故相陳文惠公堂下有公手植荔支一株郡人謂將軍枝

今風大熟賞啖之餘下逮吏卒其高不可致者縱猿取之

 

丞相祠堂下將軍大樹旁炎雲騈火實瑞露酌天漿

料紫垂先熟高紅掛遠揚分甘遍鈴下也到黑衣郞

 

羅浮山下四時春盧橘楊梅次第新

日啖荔支三百顆不妨長作嶺南人

 

 

並引(병인)

惠州太守東堂祠故相陳文惠公堂下有公手植荔支一株郡人謂將軍枝

今風大熟賞啖之餘下逮吏卒其高不可致者縱猿取之

혜주(惠州) 태수(太守) 동당(東堂)에 고 상진문혜공(相陳文惠公)을 제사하다. 동당(東堂) 아래 이 손수 심은 여지 한그루가 있고 안의 주민은 이것을 장군(將軍) 나무()라 일컫는다.

올해에 열매가 많이 열려서 나는 맛보았고 이졸(吏卒)도 따 먹었다. 나무가 높아 손이 닿지 않는 사람은 원숭이로 하여금 그 열매를 따게 하였다.

 

 

其一

丞相祠堂下將軍大樹旁炎雲騈火實瑞露酌天漿

料紫垂先熟高紅掛遠揚分甘遍鈴下也到黑衣郞

 

 

其二

羅浮山下四時春 : 나부산 아래는 사철이 봄이라

盧橘楊梅次第新 : 금귤과 양매가 차례로 열리네.

日啖荔支三百顆 : 날마다 여지(荔支)를 삼백 알이나 먹으니

不辭長作嶺南人 : 오래도록 영남 사람 되어도 좋겠네.

 

 

* 여지(荔支) : 과일의 이름이다. 중국 복건(福建)ㆍ광동(廣東)ㆍ사천(四川) 등지에서 생산되는 과일로 살은 희고 맛은 달고 즙()이 많으며, 모양은 용안(龍眼)의 열매와 비슷하다고 하는데, 당 현종의 비()인 양귀비(楊貴妃)가 이를 매우 즐겨 먹었다고 한다.당서(唐書)양귀비(楊貴妃)가 여지를 좋아했는데, 반드시 싱싱한 것으로 가져와야만 했다. 그러므로 연도(沿道)에 역마(驛馬)를 놓아 수천 리의 거리를 전송(傳送)해 와도 그 맛이 변치 않은 채 경도(京都)에 도착하곤 했다.”하였다. 두목(杜牧)의 시()말발굽에 이는 티끌 귀비가 좋아하는데, 여지가 올라온 줄 아는 사람은 아무도 없어[一騎紅塵妃子笑 無人知是荔支來].”라 하였다.

 

 

* 여지탄(荔枝嘆)

 

 

 

 

산과바다 이계도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