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산에는 꽃이 피네

*** 詩 ***/詩聖 杜甫 詩454

지후(至後) 산과바다 두보 시(杜甫 詩) HOME 지후(至後) - 두보(杜甫) 동지 후에 冬至至後日初長(동지지후일초장) : 동지 후에 해가 처음으로 길어지니 遠在劍南思洛陽(원재검남사낙양) : 멀리 검남에 와 낙양을 생각하노라. 靑袍白馬有何意(청포백마유하의) : 안녹산과 사사명은 무슨 뜻으로 일으켰는가. 金谷銅駝非故鄕(금곡동타비고향) : 금곡과 동타는 고향이 아니었던가. 梅花欲開不自覺(매화욕개부자각) : 매화꽃 피려하나 스스로 깨닫지 못하고 棣萼一別永相望(체악일별영상망) : 형제를 한번 이별에 영원히 서로 바라만 본다. 愁極本憑詩遣興(수극본빙시견흥) : 근심이 많아 시에 의탁하여 흥을 풀어 詩成吟咏轉淒涼(시성음영전처량) : 시가 지어져 읊으니 더욱 쓸쓸하고 슬퍼진다. 산과바다 이계도 2020. 12. 20.
십이월일일삼수(十二月一日三首) 산과바다 두보 시(杜甫 詩) HOME 십이월일일삼수(十二月一日三首) - 두보(杜甫) 12월 1일 其一 今朝臘月春意動(금조랍월춘의동) : 오늘 아침은 섣달인데 봄뜻이 움직이니 雲安縣前江可憐(운안현전강가련) : 운안현 앞 강물이 가히 사랑 할 만하여라. 一聲何處送書雁(일성하처송서안) : 들리는 한 마디 소리, 어느 곳으로 소식 전하는 기러기며 百丈誰家上瀨船(백장수가상뢰선) : 백장은 누구 집으로 여울로 오르는 배인가. 未將梅蕊驚愁眼(미장매예경수안) : 매화꽃을 가져다가 시름스런 눈을 놀라게 하지 못하니 要取椒花媚遠天(요취초화미원천) : 또 산초꽃을 가져야 먼 하늘을 아름답게 여긴다. 明光起草人所羨(명광기초인소선) : 명광전에서 기초하니 사람들이 부러워하던 바였지만 肺病幾詩朝日邊(폐병기시조일변) : 폐병이 있.. 2020. 12. 20.
성춘(成春) 산과바다 두보 시(杜甫 詩) HOME 성춘(成春) - 두보(杜甫) 완연한 봄날에 歲暮遠爲客(세모원위객) : 세모에 멀리 떠난 나그네 되니 邊隅還用兵(변우환용병) : 변경에서 도리어 전쟁이로구나. 烟塵犯雪嶺(연진범설령) : 이내와 티끌이 설령을 침범하고 鼓角動江成(고각동강성) : 북과 뿔피리소리 강성을 움직인다. 天地日流血(천지일류혈) : 천지 사이에 날마다 피를 흘리니 朝廷誰請纓(조정수청영) : 조정에는 누가 벼슬을 청하는가. 濟時敢愛死(제시감애사) : 시절을 구제함에 감히 죽음을 아낄까 寂寞壯心驚(적막장심경) : 적막하여 장사의 마음 놀라게 하는구나. 산과바다 이계도 2020. 12. 20.
쌍풍포(雙楓浦) 산과바다 두보 시(杜甫 詩) HOME 쌍풍포(雙楓浦) - 두보(杜甫) 쌍풍포에서 輟棹靑楓浦(철도청풍포) : 청풍포에서 노를 멎으니 雙楓舊已摧(쌍풍구이최) : 두 단풍나무 이미 꺾이었다. 自驚衰謝力(자경쇠사력) : 노쇠하여 힘이 사라짐에 놀라 不道棟梁材(부도동량재) : 나라의 대들보감이라 말하지 못한다. 浪足浮紗帽(낭족부사모) : 물결 자국은 사모(紗帽)를 띄운 듯 하고 皮須截錦苔(피수절금태) : 껍질은 비단 이끼 깎은 듯 하도다. 江邊地有主(강변지유주) : 강가의 땅은 임자가 있으리니 暫借上天廻(잠차상천회) : 잠시 빌려서 하늘에 올랐다 오리라. * 雙楓浦(쌍풍포) : 일명 청풍포라고도 함. 중국 담주 동쪽의 유양현에 있는 강나루임. 산과바다 이계도 2020. 12. 20.
산사(山寺) 산과바다 두보 시(杜甫 詩) HOME 산사(山寺) - 두보(杜甫) 산사 野寺殘僧少(야사잔승소) : 성 밖 절에 남아있는 스님 별로 없고 山園細路高(산원세로고) : 산위에 있는 뜰 오르는 길 좁고도 높네. 麝香眠石竹(사향면석죽) : 노루들은 바위와 대숲에서 잠자고 鸚鵡啄金桃(앵무탁금도) : 앵무새는 금빛 복숭아 쪼아 먹고 있네. 亂水通人過(난수통인과) : 어지럽고 사나운 물 사람들이 건너가고 懸崖置屋牢(현애치옥뢰) : 깎아지른 절벽에 집 지어져있어 上方重閣晩(상방중각만) : 위쪽 중층 누각에 저녁이 와도 百里見秋毫(백리견추호) : 백리 안 터럭까지 모두보이네. * 野寺(야사) : 성 밖에 있는 절. 소식(蘇軾)은「游杭州山」이란 시에서 ‘山平村塢迷, 野寺鐘相答(봉우리 고른 산마을 어둑어둑해지는데 / 산사의 .. 2020. 12. 20.
사원항(沙苑行) 산과바다 두보 시(杜甫 詩) HOME 사원항(沙苑行) - 두보(杜甫) 사원을 노래하다 君不見左輔白沙如白水(군부견좌보백사여백수) : 그대 보지 못했나! 좌보 땅 흰 모래 물같이 희고 繚以周牆百餘里(요이주장백여리) : 둘러싸인 담장이 백리나 되는 것을. 龍媒昔是渥洼生(융매석시악와생) : 용마가 옛날에는 악와(渥洼) 강에서 나왔지만 汗血今稱獻於此(한혈금칭헌어차) : 한혈마는 지금은 이곳에서 헌납된다고 말한다네. 苑中騋牝三千匹(원중래빈삼천필) : 사원 안에는 큰 말과 암말이 삼천 필이 넘고 豐草靑靑寒不死(풍초청청한부사) : 풍부한 풀들은 싱싱하여 추워도 시들어 죽지 않는다고 한다네. 食之豪健西域無(식지호건서역무) : 말을 먹여 용맹스럽고 건장하니 서역에도 없을 것이며 每歲攻駒冠邊鄙(매세공구관변비) : 해마다 말.. 2020. 12. 20.
사상인모재(巳上人茅齋) 산과바다 두보 시(杜甫 詩) HOME 사상인모재(巳上人茅齋) – 두보(杜甫) 사공(巳公)스님 띠풀집에서 巳公茅屋下(사공모옥하) : 巳公스님 띠풀집 아래이니 可以賦新詩(가이부신시) : 부(賦)나 새로운 시 지을 수 있네. 枕簟入林僻(침점입림벽) : 베개와 대자리 가지고 수풀 외진데 들어가니 茶瓜留客遲(다과류객지) : 차와 오이 내어와 나그네 늦도록 머물게 하네. 江蓮搖白羽(강련요백우) : 강가 연꽃 흰 깃털 흔들리는 듯하니 天棘夢青絲(천극몽청사) : 天門冬 푸른 머리털 꿈꾸네. 空忝許詢輩(공첨허순배) : 숨어 지내는 허순(許詢) 무리에 욕보는데 難酬支遁詞(난수지둔사) : 지둔(支遁)스님 문장에는 댓글 쓰기도 어렵네. * 이 시는 741年 作 * 許詢(허순 ?~?) : 東晉 때 문학가로 王羲之(307~365.. 2020. 12. 20.
비추(悲秋) 산과바다 두보 시(杜甫 詩) HOME 비추(悲秋) - 두보(杜甫) 슬픈 가을 凉風動萬里(양풍동만리) : 서늘한 바람이 만리를 불어오니 群盜尙縱橫(군도상종횡) : 도적의 무리들 오히려 날뛰고 있다. 家遠傳書日(가원전서일) : 집이 멀어 편지 전해 오는 날 秋來爲客情(추래위객정) : 가을이 되니 나그네 된 마음이어라. 愁窺高鳥過(수규고조과) : 수심 겨워 높이 나는 새 바라보며 老逐衆人行(노축중인행) : 늙은 몸으로 다른 사람만 쫓아다닌다. 始欲投三峽(시욕투삼협) : 이제 삼협으로 가려하는데 何由見兩京(하유견양경) : 무슨 일로 두 서울을 볼 수 있을까. 산과바다 이계도 2020. 12. 20.
불귀(不歸) 산과바다 두보 시(杜甫 詩) HOME 불귀(不歸) - 두보(杜甫) 돌아오지 못한다네. 河間猶戰伐(하간유전벌) : 하간 땅은 여전히 전쟁 중이라 汝骨在空城(여골재공성) : 너의 뼈는 빈 성에 남아있으리라. 從弟人皆有(종제인개유) : 다른 사람에게는 다 있는 사촌 아우 終身恨不平(종신한부평) : 평생토록 한스러움 진정되지 않으리라. 數金憐俊邁(삭금련준매) : 돈을 헤아림에 뛰어난 재주 아깝고 總角愛聰明(총각애총명) : 총각의 머리에 총명함이 사랑스러웠다. 面上三年土(면상삼년토) : 네 얼굴 위의 삼 년 동안의 흙 春風草又生(춘풍초우생) : 봄바람에 풀이 또 돋아났으리라. 산과바다 이계도 2020. 12. 20.
북풍(北風) 산과바다 두보 시(杜甫 詩) HOME 북풍(北風) - 두보(杜甫) 북풍 北風破南極(배풍파남극) : 북풍은 남쪽 끝까지 불고 朱鳳日威垂(주봉일위수) : 주봉에는 해가 내리쬔다. 洞庭秋欲雪(동정추욕설) : 동정호 가을에 눈 내릴 것 같은데 鴻雁將安歸(홍안장안귀) : 기러기들은 어디로 돌아가려는가. 十年殺氣盛(십년살기성) : 십년 추위가 심하여 六合人煙稀(육합인연희) : 천지엔 사람과 연기 드물구나. 吾慕漢初老(오모한초노) : 한나라 초기 노인 그리운데 時淸猶茹芝(시청유여지) : 날씨는 맑은데 여전히 여지풀이 있도다. 산과바다 이계도 2020. 12. 20.
봉화가지사인조조대명궁(奉和贾至舍人早朝大明宫) 산과바다 두보 시(杜甫 詩) HOME 봉화가지사인조조대명궁(奉和贾至舍人早朝大明宫) - 두보(杜甫) 가지 사인의 조조 대명궁에 시를 지어 화답하다 五夜漏声催曉箭(오야루성최효전) : 오경의 물소리 시계는 새벽을 가리키는 누호 화살 재촉하고 九重春色醉仙桃(구중춘색취선도) : 구중궁궐 봄빛은 碧桃(푸른 복숭아)를 취하여 붉게 한다. 旌旗日暖龙蛇动(정기일난룡사동) : 정기는 날이 따뜻해지자 용과 뱀이 춤을 추고 宫殿风微燕雀高(궁전풍미연작고) : 궁전은 바람이 부드러워지자 제비와 참새가 높이 난다. 朝罢香烟携满袖(조파향연휴만수) : 아침조회가 끝나자 향의 연기가 온 소매에 배어있고 詩成珠玉在揮毫(시성주옥재휘호) : 휘두르는 붓 아래에서 시는 주옥이 된다. 欲知世掌絲綸美(욕지세장사륜미) : 대를 이어 중서성에서 임직.. 2020. 12. 19.
봉수리도독표장조춘작(奉酬李都督表丈早春作) 산과바다 두보 시(杜甫 詩) HOME 봉수리도독표장조춘작(奉酬李都督表丈早春作) - 두보(杜甫) 이도독의 표장조춘 작품을 받들어 수작하다 力疾坐淸曉(역질좌청효) : 병을 견디며 맑은 새벽에 앉으니 來詩悲早春(내시비조춘) : 떠오른 시는 이른 봄을 슬퍼해서 지었구나. 轉添愁伴客(전첨수반객) : 수심이 나그네 벗함이 더해가고 更覺老隨人(경각노수인) : 늙음이 사람을 쫓아옴을 다시 알겠더라. 紅入桃花嫩(홍입도화눈) : 붉은 빛은 복숭아꽃에 들어 부드럽고 靑歸柳葉新(청귀류섭신) : 푸른빛은 버들잎에 돌아가 새로워라. 望鄕應未已(망향응미이) : 고향의 그리움이 응당 다 하지 못하니 四海尙風塵(사해상풍진) : 온 세상에 오히려 풍진이 이는구나. 산과바다 이계도 2020. 12. 19.
봉대엄대부(奉待嚴大夫) 산과바다 두보 시(杜甫 詩) HOME 봉대엄대부(奉待嚴大夫) - 두보(杜甫) 엄대부를 기다리며 殊方又喜故人來(수방우희고인래) : 다른 고을에서 친구가 옴을 또 기뻐하노니 重鎭還須濟世才(중진환수제세재) : 다시 부임함은 세상을 건질 인재이니라. 常怪偏裨終日待(상괴편비종일대) : 아랫사람들이 종일토록 기다림이 항상 이상했는데 不知旌節隔年回(불지정절격년회) : 그대의 깃발이 한 해 걸러 돌아옴을 몰랐다오. 欲辭巴徼啼鶯合(욕사파요제앵합) : 파촉 땅에서 떠나 꾀꼬리 우는 곳에서 맞고자 遠下荊門去鷁催(원하형문거익최) : 멀리 형주의 문까지 내려가 배로 떠나려네. 身老時危思會面(신로시위사회면) : 몸은 늙고 시국은 위태해 만날 생각만 하나니 一生襟抱向誰開(일생금포향수개) : 일평생에 가슴 속 이야기 누구에게 열어야.. 2020. 12. 19.
봉답잠삼보궐견증(奉答岑參補闕見贈) 산과바다 두보 시(杜甫 詩) HOME 봉답잠삼보궐견증(奉答岑參補闕見贈) - 두보(杜甫) 보궐 잠삼이 보내준 시에 받들어 답하다. 窈窕淸禁闥(요조청금달) : 깊숙하고 그윽한 맑은 궁궐 문을 나와 罷朝歸不同(파조귀부동) : 조회를 끝내고 돌아가는 길은 같지 않다. 君隨丞相後(군수승상후) : 그대는 승상의 뒤를 따라가지만 我往日華東(아왕일화동) : 나는 일화문 동쪽으로 돌아온다. 冉冉柳枝碧(염염류지벽) : 늘어진 버들가지 푸르고 娟娟花蕊紅(연연화예홍) : 아름답고 환한 꽃술은 붉기만 하다. 故人得佳句(고인득가구) : 친구는 좋은 시구 얻어서 獨贈白頭翁(독증백두옹) : 오직 백두옹 나에게만 주었구나. 이 시는 잠삼(岑參)의 ‘좌성의 두보 습유에게 부치다[기좌성두습유寄左省杜拾遺]’라는 시詩에 대한 화답시(和答詩).. 2020. 12. 19.
산수이수(散愁二首) 산과바다 두보 시(杜甫 詩) HOME 산수이수(散愁二首) - 두보(杜甫) 근심을 풀어보며 其一 久客宜旋旆(구객의선패) : 오랜 떠돌이에 응당 돌아가야 하지만 興王未息戈(흥왕미식과) : 부흥의 군주도 아직 전쟁을 끝내지 못했네. 蜀星陰見少(촉성음견소) : 촉땅의 별은 흐려서 드물게 보이고 江雨夜聞多(강우야문다) : 강에 내리는 빗소리는 밤이라 많이 들린다. 百萬傳深入(백만전심입) : 백만의 군사 깊이 들어갔다는 소식 전해와 寰區望匪它(환구망비타) : 온 세상이 바라는 것 다를 게 없으니 司徒下燕趙(사도하연조) : 사도께서 연 땅과 조 땅으로 내가가 收取舊山河(수취구산하) : 옛 신하를 거두어 주었으면. 其二 聞道并州鎮(문도병주진) : 듣자하니 병주를 다스리는 尚書訓士齊(상서훈사제) : 상서께서 병사들 훈련.. 2020. 12. 19.
복수12수(復愁十二首) 산과바다 두보 시(杜甫 詩) HOME 복수십이수(復愁十二首) - 두보(杜甫) 다시 고향이 시름겨워 其一 人煙生處僻(인연생처벽) : 사람과 연기 이는 곳 드물어 虎跡過新蹄(호적과신제) : 새로 난 발자국 호랑이 지나갔나보다. 野鶻翻窺草(야골번규초) : 들판의 독수리 번득 풀섶을 노리는데 邨船逆上溪(촌선역상계) : 마을의 배는 거슬러 계곡을 올라간다. 其二 釣艇收緡盡(조정수민진) : 낚시배 낙시줄 다 걷으니 昏鴉接翅稀(혼아접시희) : 저녁 까마귀 날갯짓 드물다. 月生初學扇(월생초학선) : 달이 떠올라 둥글어지는데 雲細不成衣(운세부성의) : 구름은 엷어서 옷이 되지 못한다. 其三 萬國尙戎馬(만국상융마) : 온 나라가 여전히 전쟁터인데 故園今若何(고원금약하) : 고향은 지금쯤 형편이 어떠할까? 昔歸相識少(석귀상.. 2020. 12. 18.
수(愁) 산과바다 두보 시(杜甫 詩) HOME 수(愁) - 두보(杜甫) 근심 江草日日喚愁生(강초일일환수생) : 강가의 풀은 나날이 수심을 불러오고 巫峽泠泠非世情(무협령령비세정) : 무협의 맑은 물은 세상의 정은 아니더라. 盤渦鷺浴底心性(반와노욕저심성) : 소용돌이 여울에서 멱 감는 백로는 무슨 심사 獨樹花發自分明(독수화발자분명) : 외로운 나무에 꽃이 피니 저절로 선명하도다. 十年戎馬暗南國(십년융마암남국) : 십년 오랑캐 전쟁에 남방이 어둡고 異域賓客老孤城(이역빈객노고성) : 이역만리 떨어진 나그네 외로운 성에서 늙는다. 渭水秦山得見否(위수진산득견부) : 위수와 태산를 돌아가 볼 수나 있을까? 人今罷病虎縱橫(인금파병호종횡) : 이제야 병이 그쳤지만 호랑이가 횡행하는구나. * 巫峽 : 기주(夔州)에 속해 있다. 삼.. 2020. 12. 18.
초당즉사(草堂卽事) 산과바다 두보 시(杜甫 詩) HOME 초당즉사(草堂卽事) - 두보(杜甫) 초당에 붙여 荒村建子月(황촌경자월) : 때는 동짓달 황폐한 촌마을 獨樹老夫家(독수노부가) : 한 구루 나무가 서 있는 이 늙은이의 집이로다. 雪裏江船渡(설리강선도) : 바라보면 눈보라 속 강배가 지나가고 風前逕竹斜(풍전경죽사) : 바람에 길섶 대숲이 휩쓸리도다. 寒魚依密藻(한어의밀조) : 추위에 물고기들 마름 풀 속으로 모여들고 宿鷺起圓沙(숙노기원사) : 간밤에 들었든 해오라기 모래펄에서 나온다. 蜀酒禁愁得(촉주금수득) : 이런 날 촉주 한잔이면 시름 이겨 내련만 無錢何處賖(무전하처여) : 돈 없으니 어디서 외상술을 먹으랴. * 建子月 : 11월 * 逕 : 길섶 * 密藻(밀조) : 무성한 수초 * 禁 : 當의 뜻 * 賖(사) : 외.. 2020. 12.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