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산에는 꽃이 피네

四書312

孟子(맹자) 6. 舜之飯糗茹草(순지반구여초) 산과바다 孟子(맹자) HOME 제7편 盡心 下(진심 하) 6. 舜之飯糗茹草(순지반구여초) 孟子曰舜之飯糗茹草也(맹자왈순지반구여초야)에 : 맹자가 이르기를 “순이 마른 밥을 먹고 푸성귀를 먹는 것이 若將終身焉(약장종신언)이러시니 : 평생 그러할 것 같더니 及其爲天子也(급기위천자야)하사는 : 그가 천자가 되어서는 被袗衣鼓琴(피진의고금)하시며 : 그림 든 옷을 입고 거문고를 타고 二女果(이녀과)를 : 두 여인이 시종하였는데 若固有之(약고유지)러시다 : 본래부터 그러한 것을 가지고 살아오던 것 같았다.” 산과바다 이계도 2016. 2. 26.
孟子(맹자) 5. 梓匠輪與(재장륜여) 산과바다 孟子(맹자) HOME 제7편 盡心 下(진심 하) 5. 梓匠輪與(재장륜여) 孟子曰梓匠輪輿能與人規矩(맹자왈재장륜여능여인규구)언정 : 맹자가 이르기를 “목공과 수레 만드는 장인은 남에게 규구는 줄 수 있어도 不能使人巧(불능사인교)니라 : 남을 기술이 좋아지게 만들지는 못한다.” 산과바다 이계도 2016. 2. 26.
孟子(맹자) 4. 焉用戰(언용전) 산과바다 孟子(맹자) HOME 제7편 盡心 下(진심 하) 4. 焉用戰(언용전) 孟子曰有人曰我善爲陳(맹자왈유인왈아선위진)하며 : 맹자가 이르기를 “어떤 사람이 ‘나는 전진을 잘 펴고 我善爲戰(아선위전)이라하면 : 전쟁을 잘 한다.’고 말한다면 大罪也(대죄야)니라 : 그것은 큰 죄다. 國君(국군)이 : 적군이 好仁(호인)이면 : 인자함을 좋아한다면 天下(천하)에 : 천하에 無敵焉(무적언)이니 : 대적할 상대가 없다. 南面而征(남면이정)에 : 남쪽을 향해서 정벌하면 北狄怨(북적원)하며 : 북쪽 미개족속들이 원망하고 東面而征(동면이정)에 : 동쪽을 향해서 정벌하면 西夷怨(서이원)하여 : 서쪽 오랑캐들이 원망하며 曰奚爲後我(왈해위후아)오하니라 : ‘왜 우리 쪽은 뒤로 돌리는가?’하고 말했던 것이다. 武王之伐殷也(.. 2016. 2. 26.
孟子(맹자) 3. 盡信書則不如無書(진신서칙불여무서) 산과바다 孟子(맹자) HOME 제7편 盡心 下(진심 하) 3. 盡信書則不如無書(진신서칙불여무서) 孟子曰(맹자왈) : 맹자가 이르기를 盡信書則不如無書(진신서칙불여무서) : “서경을 그대로 다 믿는다면 서경이 없느니만 못하다. 吾於武成(오어무성)에 : 나는 무성편의 글은 取二三策而已矣(취이삼책이이의)로라 : 그 중의 두서너 쪽을 취할 따름이다. 仁人(인인)은 : 인자한 사람은 無敵於天下(무적어천하)니 : 천하에 그를 대적할 사람이 없고 以至仁(이지인)으로 : 지극히 인자한 사람이 伐至不仁(벌지불인)이어니 : 극도로 인자하지 않은 사람을 쳤는데 而何其血之流杵也(이하기혈지류저야)리오 : 어찌 그렇게 피가 방패를 띄워 내도록 까지 되었겠는가?” 산과바다 이계도 2016. 2. 26.
孟子(맹자) 2. 春秋無義戰(춘추무의전) 산과바다 孟子(맹자) HOME 제7편 盡心 下(진심 하) 2. 春秋無義戰(춘추무의전) 孟子曰(맹자왈) : 맹자가 이르기를 春秋無義戰(춘추무의전)하니 : “춘추시대에는 정의의 전쟁은 없었다. 彼善於此(피선어차)는 : 저 나라가 이 나라보다 則有之矣(칙유지의)니라 : 선했다는 예는 있었다. 征者(정자)는 : 정벌이라는 것은 上伐下也(상벌하야)니 : 위의 천자가 아래 제후를 치는 것이다. 敵國(적국)은 : 대등한 제후국 간에는 不相征也(불상정야)니라 : 서로 정벌하지 않는 것이다.” 산과바다 이계도 2016. 2. 26.
孟子(맹자) 1. 不仁哉梁惠王(불인재양혜왕) 산과바다 孟子(맹자) HOME 제7편 盡心 下(진심 하) 1. 不仁哉梁惠王(불인재양혜왕) 孟子曰(맹자왈) : 맹자가 이르기를 不仁哉梁惠王也(불인재양혜왕야)여 : “인자하지 않구나 양혜왕은. 仁者(인자)는 : 인자한 사람은 以其所愛(이기소애)로 : 자기가 사랑하는 사람을 대하는 마음을 及其所不愛(급기소불애)하고 : 자기가 사랑하지 않는 사람에게까지 미루어 나가는데 不仁者(불인자)는 : 인자한지 않은 사람은 以其所不愛(이기소불애)로 : 자기가 사랑하지 않는 사람을 대하는 마음을 及其所愛(급기소애)니라 : 자기가 사랑하는 사람에게까지 미루어 나간다.” 公孫丑曰何謂也(공손축왈하위야)잇고 : 공손추가 “무엇을 말씀하시는 것입니까?”하고 말했다. 梁惠王(양혜왕)이 : “양혜왕은 以土地之故(고)로 : 땅 때문으로 해.. 2016. 2. 26.
孟子(맹자) 46. 當務之爲急(당무지위급) 산과바다 孟子(맹자) HOME 제7편 盡心 上(진심 상) 46. 當務之爲急(당무지위급) 孟子曰知者無不知也(맹자왈지자무불지야)나 : 맹자가 이르기를 “지혜로운 사람에게는 알지 못할 것이 없겠으나 當務之爲急(당무지위급)이요 : 힘써야 할 것을 급하게 여길 일이다. 仁者無不愛也(인자무불애야)나 : 인자한 사람에게서는 사랑하지 않을 것이 없겠으나 急親賢之爲務(급친현지위무)니 : 현자를 가까이 함을 서두르기를 힘써야 할 일이다. 堯舜之知(요순지지)로 : 요·순의 지혜로서도 而不徧物(이불편물)은 : 온갖 사물을 두루 포괄하지 않은 것은 急先務也(급선무야)요 : 먼저 할 일을 서둘렀기 때문이다. 堯舜之仁(요순지인)으로 : 요·순의 인자함으로써도 不徧愛人(불편애인)은 : 두루 사람들을 사랑하지 않은 것은 急親賢也(급친.. 2016. 2. 26.
孟子(맹자) 45. 君子之於物(군자지어물) 산과바다 孟子(맹자) HOME 제7편 盡心 上(진심 상) 45. 君子之於物(군자지어물) 孟子曰君子之於物也(맹자왈군자지어물야)에 : 맹자가 이르기를 “군자는 동식물에게는 愛之而弗仁(애지이불인)하고 : 아껴주기는 하나 인자하게 해주지도 않고 於民也(어민야)에 : 백성들에게는 仁之而弗親(인지이불친)하나니 : 인자하게 해주기는 하나 친밀하게 되지는 않는다. 親親而仁民(친친이인민)하고 : 어버이를 어버이로 받들고서 백성들에게 인자하게 해 주고 仁民而愛物(인민이애물)이니라 : 백성들에게 인자하게 해 주고서 동식물을 아껴 준다.” 산과바다 이계도 2016. 2. 26.
孟子(맹자) 44. 於不可已而已(어불가이이이) 산과바다 孟子(맹자) HOME 제7편 盡心 上(진심 상) 44. 於不可已而已(어불가이이이) 孟子曰於不可已而已者(맹자왈어불가이이이자)는 : 맹자가 이르기를 “그만두어서는 안 될 데서 그만두어 버리는 사람은 無所不已(무소불이)요 : 그만두지 않을 것이라고는 없을 것이고 於所厚者薄(어소후자박)이면 : 후하게 굴어야 할 데에서 박하게 굴면 無所不薄也(무소불박야)니라 : 박하게 굴지 않을 것이라고는 없을 것이다. 其進銳者(기진예자)는 : 앞으로 나가는 것이 날카로운 사람은 其退速(기퇴속)이니라 : 뒤로 물러나는 것이 빠르다.” 산과바다 이계도 2016. 2. 26.
孟子(맹자) 43. 滕更在門(등경재문) 산과바다 孟子(맹자) HOME 제7편 盡心 上(진심 상) 43. 滕更在門(등경재문) 公都子曰滕更之在門也(공도자왈등경지재문야)에 : 공도자가 이르기를 “등경이 선생님 문하에 와 있는 것이 若在所禮(약재소례)로되 : 예로서 대해주실 만할 것 같은데 而不答(이불답)은 : 그에게 대답해주시지 않으시는 것은 何也(하야)잇고 : 무엇 때문이십니까?” 孟子曰挾貴而問(맹자왈협귀이문)하며 : 맹자가 이르기를 “귀한 힘을 믿고 와서 묻거나 挾賢而問(협현이문)하며 : 잘난 재주를 믿고 와서 묻거나 挾長而問(협장이문)하며 : 연장자임을 믿고 와서 묻거나 挾有勳勞而問(협유훈로이문)하며 : 공훈이 있는 것을 믿고 와서 묻거나 挾故而問(협고이문)이 : 안면이 있는 것을 믿고 와서 묻거나 하는 것은 皆所不答也(개소불답야)니 : 다 .. 2016. 2. 26.
孟子(맹자) 42. 以道殉身(이도순신) 산과바다 孟子(맹자) HOME 제7편 盡心 上(진심 상) 42. 以道殉身(이도순신) 孟子曰天下有道(맹자왈천하유도)엔 : 맹자가 이르기를 “천하에 정도가 행하여지면 以道殉身(이도순신)하고 : 도를 가지고 몸을 따라가고 天下無道(천하무도)엔 : 천하에 정도가 행하여지지 않으면 以身殉道(이신순도)하나니 : 몸을 가지고 도를 따라간다. 未聞以道殉乎人者也(미문이도순호인자야)로라 : 도를 가지고 남에게로 따라간다는 말은 지금까지 들어보지 못했다.” 산과바다 이계도 2016. 2. 26.
孟子(맹자) 41. 道則高矣美矣(도칙고의미의) 산과바다 孟子(맹자) HOME 제7편 盡心 上(진심 상) 41. 道則高矣美矣(도칙고의미의) 公孫丑曰道則高矣美矣(공손축왈도칙고의미의)나 : 공손추가 이르기를 “도인즉 높습니다. 그리고 아름답습니다. 宜若登天然(의약등천연)이라 : 하늘에 올라가는 것같이 그렇게 높아서 似不可及也(사불가급야)니 : 거기에 도달할 수 없는 것 같습니다. 何不使彼爲可幾及而日孶孶也(하불사피위가기급이일자자야)잇고 : 왜 그것을 도달할 수 있을 만큼 만들어서 매일같이 꾸준히 따라가게 하지 않습니까?” 孟子曰大匠(맹자왈대장)이 : 맹자가 이르기를 “훌륭한 목수는 不爲拙工(불위졸공)하여 : 졸렬한 목수를 위해 改廢繩墨(개폐승묵)하며 : 먹줄과 먹표를 고치고 없애고 하는 일을 하지 않고 羿不爲拙射(예불위졸사)하여 : 예는 졸렬한 사수를 위해.. 2016. 2. 26.
孟子(맹자) 40. 君子之所以敎(군자지소이교) 산과바다 孟子(맹자) HOME 제7편 盡心 上(진심 상) 40. 君子之所以敎(군자지소이교) 孟子曰君子之所以敎者五(맹자왈군자지소이교자오)이니 : 맹자가 이르기를 “군자는 가르치는 방법이 다섯 가지 있다. 有如時雨化之者(유여시우화지자)하며 : 제 때에 내리는 비가 초목에 변화를 가져오는 것같이 하는 것이 있고 有成德者(유성덕자)하며 : 덕을 이룩하게 해주는 것이 있고 有達財者(유달재자)하며 : 재능을 발전시켜 주는 것이 있고 有答問者(유답문자)하며 : 물음에 대답해 주는 것이 있고 有私淑艾者(유사숙애자)하니 : 혼자서 잘 덕을 닦아 나가도록 해주는 것이 있다. 此五者(차오자)는 : 이 다섯 가지는 君子之所以敎也(군자지소이교야)니라 : 군자가 가르치는 방법이다.” 산과바다 이계도 2016. 2. 26.
孟子(맹자) 39. 齊宣王欲短喪(제선왕욕단상) 산과바다 孟子(맹자) HOME 제7편 盡心 上(진심 상) 39. 齊宣王欲短喪(제선왕욕단상) 齊宣王(제선왕)이 : 제나라 선왕이 欲短喪(욕단상)이어늘 : 상기를 짧게 하고 싶어 했다. 公孫丑曰爲朞之喪(공손축왈위기지상)이 : 공손추가 말하기를 “1년 상을 입는 것은 猶愈於已乎(유유어이호)인저 : 그래도 그만두는 것보다는 낫지 않습니까?”하자 孟子曰是猶或(맹자왈시유혹)이 : 맹자가 이르기를 “그것은 마치 어떤 사람이 紾其兄之臂(진기형지비)어든 : 자기 형의 팔을 비트는 것을 子謂之姑徐徐云爾(자위지고서서운이)로다 : 자네가 그 사람한테 ‘좀 천천히 하구려.’하고 말하는 것과 같다. 亦敎之孝弟而已矣(역교지효제이이의)니라 : 역시 그에게 효도와 우애를 가르쳐 줄 것일 따름이다.”라고 말했다. 王子有其母死者(왕자유기.. 2016. 2. 26.
孟子(맹자) 38. 惟聖人然後可以賤形(유성인연후가이천형) 산과바다 孟子(맹자) HOME 제7편 盡心 上(진심 상) 38. 惟聖人然後可以賤形(유성인연후가이천형) 孟子曰形色(맹자왈형색)은 : 맹자가 이르기를 “형모와 안색은 天性也(천성야)니 : 천성이다. 惟聖人然後(유성인연후)에 : 오직 성인이라야 可以踐形(가이천형)이니라 : 형모의보람 있게 살아갈 수 있는 것이다.” 산과바다 이계도 2016. 2. 26.
孟子(맹자) 37. 恭敬而無實(공경이무실) 산과바다 孟子(맹자) HOME 제7편 盡心 上(진심 상) 37. 恭敬而無實(공경이무실) 孟子曰食而弗愛(맹자왈식이불애)면 : 맹자가 이르기를 “먹이면서 사랑하지 않는 것은 豕交之也(시교지야)요 : 돼지로 대하는 것이다. 愛而不敬(애이불경)이면 : 사랑하면서 공경하지 않는 것은 獸畜之也(수축지야)니라 : 짐승으로 기르는 것이다. 恭敬者(공경자)는 : 공경이라는 것은 幣之未將者也(폐지미장자야)니라 : 폐백을 보내지 않았을 때부터 갖는 마음이다. 恭敬而無實(공경이무실)이면 : 공경하면서 그 진실성이 없으면 君子不可虛拘(군자불가허구)니라 : 군자를 헛되이 머물러 있게 할 수는 없다.” 산과바다 이계도 2016. 2. 26.
孟子(맹자) 36. 去移氣(거이기) 산과바다 孟子(맹자) HOME 제7편 盡心 上(진심 상) 36. 去移氣(거이기) 孟子自范之齊(맹자자범지제)러시니 : 맹자가 범으로부터 제로 가셔서 望見齊王之子(망견제왕지자)하시고 : 제왕의 아들을 바라보시고 喟然歎曰居移氣(위연탄왈거이기)하며 : ‘이야’하고 감탄하고 말하기를 “거처하는 환경이 기상을 바꾸고 養移體(양이체)하나니 : 봉양하는 것이 몸을 바꾸는 것이다. 大哉(대재)라 : 대단하다. 居乎(거호)여 : 거처하는 환경은 夫非盡人之子與(부비진인지자여)아 : 다 사람의 아들들이 아닌가?”고 말했다. 孟子曰王子宮室車馬衣服(맹자왈왕자궁실차마의복)이 : 맹자가 이르기를 “왕자의 궁실과 차마와 의복은 多與人同(다여인동)이로되 : 대부분 남들과 같다. 而王子若彼者(이왕자약피자)는 : 그런데 왕자가 저러한 것은.. 2016. 2. 26.
孟子(맹자) 35. 瞽瞍殺人(고수살인) 산과바다 孟子(맹자) HOME 제7편 盡心 上(진심 상) 35. 瞽瞍殺人(고수살인) 桃應(도응)이 : 도옹이 問曰舜爲天子(문왈순위천자)요 : 묻기를 “순은 천자로 있고 皐陶爲士(고요위사)어든 : 고요는 사사로 있는데 瞽瞍殺人(고수살인)이면 : 고수가 사람을 죽였다면 * 瞽瞍(고수-소경) 則如之何(칙여지하)잇고 : 어떻게 했을까요?” 孟子曰執之而已矣(맹자왈집지이이의)니라 : 맹자가 “그를 체포하였을 따름이다.”라고 말하였다. 然則舜(연칙순)은 : “그렇다면 순은 不禁與(불금여)잇가 : 그를 금하지 않겠읍니까?” 曰夫舜(왈부순)이 : “순이 惡得而禁之(악득이금지)시리오 : 어떻게 그것을 금할 수 있겠느냐? 夫有所受之也(부유소수지야)니라 : 그가 이어받은 법이 있다.” 然則舜(연칙순)은 : “그렇다면 순은 如.. 2016. 2.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