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과바다
제7편 盡心 下(진심 하)
4. 焉用戰(언용전)
孟子曰有人曰我善爲陳(맹자왈유인왈아선위진)하며 : 맹자가 이르기를 “어떤 사람이 ‘나는 전진을 잘 펴고
我善爲戰(아선위전)이라하면 : 전쟁을 잘 한다.’고 말한다면
大罪也(대죄야)니라 : 그것은 큰 죄다.
國君(국군)이 : 적군이
好仁(호인)이면 : 인자함을 좋아한다면
天下(천하)에 : 천하에
無敵焉(무적언)이니 : 대적할 상대가 없다.
南面而征(남면이정)에 : 남쪽을 향해서 정벌하면
北狄怨(북적원)하며 : 북쪽 미개족속들이 원망하고
東面而征(동면이정)에 : 동쪽을 향해서 정벌하면
西夷怨(서이원)하여 : 서쪽 오랑캐들이 원망하며
曰奚爲後我(왈해위후아)오하니라 : ‘왜 우리 쪽은 뒤로 돌리는가?’하고 말했던 것이다.
武王之伐殷也(무왕지벌은야)에 : 무왕이 은을 칠 때에는
革車三百兩(혁차삼백량)이요 : 혁거가 300량이고
虎賁(호분)이 : 용사가
三千人(삼천인)이러니라 : 3000명이었다.
王曰無畏(왕왈무외)하라 : 왕은 ‘두려워하지 말라.
寧爾也(녕이야)요 : 너희들을 편하게 해주는 것이지
非敵百姓也(비적백성야)라하신대 : 백성들은 대적하는 것이 아니다.’라고 말하였는데
若崩厥角(약붕궐각)하여 : 백성들은 무너지는 것같이
稽首(계수)하니라 : 머리를 땅에 박고 조아렸다.
征之爲言(정지위언)은 : 정의 말됨은
正也(정야)라 : 바로잡는다는 뜻이다.
各欲正己也(각욕정기야)니 : 각각 자기 나라를 바로잡으려고 하는데
焉用戰(언용전)이리오 : 전쟁을 해서 무엇 할 것인가?”
산과바다 이계도
'四書 > 孟子' 카테고리의 다른 글
孟子(맹자) 6. 舜之飯糗茹草(순지반구여초) (0) | 2016.02.26 |
---|---|
孟子(맹자) 5. 梓匠輪與(재장륜여) (0) | 2016.02.26 |
孟子(맹자) 3. 盡信書則不如無書(진신서칙불여무서) (0) | 2016.02.26 |
孟子(맹자) 2. 春秋無義戰(춘추무의전) (0) | 2016.02.26 |
孟子(맹자) 1. 不仁哉梁惠王(불인재양혜왕) (0) | 2016.02.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