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산에는 꽃이 피네

*** 詩 ***2701

산거즉사(山居卽事) -왕유(王維)- 산과바다 왕유시(王維詩) HOME 산거즉사(山居卽事) -왕유(王維)- 산에 살며 만나는 일 寂寞掩柴扉(적막엄시비) : 적막감에 쌓여서 사립문 닫고 蒼茫對落暉(창망대낙휘) : 멀거니 지는 햇볕 마주 바라본다. 鶴巢松樹徧(학소송수편) : 이곳저곳 학이 둥지 튼 소나무 人訪蓽門稀(인방필문희) : 찾아오는 사람 드물구나. 嫩竹含新粉(눈죽함신분) : 대나무 새순에 새 분말 쌓이고 紅蓮落故衣(홍련낙고의) : 붉은 연꽃에서 헌 잎이 떨어진다. 渡頭燈火起(도두등화기) : 나룻머리에는 등불이 켜지고 處處採菱歸(처처채능귀) : 이곳저곳에서 마름 따서 돌아온다. 산과바다 이계도 2020. 9. 13.
춘원즉사(春園卽事) -왕유(王維)- 산과바다 왕유시(王維詩) HOME 춘원즉사(春園卽事) -왕유(王維)- 봄날의 전원에서 宿雨乘輕屐(숙우승경극) : 지난 밤비에 가벼운 나막신 신고 春寒著敝袍(춘한저폐포) : 봄날이 차가워 떨어진 솜옷 입었다. 開畦分白水(개휴분백수) : 논둑을 터고 맑은 물 나누어 대는데 間柳發紅桃(간류발홍도) : 버드나무 사이로 붉은 복사꽃이 핀다. 草際成碁局(초제성기국) : 풀 섶 끝에서 바둑을 두는데 林端擧桔槹(림단거길고) : 나무 숲 끝에는 두레박틀 소리 들린다. 還持鹿皮几(환지녹피궤) : 돌아가 사슴가죽 안석을 가져와서 日暮隱蓬蒿(일모은봉호) : 저무는 저녁 풀밭에 숨어 사노라. 산과바다 이계도 2020. 9. 13.
동만대설억호거사가(冬晩對雪憶胡居士家) -왕유(王維)- 산과바다 왕유시(王維詩) HOME 동만대설억호거사가(冬晩對雪憶胡居士家) -왕유(王維)- 겨울 저녁 눈을 보며 호거사의 집을 생각하다 寒更傳曉箭(한경전효전) : 차가운 저녁북소리 새벽을 알리고 淸鏡覽衰顔(청경람쇠안) : 맑은 거울에 초췌한 얼굴 비춰본다. 隔牖風驚竹(격유풍경죽) : 창 밖에는 바람 불어 대나무 놀라고 開門雪滿山(개문설만산) : 문을 여니 눈이 산에 가득하구나. 灑空深巷靜(쇄공심항정) : 눈발 공중에 날리니 골목이 조용하고 積素廣庭閒(적소광정한) : 쌓인 흰 눈에 넓은 뜰이 한가하다. 借問袁安舍(차문원안사) : 묻노니, 한나라 선비 원안의 집안에 翛然尙閉關(소연상폐관) : 태연자약하게 아직도 문 닫고 있을까. 산과바다 이계도 2020. 9. 13.
망천한거(輞川閒居) -왕유(王維)- 산과바다 왕유시(王維詩) HOME 망천한거(輞川閒居) -왕유(王維)- 망천에서 한가히 살며 一從歸白社(일종귀백사) : 한 번 백사로 돌아온 뒤로 不復到靑門(부복도청문) : 다시는 청문에 가지 않았다. 時倚簷前樹(시의첨전수) : 때로 처마 앞 나무에 기대어 遠看原上邨(원간원상촌) : 멀리 언덕 위 마을을 바라본다. 靑菰臨水映(청고림수영) : 푸른 줄풀이 물에 비춰 있고 白鳥向山翻(백조향산번) : 흰 새는 산을 향해 날개 짓 한다. 寂寞於陵子(적막오릉자) : 적막하게 살고 있는 오릉자 桔槹方灌園(길고방관원) : 두레박질로 남새밭에 물을 준다. 산과바다 이계도 2020. 9. 13.
기형주장승상(寄荊州張丞相) -왕유(王維)- 산과바다 왕유시(王維詩) HOME 기형주장승상(寄荊州張丞相) -왕유(王維)- 형주의 장승상에게 所思竟何在(소사경하재) : 그리운 분 당신은 결국 어디 계신지요. 悵望深荊門(창망심형문) : 시름없이 깊숙한 형문산을 바라봅니다. 擧世無相識(거세무상식) : 온 세상에 알아주는 이 하나 없으니 終身思舊恩(종신사구은) : 죽도록 지난 은혜 생각하고 있습니다. 方將與農圃(방장여농포) : 이제 밭농사에 뛰어들어 藝植老邱園(예식노구원) : 채소를 심으며 전원에서 늙어가렵니다. 目盡南飛鳥(목진남비조) : 남으로 날아가는 새를 끝까지 바라봅니다. 何由寄一言(하유기일언) : 어찌해야 한 마디라도 전할 수 있을까요. 산과바다 이계도 2020. 9. 13.
한식성동즉사(寒食城東卽事) -왕유(王維)- 산과바다 왕유시(王維詩) HOME 한식성동즉사(寒食城東卽事) -왕유(王維)- 한식날 성동에서 겪은 일 淸溪一道穿桃李(청계일도천도리) : 맑은 개울 한 줄기 복숭아 오얏나무 사이로 흐르고 演漾綠蒲涵白芷(연양녹포함백지) : 출렁이는 물결엔 푸른 부들, 물속에 잠긴 흰 어수리 溪上人家凡幾家(계상인가범기가) : 개울 위쪽 인가는 무릇 몇 집이나 되던가? 落花半落東流水(낙화반낙동류수) : 낙화는 절반이 동으로 흐르는 물에 떨어진다. 蹴踘屢過飛鳥上(축국누과비조상) : 공을 차다가 몇 번이나 날아가는 새 위로 지나고 鞦韆競出垂楊裏(추천경출수양리) : 그네는 수양버들 사이로 다투어 나타나는구나. 少年分日作遫游(소년분일작칙유) : 소년은 한창시절에는 마음껏 뛰어놀아야 하나니 不用淸明兼上巳(부용청명겸상사) : 반드시 청명.. 2020. 9. 13.
낙양녀아항(洛陽女兒行) -왕유(王維)- 산과바다 왕유시(王維詩) HOME 낙양녀아항(洛陽女兒行) -왕유(王維)- 낙양 여인의 노래 洛陽女兒對門居(낙양녀아대문거) : 대문 맞은편에 낙양의 처녀가 사는데 纔可顔容十五餘(재가안용십오여) : 겨우 열다섯 살에 용모가 아름답다. 良人玉勒乘驄馬(량인옥늑승총마) : 낭군은 옥장 장식 준마 타고 侍女金盤膾鯉魚(시녀금반회리어) : 시녀는 금쟁반에 잉어회를 바친다. 畫閣朱樓盡相望(화각주누진상망) : 화려한 집 붉은 누대에 진종일 마주보며 紅桃綠柳垂簷向(홍도녹류수첨향) : 붉은 복숭아 푸른 버들 처마 향해 늘어졌다. 羅帷送上七香車(나유송상칠향거) : 비단 휘장에 칠향거에 태워져 오르고 寶扇迎歸九華帳(보선영귀구화장) : 귀한 부채로 맞아들여 구화장 침실로 든다. 狂夫富貴在靑春(광부부귀재청춘) : 호탕한 지아비들 부.. 2020. 9. 13.
도원행(桃源行) -왕유(王維)- 산과바다 왕유시(王維詩) HOME 도원행(桃源行) -왕유(王維)- 도원의 노래 漁舟逐水愛山春(어주축수애산춘) : 고깃배로 물 딸라 산속 봄을 즐겨보니 兩岸桃花夾去津(양안도화협거진) : 양쪽 언덕 복숭아꽃 지나는 나루터를 끼고 있다. 坐看紅樹不知遠(좌간홍수부지원) : 꽃과 나무 앉아 구경하느라 먼 줄도 모르고 行盡靑溪不見人(항진청계부견인) : 푸른 개울까지 걸어가도 사람은 보이지 않는다. 山口潛行始隈隩(산구잠항시외오) : 산굴로 몰래 걸어가니 처음엔 후미지고 으슥한데 山開曠望旋平陸(산개광망선평륙) : 산이 넓은 전망이 열려 곧 평원으로 되었다. 遙看一處攢雲樹(요간일처찬운수) : 멀리 한 곳을 살펴보니 구름과 산이 모여 있어 近入千家散花竹(근입천가산화죽) : 가까이 들어가니 집집이 꽃과 대나무가 흩어져있다... 2020. 9. 13.
만춘엄소윤여제공견과(晩春嚴少尹與諸公見過) -왕유(王維)- 산과바다 왕유시(王維詩) HOME 만춘엄소윤여제공견과(晩春嚴少尹與諸公見過) -왕유(王維)- 늦은 봄날 엄소윤과 제공들이 들러주다 松菊荒三徑(송국황삼경) : 소나무 국화 우거진 황폐한 세 갈래 길 있고 圖書共五車(도서공오거) : 책은 많아 다섯 수레에 가득하도다. 烹葵邀上客(팽규요상객) : 아욱나물 삶아 귀한 손님 맞으니 看竹到貧家(간죽도빈가) : 대나무 감상하려 가난한 집에 오셨단다. 雀乳先春草(작유선춘초) : 참새는 봄풀이 돋기 전에 새끼를 까고 鶯啼過落花(앵제과낙화) : 꾀꼬리는 꽃 지는 시절이 지났어도 울고 있다. 自憐黃髮暮(자련황발모) : 누렇게 된 머리, 인생의 말년을 슬퍼하노니 一倍惜年華(일배석년화) : 갑절로 남은 세월을 아끼며 살아가리라. 산과바다 이계도 2020. 9. 13.
과감화사담흥상인산원(過感化寺曇興上人山院) -왕유(王維)- 산과바다 왕유시(王維詩) HOME 과감화사담흥상인산원(過感化寺曇興上人山院) -왕유(王維)- 감화사 담홍스님의 승원을 찾아 暮持笻竹杖(모지공죽장) : 날 저물어 지팡이 짚고 相待虎溪頭(상대호계두) : 호계 개울가에서 기다린다. 催客聞山響(최객문산향) : 산울림 들으며 손님 보내고 歸房逐水流(귀방축수류) : 물길 따라 선방으로 돌아온다. 野花叢發好(야화총발호) : 들꽃은 떨기지어 좋게 피고 谷鳥一聲幽(곡조일성유) : 골짝 새는 울음소리 그윽하다. 夜坐空林寂(야좌공림적) : 밤에 홀로 앉은 적막한 빈 숲 松風直似秋(송풍직사추) : 불어오는 솔바람 가을인가. 산과바다 이계도 2020. 9. 13.
정과주상과(鄭果州相過) -왕유(王維)- 산과바다 왕유시(王維詩) HOME 정과주상과(鄭果州相過) -왕유(王維)- 과주 鄭太守가 찾아오다. 麗日照殘春(여일조잔춘) : 해맑은 햇볕 늦봄을 비추고 初晴艸木新(초청초목신) : 날이 막 개니 초목도 신선하여라. 牀前磨鏡客(상전마경객) : 평상 앞에는 거울을 갈아주는 나그네 林裏灌園人(림리관원인) : 숲 속에는 채소밭에 물대는 사람. 五馬驚窮巷(오마경궁항) : 태수의 오마 행렬에 외진 골목 놀래고 雙童逐老身(쌍동축노신) : 사내 아이 들이 늙은 몸을 쫓아온다. 中廚辦麤飯(중주판추반) : 부엌 안에서 거친 밥을 마련하니 當恕阮家貧(당서완가빈) : 마땅히 완적의 가난한 살림 용서하시라. 산과바다 이계도 2020. 9. 13.
송장판관부하서(送張判官赴河西) -왕유(王維)- 산과바다 왕유시(王維詩) HOME 송장판관부하서(送張判官赴河西) -왕유(王維)- 하서 땅으로 부임하는 장 판관을 전송하며 單車曾出塞(단거증출색) : 단거로 변방에 나갔었고 報國敢邀勳(보국감요훈) : 나라에 보답할 뿐 공적을 바랄까. 見逐張征虜(견축장정노) : 이제 정로 장비를 쫓아 今思霍冠軍(금사곽관군) : 이제 관군 곽거병을 생각한다. 沙平連白雪(사평련백설) : 사막은 흰 눈이 연이어 있고 蓬卷入黃雲(봉권입황운) : 쑥대는 말려 누런 구름 속에 든다. 慷慨倚長劍(강개의장검) : 강개하며 긴 칼을 차고 高歌一送君(고가일송군) : 목청껏 노래 불러 그대를 전송한다. 산과바다 이계도 2020. 9. 13.
송전소부환남전(送錢少府還藍田) -왕유(王維)- 산과바다 왕유시(王維詩) HOME 송전소부환남전(送錢少府還藍田) -왕유(王維)- 남전 땅으로 돌아가는 전기(錢起) 소부(少府)를 전송하며 草色日向好(초색일향호) : 풀빛은 날마다 좋아지는데 桃源人去稀(도원인거희) : 무릉도원으로 가는 사람은 드무네. 手持平子賦(수지평자부) : 손에 평자 張衡의 歸田賦 들고 目送老萊衣(목송노래의) : 눈으로는 노래자의 색동옷 입은 사람을 배웅하네. 每候山櫻發(매후산앵발) : 매번 산앵두 꽃필 때면 時同海燕歸(시동해연귀) : 강남 가는 제비처럼 때맞춰 돌아가네. 今年寒食酒(금년한식주) : 올 해 한식날 술 마실 쯤에는 應得返柴扉(응득반시비) : 반드시 고향 사립문으로 돌아갈 수 있으리라. 산과바다 이계도 2020. 9. 13.
송구위왕당주(送邱爲往唐州) -왕유(王維)- 산과바다 왕유시(王維詩) HOME 송구위왕당주(送邱爲往唐州) -왕유(王維)- 당주로 돌아가는 구위를 송별하며 宛洛有風塵(완낙유풍진) : 완읍과 낙양에 풍진이 일어 君行多苦辛(군항다고신) : 그대 행차에 많은 고생 있으리라. 四愁連漢水(사수련한수) : 온갖 근심 한수 따라 이어질 테고 百口寄隨人(백구기수인) : 집안 식구들 모두가 따를 테니 말이오. 槐色陰淸晝(괴색음청주) : 홰나무 짙푸른 빛이 대낮에 그늘지고 楊花惹暮春(양화야모춘) : 버들개지 꽃피어 봄이 깊어갈 때 朝端肯相送(조단긍상송) : 조정으로 기는 길 흔쾌히 보내리니 天子繡衣臣(천자수의신) : 천자의 총애 받는 중신이 되시구려. 산과바다 이계도 2020. 9. 13.
송최구흥종유촉(送崔九興宗游蜀) -왕유(王維)- 산과바다 왕유시(王維詩) HOME 송최구흥종유촉(送崔九興宗游蜀) -왕유(王維)- 촉으로 원유하는 최흥종을 송별하며 送君從此去(송군종차거) : 이곳에서 떠나는 그대 전송하려니 轉覺故人稀(전각고인희) : 더욱 친구가 드문 것을 깨달았도다. 徒御猶回首(도어유회수) : 마부와 수레 탄 사람도 돌아보니 田園方掩扉(전원방엄비) : 전원의 오막살이에 사립문 있도다. 出門當旅食(출문당려식) : 문을 나서면 나그네 처지 되리니 中路授寒衣(중노수한의) : 가다가 두툼한 솜옷이나 보내리라. 江漢風流地(강한풍류지) : 장강과 한수 사이 풍류 서린 땅에서 游人何處歸(유인하처귀) : 떠도는 나그네 어디쯤에서 돌아오려나. 산과바다 이계도 2020. 9. 13.
송평담연판관(送平淡然判官) -왕유(王維)- 산과바다 왕유시(王維詩) HOME 송평담연판관(送平淡然判官) -왕유(王維)- 판관 평담연을 송별하며 不識陽關路(부식양관노) : 양관 길을 알지 못하고서 新從定遠侯(신종정원후) : 새로 정원후 장군을 따라가는구나. 黃雲斷春色(황운단춘색) : 먼지에 쌓여 누런 그곳 구름은 봄빛을 끊고 畫角起邊愁(화각기변수) : 장식 뿔피리 소리 들으면 변방 근심 일으킨다. 瀚海經年別(한해경년별) : 한해로 떠나는 이별은 몇 년 걸릴까. 交河出塞流(교하출색류) : 교하의 강물은 변방을 나와 흐른다. 須令外國使(수령외국사) : 화전위한 외국 사절들의 교섭도 기대할 만 하지만 知飮月支頭(지음월지두) : 적장(월지국 왕)의 두개골로 술 마심 알게 하라. 산과바다 이계도 2020. 9. 13.
송류사직부안서(送劉司直赴安西) -왕유(王維)- 산과바다 왕유시(王維詩) HOME 송류사직부안서(送劉司直赴安西) -왕유(王維)- 안서도호부로 가는 유 사직을 전송하며 絶域陽關道(절역양관도) : 아주 머나 먼 땅 양관 가는 길 胡煙與塞塵(호연여색진) : 오랑캐 땅 연기와 변방의 먼지. 三春時有雁(삼춘시유안) : 석 달 봄철에도 기러기가 날고 萬里少行人(만리소항인) : 아득한 만 리 길에는 행인도 드물구나. 苜蓿隨天馬(목숙수천마) : 말먹이 목숙 풀은 천마 따라 들어오고 蒲桃逐漢臣(포도축한신) : 포도는 한나라 사신 쫓아 들어왔어라. 當令外國懼(당령외국구) : 마땅히 외국으로 하여금 두려워 不敢覓和親(부감멱화친) : 감히 다시는 화친 구하게 하지 말게나. 산과바다 이계도 2020. 9. 13.
양주교외유망(涼州郊外游望) -왕유(王維)- 산과바다 왕유시(王維詩) HOME 양주교외유망(涼州郊外游望) -왕유(王維)- 양주 교외에서 유람하며 바라보다. 野老才三戶(야노재삼호) : 시골 늙은이 사는 집, 겨우 세 가구 邊邨少四鄰(변촌소사린) : 변방 고을에는 이웃도 적구나. 婆娑依里社(파사의리사) : 옷자락 너울거리며 마을 신당에 가서 簫鼓賽田神(소고새전신) : 피리 불고 북 치면서 지신을 제사한다. 灑酒澆芻狗(쇄주요추구) : 개 모형 짚단에 술 붓고 물 뿌리고 焚香拜木人(분향배목인) : 향불 피우고 나무 인형에 절을 한다. 女巫紛屢舞(녀무분누무) : 여자 무당은 어지러이 온갖 춤을 추니 羅襪自生塵(나말자생진) : 비단 버선에서는 절로 먼지가 인다. 산과바다 이계도 2020. 9.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