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詩 ***/詩聖 杜甫 詩454 강한(江漢) 산과바다 두보 시(杜甫 詩) HOME 강한(江漢) - 두보(杜甫) 무한(武漢)의 나그네 江漢思歸客(강한사귀객) : 長江 漢水 물가에서 고향 그리는 나그네 乾坤一腐儒(건곤일부유) : 천지간에 헛되이 썩고 있는 이사람 片雲天共遠(편운천공원) : 조각구름처럼 하늘 멀리 떠도니 永夜月同孤(영야월동고) : 긴긴밤 혼자 떠 있는 달처럼 고독하네. 落日心猶壯(낙일심유장) : 아름답게 지는 해를 보고 이 마음도 새롭고 秋風病欲蘇(추풍병욕소) : 가을바람에 병든 몸도 소생하는 기분이네. 古來存老馬(고래존노마) : 옛날부터 전해지는 늙은 말의 고사(古事)를 보면 不必取長途(불필취장도) : 꼭 먼 길 가는데 쓰려는 것만은 아니지 않은가? * 腐儒 : 썩고 있는 선비(두보자신) * 永夜 : 긴긴 밤 * 猶壯 : 씩씩하다 * .. 2020. 12. 12. 제장씨은거(題張氏隱居) 산과바다 두보 시(杜甫 詩) HOME 제장씨은거(題張氏隱居) - 두보(杜甫) 은사 장씨를 찾아서 1. 春山無伴獨相求(춘산무반독상구) : 봄의 산길 홀로 그대 찾아가는데 伐林丁丁山更幽(벌림정정산경유) : 나무 찍는 소리 쩡쩡 새삼 산중이 그윽하구나. 澗道餘寒歷氷雪(간도여한역빙설) : 깊은 계곡 늦추위에 빙설을 밟으며 石門斜日到林丘(석문사일도림구) : 석문에 비낀 햇빛 기울어질 때 숲 언덕에 이르네. 不貪夜識金銀氣(불탐야식금은기) : 주인은 재물 탐치 않으니 밤이면 금은기운 알아보고 遠害朝看麋鹿遊(원해조간미록유) : 명리와 세속의 화근 멀리하고 미록과 노는구나. 乘興杳然迷出處(승흥묘연미출처) : 나도 모르게 흥겨워 갈길 어딘지 모르게 되고 對君疑是泛虛舟(대군의시범허주) : 그대와 마주하니 빈 배가 떠 있는 .. 2020. 12. 12. 강상치수여해세료단술(江上値水如海勢聊短述) 산과바다 두보 시(杜甫 詩) HOME 강상치수여해세료단술(江上値水如海勢聊短述) - 두보(두보) 바다 같은 강에서 짧게 짓다 爲人性僻耽佳句(위인성벽탐가구) : 내 사람됨이 편벽하여 좋은 글귀 탐내기를 語不驚人死不休(어불경인사불휴) : 놀랠 시를 못 지으면 죽어도 그치지 않으리라. 老去詩篇渾漫與(노거시편혼만여) : 늘그막에 시편을 함부로 엮어가고 있으니 春來花鳥莫深愁(춘래화조막심수) : 봄이 되어 꽃과 새를 봐도 깊이 생각지 않는구나. 新添水檻供垂釣(신첨수함공수조) : 물가에 난간을 새로 붙여 낚싯대 내리우고 故著浮槎替入舟(고저부차체입주) : 일부러 뗏목을 띠워 배 삼아 타고 지내며 焉得思如陶謝手(언득사여도사수) : 어찌하면 도연명과 사영훈의 시상을 배워 令渠述作與同遊(령거술작여동유) : 저들과 함께 시를 .. 2020. 12. 12. 객야(客夜) 산과바다 두보 시(杜甫 詩) HOME 객야(客夜) - 두보(杜甫) 나그네의 밤 客睡何曾着(객수하증착) : 나그네 어찌 잠이 들 수 있으랴 秋天不背明(추천불배명) : 긴 가을밤을 지새워도 좀처럼 밝지 않는다. 入簾殘月影(입렴잔월영) : 새벽달 그림자 발에 걸쳐 들어오고 高枕遠江聲(고침원강성) : 높이 벤 베개 넘어 강물소리 들리네. 計拙無衣食(계졸무의식) : 세상살이 서툴러 의식이 빈궁하고 途窮仗友生(도궁장우생) : 궁하면 벗에게 의지함이 고작이니 老妻書數紙(노처서수지) : 늙은 아내에게 몇 번의 편지에는 應悉未歸情(응실미귀정) : 못가는 처지 다 아노라고. * 不背明 : 날이 좀처럼 밝지 않는다. * 仗友生(장우생) : 벗에게 의지하여 살다. * 途窮 : 궁핍에 이르면 * 應悉(응실) : 의당히 모두 入.. 2020. 12. 12. 후출새오수(後出塞五首) 산과바다 두보 시(杜甫 詩) HOME 후출새오수(後出塞五首) - 두보(杜甫) 후에 변방을 나오며 其一 男兒生世間(남아생세간) : 사나이 세상에 태어나 及壯當封侯(급장당봉후) : 장년이 되면 제후에 봉해져야지. 戰伐有功業(전벌유공업) : 전쟁 이겨 공업이 있어야지 焉能守舊丘(언능수구구) : 어찌 능히 고향만 지키리오. 召募赴薊門(소모부계문) : 징집을 받고 계문에 달려오니 軍動不可留(군동부가류) : 군사로 동원하니 머무를 수 없도다. 千金裝馬鞭(천금장마편) : 천금으로 말채찍 꾸미고 百金裝刀頭(백금장도두) : 백금으로 칼머리 장식한다. 閭里送我行(려리송아항) : 마을에서는 나의 길을 전송하고 親戚擁道周(친척옹도주) : 친척들은 떠나는 길을 둘러싼다. 斑白居上列(반백거상렬) : 반백의 어른들은 위쪽 열에 있.. 2020. 12. 12. 전출새구수(前出塞九首) 산과바다 두보 시(杜甫 詩) HOME 전출새구수(前出塞九首) - 두보(杜甫) 전쟁터에 나서며 其一 戚戚去故里(척척거고리) : 슬퍼하며 고향마을을 떠나 悠悠赴交河(유유부교하) : 아득히 멀리 교하에 이르렀구나. 公家有程期(공가유정기) : 나라 일에 정한 기한이 있어 亡命嬰禍羅(망명영화라) : 도망하면 징벌을 받을 것이네. 君已富土境(군이부토경) : 그대 이미 부토의 경계에 있어 開邊一何多(개변일하다) : 변경 개척하는 일, 어찌 이리도 많은가 棄絶父母恩(기절부모은) : 부모의 은공 버려두고 呑聲行負戈(탄성행부과) : 소리치며 창 메고 전장으로 간다. * 前出塞 : 전쟁터 앞으로 나가다 *戚戚=풀이죽고 우울하게 *去故里=고향을 떠나다 * 悠悠 : 아득히 멀리 *赴交河=교하로 가다(신강성 변경) *公家=관청 .. 2020. 12. 12. 상부인사(湘夫人祠) 산과바다 두보 시(杜甫 詩) HOME 상부인사(湘夫人祠) - 두보(杜甫) 상부인의 사당 肅肅湘妃廟(숙숙상비묘) : 장엄하고 엄숙한 상부인의 사당 空墻碧水春(공장벽수춘) : 봄이 와 빈담 너머로 푸른 물이 출렁인다. 蟲書玉佩蘚(충서옥패선) : 이끼 낀 옥패에 낡은 글씨 희미하고 燕舞翠帷塵(연무취유진) : 먼지 쌓인 푸른 장막에 제비가 날아든다. 晩泊登汀樹(만백등정수) : 저녁 무렵 모래섬에 올라 나무에 배를 매고 微馨借渚蘋(미형차저빈) : 엷은 향기의 물가 풀을 빌어 상부인께 제사한다. 蒼梧恨不盡(창오한부진) : 창오의 한이여 끝이 없어라. 染淚在叢筠(염루재총균) : 피눈물을 대나무에 적신 애절한 사랑이어. * 湘妃廟(상비묘) : 동정호의 珠玉이라는 아름다운 섬 君山이 있고 瀟湘斑竹(소상반죽)으로 유명한.. 2020. 12. 12. 견형화(見螢火) 산과바다 두보 시(杜甫 詩) HOME 견형화(見螢火) - 두보(杜甫) 반딧불을 보고 巫山秋夜螢火飛(무산추야형화비) : 무산의 가을밤에 반딧불이 날고 簾疎功人坐人夜(렴소공인좌인야) : 성긴 발 틈으로 들어와 내 옷에 앉네. 忽驚屋裏琴書冷(호경옥리금서냉) : 방안의 거문고와 책의 찬 기운에 놀라서 復亂簷前星宿稀(복난첨전성숙희) : 추녀 밑으로 다시나가 빛나니 별이 흐리네. 却繞井欄添箇箇(각료정난첨개개) : 한 떼는 우물가를 에워돌며 수가 늘어나고 偶經花藥弄輝輝(우경화약농휘휘) : 우연히 꽃술 희롱하며 나는 것이 눈이 부시네. 滄江白髮看汝(창강백발간여) : 이 푸른 강에서 백발이 되어 너를 보면서 來歲如今歸未歸(래세여금귀미귀) : 내년 이맘때는 고향에 갈 수 있을지? 없을지? * 巫山(무산) : 사천성 무.. 2020. 12. 12. 억석(憶昔) 산과바다 두보 시(杜甫 詩) HOME 억석(憶昔) - 두보(杜甫) 옛날을 생각함 憶昔開元全盛日(억석개원전성일) : 개원의 전성시대를 회상하니 小邑猶藏萬家室(소읍유장만가실) : 작은 읍에도 만호집이 차있고 稻米流脂粟米白(도미류지속미백) : 입쌀은 기름지고 좁쌀은 실하니 公私倉廩俱豊實(공사창름구풍실) : 나라에나 개인이나 곡식이 가득 찼네. 九州道路無豺虎(구주도로무시호) : 각지의 모든 길에 도적떼도 없었고 遠行不勞吉日出(원행불로길일출) : 먼 길도 아무 때나 떠날 수 있었네 齊紈魯縞車班班(제환노호차반반) : 제의 명주 노의 비단 수레가 떼를 짓고 男耕女桑不相失(남경여상불상실) : 남자 밭 갈고 여자 길쌈일 분수 지키네. 宮中聖人奏雲門(궁중성인주운문) : 궁중의 임금은 운문곡을 연주하고 天下朋友皆膠漆(천.. 2020. 12. 12. 적곡(赤谷) 산과바다 두보 시(杜甫 詩) HOME 적곡(赤谷) - 두보(杜甫) 적곡에서 天寒霜雪繁(천한상설번) : 차가운 날 서리 내려 눈이 쌓이는데 遊子有所之(유자유소지) : 나그네는 오직 가고 또 가야 하나 豈但歲月暮(개단세월모) : 이해도 저물어 세모인데다 重來未存期(중래미존기) : 다시는 기약 못할 길이로구나 晨發赤谷亭(신발적곡정) : 새벽에 적곡정을 출발 하니 險艱方自玆(험간방자자) : 줄 곳 험하고 고생 길 뿐이로다. 亂石無改轍(난석무개철) : 울퉁불퉁 돌길에 수레 돌리지 못해 我車已載脂(아차이재지) : 나의 수레바퀴에 기름을 친다. * 赤谷 : 진주의 서쪽에 있는 마을 * 遊子 : 나그네 * 有所之 : 떠도는 길밖에 없다 * 豈但 : 오직 * 晨發 : 새벽에 떠남 * 方自玆 : 이곳부터 시작됨 * 無.. 2020. 12. 12. 우목(寓目) 산과바다 두보 시(杜甫 詩) HOME 우목(寓目) - 두보(杜甫) 눈에 띠는 것들 一縣葡萄熟(일현포도숙) : 마을 어디에나 포도가 무르익고 秋山苜숙多(추산목숙다) : 가을 산에 거여목이 우거졌네. 關雲尙帶雨(관운상대우) : 관문하늘의 구름은 노상 비를 내리나 塞水不成河((새수부성하) : 변방의 강에는 물이 말라 흐르지 않네. 羌女輕烽燧(강녀경봉수) : 강족의 여인은 봉화를 우습게 알고 胡兒制駱駝(호아제낙타) : 호인소년은 낙타를 익숙히 모네 . 自傷遲暮眼(자상지모안) : 실망 속에 늙어 어두워진 눈이 슬프구나. 喪亂飽經過(상난포경과) : 처참한 전란을 싫도록 겪었으니! * 寓目 : 눈에 띠는 것들 * 一縣 : 군 전체 * 苜(숙) : 거여목 * 關雲(관운) : 변방의 구름 * 塞水(새수) : 변방의 .. 2020. 12. 12. 진주잡시이십수(秦州雜詩二十首) 산과바다 두보 시(杜甫 詩) HOME 진주잡시이십수(秦州雜詩二十首) - 두보(杜甫) 진주 잡시 이십수 其一 滿目悲生事(만목비생사) : 어디를 보나 서글픈 인생의 모습 因人作遠遊(인인작원유) : 남들을 따라 멀리 길을 떠나고자 한다. 遲廻度隴怯(지회도농겁) : 농주의 큰 재를 넘기가 두려워 머뭇대고 浩蕩及關愁(호탕급과수) : 관문에 이르자 걱정 더욱 커진다. 水落魚龍夜(수락어룡야) : 물이 마른 어룡강에 밤이 깃들고 山空鳥鼠秋(산공조서추) : 허전한 조서산 가을이 쓸쓸하다. 西征問烽火(서정문봉화) : 봉화 떴나 물어보며 서쪽 향해 가다가 心折此淹留(심절차엄류) : 전운에 실망한 나는 이곳에 머물련다. * 滿目 : 보이는 모든 것 * 因人 : 남을 따라 * 作遠遊 : 멀리 떠나려 함 * 遲廻 : 망설여져.. 2020. 12. 12. 옥화궁(玉華宮) 산과바다 두보 시(杜甫 詩) HOME 옥화궁(玉華宮) - 두보(杜甫) 옥화궁 溪廻松風長(계회송풍장) : 개울물 굽이쳐 흐르고 솔바람 길게 불어오고 蒼鼠竄古瓦(창서찬고와) : 옛 기와 속으로 털 빠진 놀란 쥐가 숨어든다. 不知何王殿(부지하왕전) : 어느 왕의 궁전인지 알 수 없고 遺構絶壁下(유구절벽하) : 절벽아래에 남아 얽혀있구나. 陰房鬼火靑(음방귀화청) : 어두운 방에는 도깨비불 푸르고 壞道哀湍瀉(괴도애단사) : 무너진 길에는 흘러내는 물소리 애달프구나. 萬籟眞笙竽(만뢰진생우) : 들려오는 소나무 바람소리는 꼭 피리소리 같고 秋色正蕭灑(추색정소쇄) : 가을빛은 쓸쓸하고 물 뿌린 듯 맑도다. 美人爲黃土(미인위황토) : 미인도 죽으면 흙이 되나니 況乃粉黛假(황내분대가) : 하물며 분단장하고 눈썹 그린 .. 2020. 12. 12. 술회(述懷) 산과바다 두보 시(杜甫 詩) HOME 술회(述懷) - 두보(杜甫) 감회를 풀다 去年潼關破(거년동관파) : 지난해 동관이 함락된 이래 妻子隔絶久(처자격절구) : 처자와 떨어진지 오래였거늘 今夏草木長(금하초목장) : 이번 여름 초목 욱어진 틈에 脫身得西足(탈신득서족) : 탈출하여 몰래 서쪽으로 가 麻鞋見天子(마혜견천자) : 짚신을 신은채로 천자를 알현할 때 衣袖見兩肘(의수견양주) : 옷소매 떨어져 팔꿈치 내보이네. 朝廷愍生還(조정민생환) : 조정은 내 생환 연민해 주었고 親故傷老醜(친고상노추) : 옛 벗은 늙은 이 몸 동정해 주었네. 涕淚受拾遺(체루수습유) : 눈물로 좌습유의 벼슬 받으니 流離主恩厚(유리주은후) : 유랑한 나에게는 과중한 은총이라 柴門雖得去(시문수득거) : 당장에 싸리문 내 집 갈수 있으.. 2020. 12. 12. 對雪(대설) 2 산과바다 두보 시(杜甫 詩) HOME 對雪(대설) 2 – 두보(杜甫) 내리는 눈을 보며 北雪犯長沙(북설범장사) : 북녘에 내리는 눈 모래벌판 덮고 胡雲冷萬家(호운냉만가) : 변경의 짙은 구름 햇빛 가려 추운데 隨風且間葉(수풍차간엽) : 바람은 제멋대로 잎 사이로 불고 帶雨不成花(대우불성화) : 비까지 몰고 와 꽃 못 피게 하네. 金錯囊垂罄(금착낭수경) : 금착도 넣어둔 주머니 텅텅 비어서 銀壺酒易賒(은호주역사) : 은으로 만든병 술과 바꾸려했더니 無人竭浮蟻(무인갈부의) : 술파는 이 없고 술마저 바닥이 나 有待至昏鴉(유대지혼아) : 기다리다 해 지고 까마귀 날아드네. * 胡雲(호운) : 서북쪽에서 몰려오는 구름. * 隨風(수풍) : 바람이 부는 대로 내버려 두다. * 金錯(금착) : 착금도(錯金刀). 서.. 2020. 12. 12. 대설(對雪) 1 산과바다 두보 시(杜甫 詩) HOME 대설(對雪) 1 - 두보(杜甫) 눈을 바라보며 戰哭多新鬼(전곡다신귀) : 싸움터의 새귀신들 슬피 통곡하고 愁吟獨老翁(수음독노옹) : 늙은이 홀로 슬픔을 읊으니 亂雲低薄暮(난운저박모) : 흐트러진 저녁 구름 낮게 덮이고 急雪舞廻風(급설무회풍) : 쏟아지는 백설은 바람에 춤을 추네. 瓢棄樽無綠(표기준무록) : 단지에 술이 없어 표주박 버려 졌고 爐存火似紅(노존화사홍) : 화로에 불이 꺼져 차디차구나. 數州消息斷(수주소식단) : 지방의 소식이 모두 끊겼으니 愁坐正書空(수좌정서공) : 근심스럽게 앉아서 허공에 글만 쓰네. * 戰哭 : 싸움터에서 통곡함 * 新鬼 : 새로 전사한 영혼 * 愁吟 : 수심에 싸여 읊조림 * 亂雲 : 흐트러진 구름 * 薄暮 : 황혼 * 廻風(회풍.. 2020. 12. 12. 비진도(悲陳陶) 산과바다 두보 시(杜甫 詩) HOME 비진도(悲陳陶) - 두보(杜甫) 진도의 수난 孟冬十郡良家子(맹동십군양가자) : 초겨울에 뽑아 보낸 양가의 병정들 血作陳陶澤中水(혈작진도택중수) : 진도의 강물을 피로 물 드리니 野曠天淸無戰聲(야광천청무전성) : 들이 텅 비고 하늘이 말쑥하니 싸움 지나고 四萬義軍同日死(사만의군동일사) : 4만의 의병들이 하루사이 전사했네. 群胡歸來雪洗箭(군호귀래설세전) : 반군 무리들 눈 속에서 화살을 씻고 仍唱胡歌飮都市(잉창호가음도시) : 성안으로 들어와 술 마시고 노래하네. 都人廻面向北啼(도인회면향북제) : 마을사람들 얼굴 돌려 북쪽 향해 울먹이고 日夜更望官軍至(일야갱망관군지) : 밤낮으로 관군 다시 오길 기다리노라. * 陳陶 : 안록산의 난을 평정하던 의군을 지휘한 房琯이.. 2020. 12. 12. 음중팔선가(飮中八仙歌) 산과바다 두보 시(杜甫 詩) HOME 음중팔선가(飮中八仙歌) - 두보(杜甫) 여덟 사람의 酒仙歌 知章騎馬似乘船(지장기마사승선) : 하지장(賀知章)은 술에 취해 말을 타면 배를 탄 듯하고 眼花落井水底眠(안화락정수저면) : 몽롱해저 우물에 빠진다 해도 그냥 자리라. 汝陽三斗始朝天(여양삼두시조천) : 여양(李璡)은 서말은 마셔야 비로소 조정에 나아가고 道逢麯車口流涎(도봉국거구류연) : 길에서 누룩 수레만 만나도 군침을 흘리며 恨不移封向酒泉(한부이봉향주천) : 주천으로 봉작 이전 못함을 한스러워 하네. * 八仙 : 賀知章(하지장). 蘇晉(소진). 李璡(이진). 李適之(이적지). 崔宗之(최종지). 張旭(장욱). 焦遂(초수). 李白(이백). * 賀知章 : 이백을 보고 謫仙人이라며 金龜를 팔아 함께 술을 마심 *.. 2020. 12. 12. 이전 1 ··· 15 16 17 18 19 20 21 ··· 2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