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산에는 꽃이 피네

*** 詩 ***/東坡居士 蘇軾 詩686

神女廟(신녀묘) : 소식(蘇軾) 산과바다 蘇軾 詩 HOME 神女廟(신녀묘) : 소식(蘇軾) 신녀묘 大江從西來,上有千仞山。江山自環擁,恢詭富神奸。深淵鼉鱉橫,巨壑蛇龍頑。 旌陽斬長蛟,雷雨移蒼灣。蜀守降老蹇,至今帶連環。縱橫若無主,蕩逸侵人寰。 上帝降瑤姬,來處荊巫間。神仙豈在猛,玉座幽且閑。飄蕭駕風馭,弭節朝天關。 倏忽巡四方,不知道里艱。古妝具法服,邃殿羅煙鬟。百神自奔走,雜沓來趨班。 雲興靈怪聚,雲散鬼神還。茫茫夜潭靜,皎皎秋月彎。還應搖玉佩,來聽水潺潺。 大江從西來(대강종서래) : 장강은 서쪽에서 흘러오고 上有千仞山(상유천인산) : 위에는 천 길짜리 높은 산이 솟아있네. 江山自環擁(강산자환옹) : 강과 산이 스스로 얼싸안고 있는 곳에 恢詭富神姦(회궤부신간) : 괴상하게 생긴 물건이 많기도 하네. 深淵鼉鼈橫(심연타별횡) : 깊숙한 연못에는 악어와 자라가 설쳐대고 巨壑.. 2022. 9. 8.
巫山廟上下數十里 : 소식(蘇軾) 산과바다 蘇軾 詩 HOME 巫山廟上下數十里 有烏鳶無數取食於行舟之上舟人神之故亦不敢害 : 소식(蘇軾) 巫山廟上下數十里, 有烏鳶無數, 取食於行舟之上, 舟人神之故, 亦不敢害(무산묘상하수십리, 유오연무수, 취식어행주지상, 주인신지고, 역불감해) : 소식(蘇軾) 무산묘의 아래위로 수십 리에 걸쳐, 까마귀와 솔개가 수없이 많이 있어, 달리는 배 위에서 음식을 집어 먹는데, 뱃사람들도 신령스럽다고 여기기 때문에, 감히 해치지 못하는 것을 보고 群飛來去噪行人,得食無憂便可馴。 江上饑烏無足怪,野鷹何事亦頻頻。 群飛來去噪行人(군비래거조행인) : 떼 지어 날며 왔다 갔다 행인 향해 울어대나 得食無憂便可馴(득식무우변가순) : 음식만 얻으면 걱정 없으니 길들일 만하구나. 江上飢烏無足怪(강상기오무족괴) : 강 위의 굶주린 까마귀야 이.. 2022. 9. 7.
巫山(무산) : 소식(蘇軾) 산과바다 蘇軾 詩 HOME 巫山(무산) : 소식(蘇軾) 무산 瞿塘迤邐盡,巫峽崢嶸起。連峰稍可怪,石色變蒼翠。 天工運神巧,漸欲作奇偉。坱圠勢方深,結構意未遂。 旁觀不暇瞬,步步造幽䆳。蒼崕忽相逼,絶壁凜可悸。 仰觀八九頂,俊爽凌顥氣。晃蕩天宇髙,奔騰江水沸。 孤超死不讓,直㧞勇無異。攀縁見神宇,憩坐就石位。 巉巉隔江波,一一問廟吏。遙觀神女容,綽約誠有以。 俯首見斜鬟,拖霞弄修帔。人心隨物變,逺覺含深意。 野老笑吾傍,少年嘗屢至。去隨猿猱上,反以繩索試。 石筍倚孤峯,突兀殊不類。世人喜神怪,論説驚幼稚。 楚賦亦虚傳,神女安有是。次問掃壇竹,云此今尚爾。 枝葉紛下垂,婆婆緑鳯尾。風來自偃仰,若爲神物使。 絶頂有三碑,詰曲古篆字。老人那解讀,偶見不能記。 窮探到峰背,採斫黄楊子。黄楊生石上,堅瘦紋如綺。 貪心去不顧,澗谷千尋縋。山髙虎狼絶,深入坦無忌。 洪濛草樹密,䓗蒨雲霞膩。石竇.. 2022. 9. 7.
出峽(출협) : 소식(蘇軾) 산과바다 蘇軾 詩 HOME 出峽(출협) : 소식(蘇軾) 협곡을 나오며 入峽喜巉巖,出峽愛平曠。吾心淡無累,遇境卽安暢。 東西徑千里,勝處頗屢訪。幽尋遠無厭,高絶每先上。 前詩尙遺略,不錄久恐忘。憶從巫廟回,中路寒泉漲。 汲歸眞可愛,翠碧光滿盎。忽驚巫峽尾,仰見天蒼蒼。 石室開南向,宣尼古廟宇。叢木作幃帳,鐵楯橫半空。 俯瞰不計丈。 古人誰架構,下有不測浪。石竇見天困,瓦棺悲古葬。 新灘阻風雪,村落去攜杖。亦到龍馬溪,茅屋沽村釀。 玉虛悔不至,實爲舟人誑。聞道石最奇,寤寐見怪狀。 峽山富奇偉,得一知幾喪。古恨不知名,歷歷但想像。 今朝脫重險,楚水渺平蕩。魚多客庖足,風順行意王。 追思偶成篇,聊助舟人唱。 入峽喜巉巖(입협희참암) : 협곡으로 들어올 땐 가파른 절벽이 좋더니만 出峽愛平曠(출협애평광) : 협곡에서 나오려니 탁 트인 평지가 더 좋네. 吾心淡無累(오심담무.. 2022. 9. 7.
入峽(입협) : 소식(蘇軾) 산과바다 蘇軾 詩 HOME 入峽(입협) : 소식(蘇軾) 삼협(三峽) 협곡으로 들어가며 自昔懷幽賞,今茲得縱探。長江連楚蜀,萬派瀉東南。合水來如電,黔波綠似藍。 餘流細不數,遠勢競相參。入峽初無路,連山忽似龕。縈紆收浩渺,蹙縮作淵潭。 風過如呼吸,雲生似吐含。墜崖鳴窣窣,垂蔓綠毿毿。冷翠多崖竹,孤生有石楠。 飛泉飄亂雪,怪石走驚驂。絕澗知深淺,樵童忽兩三。人煙偶逢郭,沙岸可乘籃。 野戍荒州縣,邦君古子男。放衙鳴晚鼓,留客薦霜柑。聞道黃精草,叢生綠玉篸。 盡應充食飲,不見有彭聃。氣候冬猶暖,星河夜半涵。遺民悲昶衍,舊俗接魚蠶。 版屋漫無瓦,巖居窄似庵。伐薪常冒嶮,得米不盈甔。嘆息生何陋,劬勞不自慚。 葉舟輕遠泝,大浪固嘗諳。矍鑠空相視,嘔啞莫與談。蠻荒安可駐,幽邃信難妉。 獨愛孤棲鶻,高超百尺嵐。橫飛應自得,遠颺似無貪。振翮遊霄漢,無心顧雀鵪。 塵勞世方病,局促我何堪。盡解林泉好.. 2022. 9. 7.
白帝廟(백제묘) : 소식(蘇軾) 산과바다 蘇軾 詩 HOME 白帝廟(백제묘) : 소식(蘇軾) 백제묘 朔風催入峽,慘慘去何之。共指蒼山路,來朝白帝祠。 荒城秋草滿,古樹野藤垂。浩蕩荊江遠,淒涼蜀客悲。 遲回問風俗,涕泗憫興衰。故國依然在,遺民豈復知。 一方稱警蹕,萬乘擁旌旗。遠略初吞漢,雄心豈在夔。 崎嶇來野廟,閔默愧常時。破甑蒸山麥,長歌唱竹枝。 荊邯真壯士,吳柱本經師。失計雖無及,圖王固已奇。 猶余帝王號,皎皎在門楣。 朔風催人峽(삭풍최인협) : 삭풍이 내 배를 협곡으로 몰아넣네 慘慘去何之(참참거하지) : 처량한 이내 신세 어디로 가야 하나? 共指蒼山路(공지창산로) : 모두 함께 푸르른 산길을 가리키면서 來朝白帝祠(내조백제사) : 내일 아침 백조사에 올라 참배한다네. 荒城秋草滿(황성추초만) : 황폐한 성곽에는 가을풀이 가득하고 古樹野藤垂(고수야등수) : 고목엔 야생 등.. 2022. 9. 7.
薄薄酒二首(並敘) 박박주이수(병서) : 소식(蘇軾) 산과바다 蘇軾 詩 HOME 薄薄酒二首(並敘) 박박주이수(병서) : 소식(蘇軾) 묽고도 묽은 술 並敘 膠西先生趙明叔,家貧,好飲,不擇酒而醉。常云:薄薄酒,勝茶湯,醜醜婦,勝空房。其言雖俚,而近乎達,故推而廣之以補東州之樂府;既又以為未也,復自和一篇,聊以發覽者之一噱云耳。 其一 薄薄酒,勝茶湯;粗粗布,勝無裳;醜妻惡妾勝空房。五更待漏靴滿霜,不如三伏日高睡足北窗涼。珠襦玉柙萬人相送歸北邙,不如懸鶉百結獨坐負朝陽。生前富貴,死後文章,百年瞬息萬世忙。夷齊盜跖俱亡羊,不如眼前一醉是非憂樂都兩忘。 其二 薄薄酒,飲兩鐘;粗粗布,著兩重;美惡雖異醉暖同,醜妻惡妾壽乃公。隱居求誌義之從,本不計較東華塵土北窗風。百年雖長要有終,富死未必輸生窮。但恐珠玉留君容,千載不朽遭樊崇。文章自足欺盲聾,誰使一朝富貴面發紅。達人自達酒何功,世間是非憂樂本來空。 並敘 膠西先生趙明叔,家貧,好飲,不擇.. 2022. 9. 7.
自題金山畫像(자제금산화상) : 소식(蘇軾) 산과바다 蘇軾 詩 HOME 自題金山畫像(자제금산화상) : 소식(蘇軾) 금산사에 걸린 내 초상화에 쓴 시 心似已灰之木,身如不系之舟。問汝平生功業,黃州惠州儋州。 心似已灰之木(심사이회지목) : 마음은 이미 재가 된 나무같이 식었고 身如不系之舟(신여불계지주) : 육신은 매이지 않은 배처럼 자유롭네. 問汝平生功業(문여평생공업) : 너의 평생 공적이 무엇이더냐? 黃州惠州儋州(황주혜주담주) : 황주 혜주 그리고 담주 뿐이네. * 황주, 혜주, 담주는 모두 소식이 폄적(貶謫) 되었던 곳이다. * 貶謫(폄적) : 관직을 떨어뜨리고 귀양을 보냄 * 한 줄로 붙인 , 이처럼 간단명료하게 생을 정리하다니. 싸늘한 재가 되기까지 얼마나 뜨거운 파란만장을 겪었나. 황제가 시행하는 시험에 급제해 벼슬길에 나갔던 소식은 왕안석을 비롯.. 2022. 9. 7.
祭歐陽文忠公文(제구양문충공문) : 소식(蘇軾) 산과바다 蘇軾 詩 HOME 祭歐陽文忠公文(제구양문충공문) : 소식(蘇軾) 구양수(歐陽脩) 구양문충공(歐陽文忠公)에게 올린 제문(祭文) 嗚呼哀哉,公之生於世,六十有六年。 民有父母,國有蓍龜,斯文有傳,學者有師,君子有所恃而不恐,小人有所畏而不為。 譬如大川喬嶽,不見其運動,而功利之及於物者,蓋不可以數計而周知。 今公之沒也,赤子無所仰芘,朝廷無所稽疑,斯文化為異端,而學者至於用夷。 君子以為無為為善,而小人沛然自以為得時。 譬如深淵大澤,龍亡而虎逝,則變怪雜出,舞鰍鱔而號狐貍。 아! 슬픕니다. 선생께서 세상에 태어난 지 66년이 되었습니다. 백성들은 부모 같은 관리였으며, 나라에는 시귀(蓍龜)와 같이 의심스러운 일을 해결해주었고, 유학의 도가 전수되었으며, 배우는 자들은 스승이 있었으며, 군자들은 믿는 바가 있어 두려워하지 않았으며, 소인.. 2022. 9. 7.
豬肉頌(食猪肉) 저육송(식저육) : 소식(蘇軾) 산과바다 蘇軾 詩 HOME 豬肉頌(食猪肉) 저육송(식저육) : 소식(蘇軾) 돼지고기의 노래(동파육을 먹으며) 淨洗鐺,少著水,柴頭罨煙焰不起。待他自熟莫催他,火侯足時他自美。 黃州好豬肉,價賤如泥土。貴者不肯吃,貧者不解煮。 早晨起來打兩碗,飽得自家君莫管。​ 淨洗鐺,少著水 : 손을 깨끗이 씻고, 물을 조금 넣으며 柴頭罨煙焰不起 : 땔감에 불은 붙이나 연기가 나지 않는다. 待他自熟莫催他 : 스스로 익기를 기다려 재촉하지 않으니 火侯足時他自美 : 불을 지피고 시간이 흐르면 저절로 익혀진다. 黃州好豬肉 : 항저우의 맛 좋은 돼지고기는 價賤如泥土 : 값은 진흙처럼 싸다. 貴者不肯吃 : 부자는 먹으려 하지 않고 貧者不解煮 : 가난한 이는 요리할 줄 모르네. 早晨起來打兩碗 : 아침 일찍 일어나 두 대접에 가득 채워놓고 飽得自家君.. 2022. 9. 7.
東坡八首(並敘) 동파팔수(병서) : 소식(蘇軾) 산과바다 蘇軾 詩 HOME 東坡八首(並敘) 동파팔수(병서) : 소식(蘇軾) 동파에서 지은 8수 並敘 余至黃州二年,日以困匱,故人馬正卿哀余乏食,為於郡中請故營地數十畝,使得躬耕其中。 地既久荒為茨棘瓦礫之場,而歲又大旱,墾辟之勞,筋力殆盡。 釋耒而嘆,乃作是詩,自湣其勤,庶幾來歲之入以忘其勞焉。 廢壘無人顧,頹垣滿蓬蒿。誰能捐筋力,歲晚不償勞。 獨有孤旅人,天窮無所逃。端來拾瓦礫,歲旱土不膏。 崎嶇草棘中,欲刮一寸毛,喟焉釋耒嘆,我廩何時高。 荒田雖浪莽,高庳各有適。下隰種秔稌,東原蒔棗栗。 江南有蜀士,桑果已許乞。好竹不難栽,但恐鞭橫逸。 仍須卜佳處,規以安我室。家童燒枯草,走報暗井出。 一飽未敢期,瓢飲已可必。 自昔有微泉,來從遠嶺背。穿城過聚落,流惡壯蓬艾。 去為柯氏陂,十畝魚蝦會。歲旱泉亦竭,枯萍黏破塊。 昨夜南山雲,雨到一犁外。泫然尋故瀆,知我理荒薈。 泥芹有宿根.. 2022. 9. 7.
東坡(동파) : 소식(蘇軾) 산과바다 蘇軾 詩 HOME 東坡(동파) : 소식(蘇軾) 동파 雨洗東坡月色清,市人行盡野人行。 莫嫌犖確坡頭路,自愛鏗然曳杖聲。 雨洗東坡月色淸(우세동파월색청) : 비에 씻긴 동파에 달빛 맑은데 市人行盡野人行(시인행진야인행) : 성 사람들 다 돌아가고 시골 사람만 거니네. 莫嫌牢確坡頭路(막혐뇌확파두로) : 동파 길 평탄치 않다 탓하지 마시게나 自愛鏗然曳杖聲(자애갱연예장성) : 텅텅 울리는 지팡이 끄는 소리 절로 듣기 좋다오. * 東坡(동파) : 중국 황주(黃州) 동문(東門) 밖에 있는 언덕으로 소식이 손수 개간한 농지를 말한다. 백거이(白居易)의 충주(忠州) 동파(東坡)의 이름을 본떠서 東坡라 함. 소식은 그것을 그의 호(號)로 삼았다. * 市人(시인) : 일반 사람들. * 野人(야인) : 동파 자신을 말한다. .. 2022. 9. 7.
王復秀才所居雙檜二首(왕복수재소거쌍회이수) : 소식(蘇軾) 산과바다 蘇軾 詩 HOME 王復秀才所居雙檜二首(왕복수재소거쌍회이수) : 소식(蘇軾) 왕복 수재의 거처에 있는 노송나무 두 그루 吳王池館遍重城,奇草幽花不記名。 青蓋一歸無覓處,只留雙檜待升平。 凜然相對敢相欺,直幹淩空未要奇。 根到九泉無曲處,世間惟有蟄龍知。 其一 吳王池館遍重城(오왕지관편중성) : 궁성에 두루 퍼져있는 오왕(吳王)의 연못가 奇草幽花不記名(기초유화불기명) : 기이한 풀과 그윽한 꽃들은 이름을 기억하지 못하네. 青蓋一歸無覓處(청개일귀무멱처) : 파란 덮개의 수레 한번 돌아간 뒤 찾을 데 없고 只留雙檜待升平(지류쌍회대승평) : 노송나무 두 그루만 남아 나라가 태평하길 기다리네. 其二 凜然相對敢相欺(늠연상대감상기) : 늠름하게 서로 마주하고 있으니 뉘 감히 업신여기랴. 直幹凌空未要奇(직간능공미요기) : 곧.. 2022. 9. 6.
諸葛鹽井(제갈염정) : 소식(蘇軾) 산과바다 蘇軾 詩 HOME 諸葛鹽井(제갈염정) : 소식(蘇軾) 제갈염정 (井有十四,自山下至山上,其十三井常空,盛夏水漲,則鹽泉迤邐遷去,常去於江水之所不及。) 五行水本鹹,安擇江與井。如何不相入,此意復誰省。 人心固難足,物理偶相逞。猶嫌取未多,井上無閑綆。 (井有十四,自山下至山上,其十三井常空,盛夏水漲,則鹽泉迤邐遷去,常去於江水之所不及。) 염정이 산 아래부터 위까지 14개 있는데 13개 염정은 항상 볌함이 없고 한여름에는 물이 넘쳐나서 염천에서 가까운 곳은 옮겨가고 평상시는 강물을 공급하지 못한다. 五行水本鹹(오행수본함) : 오행에서 물은 본래 짠 것이라 했거니와 安擇江與井(안택강여정) : 이게 어찌 강과 우물을 구분해 한 말인가? 如何不相入(여하불상입) : 어찌하여 서로가 섞여들지 않는 것인지 此意誰復省(차의수부성) : .. 2022. 9. 6.
八陣磧(팔진적) : 소식(蘇軾) 산과바다 蘇軾 詩 HOME 八陣磧(팔진적) : 소식(蘇軾) 팔진의 자갈밭 平沙何茫茫,仿佛見石蕝。縱橫滿江上,歲歲沙水嚙。孔明死已久,誰復辨行列。 神兵非學到,自古不留訣。至人已心悟,後世徒妄說。自從漢道衰,蜂起盡奸傑。 英雄不相下,禍難久連結。驅民市無煙,戰野江流血。萬人賭一擲,殺盡如沃雪。 不為久遠計,草草常無法。孔明最後起,意欲掃群孽。崎嶇事節制,隱忍久不決。 志大遂成迂,歲月去如瞥。六師紛未整,一旦英氣折。惟餘八陣圖,千古壯夔峽。 平沙何茫茫(평사하망망) : 평평한 모래밭 어찌 이리도 망망한가. 仿佛見石蕝(방불견석절) : 마치 늘어선 돌무더기 보는 것 같네. 縱橫滿江上(종횡만강상) : 종횡으로 강가에 가득히 있는데 歲歲沙水齧(세세사수설) : 해마다 모래와 물이 조금씩 갉아먹네. 孔明死已久(공명사이구) : 제갈공명은 죽은지 이미 오래 됐.. 2022. 9. 6.
過木櫪觀(과목력관) : 소식(蘇軾) 산과바다 蘇軾 詩 HOME 過木櫪觀(과목력관) : 소식(蘇軾) 목력관을 지나며 石壁高千尺,微蹤遠欲無。飛檐如劍寺,古柏似仙都。 許子嘗高遁,行舟悔不迂。斬蛟聞猛烈,提劍想崎嶇。 寂寞棺猶在,修崇世已愚。隱居人不識,化去俗爭籲。 洞府煙霞遠,人間爪發枯。飄飄乘倒景,誰復顧遺軀。 石壁高千尺(석벽고천척) : 바위 절벽 높이가 천자나 되고 微蹤遠欲無(미종원욕무) : 오가는 모습 멀어지며 희미해져 가네. 飛簷如劍寺(비첨여검사) : 날아갈 듯 처마는 검문산의 절집 같고 古柏似仙都(고백사선도) : 오래된 측백나무 선도관을 닮았구나 許子嘗高遯(허자상고둔) : 일찍이 허정양이 은둔했다는 그곳을 行舟悔不迂(행주회불우) : 배 타고 오면서 들르지 않은 게 후회스럽네. 斬蛟聞猛烈(참교문맹렬) : 교룡의 목을 벨 때 사나운 소리 들었을 텐데 提劍.. 2022. 9. 6.
竹枝歌(並敘) 죽지가(병서) : 소식(蘇軾) 산과바다 蘇軾 詩 HOME 竹枝歌(並敘) 죽지가(병서) : 소식(蘇軾) 죽지가와 그 서문 《竹枝歌》本楚聲,幽怨惻怛,若有所深悲者。豈亦往者之所見有足怨者歟? 夫傷二妃而哀屈原,思懷王而憐項羽,此亦楚人之意相傳而然者。 且其山川風俗鄙野勤苦之態,固已見於前人之作與今子由之詩。故特緣楚人疇昔之意,為一篇九章,以補其所未道者。 蒼梧山高湘水深,中原北望度千岑。帝子南遊飄不返,惟有蒼蒼楓桂林。 楓葉蕭蕭桂葉碧,萬里遠來超莫及。乘龍上天去無蹤,草木無情空寄泣。 水濱擊鼓何喧闐,相將扣水求屈原。屈原已死今千載,滿船哀唱似當年。 海濱長鯨徑千尺,食人為糧安可入。招君不歸海水深,海魚豈解哀忠直。 籲嗟忠直死無人,可惜懷王西入秦。秦關已閉無歸日,章華不復見車輪。 君王去時簫鼓咽,父老送君車軸折。千里逃歸迷故鄉,南公哀痛彈長鋏。 三戶亡秦信不虛,一朝兵起盡歡呼。當時項羽年最少,提劍本是耕田夫。.. 2022. 9. 6.
望夫臺(在忠州南數十里) 망부대(재충주남수십리) : 소식(蘇軾) 산과바다 蘇軾 詩 HOME 望夫臺(在忠州南數十里) 망부대(재충주남수십리) : 소식(蘇軾) 망부대(충주 남쪽 수십 리에 있다) 山頭孤石遠亭亭,江轉船回石似屏。可憐千古長如昨,船去船來自不停。 浩浩長江赴滄海,紛紛過客似浮萍。誰能坐待山月出,照見寒影高伶俜。 山頭孤石遠亭亭(산두고석원정정) : 저 멀리 산꼭대기엔 우뚝 선 외로운 바위 江轉船回石似屛(강전선회석사병) : 강 구비쳐 배 도는 곳엔 병풍처럼 둘러선 바위 可憐千古長如昨(가련천고장여작) : 가련케도 천고를 하루같이 서있는데 船去船來自不停(선거선래자불정) : 여객선은 오락가락 여전히 멈추지 않네. 浩浩長江赴滄海(호호장강부창해) : 장강은 아득하게 창해로 달려가고 紛紛過客似浮萍(분분과객사부평) : 과객은 분분하게 부평처럼 흘러가네 誰能坐待山月出(수능좌대산월출) : 그 .. 2022. 9.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