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산에는 꽃이 피네

*** 詩 ***/東坡居士 蘇軾 詩686

十月一日將至渦口五里所遇風留宿(십월일일장지와구오리소우풍유숙) : 소식(蘇軾) 산과바다 蘇軾 詩 HOME 十月一日將至渦口五里所遇風留宿(십월일일장지와구오리소우풍유숙) : 소식(蘇軾) 10월 1일 와구를 5리쯤 앞두고 바람을 만나 하룻밤 묵으며 長淮久無風,放意弄清快。今朝雪浪滿,始覺平野隘。 兩山控吾前,吞吐久不嘬。孤舟繫桑本,終夜舞澎湃。 舟人更傳呼,弱纜恃菅蒯。平生傲憂患,久已恬百怪。 鬼神欺吾窮,戲我聊一噫。瓶中尚有酒,信命誰能戒。 長淮久無風(장회구무풍) : 기다란 회하가 오랫동안 바람 없어 잔잔하고 放意弄淸快(방의농청쾌) : 청량하고 상쾌함을 마음껏 뽐내네. 今朝雪浪滿(금조설랑만) : 오늘 아침 흰 파도가 강을 가득 채우고 始覺平野隘(시각평야애) : 비로소 평야가 좁다는 걸 깨달았네. 兩山控吾前(양산공오전) : 두 산이 내 앞으로 당겨졌는데 呑吐久不嘬(탄토구불최) : 삼켰다 뱉었다 하며 오랫동안.. 2022. 9. 14.
潁州初別子由二首(영주초별자유이수) : 소식(蘇軾) 산과바다 蘇軾 詩 HOME 潁州初別子由二首(영주초별자유이수) : 소식(蘇軾) 영주에서 처음으로 자유와 이별하고 征帆掛西風,別淚滴清潁。留連知無益,惜此須臾景。 我生三度別,此別尤酸冷。念子似先君,木訥剛且靜。 寡詞真吉人,介石乃機警。至今天下士,去莫如子猛。 嗟我久病狂,意行無坎井。有如醉且墜,幸未傷輒醒。 從今得閑暇,默坐消日永。作詩解子憂,持用日三省。 近別不改容,遠別涕沾胸。咫尺不相見,實與千里同。 人生無離別,誰知恩愛重。始我來宛丘,牽衣舞兒童。 便知有此恨,留我過秋風。秋風亦已過,別恨終無窮。 問我何年歸,我言歲在東。離合既循環,憂喜叠相攻。 悟此長太息,我生如飛蓬。多憂發早白,不見六一翁。 其一 征帆掛西風(정범괘서풍) : 먼 길을 떠난 내 배가 서풍에 돛을 거니 別淚滴淸潁(별루적청영) : 이별의 눈물이 맑은 영수에 떨어지네. 留連知無益(유련지.. 2022. 9. 14.
陪歐陽公燕西湖(배구양공연서호) : 소식(蘇軾) 산과바다 蘇軾 詩 HOME 陪歐陽公燕西湖(배구양공연서호) : 소식(蘇軾) 구양수 공을 모시고 서호에서 연회를 벌이며 謂公方壯鬚似雪,謂公已老光浮頰。朅來湖上飲美酒,醉後劇談猶激烈。 湖邊草木新著霜,芙蓉晚菊爭煌煌。插花起舞為公壽,公言百歲如風狂。 赤松共遊也不惡,誰能忍饑啖仙藥。已將壽夭付天公,彼徒辛苦吾差樂。 城上烏棲暮靄生,銀釭畫燭照湖明。不辭歌詩勸公飲,坐無桓伊能撫箏。 謂公方壯鬚似雪(위공방장수사설) : 공이 한창 건장하다 하자니 수염이 눈과 같고 謂公已老光浮煩(위공이노광부번) : 공이 이미 늙었다고 하자니 두 뺨에 윤기가 도네. 屬來湖上飮美酒(속래호상음미주) : 호수 위를 오가며 좋은 술을 마시는데 醉後劇談猶激烈(취후극담유격렬) : 취한 뒤에도 환담이 여전히 격렬하네. 湖邊草木新著霜(호변초목신저상) : 호숫가의 초목은 새로.. 2022. 9. 14.
和柳子玉過陳絕糧二首(화유자옥과진절량이수) : 소식(蘇軾) 산과바다 蘇軾 詩 HOME 和柳子玉過陳絕糧二首(화유자옥과진절량이수) : 소식(蘇軾) 진주를 지날 때 양식이 떨어졌음을 노래한 유자옥의 시에 차운하여 風雨蕭蕭夜晦迷,不須鳴叫強知時。多才久被天公怪,闕食惟應爨婦知。 杜叟挽衣那及脛,顏翁食粥敢言炊。詩人情味真嘗遍,試問於君底事虧。 如我自觀猶可厭,非君誰復肯相尋。圖書跌宕悲年老,燈火青熒語夜深。 早歲便懷齊物意,微官敢有濟時心。南行千里成何事,一聽秋濤萬鼓音。 其一 風雨蕭蕭夜晦迷(풍우소소야회미) : 비바람이 우수수 칠흑 같은 밤이지만 不須鳴叫强知時(불수명규강지시) : 울어대어 억지로 때 알릴 건 없었겠지 多才久被天公怪(다재구피천공괴) : 재주가 많아 하느님께 책망받은 지 오래지만 闕食惟應爨婦知(궐식유응찬부지) : 양식이 없으면 찬모의 지혜에 순응할 따름 杜叟挽衣那及脛(두수만의나급경).. 2022. 9. 14.
胡完夫母周夫人挽詞(호완부모주부인만사) : 소식(蘇軾) 산과바다 蘇軾 詩 HOME 胡完夫母周夫人挽詞(호완부모주부인만사) : 소식(蘇軾) 호완부의 어머니 주부인을 애도한 만사 柏舟高節冠鄉鄰,絳帳清風聳縉紳。豈似凡人但慈母,能令孝子作忠臣。 當年織屨隨方進,晚節稱觴見伯仁。回首悲涼便陳跡,凱風吹盡棘成薪。 柏舟高節冠鄕鄰(백주고절관향린) :백주에 말한 높은 절개는 고을에서 으뜸이고 絳帳淸風聳搢紳(강장청풍용진신) : 붉은 장막 뒤의 청아한 풍모는 고관들 위로 우뚝했네. 豈似凡人但慈母(개사범인단자모) : 어찌 어질기만 한 보통 사람의 모친과 같으리 能令孝子作忠臣(능령효자작충신) : 효자를 두어 충신도 되게 했다네. 當年織屨隨方進(당년직구수방진) : 옛날에는 아들을 따라가 신발을 짜 주었고 晩節稱觴見伯仁(만절칭상견백인) : 만년에는 아들을 만나 술잔을 들었다네. 回首悲凉便陳迹(회수.. 2022. 9. 14.
陸龍圖詵挽詞(육용도선만사) : 소식(蘇軾) 산과바다 蘇軾 詩 HOME 陸龍圖詵挽詞(육용도선만사) : 소식(蘇軾) 용도각직학사 육선을 애도하는 만사 挺然直節庇峨岷,謀道從來不計身。屬纊家無十金產,過車巷哭六州民。 塵埃輦寺三年別,樽俎岐陽一夢新。他日思賢見遺像,不論宿草更沾巾。 挺然直節庇峨岷(정연직절비아민) : 우뚝하고 곧은 절개는 아미산과 민산을 뒤덮었고 謀道從來不計身(모도종래불계신) : 도의를 추구하느라 몸을 돌본 적이 없었네. 屬纊家無十金産(속광가무십금산) : 임종할 무렵 집안에 재산은 열 냥도 없었지만 過車巷哭六州民(과거항곡육주민) : 여섯 고을 사람들이 슬픔에 겨워 통곡했네. 塵埃輦寺三年別(진애련사삼년별) : 먼지가 낀 도성 관아에서 헤어진 지 삼 년 만에 樽俎岐陽一夢新(준조기양일몽신) : 기양에서 한잔하던 일 한바탕 꿈인냥 눈에 선하네. 他日思賢見遺.. 2022. 9. 14.
送張安道赴南都留臺(송장안도부남도유대) : 소식(蘇軾) 산과바다 蘇軾 詩 HOME 送張安道赴南都留臺(송장안도부남도유대) : 소식(蘇軾) 남경의 어사대로 가는 장안도를 전송하며 我公古仙伯,超然羨門姿。偶懷濟物誌,遂為世所縻。 黃龍遊帝郊,簫韶鳳來儀。終然反溟極,豈復安籠池。 出入四十年,憂患未嘗辭。一言有歸意,闔府諫莫移。 吾君信英睿,搜士及茅茨。無人長者側,何以安子思。 歸來掃一室,虛白以自怡。遊於物之初,世俗安得知。 我亦世味薄,因循鬢生絲。出處良細事,從公當有時。 我公古仙伯(아공고선백) : 우리 장공은 옛날의 신선인지라 超然羨門姿(초연선문자) : 초연한 그 모습이 선문의 자태이네. 偶懷濟物志(우회제물지) : 어쩌다가 이 세상을 구제할 꿈을 품었다가 遂爲世所縻(수위세소미) : 마침내 세상에 발을 묶이고 말았네. 黃龍遊帝郊(황룡유제교) : 도성의 부근에서 황룡이 되어 노닐고 簫詔鳳來儀(.. 2022. 9. 14.
次韻張安道讀杜詩(차운장안도독두시) : 소식(蘇軾) 산과바다 蘇軾 詩 HOME 次韻張安道讀杜詩(차운장안도독두시) : 소식(蘇軾) 장안도의 "두보시를 읽고"에 차운하여 大雅初微缺,流風困暴豪。張為詞客賦,變作楚臣騷。 展轉更崩壞,紛綸閱俊髦。地偏蕃怪產,源失亂狂濤。 粉黛迷真色,魚蝦易豢牢。誰知杜陵傑,名與謫仙高。 掃地收千軌,爭標看兩艘。詩人例窮苦,天意遣奔逃。 塵暗人亡鹿,溟翻帝斬鰲。艱危思李牧,述作謝王褒。 失意各千里,哀鳴聞九臯。騎鯨遁滄海,捋虎得綈袍。 巨筆屠龍手,微官似馬曹。迂疏無事業,醉飽死遊遨。 簡牘儀刑在,兒童篆刻勞。今誰主文字,公合把旌旄。 開卷遙相憶,知音兩不遭。般斤思郢質,鯤化陋儵濠。 恨我無佳句,時蒙致白醪。殷勤理黃菊,未遣沒蓬蒿。 大雅初微缺(대아초미결) : 대아가 쇠미하여 사라지기 시작하고 流風困暴豪(유풍곤폭호) : 전해오는 국풍은 불한당에 시달리더니 張爲詞客賦(장위사객부) : .. 2022. 9. 14.
次韻子由柳湖感物(차운자유유호감물) : 소식(蘇軾) 산과바다 蘇軾 詩 HOME 次韻子由柳湖感物(차운자유유호감물) : 소식(蘇軾) 유호에서 경치를 구경한 감회를 노래한 자유의 시에 차운하여 憶昔子美在東屯,數間茅屋蒼山根。嘲吟草木調蠻獠,欲與猿鳥爭啾喧。 子今憔悴眾所棄,驅馬獨出無往還。惟有柳湖萬株柳,清陰與子供朝昏。 胡為譏評不少借,生意淩挫難為繁。柳雖無言不解慍,世俗乍見應憮然。 嬌姿共愛春濯濯,豈問空腹修蛇蟠。朝看濃翠傲炎赫,夜愛疏影搖清圓。 風翻雪陣春絮亂,蠹響啄木秋聲堅。四時盛衰各有態,搖落淒愴驚寒溫。 南山孤松積雪底,抱凍不死誰復賢。 憶昔子美在東屯(억석자미재동둔) : 그 옛날 두보가 동둔에 있을 때 數間茅屋蒼山根(수간모옥창산근) : 몇 칸의 초가집을 푸른 산 아래 지어 놓고 嘲吟草木調蠻獠(조음초목조만료) : 만료 사람과 어울려 초목을 읊조리며 欲與猿鳥爭啾喧(욕여원조쟁추훤) : 새나.. 2022. 9. 14.
傅堯俞濟源草堂(부요유제원초당) : 소식(蘇軾) 산과바다 蘇軾 詩 HOME 傅堯俞濟源草堂(부요유제원초당) : 소식(蘇軾) 부요유의 제원에 있는 초당 微官共有田園興,老罷方尋隱退廬。栽種成陰十年事,倉黃求買萬金無。 先生卜築臨清濟,喬木如今似畫圖。鄰裏亦知偏愛竹,春來相與護龍雛。 微官共有田園興(미관공유전원흥) : 미관말직도 누구나 전원의 흥취를 갖고 있지 老罷方尋隱退廬(노파방심은퇴려) : 늙어서 퇴직해야 은거할 오두막을 찾는다네. 栽種成陰十年事(재종성음십년사) : 나무 심고 씨 뿌려서 그늘 되려면 십 년 걸리니 倉黃求買百金無(창황구매백금무) : 다급하게 사려다가 천금이 있어도 집이 없다네. 先生卜築臨淸濟(선생복축림청제) : 선생은 재수 가에 집을 한 채 지어서 喬木如今似畵圖(교목여금사화도) : 교목이 이제 한창 그림 같다네. 隣里亦知偏愛竹(인리역지편애죽) : 대나무.. 2022. 9. 14.
出都來陳所乘船上有題小詩八首(출도래진소승선상유제소시팔수) : 소식(蘇軾) 산과바다 蘇軾 詩 HOME 出都來陳所乘船上有題小詩八首 不知何人作有感余心者聊為和之(출도래진소승선상유제소시팔수 부지하인작유감여심자료위화지) : 소식(蘇軾) 수도를 나와 진주(陳州)로 올 때 타고 있던 배에 짧은 시 여덟 수를 써 놓은 것이 있었는데, 누군지 모르지만 내 마음에 느낌을 주는 바가 있어서 그런대로 화답하다. 蛙鳴青草泊,蟬噪垂楊浦。吾行亦偶然,及此新過雨。 鳥樂忘罝罦,魚樂忘鉤餌。何必擇所安,滔滔天下是。 煙火動村落,晨光尚熹微。田園處處好,淵明胡不歸。 我行無疾徐,輕楫信溶漾。船留村市鬧,閘發寒波漲。 舟人苦炎熱,宿此喬木灣。清月未及上,黑雲如頹山。 萬竅號地籟,沖風散天池。喧豗瞬息間,還掛斗與箕。 潁水非漢水,亦作蒲萄綠。恨無襄陽兒,令唱銅鞮曲。 我詩雖云拙,心平聲韻和。年來煩惱盡,古井無由波。 其一 蛙鳴靑草泊(와명청초박) : 푸른.. 2022. 9. 14.
送劉道原歸覲南康(송유도원귀근남강) : 소식(蘇軾) 산과바다 蘇軾 詩 HOME 送劉道原歸覲南康(송유도원귀근남강) : 소식(蘇軾) 부모님을 봉양하러 남강으로 돌아가는 유도원을 전송하며 晏嬰不滿六尺長,高節萬仞陵首陽。青衫白髮不自嘆,富貴在天那得忙。 十年閉戶樂幽獨,百金購書收散亡。朅來東觀弄丹墨,聊借舊史誅奸強。 孔融不肯下曹操,汲黯本自輕張湯。雖無尺箠與寸刃,口吻排擊含風霜。 自言靜中閱世俗,有似不飲觀酒狂。衣巾狼藉又屢舞,旁人大笑供千場。 交朋翩翩去略盡,惟我與子猶仿徨。世人共棄君獨厚,豈敢自愛恐子傷。 朝來告別驚何速,歸意已逐征鴻翔。匡廬先生古君子,掛冠兩紀鬢未蒼。 定將文度置膝上,喜動鄰里烹豬羊。君歸為我道姓字,幅巾他日容登堂。 晏嬰不滿六尺長(안영불만육척장) : 안영의 키 여섯 자도 되지 않지만 高節萬仞陵首陽(고절만인능수양) : 만 길처럼 높은 절개 수양산을 넘어서니 靑衫白髮不自歎(청삼백발부자탄.. 2022. 9. 14.
和子由初到陳州見寄二首次韻(화자유초도진주견기이수차운) : 소식(蘇軾) 산과바다 蘇軾 詩 HOME 和子由初到陳州見寄二首次韻(화자유초도진주견기이수차운) : 소식(蘇軾) 진주에 막 도착한 감회를 노래한 자유의 시에 차운하여 道喪雖雲久,吾猶及老成。如今各衰晚,那更治刑名。 懶惰便樗散,疏狂托聖明。阿奴須碌碌,門戶要全生。 舊隱三年別,杉松好在不。我今尚眷眷,此意恐悠悠。 閉戶時尋夢,無人可說愁。還來送別處,雙淚寄南州。 其一 道喪雖云久(도상수운구) : 도의가 없어진 지 비록 오래라지만 吾猶及老成(오유급노성) : 우리는 그래도 훌륭한 분을 만났구나 如今各衰晩(여금각쇠만) : 지금은 너와 내가 각자 노쇠했으니 那更治刑名(나갱치형명) : 어떻게 더 이상 형명을 다스리겠나? 懶惰便樗散(나타편저산) : 게으르고 나태하여 무용지물이 되어서 疎狂託聖明(소광탁성명) : 거친 몸을 임금님의 밝은 덕에 맡겼구나 阿奴.. 2022. 9. 14.
宋叔達家聽琵琶(송숙달가청비파) : 소식(蘇軾) 산과바다 蘇軾 詩 HOME 宋叔達家聽琵琶(송숙달가청비파) : 소식(蘇軾) 송숙달의 집에서 비파 소리를 듣고 數弦已品龍香撥,半面猶遮鳳尾槽。新曲翻從玉連鎖,舊聲終愛郁輪袍。 夢回只記歸舟字,賦罷雙垂紫錦絳。何異烏孫送公主,碧天無際雁行高。 數絃已品龍香撥() : 몇 가닥의 현이 이미 용향목 채에 뜯겼건만 半面猶遮鳳尾槽() : 얼굴 반쪽이 아직도 비파 머리에 가리어 있네. 新曲從翻玉連鎖() : 종래에 새 곡조인 옥련쇄를 연주하더니 舊聲從愛鬱輪袍() : 마침내 옛 곡조인 울륜포를 좋아하네. 夢回只記歸舟字() : 꿈에서 돌아오니 귀주(歸舟)라는 두 글자만 기억나고 賦罷雙垂紫錦條() : 다 읊고 나더니 자줏빛 비단 끈을 두 줄로 드리우네. 何異烏孫送公主() : 오손국으로 공주를 보낼 때 끝없는 푸른 하늘에 碧天無際雁行高() :.. 2022. 9. 14.
送蔡冠卿知饒州(송채관경지요주) : 소식(蘇軾) 산과바다 蘇軾 詩 HOME 送蔡冠卿知饒州(송채관경지요주) : 소식(蘇軾) 요주 지주로 나가는 채관경을 전송하며 吾觀蔡子與人遊,掀豗笑語無不可。平時倜儻不驚俗,臨事迂闊乃過我。 橫前坑阱眾所畏,布路金珠誰不裹。爾來變化驚何速,昔號剛強今亦頗。 鄰君獨守廷尉法,晚歲卻理鄱陽柁。莫嗟天驥逐羸牛,欲試良玉須猛火。 世事徐觀真夢寐,人生不信長轗軻。知君決獄有陰功,他日老人酬魏顆。 吾觀蔡子餘人遊(오관채자여인유) : 채자가 사람들과 노는 모습을 보았나니 掀豗笑語無不可(흔회소어무불가) : 떠들썩하게 담소하여 못 하는 소리가 없었네. 平生儻蕩不驚俗(평생당탕불경속) : 평소에는 활달하되 놀라운 언행을 하지 않고 臨事迂闊乃過我(임사우활내과아) : 일할 때는 나보다 더 융통성이 없었네. 橫前坑穽衆所畏(횡전갱정중소외) : 자기 앞에 놓인 함정은 누구나 .. 2022. 9. 13.
次韻王誨夜坐(차운왕회야좌) : 소식(蘇軾) 산과바다 蘇軾 詩 HOME 次韻王誨夜坐(차운왕회야좌) : 소식(蘇軾) 밤에 앉아 감회를 노래한 왕회의 시에 차운하여 愛君東閣能延客,顧我閑官不計員。策杖頻過如未厭,卜居相近豈辭遷。 莫將詩句驚搖落,漸喜樽罍省撲緣。待約月明池上宿,夜深同看水中天。 愛君東閣能延客(애군동각능연객) : 그대가 동각에서 손님 맞는 것 좋아했건만 顧我閑官不計員(고아한관불계원) : 다만 나는 한가한 관리라 대열에는 끼지 못했네 策杖頻過知未厭(책장빈과지미염) : 지팡이 짚고 열 번 가 보고 싫증 나지 않음을 알겠거니 卜居相近豈辭遷(복거상근개사천) : 사는 곳도 가까운데 어찌 옮기기를 사양하리오 莫將詩句驚搖落(막장시구경요락) : 시구를 가지고 쇠락한다고 놀라실 것 없나니 漸喜樽罍省撲緣(점희준뢰성박연) : 이제 차츰 술 단지에 풀벌레 붙는 것 줄어듦.. 2022. 9. 13.
送文與可出守陵州(송문여가출수능주) : 소식(蘇軾) 산과바다 蘇軾 詩 HOME 送文與可出守陵州(송문여가출수능주) : 소식(蘇軾) 능주태수로 나가는 문여가를 전송하며 壁上墨君不解語,見之尚可消百憂。而況我友似君者,素節凜凜欺霜秋。 清詩健筆何足數,逍遙齊物追莊周。奪官遣去不自沈,曉梳脫發誰能收。 江邊亂山赤如赭,陵陽正在千山頭。君知遠別懷抱惡,時遣墨君消我愁。 壁上墨君不解語(벽상묵군불해어) : 벽에 걸린 묵군이 말을 할 줄 모르지만 見之尙可消百憂(견지상가소백우) : 그를 보면 그래도 온갖 근심을 잊을 수 있네. 而況我友似君者(이황아우사군자) : 하물며 나의 벗 묵군은 군자 같아서 素節凜凜欺霜秋(소절늠름기상추) : 곧은 절개가 늠름하여 서리 내린 가을을 압도하네. 淸詩健筆何足數(청시건필하족수) : 청려한 시와 힘 있는 서화는 헤아리기 힘들고 逍遙齊物追莊周(소요제물추장주) : 느.. 2022. 9. 13.
送呂希道知和州(송여희도지화주) : 소식(蘇軾) 산과바다 蘇軾 詩 HOME 送呂希道知和州(송여희도지화주) : 소식(蘇軾) 화주지주로 나가는 여희도를 전송하며 去年送君守解梁,今年送君守歷陽。年年送人作太守,坐受塵土堆胸腸。 君家聯翩三將相,富貴未已今方將。鳳雛驥子生有種,毛骨往往傳諸郎。 觀君崛郁負奇表,便合劍佩趨明光。胡為小郡屢奔走,征馬未解風帆張。 我生本自便江海,忍恥未去猶仿徨。無言贈君有長嘆,美哉河水空洋洋。 去年送君守解梁(거년송군수해량) : 작년에는 그대를 해량태수로 보내더니 今年送君守歷陽(금년송군수력양) : 금년에는 그대를 역양태수로 보내네 年年送人作太守(년년송인작태수) : 해마다 태수로 사람을 보내느라 힘이 들고 坐受塵土堆胸腸(좌수진토퇴흉장) : 괜히 먼지를 뒤집어써 가슴 창자에 쌓였네 君家聯翻三將相(군가련번삼장상) : 그대 집안엔 잇달아 세 장상이 나왔으니 富貴未.. 2022. 9.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