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詩 ***/東坡居士 蘇軾 詩686 遊靈隱寺得來詩復用前韻(유영은사득래시복용전운) : 소식(蘇軾) 산과바다 蘇軾 詩 HOME 遊靈隱寺得來詩復用前韻(유영은사득래시복용전운) : 소식(蘇軾) 영은사를 유람하고 나서 보내온 시를 받고 다시 옛날 운을 사용하여 짓는다 君不見,錢塘湖,錢王壯觀今已無。屋堆黃金斗量珠,運盡不勞折簡呼。 四方宦遊散其孥,宮闕留與閑人娛。盛衰哀樂兩須臾,何用多憂心郁紆。 溪山處處皆可廬,最愛靈隱飛來孤。喬松百丈蒼髯鬚,擾擾下笑柳與蒲。 高堂會食羅千夫,撞鐘擊鼓喧朝晡。凝香方丈眠氍毹,絕勝絮被縫海圖。 清風時來驚睡餘,遂超羲皇傲幾蘧。歸時棲鴉正畢逋,孤煙落日不可摹。 君不見, 錢塘湖,(군불견, 전당호) :그대는 보지 못했는가! 전당의 호수를? 錢王壯觀今已無(전왕장관금이무) : 전씨 왕실의 웅장한 모습 지금은 이미 없어졌네. 屋堆黃金斗量珠(옥퇴황금두량주) : 집에는 황금이 쌓여 있고 주옥이 하도 많아 말(斗) 가지고 헤아.. 2022. 9. 15. 再和(재화) : 소식(蘇軾) 산과바다 蘇軾 詩 HOME 再和(재화) : 소식(蘇軾) 다시 화답하여 東望海,西望湖,山平水遠細欲無。野人疏狂逐漁釣,刺史寬大容歌呼。 君恩飽暖及爾孥,才者不閑拙者娛。穿巖度嶺腳力健,未厭山水相縈紆。 三百六十古精廬,出遊無伴籃輿孤。作詩雖未造藩閾,破悶豈不賢樗蒲。 君才敏贍兼百夫,朝作千篇日未晡。朅來湖上得佳句,從此不看營丘圖。 知君篋櫝富有余,莫惜錦繡償菅蘧。窮多鬥險誰先逋,賭取名畫不用摹。 東望海, 西望湖.(동망해, 서망호.) : 동쪽으로 바다를 바라보고, 서쪽으로 호수를 바라보니 山平水遠細欲無(산평수원세욕무) : 평평한 산 아득한 강 가늘어져서 보일락 말락 野人疎狂逐漁釣(야인소광축어조) : 야인은 거리낄 게 없어서 고기잡이 나가는데 刺史寬大容歌呼(자사관대용가호) : 자사가 관대하여 고성방가를 허용하네. 君恩飽暖及爾孥(군은포난급이노.. 2022. 9. 15. 李杞寺丞見和前篇復用元韻答之(이기시승견화전편복용원운답지) : 소식(蘇軾) 산과바다 蘇軾 詩 HOME 李杞寺丞見和前篇復用元韻答之(이기시승견화전편복용원운답지) : 소식(蘇軾) 이기 시승이 나의 앞시에 회답해와 다시 원래의 운자를 써서 회답한다. 獸在藪,魚在湖,一入池檻歸期無。誤隨弓旌落塵土,坐使鞭箠環呻呼。 追胥連保罪及孥,百日愁嘆一日娛。白雲舊有終老約,朱綬豈合山人紆。 人生何者非蘧廬,故山鶴怨秋猿孤。何時自駕鹿車去,掃除白髮煩菖蒲。 麻鞋短後隨獵夫,射弋狐兔供朝晡。陶潛自作五柳傳,潘閬畫入三峰圖。 吾年凜凜今幾餘,知非不去慚衛蘧。歲荒無術歸亡逋,鵠則易畫虎難摹。 獸在藪, 魚在湖(수재수, 어재호) : 짐승은 수풀에 살고 물고기는 호수에 사는데 一入池檻歸期無(일입지함귀기무) : 연못과 우리로 한번 들면 돌아갈 기약 없다네. 誤隨弓旌落塵土(오수궁정낙진토) : 실수로 사냥터에 따라가 먼지 속에 빠져서 坐使鞭箠環呻呼.. 2022. 9. 15. 臘日遊孤山訪惠勤惠思二僧(납일유고산방혜근혜사이승) : 소식(蘇軾) 산과바다 蘇軾 詩 HOME 臘日遊孤山訪惠勤惠思二僧(납일유고산방혜근혜사이승) : 소식(蘇軾) 납일에 고산으로 가서 노닐다가 혜근, 혜사 두 스님을 방문하고서 天欲雪,雲滿湖,樓臺明滅山有無。水清石出魚可數,林深無人鳥相呼。 臘日不歸對妻孥,名尋道人實自娛。道人之居在何許,寶雲山前路盤紆。 孤山孤絕誰肯廬,道人有道山不孤。紙窗竹屋深自暖,擁褐坐睡依團蒲。 天寒路遠愁仆夫,整駕催歸及未晡。出山回望雲木合,但見野鶻盤浮圖。 慈遊淡泊歡有余,到家恍如夢蘧蘧。作詩火急追亡逋,清景一失後難摹。 天欲雪, 雲滿湖(천욕설, 운만호) : 눈이라도 내릴 듯, 호수에 구름이 가득하여 樓臺明滅山有無(누대명멸산유무) : 누대는 가물가물 청산은 보이다 말다. 水淸石出魚可數(수청석출어가수) : 물이 맑아 돌이 보이고 고기도 셀 만하고 林深無人鳥相呼(임심무인조상호) : .. 2022. 9. 15. 次韻柳子玉(차운유자옥) : 소식(蘇軾) 산과바다 蘇軾 詩 HOME 次韻柳子玉(차운유자옥) : 소식(蘇軾) 유자옥을 차운하여 紙帳 亂文龜殼殳細相連,慣臥青綾恐未便。潔似僧巾白氎布,暖於蠻帳紫茸氈。 錦衾速卷持還客,破屋那愁仰見天。但恐嬌兒還惡睡,夜深踏裂不成眠。 地爐 細聲蚯蚓發銀瓶,擁褐橫眠天未明。衰鬢鑷殘欹雪領,壯心降盡倒風旌。 自稱丹竈錙銖火,倦聽山城長短更。聞道床頭惟竹几,夫人應不解卿卿。 紙帳(지장) : 종이 장막 亂文龜殼細相連(난문구각세상련) : 다닥다닥 이어 붙인 어지러운 거북이 껍질 慣臥靑綾恐未便(관와청릉공미편) : 비단이불에 익숙한 이엔 편안하지 않겠지 潔似僧巾白氎布(결사승건백첩포) : 스님 두건의 백첩포처럼 깨끗한 그 장막이 暖於蠻帳紫茸氈(난어만장자용전) : 그대에겐 오랑캐 장막의 자용전(紫茸氈)보다 따뜻하지 錦衾速卷持還客(금금속권지환객) : 비단이불을.. 2022. 9. 15. 初到杭州寄子由二絶(초도항주기자유이절) : 소식(蘇軾) 산과바다 蘇軾 詩 HOME 初到杭州寄子由二絶(초도항주기자유이절) : 소식(蘇軾) 항주에 도착한 뒤 처음으로 자유에게 보내는 절구 眼看時事力難勝,貪戀君恩退未能。遲鈍終須投劾去,使君何日換聾丞。 聖明寬大許全身,衰病摧頹自畏人。莫上岡頭苦相望,吾方祭竈請比鄰。 其一 眼看時事力難任(안간시사역난임) : 눈에 보이는 세상일 감당하기가 어려운데 貪戀君恩退未能(탐연군은퇴미능) : 임금 은혜 생각하다 물러나지 못하였네 遲鈍終須投劾去(지둔종수투핵거) : 아둔한 몸 끝내는 사직을 청해야 할 것인데 使君何日換聾丞(사군하일환농승) : 태수는 언제쯤 귀 어두운 사람을 바꾸려나 其二 聖明寬大許全身(성명관대허전신) : 밝으신 성상께서 나를 지켜 주셨는데 衰病摧頹自畏人(쇠병최퇴자외인) : 늙고 병들어 허물어지니 사람 보기 무섭구나 莫上岡頭苦相.. 2022. 9. 15. 甘露寺(감로사) : 소식(蘇軾) 산과바다 蘇軾 詩 HOME 甘露寺(감로사) : 소식(蘇軾) 감로사 江山豈不好,獨遊情易闌。但有相攜人,何必素所歡。 我欲訪甘露,當途無閑官。二子舊不識,欣然肯聯鞍。 古郡山為城,層梯轉朱欄。樓臺斷崖上,地窄天水寬。 一覽吞數州,山長江漫漫。卻望大明寺,惟見煙中竿。 很石臥庭下,穹窿如伏羱。緬懷臥龍公,挾策事琱鉆。 一談收猘子,再說走老瞞。名高有余想,事往無留觀。 蕭翁古鐵鑊,相對空團團。陂陀受百斛,積雨生微瀾。 泗水逸周鼎,渭城辭漢盤。山川失故態,怪此能獨完。 僧繇六化人,霓衣掛冰紈。隱見十二疊,觀者疑誇謾。 破板陸生畫,青猊戲盤跚。上有二天人,揮手如翔鸞。 筆墨雖欲盡,典刑垂不刊。赫赫贊皇公,英姿凜以寒。 古柏親手種,挺然誰敢幹。枝撐雲峰裂,根入石窟蟠。 薙草得斷碑,斬崖出金棺。瘞藏豈不牢,見伏理可嘆。 四雄皆龍虎,遺跡儼未刓。方其盛壯時,爭奪肯少安。 廢興屬造物,遷逝誰控摶.. 2022. 9. 15. 自金山放船至焦山(자금산방선지초산) : 소식(蘇軾) 산과바다 蘇軾 詩 HOME 自金山放船至焦山(자금산방선지초산) : 소식(蘇軾) 금산에서 배를 띄워 초산에 이르다. 金山樓觀何耽耽,撞鐘擊鼓聞淮南。焦山何有有修竹,采薪汲水僧兩三。 雲霾浪打人跡絕,時有沙戶祈春蠶。我來金山更留宿,而此不到心懷慚。 同遊盡返決獨往,賦命窮薄輕江潭。清晨無風浪自湧,中流歌嘯倚半酣。 老僧下山驚客至,迎笑喜作巴人談。自言久客忘鄉井,只有彌勒為同龕。 困眠得就紙帳暖,飽食未厭山蔬甘。山林饑臥古亦有,無田不退寧非貪。 展禽雖未三見黜,叔夜自知七不堪。行當投劾謝簪組,為我佳處留茅庵。〈吳人謂水中可田者為沙。焦山長老,中江人也 金山樓觀何耽耽(금산누관하탐탐) : 금산의 누각이 아련하게도 보이고 撞鐘擊鼓聞淮南(당종격고문회남) : 종소리 북소리가 회남에서 들려 오네. 焦山何有有修竹(초산하유유수죽) : 초산에는 무엇이 있나 기다란 대나무와.. 2022. 9. 15. 遊金山寺(유금산사) : 소식(蘇軾) 산과바다 蘇軾 詩 HOME 遊金山寺(유금산사) : 소식(蘇軾) 금산사를 구경하고 我家江水初發源,宦遊直送江入海。聞道潮頭一丈高,天寒尚有沙痕在。 中泠南畔石盤陀,古來出沒隨濤波。試登絕頂望鄉國,江南江北青山多。 羈愁畏晚尋歸楫,山僧苦留看落日。微風萬頃靴文細,斷霞半空魚尾赤。 是時江月初生魄,二更月落天深黑。江心似有炬火明,飛焰照山棲鳥驚。 悵然歸臥心莫識,非鬼非人竟何物。江山如此不歸山,江神見怪驚我頑。 我謝江神豈得已,有田不歸如江水。〈是夜所見如此。 我家江水初發源(아가강수초발원) : 우리 집은 장강이 발원하는 곳인데 宦游直送江入海(환유직송강입해) : 벼슬 따라 장강의 하류까지 흘러왔네. 聞道潮頭一丈高(문도조두일장고) : 장강에는 파고가 한 길이나 된다더니 天寒尙有沙痕在(천한상유사흔재) : 물이 빠진 겨울에도 모래 흔적 남아 있네. 中冷南.. 2022. 9. 15. 廣陵會三同舍各以其字為韻仍邀同賦劉貢父(광릉회삼동사각이기자위운잉요동부유공부) : 소식(蘇軾) 산과바다 蘇軾 詩 HOME 廣陵會三同舍各以其字為韻仍邀同賦劉貢父(광릉회삼동사각이기자위운잉요동부유공부) : 소식(蘇軾) 광릉에서 세 동기생을 만나 각자 그의 자로 운을 삼는데 유공보를 맞아 함께 시를 짓노라. 去年送劉郎,醉語已驚眾。如今各漂泊,筆硯誰能弄。 我命不在天,羿彀未必中。作詩聊遣意,老大慵譏諷。 夫子少年時,雄辯輕子貢。爾來再傷弓,戢翼念前痛。 廣陵三日飲,相對怳如夢。況逢賢主人,白酒潑春甕。 竹西已揮手,灣口猶屢送。羨子去安閑,吾邦正喧哄。 去年送劉郞(거년송유랑) : 작년에 유공을 보낼 때 醉語已驚衆(취어이경중) : 취중에 한 말로 사람들을 놀라게 했다네. 如今各飄泊(여금각표박) : 지금은 각자가 떠돌이 신세가 되었나니 筆硯誰能弄(필연수능롱) : 누구라 붓을 놀려 글을 쓸 수 있으랴? 我命不在天(아명부재천) : 내 목숨.. 2022. 9. 14. 十月十六日記所見(십월십육일기소견) : 소식(蘇軾) 산과바다 蘇軾 詩 HOME 十月十六日記所見(십월십육일기소견) : 소식(蘇軾) 10월 16일에 본 것을 적는다 風高月暗水雲黃,淮陰夜發朝山陽。山陽曉霧如細雨,炯炯初日寒無光。 雲收霧卷已亭午,有風北來寒欲僵。忽驚飛雹穿戶牖,迅駛不復容遮防。 市人顛沛百賈亂,疾雷一聲如頹墻。使君來呼晚置酒,坐定已復日照廊。 怳疑所見皆夢寐,百種變怪旋消亡。共言蛟龍厭舊穴,魚鱉隨徙空陂塘。 愚儒無知守章句,論說黑白推何祥。惟有主人言可用,天寒欲雪飲此觴。 風高月暗雲水黃(풍고월암운수황) : 바람 높고 달 어두운 구름 덮인 강은 누렇고 淮陰夜發朝山陽(회음야발조산양) : 밤중에 회음을 떠나 산양으로 가노라니 山陽曉霧如細雨(산양효무여세우) : 산양의 새벽안개는 가랑비와 같고 炯炯初日寒無光(형형초일한무광) : 갓 떠오른 붉은 해도 날이 추워 빛을 잃었네. 雲收霧卷已亭.. 2022. 9. 14. 發洪澤中途遇大風復還(발홍택중도우대풍복환) : 소식(蘇軾) 산과바다 蘇軾 詩 HOME 發洪澤中途遇大風復還(발홍택중도우대풍복환) : 소식(蘇軾) 홍택을 떠났다가 도중에 폭풍을 만나 다시 돌아와서 風浪忽如此,吾行欲安歸。掛帆卻西邁,此計未為非。 洪澤三十里,安流去如飛。居民見我還,勞問亦依依。 攜酒就船賣,此意厚莫違。醒來夜已半,岸木聲向微。 明日淮陰市,白魚能許肥。我行無南北,適意乃所祈。 何勞弄澎湃,終夜搖窗扉。妻孥莫憂色,更有篋中衣。 風浪忽如此(풍랑홀여차) : 풍랑이 갑자기 이렇게 이니 吾行欲安歸(오행욕안귀) : 나의 발길은 어디로 돌려야 하나? 掛帆却西邁(괘범각서매) : 돛을 올리고 다시금 서쪽으로 가나니 此計未爲非(차계미위비) : 이 계획이 결코 잘못된 것이 아니라네. 洪澤三十里(홍택삼십리) : 홍택에 이르는 30리 길을 安流去如飛(안류거여비) : 순풍을 타고 편안하게 날 듯이 .. 2022. 9. 14. 龜山(구산) : 소식(蘇軾) 산과바다 蘇軾 詩 HOME 龜山(구산) : 소식(蘇軾) 구산 我生飄蕩去何求,再過龜山歲五周。身行萬里半天下,僧臥一庵初白頭。 地隔中原勞北望,潮連滄海欲東遊。元嘉舊事無人記,故壘摧頹今在不。 我生飄蕩去何求(아생표탕거하구) : 내 인생은 오락가락 무엇을 찾으러 다니나? 再過龜山歲五周(재과구산세오주) : 오 년 만에 또다시 구산을 지나가네. 身行萬里半天下(신행만리반천하) : 이 몸은 만 리를 다녔으니 천하의 절반이고 僧臥一菴初白頭(승와일암초백두) : 스님은 한 암자에 누운 채 머리가 세기 시작하네. 地隔中原勞北望(지격중원노북망) : 땅이 중원에서 떨어져 애써 북쪽을 바라보고 潮連滄海欲東游(조련창해욕동유) : 창해로 이어진 저 물을 따라 동으로 가고 싶네. 元嘉舊事無人記(원가구사무인기) : 원가 시절 옛날 일을 기억하는 .. 2022. 9. 14. 泗州僧伽塔(사주승가탑) : 소식(蘇軾) 산과바다 蘇軾 詩 HOME 泗州僧伽塔(사주승가탑) : 소식(蘇軾) 사주의 승가탑 我昔南行舟擊汴,逆風三日沙吹面。舟人共勸禱靈塔,香火未收旗腳轉。 回頭頃刻失長橋,卻到龜山未朝飯。至人無心何厚薄,我自懷私欣所便。 耕田欲雨刈欲晴,去得順風來者怨。若使人人禱輒遂,造物應須日千變。 我今身世兩悠悠,去無所逐來無戀。得行固願留不惡,每到有求神亦倦。 退之舊雲三百尺,澄觀所營今已換。不嫌俗士汙丹梯,一看雲山繞淮甸。 我惜南行舟繫汴(아석남행주계변) : 옛날에 고향 갈 때 변하(汴河)에 배를 맺고 逆風三日沙吹面(역풍삼일사취면) : 사흘 동안 역풍 불어 모래가 뺨을 쳤네. 舟人共勸禱靈塔(주인공권도령탑) : 뱃사공이 너도나도 영험한 탑에 빌었고 香火未收旂脚轉(향화미수기각전) : 향도 다 타기 전에 풍향이 바뀌었네. 回頭頃刻失長橋(회두경각실장교) : 돌아보.. 2022. 9. 14. 雨晴後步至四望亭下魚池上遂自乾明寺前東岡上歸二首(우청후보지사망정하어지상수자건명사전동강상귀이수) : 소식(蘇軾) 산과바다 蘇軾 詩 HOME 雨晴後步至四望亭下魚池上遂自乾明寺前東岡上歸二首(우청후보지사망정하어지상수자건명사전동강상귀이수) : 소식(蘇軾) 비 갠 뒤 걸어서 사망정(四望亭) 아래 물고기 기르는 못가에 이르렀다가 건명사(乾明寺) 앞 동쪽 언덕 위로 돌아오다 雨過浮萍合,蛙聲滿四鄰。海棠真一夢,梅子欲嘗新。 拄杖閑挑菜,秋千不見人。殷勤木芍藥,獨自殿余春。 高亭廢已久,下有種魚塘。暮色千山入,春風百草香。 市橋人寂寂,古寺竹蒼蒼。鸛鶴來何處,號鳴滿夕陽。 其一 雨過浮萍合(우과부평합) : 비갠 뒤 부평초 무성하고 蛙聲滿四隣(와성만사린) : 개구리 소리 사방에 가득하다. 海棠眞一夢(해당진일몽) : 해당화 진정 한바탕 꿈이었나 梅子欲嘗新(매자욕상신) : 매실은 새 맛 들려고 하네 挂杖閑挑菜(괘장한도체) : 지팡이 짚고 한가로이 남새 뜯는데.. 2022. 9. 14. 濠州七絕(호주칠절) : 소식(蘇軾) 산과바다 蘇軾 詩 HOME 濠州七絕(호주칠절) : 소식(蘇軾) 호주 칠절 其一 濠州七絕·塗山 川鎖支祁水尚渾,地理汪罔骨應存。樵蘇已入黃熊廟,烏鵲猶朝禹會村。 其二 濠州七絕·彭祖廟 跨歷商周看盛衰,欲將齒髮鬪蛇龜。空餐雲母連山盡,不見蟠桃著子時。 其三 濠州七絕·逍遙臺 常怪劉伶死便埋,豈伊忘死未忘骸。烏鳶奪得與螻蟻,誰信先生無此懷。 其四 濠州七絕·觀魚臺 欲將同異較錙銖,肝膽猶能楚越如。若信萬殊歸一理,子今知我我知魚。 其五 濠州七絕·虞姬墓 帳下佳人拭淚痕,門前壯士氣如雲。倉黃不負君王意,獨有虞姬與鄭君。 其六 濠州七絕·四望亭 太和中刺史劉嗣之立,李紳以太子賓客分司東都,過濠,為作記。記今存而亭廢者數年矣。 頹垣破礎沒柴荊,故老猶言短李亭。敢請使君重起廢,落霞孤鶩換新銘。 其七 濠州七絕·浮山洞 人言洞府是鰲宮,升降隨波與海通。共坐船中那得見,乾坤浮水水浮空。 其一.. 2022. 9. 14. 壽州李定少卿出餞城東龍潭上(수주이정소경출전성동용담상) : 소식(蘇軾) 산과바다 蘇軾 詩 HOME 壽州李定少卿出餞城東龍潭上(수주이정소경출전성동용담상) : 소식(蘇軾) 성의 동쪽 용담 위에서 수주의 이정 소경의 송별회 山鴉噪處古靈湫,亂沫浮涎繞客舟。未暇燃犀照奇鬼,欲將燒燕出潛虬。 使君惜別催歌管,村巷驚呼聚玃猴。此地他年頌遺愛,觀魚並記老莊周。 山鴉噪處古靈湫(산아조처고령추) : 산까마귀 시끄러운 이곳 해묵은 신령한 못에는 亂沫浮涎繞客舟(난말부연요객주) : 침 같은 어지러운 거품이 우리 배를 뱅뱅 도네. 未暇燃犀照奇鬼(미가연서조기귀) : 무소뿔에 불을 붙여 기이한 귀신들 볼 틈이 없으니 欲將燒燕出潛叫(욕장소연출잠규) : 제비고기로 물속의 용이나 불러내고 싶구나. 使君惜別催歌管(사군석별최가관) : 사도께선 이별 아쉬워 노래와 연주를 재촉하며 村巷驚呼聚玃猴(촌항경호취확후) : 시골길에 원숭이.. 2022. 9. 14. 出潁口初見淮山是日至壽州(출영구초견회산시일지수주) : 소식(蘇軾) 산과바다 蘇軾 詩 HOME 出潁口初見淮山是日至壽州(출영구초견회산시일지수주) : 소식(蘇軾) 영구에서 나와서 처음으로 회산을 보고 이날 수주로 가다 我行日夜向江海,楓葉蘆花秋興長。平淮忽迷天遠近,青山久與船低昂。 壽州已見白石塔,短棹未轉黃茅岡。波平風軟望不到,故人久立煙蒼茫。 我行日夜尙江海(아행일야상강해) : 우리 일행은 밤낮으로 강으로 바다로 楓葉蘆花秋興長(풍엽노화추흥장) : 단풍잎 갈대꽃에 가을 흥취가 깊어가네. 長淮忽迷天遠近(장회홀미천원근) : 긴 회하(淮河)는 갑자기 원근 하늘이 어렴풋한데 靑山久與船低昻(청산구여선저앙) : 푸른 회산은 오랫동안 배와 함께 일렁였네. 壽州已見白石塔(수주이견백석탑) : 수주는 벌써 저만치에 백석탑을 내미는데 短棹未轉黃茅岡(단도미전황모강) : 작은 배는 아직까지 띠 풀 언덕을 못 .. 2022. 9. 14. 이전 1 ··· 24 25 26 27 28 29 30 ··· 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