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산에는 꽃이 피네
*** 詩 ***/東坡居士 蘇軾 詩

泗州僧伽塔(사주승가탑) : 소식(蘇軾)

by 산산바다 2022. 9. 14.

산과바다

泗州僧伽塔(사주승가탑)

蘇軾 詩 HOME

 

 

 

                     泗州僧伽塔(사주승가탑) : 소식(蘇軾)

                     사주의 승가탑

 

我昔南行舟擊汴逆風三日沙吹面舟人共勸禱靈塔香火未收旗腳轉

回頭頃刻失長橋卻到龜山未朝飯至人無心何厚薄我自懷私欣所便

耕田欲雨刈欲晴去得順風來者怨若使人人禱輒遂造物應須日千變

我今身世兩悠悠去無所逐來無戀得行固願留不惡每到有求神亦倦

退之舊雲三百尺澄觀所營今已換不嫌俗士汙丹梯一看雲山繞淮甸

 

 

我惜南行舟繫汴(아석남행주계변) : 옛날에 고향 갈 때 변하(汴河)에 배를 맺고

逆風三日沙吹面(역풍삼일사취면) : 사흘 동안 역풍 불어 모래가 뺨을 쳤네.

舟人共勸禱靈塔(주인공권도령탑) : 뱃사공이 너도나도 영험한 탑에 빌었고

香火未收旂脚轉(향화미수기각전) : 향도 다 타기 전에 풍향이 바뀌었네.

回頭頃刻失長橋(회두경각실장교) : 돌아보니 어느 사이 장교가 아득하고

却到龜山未朝飯(각도구산미조반) : 구산에 도착해도 아침때가 덜 되었네.

至人無心何厚薄(지인무심하후박) : 경지에 이른 이 무심하여 누구에게 후하고 박하랴?

我自懷私欣所便(아자회사흔소편) : 나는 스스로 사심을 품고 편리함을 기뻐했네.

耕田欲雨刈欲晴(경전욕우예욕청) : 밭을 가는 사람은 비 오기를 기다리고 수확하는 사람은 맑아지길 바라는 법

去得順風來者怨(거득순풍래자원) : 가는 이가 순풍을 만나면 오는 이가 원망하리

若使人人禱輒遂(약사인인도첩수) : 빈다고 사람마다 소원성취한다면

造物應須日千變(조물응수일천변) : 조물주는 하루에도 천변만화해야 하리

今我身世兩悠悠(금아신세양유유) : 지금 나는 세상과는 너무나 동떨어져서

去無所逐來無戀(거무소축래무연) : 가면 가나 보다, 오면 오나 보다

得行固願留不惡(득행고원류불악) : 순풍 맞아 갈 수 있길 진심으로 바라지만 그냥 머물러 있는 것도 나쁘지 않으니

每到有求神亦倦(매도유구신역권) : 올 때마다 빌어대면 신령님도 귀찮으리

退之舊云三百尺(퇴지구운삼백척) : 옛날에 한유는 삼백자라 했지마는

澄觀所營今已換(징관소영금이환) : 징관(澄觀)이 세운 탑은 지금 이미 바뀌었네.

不嫌俗士汚丹梯(불혐속사오단제) : 속인이 붉은 층계를 더럽힘이 싫다고 않으면

一看雲山繞淮甸(일간운산요회전) : 구름산에 에워싸인 회하(淮河) 벌판 좀 보려네.

 

 

* 僧伽塔(승가탑) : 당나라 때 서역 사람이었던 승가대사(僧伽大師)의 사리를 안장하고 쌓은 탑으로 알려졌다.

* 龜山(귀산) : 산 이름

* 천변만화(千變萬化) : 끝없이 변화함

* 退之(퇴지) : 퇴지(退之)는 한유(韓愈)의 호. 한유의 시송승징관(送僧澄觀)이란 시에 따르면 승가탑은 승가라는 승려에 의해 중건되었다. 높이가 300()에 이르렀는데 태종(太宗) 태평흥국(太平興國) 7(982)과 옹희(雍熙) 원년(984) 두 차례에 걸쳐 증수되었다.

* 俗士(속사) : 출가인의 안목으로 보는 세속의 사람. 작자 자신을 가리킨다.

* 丹梯(단제) : 탑 속에 있는 붉은 사다리. 구름 위로 솟은 높은 봉우리. 벼슬길에 나아가다.

* 淮甸(회전) : 회하(淮河) 유역. 회하는 황하(黃河)와 장강(長江) 사이에 있는 강이다.

 

 

 

 

산과바다 이계도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