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산에는 꽃이 피네
*** 詩 ***/東坡居士 蘇軾 詩

遊靈隱寺得來詩復用前韻(유영은사득래시복용전운) : 소식(蘇軾)

by 산산바다 2022. 9. 15.

산과바다

靈隱寺(영은사)

蘇軾 詩 HOME

 

 

 

          遊靈隱寺得來詩復用前韻(유영은사득래시복용전운) : 소식(蘇軾)

          영은사를 유람하고 나서 보내온 시를 받고 다시 옛날 운을 사용하여 짓는다

 

君不見錢塘湖錢王壯觀今已無屋堆黃金斗量珠運盡不勞折簡呼

四方宦遊散其孥宮闕留與閑人娛盛衰哀樂兩須臾何用多憂心郁紆

溪山處處皆可廬最愛靈隱飛來孤喬松百丈蒼髯鬚擾擾下笑柳與蒲

高堂會食羅千夫撞鐘擊鼓喧朝晡凝香方丈眠氍毹絕勝絮被縫海圖

清風時來驚睡餘遂超羲皇傲幾蘧歸時棲鴉正畢逋孤煙落日不可摹

 

 

君不見, 錢塘湖,(군불견, 전당호) :그대는 보지 못했는가! 전당의 호수를?

錢王壯觀今已無(전왕장관금이무) : 전씨 왕실의 웅장한 모습 지금은 이미 없어졌네.

屋堆黃金斗量珠(옥퇴황금두량주) : 집에는 황금이 쌓여 있고 주옥이 하도 많아 말() 가지고 헤아리고

雲盡不勞折簡呼(운진불로절간호) : 송나라는 오월국의 국운이 다하여 절간(折簡) 부르는 수고도 없네.

四方宦游散其孥(사방환유산기노) : 전씨의 후손은 벼슬을 따라가 처자가 다 흩어지고

宮闕留與閑人娛(궁궐류여한인오) : 궁궐은 한가한 이에게 남겨주어 즐기게 하네.

盛衰哀樂兩須臾(성쇠애낙양수유) : 흥망성쇠와 슬프고 즐거움은 잠깐 사이에 바뀌는 법

何用多憂心鬱紆(하용다우심울우) : 근심이 가득한 채 울적할 게 무엇이랴?

溪山處處皆可廬(계산처처개가려) : 산천은 곳곳이 다 살만한 곳이지만

最愛靈隱飛來孤(최애령은비래고) : 영은산 비래봉의 고고한 모습이 가장 좋구나.

喬松百尺蒼髥鬚(교송백척창염수) : 백 자나 되는 키 큰 솔은 푸른 수염을 달고 서서

擾擾下笑柳與蒲(요요하소류여포) : 버들과 부들을 내려다보며 부산하게 웃고 있네.

高堂會食羅千夫(고당회식나천부) : 고당에 모여서 식사하느라 천명이나 늘어서고

撞鐘擊鼓喧朝晡(당종격고훤조포) : 종을 치고 북을 치며 조석으로 법석이네.

凝香方丈眠氍毹(응향방장면구유) : 향내 어린 절간에서 담요 덮고 자노라니

絶勝絮被縫海圖(절승서피봉해도) :누덕누덕 기워 붙인 솜이불보다 훨씬 낫네.

淸風徐來驚睡餘(청풍서래경수여) : 천천히 부는 시원한 바람에 잠이 깨어나서는

遂超羲皇傲几蘧(수초희황오궤거) : 복희씨를 능가하고 궤거(几蘧)를 우습게 보네.

歸時棲鴉正畢逋(귀시서아정필포) : 돌아갈 땐 까마귀가 모조리 다 달아나고

孤煙落日不可摹(고연낙일불가모) :석양 아래 한 줄기 저녁연기가 피어오름을 그려낼 길이 없네.

 

 

* 几蘧(궤거) : 상고시대의 帝王 이름이다.

* 영은사(靈隱寺) : 항저우(杭州) 링인쓰(靈隱寺) : 항저우는 예부터 ‘동남불국(東南佛國)’이라는 별칭이 있었을 만큼 절이 많고, 이 중 역사가 가장 오래되고 규모가 크며 가장 유명한 절은 링인쓰이다. 링인쓰는 전국의 불교 선종의 10대 사찰 중 하나이자, 시후의 4대 총림(叢林) 중 최고의 위치에 있으며, 장난(江南)의 5대 사원 중 하나이다. 링인쓰에는 향불이 항상 피어오르고 있으며, 사람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다. 불교문화를 느끼기에 가장 좋은 곳이다.

 

 

 

산과바다 이계도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