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보(杜甫)449 명(暝) 산과바다 두보 시(杜甫 詩) HOME 명(暝) - 두보(杜甫) 어둠 日下四山陰(일하사산음) : 해 저물어 사방으로 산이 어두워지니 山庭嵐氣侵(산정남기침) : 온산에는 맑은 기운이 스며들어 온다. 牛羊歸徑險(우양귀경험) : 소와 양이 험한 비탈길을 내려오고 鳥雀聚枝深(조작취기심) : 새들은 깊숙한 보금자리에 모인다. 正枕當星劍(정침당성검) : 베개를 바로하다 검에 부딪치고 收書動玉琴(수서동옥금) : 서책을 정리하다 거문고를 울린다. 半扉開燭影(반선개촉영) : 반쯤 열린 사립문에 비치는 촛불 그림자 欲掩見淸砧(욕암견정참) : 문 닫으려 하니 맑은 다듬이 소리 스며든다. * 嵐氣(남기) : 맑은 산바람 기운 * 聚(취) : 모임 * 欲掩(욕엄) : 가리려 함 * 砧(침) : 다듬이 淸末 대학자 梁啓草가 말.. 2006. 11. 25. 만(晩) 산과바다 두보 시(杜甫 詩) HOME 만(晩) - 두보(杜甫) 황혼 杖藜尋巷晩(장려심항만) : 지팡이 짚고 저녁 골목을 찾아 나선다. 炙背近牆暄(적배근장훤) : 따스한 담장에 기대어 햇볕에 등을 쪼인다. 人見幽居僻(인견유거벽) : 사람들은 궁벽하게 산다 말하겠지만 吾知拙養尊(오지졸양존) : 나는 겸손함의 심성 키움이 존귀함을 안다. 朝廷問府主(조정문부주) : 조정의 일은 태수에게 묻고 耕稼學山村(경가학산촌) : 농사일은 산촌의 농부에게 배우리. 歸翼飛棲定(귀익비처정) : 저녁에 돌아오는 새도 보금자리에 들고 寒燈亦閉門(한등역폐문) : 가물대는 등불 비치는 집에서도 문을 닫는다. * 杖藜(장려) : 지팡이에 의지함 * 巷晩 : 늦은 저녁 길목 * 炙背(자배) : 등을 쪼임 * 牆暄(장훤) : 담장이 온화하.. 2006. 11. 25. 주몽(晝夢) 산과바다 두보 시(杜甫 詩) HOME 주몽(晝夢) - 두보(杜甫) 낮 꿈 二月饒睡昏昏然(이월요수혼혼연) : 초봄이라 실컷 자고 나도 흐리멍덩하고 不獨夜短晝分眠(부독야단주분면) : 밤이 짧아서 낮까지 자는 건 아니다. 桃花氣暖眼自醉(도하기난안자취) : 복사꽃 따스한 기운에 눈이 취한 듯 春渚日落夢相牽(춘저일낙몽상견) : 봄날 물가에 해가 지면 꿈을 청한다. 故鄕門巷荊棘底(고향문항형자저) : 고향 골목들은 가시덤불에 덮이고 中原君臣豺虎邊(중원군신시호일) : 중원의 군신은 반군폭정에 쌓여있네. 安得務農息戰鬪(안득무농식전투) : 어떻게 하면 농사에 힘쓰고 전쟁 그치며 普天無吏橫索錢(보천무리횡색전) : 천하가 태평하여 탐관오리 없게 할까. * 饒睡(요수) : 실컷 자다 * 春渚(춘저) : 봄날 물가 * 夢相牽(몽.. 2006. 11. 25. 효망(曉望) 산과바다 두보 시(杜甫 詩) HOME 효망(曉望) - 두보(杜甫) 새벽에 바라보다 白帝更聲盡(백제경성진) : 백제성에 딱딱이 소리 그치고 陽臺曙色分(양대서색분) : 양 누대에 새벽빛이 분명하다. 高峰寒上日(고봉한상일) : 높은 봉우리 떠오르는 해는 추운데. 疊嶺宿霾雲(첩령숙로운) : 첩첩 고개엔 비구름이 잠잔다. 地坼江帆隱(지탁강범은) : 땅이 갈라진 사이로 흐르는 강물, 숨은 돛배 天淸木葉聞(천청목엽분) : 맑은 하늘 낙엽 떨어지는 소리 들리고 荊扉對糜鹿(형비대미록) : 사립문은 고라니 사슴과 마주하고 있으니 應共爾爲群(응공이위군) : 저들과 한무리 되어야지 * 地坼(지탁) : 땅이 갈라진 듯 한 계곡 * 荊扉(형비) : 싸리문 * 糜鹿(미록) : 고라니와 사슴 * 共爾(공이) : 너희와 같이 비교적 .. 2006. 11. 25. 취시가(醉時歌) 산과바다 두보 시(杜甫 詩) HOME 취시가(醉時歌) - 두보(杜甫) 취중의 노래(廣文館 鄭虔博士에게 올리는 글) 上 諸公袞袞登臺省(제공곤곤등대성) : 고관들 줄지어 높이 오르는데 廣文先生官獨冷(광문선생관독냉) : 박사께서는 홀로 찬 서리 맞네. 甲第紛紛厭梁肉(갑제분분염양육) : 갑부들 기름진 고기에 물려 있는데 先生有道出羲皇(선생유도출희왕) : 선생은 복희씨의 도의를 지키시고 先生有才過屈宋(선생유재과굴송) : 굴원이나 송옥보다 재주가 뛰어났거늘 德尊一代常坎軻(덕존알대상감가) : 언제나 덕을 행하는 자가 고생을 하니 名垂萬古知何用(명수만고지하용) : 후세에 이름 남긴들 무엇 하리오. * 廣文館 : 당의 국자감의 부속기관(예술) 광문관 박사 鄭虔(정건)이 詩. 書. 畵에 능하여 두보와 교우하였음 * 諸公 .. 2006. 11. 25. 취가행(醉歌行) 산과바다 두보 시(杜甫 詩) HOME 취가행(醉歌行) - 두보(杜甫) 취하여 부른 노래 陸機二十作文賦(육기이십작문부) : 육기(陸機)는 이십 세에 문부(文賦) 지었는데 汝更小年能綴文(여갱소년능철문) : 너는 더 어린 나이에 문장을 잘 짓는구나. 總角草書又神速(총각초서우신속) : 총각인데도 초서(草書)를 또한 재빠르게 쓰니 世上兒子徒紛紛(세상아자도분분) : 세상의 아이들 한갓 어지럽기만 하네. 驊騮作駒已汗血(화류작구이한혈) : 명마 화류(驊騮)는 망아지였을 때 이미 피땀 흘리고 鷙鳥擧翮連靑雲(지조거핵련청운) : 사나운 새는 한 번 날개 펼치면 푸른 구름까지 연하여 나네. 詞源倒流三峽水(사원도류삼협수) : 네 문장의 근원은 삼협(三峽)의 물 거꾸로 흐르게도 하고 筆陣獨掃千人軍(필진독소천인군) : 붓의 기세는.. 2006. 11. 25. 추흥팔수(秋興八首) 산과바다 두보 시(杜甫 詩) HOME 추흥팔수(秋興八首) - 두보(杜甫) 가을 흥취 其一 玉露凋傷楓樹林(옥로조상풍수림) : 옥 같은 이슬 맞아 단풍나무 숲 시들고 巫山巫峽氣蕭森(무산무협기소삼) : 무산의 무협에는 가을 기운 쓸쓸하다. 江間波浪兼天湧(강간파랑겸천용) : 강의 물결은 하늘로 치솟고 塞上風雲接地陰(새상풍운접지음) : 변방의 바람과 구름 땅을 덮어 음산하다 叢菊兩開他日淚(총국양개타일루) : 국화 떨기 두 차례 피어나니 지난날이 눈물겹다. 孤舟一繫故園心(고주일계고원심) : 외로운 배 묶어둔 것 고향 생각하는 마음 寒衣處處催刀尺(한의처처최도척) : 겨울옷 준비에 곳곳에서 가위질과 자질을 재촉하고 白帝城高急暮砧(백제성고급모침) : 백제성은 높고 저물녘 다듬이질 소리 바쁘기만 하구나 其二 夔府孤城落日斜.. 2006. 11. 25. 북정(北征) 산과바다 두보 시(杜甫 詩) HOME 북정(北征) - 두보(杜甫) 가족이 있는 북으로 가는 길 1 皇帝二載秋(황제이재추) : 황제 제위 2년 되는 가을 閏八月初吉(윤팔월초길) : 윤 팔월 초하룻날 좋은 날씨 杜子將北征(두자장북정) : 나 두보는 북으로 나아가 蒼茫問家室(창망문가실) : 멀리 가족을 찾아보련다. 維時遭艱虞(유시조간우) : 아아, 어려운 시기를 당하여 朝野少假日(조야소가일) : 조정과 민간에 한가한 날 드물다. 顧慙恩私被(고참은사피) : 돌아 보건데 부끄럽게도 나만 은총 입어 詔許歸蓬蓽(조허귀봉필) : 집에 돌아가는 것 허락받았다. 拜辭詣闕下(배사예궐하) : 대궐 아래 나아가 하직 여쭙고 怵惕久未出(출척구미출) : 떨리는 마음에 오래도록 나오지 못했네. 雖乏諫諍資(수핍간쟁자) : 내 비록 간.. 2006. 11. 25. 수노별(垂老別) 산과바다 두보 시(杜甫 詩) HOME 수노별(垂老別) - 두보(杜甫) 늙어서의 이별 四郊未寧靜(사교미녕정) : 사방이 아직 안정되지 않아 垂老不得安(수노부득안) : 늙은이조차 편안할 수가 없네. 子孫陣亡盡(자손진망진) : 자손들이 모두 전사 했건만 焉用身獨完(언용신독완) : 어찌 이 몸 홀로 온전하길 바라리. 投杖出門去(투장출문거) : 지팡이 던지고 전선 향해 문을 나서니 同行爲辛酸(동항위신산) : 동행도 나를 보며 맘 아파하네. 幸有牙齒存(행유아치존) : 다행히 치아는 남아 있지만 所悲骨髓乾(소비골수건) : 슬픈 것은 골수가 말라버린 것 男兒旣介胄(남아기개주) : 사나이 이미 군복을 입었으니 長揖別上官(장읍별상관) : 길게 경례하고 상관과 이별하네. * 垂老 : 늘그막 * 四郊 : 사방의 교외 * 寧靜.. 2006. 11. 25. 신혼별(新婚別) 산과바다 두보 시(杜甫 詩) HOME 신혼별(新婚別) - 두보(杜甫) 신혼의 이별 兎絲附蓬麻(토사부봉마) : 새삼 덩굴이 삼에 엉켜 자라면 引蔓故不長(인만고부장) : 줄기가 길게 뻗지 못하듯 嫁女與征夫(가녀여정부) : 출정하는 사람에게 딸을 시집보냄은 不如棄路傍(불여기로방) : 길가에 내버림만 못하다고 합니다. 結髮爲夫妻(결발위부처) : 머리 올리고 부부가 되었으나 席不煖君牀(석불난군상) : 부부의 잠자리가 따듯해지기도 전에 暮婚晨告別(모혼진고별) : 저녁에 혼례하고 새벽에 작별하게 되니 無乃太忽忙(무내태총망) : 이렇게 성급하고 허무한 일이 어디 있나요. 君行雖不遠(군행수불원) : 그대는 비록 멀지 않은 곳이라고는 하나 守邊赴河陽(수변부하양) : 하양의 변두리를 지키러 가시겠지요. * 新婚別 : 신혼직.. 2006. 11. 25. 무가별(無家別) 산과바다 두보 시(杜甫 詩) HOME 무가별(無家別) - 두보(杜甫) 집 없이 이별함 寂寞天寶後(적막천보후) : 적막하구나, 난리 난 후에 園廬但蒿藜(원려단호려) : 집과 뜰이 쑥과 명아주 풀밭이 되었네. 我里百餘家(아리백여가) : 우리 동네 백 여 가구가 世亂各東西(세난각동서) : 난리 통에 뿔뿔이 흩어졌네. 存者無消息(존자무소식) : 산 자는 소식이 없고 死者爲塵泥(사자위진니) : 죽은 자는 흙이 되었네. 賤子因陳敗(천자인진패) : 미천한 이 몸은 싸움에 져서 歸來尋舊蹊(귀래심구계) : 고향에 돌아와 옛 길을 더듬네. 久行見空巷(구행견공항) : 오래도록 걸어도 빈 거리요 日瘦氣慘悽(일수기삼처) : 햇빛도 시들하고 이 마음도 비참하다오. * 寂寞(적막) : 황폐하고 쓸쓸함 * 天寶後 : 천보14년 안록.. 2006. 11. 25. 동관리(潼關吏) 산과바다 두보 시(杜甫 詩) HOME 동관리(潼關吏) - 두보(杜甫) 동관의 관리 士卒何草草(사졸하초초) : 병사들이 왜 저렇게 애를 쓰고 있을까? 築城潼關道(축성동관도) : 동관 길목의 성을 보수하고 있는지 大城鐵不如(대성철불여) : 큰 성곽은 무쇠보다 더 견고하고 小城萬丈餘(소성만장여) : 작은 성은 만장(萬丈)보다 높이 있어라. 借聞潼關吏(차문동관리) : 잠간 동관의 관리에게 물어보니 修關還備胡(수관환비호) : 관문을 수리하여 외침을 막는다 하네. 要我下馬行(요아하마행) : 나로 하여금 말을 내리게 하여 爲我脂山隅(위아지산우) : 산모퉁이를 손으로 가리키네. 連雲列戰格(연운열전격) : 방어의 철책이 구름에 이어 지고 飛鳥不能踰(비조불능유) : 나는 새도 넘지를 못하겠더라. * 潼關(동관) : 협서성.. 2006. 11. 25. 신안리(新安吏) 산과바다 두보 시(杜甫 詩) HOME 신안리(新安吏) - 두보(杜甫) 병사 차출에 가슴 미어지지만 지휘관이 그들을 잘 건사할 테니 걱정 마시라 客行新安道(객행신안도) : 나그네가 신안의 길을 가다가 喧呼聞點兵(훤호문점병) : 떠들썩하게 병졸을 점호하는 소리를 들었다. 借問新安吏(차문신안리) : 신안의 관리에게 물었네. 縣小更無丁(현소갱무정) : 고을이 작아 장정이 더는 없지요? 府帖昨夜下(부첩작야하) : 지난 밤 관청에서 공문이 내려왔는데 次選中男行(차선중남행) : 다음으로 미성년자를 뽑아 보내랍니다. 中男絶短小(중남절단소) : 저 아이들은 저리 작고 어린데 何以守王城(하이수왕성) : 어떻게 왕성을 지켜낼 수 있을꼬? 肥男有母送(비남유모송) : 뚱뚱한 저 아이는 엄마가 배웅 나왔는데 瘦男獨伶俜(수남독령빙.. 2006. 11. 25. 석호리(石壕吏) 산과바다 두보 시(杜甫 詩) HOME 석호리(石壕吏) : 두보(杜甫) 석호의 관리 暮投石壕吏(모투석호리) : 날 저물어 석호촌에 투숙하니有吏夜捉人(유리야착인) : 관리가 나타나 밤에 사람을 잡으려 왔네.老翁踰墻走(노옹유장주) : 할아버지는 담 넘어 달아나고老婦出門看(노부출문간) : 할머니가 문 밖에 나가본다.吏呼一何怒(리호일하노) : 관원의 호출이 어찌 그리도 노엽고婦啼一何苦(부제일하고) : 할머니의 울음은 어찌 그리도 고통스러운지聽婦前致詞(청부전치사) : 할머니가 관리 앞에 나아가 하는 말 들으니三男鄴城戍(삼남업성수) : 셋째 아들은 업성에 수자리 가고一男附書至(일남부서지) : 맏아들이 편지를 부쳐왔는데二男新戰死(이남신전사) : 둘째 아들은 새로.. 2006. 11. 25. 시성(詩聖) 두보(杜甫) 산과바다 두보 시(杜甫 詩) HOME 두보(杜甫) (712~770) 중국 성당시대(盛唐時代)의 시인. 호 : 소릉(少陵) 본명 : 杜甫 별칭 : 자 자미(子美) 국적 : 중국 당(唐) 활동분야 : 詩 출생지 : 중국 허난성[河南省] 궁현[鞏縣] 주요작품 : 《북정(北征)》 《추흥(秋興)》 《삼리삼별(三吏三別)》 등 자-자미(子美). 호-소릉(少陵). 중국 최고의 시인으로서 시성(詩聖)이라 불렸으며, 또 이백(李白)과 병칭하여 이두(李杜)라고 일컫는다. 본적은 후베이성[湖北省]의 샹양[襄陽]이지만, 허난성[河南省]의 궁현[鞏縣]에서 태어났다. 먼 조상은 진대(晉代)의 위인 두예(杜預)이고, 조부는 초당기(初唐期)의 시인 두심언(杜審言)이다. 소년시절부터 시를 잘 지었으나 과거에는 급제하지 못하였고, 각지를.. 2006. 9. 1. 춘망(春望)-두보(杜甫) 산과바다두보 시(杜甫 詩) HOME 춘망(春望) - 두보(杜甫) 봄의 소망 國破山河在(국파산하재) : 나라는 망해도 산천은 그대로이니城春草木深(성춘초목심) : 성 안에 봄이 들고 초목은 우거진다.感時花淺淚(감시화천루) : 시절을 느끼는지 꽃도 눈물을 뿌리고恨別鳥驚心(한별조경심) : 이별의 한은 새 소리에도 가슴이 띈다.烽火連三月(봉화연삼월) : 봉화가 연 이어 석 달을 계속하니家書抵萬金(가서저만금) : 집안의 편지는 천만 금 만큼이나 소중하구나.白頭搔更短(백두소갱단) : 흰 머리 긁어대니 더 많이 빠져서渾欲不勝簪(혼욕불승잠) : 아무리 묶어도 비녀를 못 끼겠구나. * 이 시는 두보의 五言律詩 중에서도 대표적 걸작으로 꼽히는 시다. 두보가 안록산의 난으로 장안에 억류되어 있을 때인 肅宗 至德 2년(75.. 2006. 9. 1. 두보 시(杜甫 詩) HOME 산과바다 두보 시(杜甫 詩) HOME 杜甫詩 바로가기(가나다순) 1 가산(假山) 231 수맹운경(酬孟雲卿) 2 가석(可惜) 232 수함견심이수(水檻遣心二首) 3 가인(佳人) 233 숙부(宿府) 4 가탄(可嘆) 234 숙찬공방(宿贊公房) 5 각야(閣夜) 235 술회(述懷) 6 강남봉이구년(江南逢李龜年) 236 승침팔장동미제선부원외랑(承沈八丈東美除膳部員外郎) 7 강매(江梅) 237 시요노아단(示獠奴阿段) 8 강반독보심화칠절구(江畔獨步尋花七絕句) 238 시월일일(十月一日) 9 강벽조유백(江碧鳥逾白) 239 시종손제(示從孫濟) 10 강변성월(江邊星月) 230 신안리(新安吏) 11 강상치수여해세료단술(江上値水如海勢聊短 241 신우(晨雨) 12 강월(江月) 242 신혼별(新婚別) 13 강정(江亭) 243 십이월일일.. 2006. 7. 30. 이전 1 ··· 22 23 24 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