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산에는 꽃이 피네

주역110

22 산화비(山火賁) 산과바다 周易(易經)주역(역경) HOME 周易上經(주역상경) 22 산화비(山火賁) 비(賁 ☶☲) : 아름다운 저녁노을이지만 퇴폐의 아름다움이니 외면적인 허식은 버리고 내면의 충실을 꾀해야 한다. 賁亨, 小利有攸往. 彖曰, 賁, 亨, 柔來而文剛, 故亨, 分剛上而文柔, 故小利有攸往. 天文也, 文明以止, 人文也. 觀乎天文, 以察時變, 觀乎人文, 以化成天下. 象曰, 山下有火, 賁, 君子以明庶政, 无敢折獄. 初九, 賁其趾, 舍車而徒. 六二, 賁其須. 象曰, “賁其須”, 與上興也. 九三, 賁如, 濡如, 永貞吉. 象曰, “永貞之吉”, 終莫之陵也. 六四, 賁如, 皤如, 白馬翰如, 匪寇, 婚媾. 象曰, 六四當位, 疑也, “匪寇婚媾”, 終无尤也. 六五, 賁于丘園, 束帛戔戔, 吝, 終吉. 象曰, 六五之吉, 有喜也. 上九, .. 2016. 12. 11.
21 화뢰서합(火雷噬嗑) 산과바다 周易(易經)주역(역경) HOME 周易上經(주역상경) 21 화뢰서합(火雷噬嗑) 서합(噬嗑 ☲☳) : 강력한 장애물을 만나지만 온 힘을 기울여 정면 돌파해야 한다. 噬嗑亨, 利用獄. 彖曰, 頤中有物, 曰噬嗑. 噬嗑而亨, 剛柔分, 動而明, 雷電合而章. 柔得 象曰, 雷電, 噬嗑, 先王以明罰勑法. 初九, 屨校滅趾, 无咎. 象曰, “屨校滅趾”, 不行也. 六二, 噬膚, 滅鼻, 无咎. 象曰, “噬膚滅鼻”, 乘剛也. 六三, 噬腊肉, 遇毒, 小吝, 无咎. 象曰, “遇毒”, 位不當也. 九四, 噬乾胏, 得金矢, 利艱貞, 吉. 象曰, “利艱貞吉”, 未光也. 六五, 噬乾肉, 得黃金, 貞厲, 无咎. 象曰, “貞厲无咎”, 得當也. 上九, 何校滅耳, 凶. 象曰, “何校滅耳”, 聰不明也. 噬嗑亨(서합형) : 은 형통하니 利用獄.. 2016. 12. 10.
20 풍지관(風地觀) 산과바다 周易(易經)주역(역경) HOME 周易上經(주역상경) 20 풍지관(風地觀) 관(觀 ☴☷) : 폭풍이 몰아치는 시기이다. 함부로 움직이지 말고 냉정하게 사태를 지켜보아야 한다. 觀盥而不薦, 有孚顒若. 彖曰, 大觀在上, 順而巽, 中正以觀天下. “觀盥而不薦, 有孚顒若”, 下觀 而化也. 觀天之神道, 而四時不忒, 聖人以神道設敎, 而天下服矣. 象曰, 風行地上, 觀, 先王以省方觀民設敎. 初六, 童觀, 小人无咎, 君子吝. 象曰, 初六“童觀”, 小人道也. 六二, 闚觀, 利女貞. 象曰, “闚觀女貞”, 亦可醜也. 六三, 觀我生, 進退. 象曰, “觀我生進退”, 未失道也. 六四, 觀國之光, 利用賓于王. 象曰, “觀國之光”, 尙賓也. 九五, 觀我生, 君子无咎. 象曰, “觀我生”, 觀民也. 上九, 觀其生, 君子无咎. 象曰,.. 2016. 12. 10.
19 지택임(地澤臨) 산과바다 周易(易經)주역(역경) HOME 周易上經(주역상경) 19 지택임(地澤臨) 임(臨 ☷☱) : 기운이 점점 좋아지고 왕성해진다. 그러나 갑자기 하강하므로 멈출 때를 아는 것이 중요하다. 臨元亨, 利貞, 至于八月有凶. 彖曰, “臨”, 剛浸而長, 說而順, 剛中而應. 大亨以正, 天之道也. “至于八 月有凶”, 消不久也. 象曰, 澤上有地, 臨, 君子以敎思无窮, 容保民无疆. 初九, 咸臨, 貞吉. 象曰, “咸臨貞吉”, 志行正也. 九二, 咸臨, 吉无不利. 象曰, “咸臨吉无不利”, 未順命也. 六三, 甘臨, 无攸利, 旣憂之, 无咎. 象曰, “甘臨”, 位不當也, “旣憂之”, 咎不長也. 六四, 至臨, 无咎. 象曰, “至臨无咎”, 位當也. 六五, 知臨, 大君之宜, 吉. 象曰, 大君之宜, 行中之謂也. 上六, 敦臨, 吉, 无.. 2016. 12. 10.
18 산풍고(山風蠱) 산과바다 周易(易經)주역(역경) HOME 周易上經(주역상경) 18 산풍고(山風蠱) 고(蠱 ☶☴) : 부패와 혼란의 형상이다. 화근을 끊기 위해 노력하면 길이 열린다. 蠱元亨, 利涉大川, 先甲三日, 後甲三日. 彖曰, 蠱, 剛上而柔下, 巽而止蠱. 蠱, 元亨而天下治也. “利涉大川”, 往 有事也. “先甲三日, 後甲三日”, 終則有始, 天行也. 象曰, 山下有風, 蠱, 君子以振民育德. 初六, 幹父之蠱, 有子考, 无咎, 厲終吉. 象曰, “幹父之蠱”, 意承考也. 九二, 幹母之蠱, 不可貞. 象曰, “幹母之蠱”, 得中道也. 九三, 幹父之蠱, 小有悔, 无大咎. 象曰, “幹父之蠱”, 終无咎也. 六四, 裕父之蠱, 往見吝. 象曰, “裕父之蠱”, 往未得也. 六五, 幹父之蠱, 用譽. 象曰, “幹父用譽”, 承以德也. 上九, 不事王侯, .. 2016. 12. 10.
17 택뇌수(澤雷隨) 산과바다 周易(易經)주역(역경) HOME 周易上經(주역상경) 17 택뇌수(澤雷隨) 수(隧 ☱☳) : 시들어 가는 가을이다. 자신을 억제하고 남에게 따르는 마음이 중요하다. 힘을 안으로 축적해야 한다. 隨元亨, 利貞无咎. 彖曰, 隨, 剛來而不柔, 動而說. 隨, 大亨, 貞无咎, 而天下隨時. 隨時之義 大矣哉! 象曰, 澤中有雷, 隨, 君子以嚮晦入宴息. 初九, 官有渝, 貞吉, 出門交有功. 象曰, “官有渝”, 從正吉也, “出門交有功”, 不失也. 六二, 係小子, 失丈夫. 象曰, “係小子”, 弗兼與也. 六三, 係丈夫, 失小子, 隨有求得, 利居貞. 象曰, “係丈夫”, 志舍下也. 九四, 隨有獲, 貞凶, 有孚在道, 以明, 何咎! 象曰, “隨有獲”, 其義凶也, “有孚在道”, 明功也. 九五, 孚于嘉, 吉. 象曰, “孚於嘉吉”,.. 2016. 12. 10.
16 뇌지예(雷地豫) 산과바다 周易(易經)주역(역경) HOME 周易上經(주역상경) 16 뇌지예(雷地豫) 예(豫 ☳☷) : 춘뢰(春雷)의 계절이다. 오랜 겨울이 끝나고 다시 활동할 때가 왔다. 豫, 利建侯行師. 彖曰, 豫, 剛應而志行, 順以動, 豫. 豫, 順以動, 故天地如之, 而況建侯 行師乎? 天地, 以順動, 故日月不過, 而四時不忒, 聖人以順動, 則刑罰淸 而民服. 豫之時義大矣哉. 象曰, 雷出地奮, 豫, 先王以作樂崇德, 殷薦之上帝, 以配祖考. 初六, 鳴豫, 凶. 象曰, 初六“鳴豫”, 志窮凶也. 六二, 介于石, 不終日, 貞吉. 象曰, “不終日貞吉”, 以中正也. 六三, 盱豫悔, 遲有悔. 象曰, “盱豫有悔”, 位不當也. 九四, 由豫, 大有得, 勿疑, 朋盍簪. 象曰, “由豫大有得”, 志大行也. 六五, 貞疾, 恒不死. 象曰, 六五“貞疾”.. 2016. 12. 10.
15 지산겸(地山謙) 산과바다 周易(易經)주역(역경) HOME 周易上經(주역상경) 15 지산겸(地山謙) 겸(謙 ☷☶) : 겸허, 겸양의 필요성을 말한다. 자신을 비우고, 남에게 양보할 때 길이 열린다. 謙亨, 君子有終. 彖曰, 謙亨. 天道下濟而光明, 地道卑而上行. 天道虧盈而益謙, 地道變 盈而流謙, 鬼神害盈而福謙, 人道惡盈而好謙. 謙尊而光, 卑而不可踰, 君 子之終也. 象曰, 地中有山, 謙, 君子以裒多益寡, 稱物平施. 初六, 謙謙君子, 用涉大川, 吉. 象曰, “謙謙君子”, 卑以自牧也. 六二, 鳴謙, 貞吉. 象曰, “鳴謙貞吉”, 中心得也. 九三, 勞謙, 君子有終, 吉. 象曰, 勞謙君子, 萬民服也. 六四, 无不利, 撝謙. 象曰, “无不利撝謙”, 不違則也. 六五, 不富, 以其鄰利用侵伐, 无不利. 象曰, “利用征伐”, 征不服也. 上六,.. 2016. 12. 10.
14 화천대유(火天大有) 산과바다 周易(易經)주역(역경) HOME 周易上經(주역상경) 14 화천대유(火天大有) 대유(大有 ☲☰) : 중천에 올라온 태양과 같은 형상이다. 성대하고 풍성함을 나타낸다. 적극적으로 행동해야 할 때이다. 大有, 元亨. 彖曰, “大有”, 柔得尊位大中, 而上下應之, 曰大有. 其德剛健而文明, 應 乎天而時行, 是以元亨. 象曰, 火在天上, “大有”, 君子以遏惡揚善, 順天休命. 初九, 无交害, 匪咎, 艱則无咎. 象曰, 大有初九, 无交害也. 九二, 大車以載, 有攸往, 无咎. 象曰, “大車以載”, 積中不敗也. 九三, 公用亨于天子, 小人弗克. 象曰, 公用亨于天子, 小人害也. 九四, 匪其彭, 无咎. 象曰, “匪其彭无咎”, 明辯晢也. 六五, 厥孚交如, 威如, 吉. 象曰, “厥孚交如”, 信以發志也, “威如之吉”, 易而无備也.. 2016. 12. 10.
13 천화동인(天火同人) 산과바다 周易(易經)주역(역경) HOME 周易上經(주역상경) 13 천화동인(天火同人) 동인(同人 ☰☲) : 풍성한 지성과 건실한 실행력을 나타낸다. 널리 협력자를 구하면 길하다. 同人于野, 亨, 利涉大川, 利君子貞. 彖曰, “同人”, 柔得位得中而應乎乾, 曰同人. 同人曰“同人于野, 亨, 利涉 大川”, 乾行也. 文明以健, 中正而應, 君子正也. 唯君子爲能通天下之志. 象曰, 天與火, 同人, 君子以類族辨物. 初九, 同人于門, 无咎. 象曰, 出門同人, 又誰咎也! 六二, 同人于宗, 吝. 象曰, “同人于宗”, 吝道也. 九三, 伏戎于莽, 升其高陵, 三歲不興. 象曰, “伏戎于莽”, 敵剛也, “三歲不興”, 安行也? 九四, 乘其墉, 弗克攻, 吉. 象曰, “乘其墉”, 義弗克也, 其“吉”, 則困而反則也. 九五, 同人, 先號咷, .. 2016. 12. 10.
12 천지비(天地丕) 산과바다 周易(易經)주역(역경) HOME 周易上經(주역상경) 12 천지비(天地丕) 비(丕 ☰☷) : 불안정하고 엇갈리는, 막다른 골목에 처한 형상이다. 겉은 그럴듯하지만 속은 여물지 못했다. 丕之匪人, 不利, 君子貞, 大往小來. 彖曰, “丕之匪人, 不利, 君子貞, 大往小來.” 則是天地不交而萬物不通也, 上下不交而天下无邦也. 內陰而外陽, 內柔而外剛, 內小人而外君子, 小人 道長, 君子道消也. 象曰, 天地不交, “丕”, 君子以儉德辟難, 不可榮以祿. 初六, 拔茅茹, 以其彙, 貞吉, 亨. 象曰, “拔茅貞吉”, 志在君也. 六二, 包承, 小人吉, 大人丕, 亨. 象曰, “大人丕, 亨”, 不亂羣也. 六三, 包羞. 象曰, “包羞”, 位不當也. 九四, 有命无咎, 疇離祉. 象曰, 有命无咎, 志行也. 九五, 休丕, 大人吉, 其亡.. 2016. 12. 10.
11 지천태(地天泰) 산과바다 周易(易經)주역(역경) HOME 周易上經(주역상경) 11 지천태(地天泰) 태(泰 ☷☰) : 화합과 안정을 나타내는 이상적인 형상이다. 다만, 대길은 흉으로 바뀌니 스스로 자제할 필요가 있다. 泰小往大來, 吉亨. 彖曰, “泰小往大來吉亨.” 則是天地交而萬物通也, 上下交而其志同 也. 內陽而外陰, 內健而外順, 內君子而外小人, 君子道長, 小人道消也. 象曰, 天地交, 泰, 后以財成天地之道, 輔相天地之宜, 以左右民. 初九, 拔茅茹, 以其彙, 征吉. 象曰, 拔茅征吉, 志在外也. 九二, 包荒, 用馮河, 不遐遺, 朋亡, 得尙于中行. 象曰, “包荒”, “得尙于中行”, 以光大也. 九三, 无平不陂, 无往不復, 艱貞无咎, 勿恤其孚, 于食有福. 象曰, “无往不復”, 天地際也. 六四, 翩翩, 不富, 以其鄰不戒以孚. 象曰, .. 2016. 12. 10.
10 천택리(天澤履) 산과바다 周易(易經)주역(역경) HOME 周易上經(주역상경) 10 천택리(天澤履) 이(履 ☰☱) : 호랑이 꼬리를 밟은 것과 같은 위험한 괘이다. 자신의 처지를 잘 알고 착실하게 나아가야 한다. 履虎尾, 不咥人, 亨. 彖曰, “履”, 柔履剛也, 說而應乎乾, 是以“履虎尾, 不咥人, 亨”. 剛中正, 履帝位而不疚, 光明也. 象曰, 上天下澤, “履”, 君子以辯上下, 定民志. 初九, 素履, 往无咎. 象曰, “素履之往”, 獨行願也. 九二, 履道坦坦, 幽人貞吉. 象曰, “幽人貞吉”, 中不自亂也. 六三, 眇能視, 跛能履, 履虎尾咥人, 凶, 武人爲于大君. 象曰, “眇能視”, 不足以有明也, “跛能履”, 不足以與行也, “咥人之凶”, 位不當也, “武人爲於大君”, 志剛也. 九四, 履虎尾, 愬愬, 終吉. 象曰, “愬愬終吉”, 志.. 2016. 12. 9.
09 풍천소축(風天小畜) 산과바다 周易(易經)주역(역경) HOME 周易上經(주역상경) 09 풍천소축(風天小畜) 소축(小畜 ☴☰) : 외유내강의 형상이다. 내재하는 강인함을 함부로 발산해서는 안 된다. 정체된 상황을 견뎌야 한다. 小畜, 亨, 密雲不雨, 自我西郊. 象曰, “小畜”, 柔得位而上下應之, 曰小畜. 健而巽, 剛中而志行, 乃亨. “密雲不雨”, 尙往也, “自我西郊”, 施未行也. 象曰, 風行天上, “小畜”, 君子以懿文德. 小畜亨(소축형) : 은 형통하니 密雲不雨(밀운불우) : 빽빽한 구름에 비가 오지 않은 것은 自我西郊(자아서교) : 우리 서쪽 교외에 머물러있다. 彖曰(단왈) : 단에 가로대, 小畜(소축) : 소축은 柔得位(유득위) : 유(柔)가 제자리를 얻음에 而上下應之曰小畜(이상하응지왈소축) : 위와 아래가 응하니 소축이라.. 2016. 12. 9.
08 수지비(水地比) 산과바다 周易(易經)주역(역경) HOME 周易上經(주역상경) 08 수지비(水地比) 비(比 ☵☷) : 친화하는 마음으로 많은 협력을 얻어 순조롭다. 여성인 경우에는 연적이 나타나 위험하다. 比, 吉. 原筮, 元永貞, 无咎. 不寧方來, 後夫凶. 彖曰, 比, 吉也, 比, 輔也, 下順從也. “原筮, 元永貞, 无咎”, 以剛中也. “不寧方來”, 上下應也. “後夫凶”, 其道窮也. 象曰, 地上有水, 比, 先王以建萬國, 親諸侯. 比吉(비길) : 는 길하니 原筮(원서) : 처음 점을 하되 元永貞無咎(원영정무구) : 크고 장구하고 정도들 얻게 될 때허물이 없으리라. 不寧方來(불녕방래) : 편하지 못하여야 바야흐로 돌아오니, 後夫凶(후부흉) : 뒤에 돌아오면 대장부라도 흉하리라. 彖曰(단왈) : 단에 가로대, 比吉也(비길야).. 2016. 12. 9.
07 지수사(地水師) 산과바다 周易(易經)주역(역경) HOME 周易上經(주역상경) 07 지수사(地水師) 사(師 ☷☵) : 싸움에 임할 때는 대의를 밝히고, 부하의 마음을 사로잡아야 한다. 師, 貞, 丈人吉, 无咎. 彖曰, 師, 衆也, 貞, 正也. 能以衆正, 可以王矣. 剛中而應,, 行險而順, 以 此毒天下, 而民從之, 吉又何咎矣! 象曰, 地中有水, 師, 君子以容民畜衆. 師貞(사정) : 는 바르게 함이니, 丈人吉無咎(장인길무구) : 장인이라야 길하고 허물이 없으리라. 彖曰(단왈) : 단에 가로대, 師眾也(사중야) : 사는 무리를 말함이요 貞正也(정정야) : 정은 정의이니 能以眾正(능이중정) : 능히 무리를 바르게 하면 可以王矣(가이왕의) : 왕이 될 수 있으리라. 剛中而應(강중이응) : 양강이 중정의 도를 지키면서 응하고 行險而順.. 2016. 12. 9.
06 천수송(天水訟) 산과바다 周易(易經)주역(역경) HOME 周易上經(주역상경) 06 천수송(天水訟) 송(訟 ☰☵) : 다툼으로 고통을 받는다. 무익한 고집을 버리고 협조하는 마음을 가져야 한다. 訟, 有孚窒惕, 中吉, 終凶, 利見大人, 不利涉大川. 彖曰, 訟, 上剛下險, 險而健, 訟. “訟, 有孚窒惕, 中吉”, 剛來而得中也. “終凶”, 訟不可成也. “利見大人”, 尙中正也. “不利涉大川”, 入于淵也. 象曰, 天與水違行, 訟, 君子以作事謀始. 初六, 不永所事, 小有言, 終吉. 象曰, “不永所事”, 訟不可長也, 雖“小有言”, 其辯明也. 九二, 不克訟, 歸而逋, 其邑人三百戶, 无眚. 象曰, “不克訟, 歸逋竄也”, 自下訟上, 患至掇也. 六三, 食舊德, 貞厲, 終吉, 或從王事, 无成. 象曰, 食舊德, 從上吉也. 九四, 不克訟, 復卽.. 2016. 12. 9.
05 수천수(水天需) 산과바다 周易(易經)주역(역경) HOME 周易上經(주역상경) 05 수천수(水天需) 수(需 ☵☰) : 위험을 앞에 두고 은인자중하는 형상이다. 때가 올 때까지 예기를 닦으며 기다려야 한다. 需 有孚, 光亨貞吉, 利涉大川. 彖曰, “需”, 須也, 險在前也, 剛健而不陷, 其義不困窮矣. “需, 有孚, 光 亨, 貞吉, 位乎天位”, 以正中也. “利涉大川”, 往有功也. 象曰, 雲上于天, 需, 君子以飮食宴樂. 初九, 需于郊, 利用恒, 无咎. 象曰, “需于郊”, 不犯難行也, “利用恒无咎”, 未失常也. 九二, 需于沙, 小有言, 終吉. 象曰, “需于沙”, 衍在中也, 雖小有言, 以終吉也. 九三, 需于泥, 致寇至. 象曰, “需于泥”, 災在外也, 白我致寇, 敬愼不敗也. 六四, 需于血, 出自穴. 象曰, “需于血”, 順以聽也. 九五.. 2016. 12.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