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산에는 꽃이 피네
易經(周易)/주역상경(周易上經)

07 지수사(地水師)

by 산산바다 2016. 12. 9.

산과바다

周易(易經)주역(역경) HOME

 

 

周易上經(주역상경)

 

 07 지수사(地水師)

 

(☷☵) : 싸움에 임할 때는 대의를 밝히고, 부하의 마음을 사로잡아야 한다.

 

 

, , 丈人吉, 无咎.

彖曰, , 衆也, , 正也. 能以衆正, 可以王矣. 剛中而應,, 行險而順, 以 此毒天下, 而民從之, 吉又何咎矣!

象曰, 地中有水, , 君子以容民畜衆.

 

師貞(사정) : <>는 바르게 함이니,

丈人吉無咎(장인길무구) : 장인이라야 길하고 허물이 없으리라.

 

彖曰(단왈) : 단에 가로대,

師眾也(사중야) : 사는 무리를 말함이요

貞正也(정정야) : 정은 정의이니

能以眾正(능이중정) : 능히 무리를 바르게 하면

可以王矣(가이왕의) : 왕이 될 수 있으리라.

 

剛中而應(강중이응) : 양강이 중정의 도를 지키면서 응하고

行險而順(행험이순) : 험한 일을 행하여도 순조로우니

以此毒天下(이차독천하) : 이로써 천하를 괴롭혀도

而民從之(이민종지) : 백성이 따르니

吉又何咎矣(길우하구의) : 길하니 또 무슨 허물이리요.

 

象曰(상왈) : 상에 가로대,

地中有水師(지중유수사) : 대지 가운데 물이 있으니 사()의 형상이다

君子以容民畜眾(군자이용민축중) : 군자가 이로써 백성을 포용하고 민중을 길러야 한다.

 

 

初六, 師出以律, 否臧凶.

象曰, “師出以律”, 失律凶也.

九二, 在師, 中吉, 无咎, 王三錫命.

象曰, “在師中吉”, 承天寵也, “王三錫命”, 懷萬邦也.

六三, 師或輿尸, .

象曰, “師或輿尸”, 大无功也.

六四, 師左次, 无咎.

象曰, “左次无咎”, 未失常也.

六五, 田有禽, 利執言, 无咎, 長子帥師, 弟子輿尸, 貞凶.

象曰, “長子帥師”, 以中行也, “弟子輿尸”, 使不當也.

上六, 大君有命, 開國承家, 小人勿用.

象曰, “大君有命”, 以正功也, “小人勿用”, 必亂邦也.

 

初六(초육) : 초육은

師出以律(사출이률) : 군사가 아나가는데 율령으로써 함이니,

否臧凶(부장흉) : 그렇지 아니하면 착하더라도 흉하느니라.

 

象曰(상왈) : 상에 가로대

師出以律(사출이률) : 군사가 출장함에 기율이 있어야 하니

失律凶也(실률흉야) : 율령을 잃으면 흉하리라.

 

九二(구이) : 구이는

在師中(재사중) : 군에 있어서 중도를 지켜야

吉無咎(길무구) : 길하고 허물이 없을 것이니

王三錫命(왕삼석명) : 왕이 세 번 포상의 명을 내릴 것이다

 

象曰(상왈) : 상에 가로대,

在師中吉(재사중길) : 군에 있어 중도를 지켜 길함은

承天寵也(승천총야) : 하늘의 은총을 이음이요,

王三錫命(왕삼석명) : 왕이 세 번 포상의 명을 내림은

懷萬邦也(회만방야) : 만방을 품음이라.

 

六三(육삼) : 육삼은

師或輿尸凶(사혹여시흉) : 군사가 시체를 수레에 싣고 돌아오니 흉하리라.

 

象曰(상왈) : 상에 가로대,

師或輿尸(사혹여시) : 군사가 시체를 수레에 싣고 돌아오니

大無功也(대무공야) : 크게 공이 없으리라.

 

六四(륙사) : 육사는

師左次無咎(사좌차무구) : 군사가 진영으로 물러나는 것이니, 허물이 없도다.

 

象曰(상왈) : 상에 가로대,

左次無咎未失常也(좌차무구미실상야) : '좌차무구'는 떳떳함을 잃음이 아니라.

 

六五(육오) : 육오는

田有禽(전유금) : 밭에 새가 있거든,

利執言(리집언) : 말을 받드는 것이 이로우니

無咎(무구) : 허물이 없으리라.

 

長子帥師(장자수사) : 장자가 군사를 거느리나

弟子輿尸(제자여시) : 제자가 시체를 수레에 실으리라

貞凶(정흉) : 바르게 하더라도 흉하리라.

 

象曰(상왈) : 상에 가로대,

長子帥師(장자수사) : '장장솔사'

以中行也(이중행야) : 중으로써 행해야 하며

弟子輿尸(제자여시) : '제자여시'

使不當也(사불당야) : 부림이 마땅치 않게 부림이라.

 

上六(상륙) : 상육은

大君有命(대군유명) : 대군이 명령을 내려

開國承家(개국승가) : 나라를 열고, 가문을 잇는데

小人勿用(소인물용) : 소인을 쓰지 말지니라.

 

象曰(상왈) : 상에 가로대,

大君有命(대군유명) : '대군유명'

以正功也(이정공야) : 공을 바르게 해야 하기 때문이다

小人勿用(소인물용) : '소인물용'

必亂邦也(필란방야) : 반드시 나라를 어지럽히기 때문이라

 

 

 

 

산과바다 이계도

'易經(周易) > 주역상경(周易上經)' 카테고리의 다른 글

09 풍천소축(風天小畜)  (0) 2016.12.09
08 수지비(水地比)  (0) 2016.12.09
06 천수송(天水訟)  (0) 2016.12.09
05 수천수(水天需)  (0) 2016.12.09
04 산수몽(山水蒙)  (0) 2016.12.09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