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詩 ***2701 梵天寺見僧守詮小詩淸婉可愛次韻(범천사견승수전소시청완가애차운) : 소식(蘇軾) 산과바다 蘇軾 詩 HOME 梵天寺見僧守詮小詩淸婉可愛次韻(범천사견승수전소시청완가애차운) : 소식(蘇軾) 범천사에서 수전 스님의 짤막한 시를 보니 맑고 아름답고 사랑스러워 이에 차운한다. 但聞煙外鐘,不見煙中寺。幽人行未已,草露濕芒屨。惟應山頭月,夜夜照來去。 但聞烟外鐘(단문연외종) : 안개 밖으로 종소리만 들리고 不見烟中寺(불견연중사) : 안개 속 절은 보이지 않네 幽人行未已(유인행미이) : 산중의 스님은 다니기를 그만두지 않는데 草露濕芒屨(초로습망구) : 풀에 맺힌 이슬에 짚신만 젖네 惟應山頭月(유응산두월) : 오직 산머리에 걸린 달만이 夜夜照來去(야야조래거) : 밤마다 오고 가는 스님 비춰주네. * 수전 스님의 詩는 다음과 같다. 落日寒蟬鳴(낙일한선명) : 석양에 가을 매미 울어대는데 獨歸林下寺(독귀임하사) .. 2022. 9. 16. 和陳述古拒霜花(화진술고거상화) : 소식(蘇軾) 산과바다 蘇軾 詩 HOME 和陳述古拒霜花(화진술고거상화) : 소식(蘇軾) 거상화를 노래한 진술고의 시에 화답하여 千林掃作一番黃,只有芙蓉獨自芳。喚作拒霜知未稱,細思卻是最宜霜。 千林掃作一番黃(천림소작일번황) :숲마다 붓을 휘둘러 온통 노란색인데 只美芙蓉獨自芳(지미부용독자방) : 목부용만 혼자서 향기를 뿜네. 喚作拒霜知未稱(환작거상지미칭) : 거상화라 부르는 게 안 어울리는 줄 알았더니 細思却是最宜霜(세사각시최의상) : 곰곰이 생각해 보니 서리와 가장 잘 어울리네. * 거상화(拒霜花 서리를 물리치는 꽃)는 아욱과에 속하는 낙엽반관목(落葉半灌木)으로 부용화(芙蓉花)라고도 한다. * 진술고(陳述古)이야기 용육(龍肉)은 용고기로, 소식(蘇軾)이 일찍이 진술고(陳述古)와 더불어 이야기를 나누었는데, 진술고는 담론하기를.. 2022. 9. 16. 和沈立之留別二首(화심입지유별이수) : 소식(蘇軾) 산과바다 蘇軾 詩 HOME 和沈立之留別二首(화심입지유별이수) : 소식(蘇軾) 작별의 정을 노래한 심입지의 시에 화답하여 而今父老千行淚,一似當時初去時。不用鐫碑頌遺愛,丈人清德畏人知。 臥聞鐃鼓送歸サ,夢裏匆匆共一觴。試問別來愁幾許,春江萬斛若為量。 其一 而今父老千行淚(이금부노천행루) : 어르신들 지금 흘리는 천 줄기 눈물은 一似當時去越時(일사당시거월시) : 하나같이 월주를 떠나던 그 당시 같네. 不用鐫碑頌遺愛(불용전비송유애) : 비석을 새겨 자애로움을 칭송할 필요가 없나니 丈人淸德畏人知(장인청덕외인지) : 저 어른의 청렴한 덕은 남이 알까 두려워한다네. 其二 臥聞鐃鼓送歸艎(와문뇨고송귀황) : 돌아가는 배 전송하는 징소리 북소리 누워서 듣고 夢裏悤悤共一觴(몽리총총공일상) : 꿈속에서 총총히 함께 한잔 기울였네. 試問.. 2022. 9. 16. 八月十七復登望海樓自和前篇是日榜出余與試官兩人復留五首(팔월십칠복등망해루자화전편시일방출여여시관양인복류오수) : 소식(蘇軾) 산과바다 蘇軾 詩 HOME 八月十七復登望海樓自和前篇是日榜出余與試官兩人復留五首(팔월십칠복등망해루자화전편시일방출여여시관양인복류오수) : 소식(蘇軾) 8월 17일 망해루에 다시 올라서 전편을 스스로 화답하여 이날 과거시험의 방이 나붙었으므로 내가 고시관 두 사람과 함께 다시 다섯 수를 남긴다. 樓上煙雲怪不來,樓前飛紙落成堆。非關文字須重看,卻被江山未收回。 眼昏燭暗細行斜,考閱精強外已誇。明日失懷君莫怪,早知安足不成蛇。 亂山遮曉擁千層,睡美初涼撼不應。昨夜酒行君屢嘆,定知歸夢到吳興。 天臺桂子為誰香,倦聽空階夜點涼。賴有明朝看潮在,萬人空巷鬥新妝。 秋花不見眼花紅,身在孤舟兀兀中。細雨作寒知有意,未教金菊出蒿蓬。 其一 樓上烟雲怪不來(누상연운괴불래) : 누각 위의 안개와 구름이 우리가 안 옴을 괴이하게 생각했겠지만 樓前飛紙落成堆(누전비지락성.. 2022. 9. 16. 催試官考較戲作(최시관고교희작) : 소식(蘇軾) 산과바다 蘇軾 詩 HOME 催試官考較戲作(최시관고교희작) : 소식(蘇軾) 고시관들의 채점을 독려하여 장남 삼아 짓는다 八月十五夜,月色隨處好。不擇茅檐與市樓,況我官居似蓬島。 鳳咮堂前野桔香,劍潭橋畔秋荷老。八月十八潮,壯觀天下無。 鯤鵬水擊三千里,組練長驅十萬夫。紅旗青蓋互明滅,黑沙白浪相吞屠。 人生會合古難必,此景此行那兩得。願君聞此添蠟燭,門外白袍如立鵠。 八月十五夜(팔월십오야) : 중추가절 팔월이라 보름날 밤에 月色隨處好(월색수처호) : 가는 곳마다 달빛이 너무나 좋아 不擇茅簷與市樓(불택모첨여시루) : 초가의 처마 도시의 누각 구별 없이 비추는데 況我官居似蓬島(황아관거사봉도) : 더군다나 우리 관청은 봉래도와 같네. 鳳味堂前野橘香(봉미당전야귤향) : 봉주당 앞 야생 귤은 향내를 뿜고 劍潭橋畔秋荷老(검담교반추하노) : 검담.. 2022. 9. 16. 八月十日夜看月有懷子由並崔度賢良(팔월십일야간월유회자유병최도현량) : 소식(蘇軾) 산과바다 蘇軾 詩 HOME 八月十日夜看月有懷子由並崔度賢良(팔월십일야간월유회자유병최도현량) : 소식(蘇軾) 8월 10일 밤에 달구경을 하다가 자유와 최도 현량이 그리워져서 宛丘先生自不飽,更笑老崔窮百巧。一更相過三更歸,古柏陰中看參昴。 去年舉君苜蓿盤,夜傾閩酒赤如丹。今年還看去年月,露冷遙知范叔寒。 典衣自種一頃豆,那知積雨生科斗。歸來四壁草蟲鳴,不如王江長飲酒。 宛丘先生自不飽(완구선생자불포) : 완구 선생은 자신도 배불리 먹지를 못하면서 更笑老崔窮白巧(갱소로최궁백교) : 늙은 최 씨가 온갖 재주 다 부림을 더 비웃겠네. 一更相過三更歸(일갱상과삼갱귀) : 일경에 찾아갔다가 삼경에 돌아오며 古柏陰中看參昴(고백음중간삼묘) : 늙은 측백 그늘에서 삼성과 묘수를 보겠네. 去年擧君苜蓿盤(거년거군목숙반) : 작년에 그대의 거여목 쟁반.. 2022. 9. 16. 李公擇求黃鶴樓詩因記舊所聞於馮當世者(이공택구황학루시인기구소문어풍당세자) : 소식(蘇軾) 산과바다 蘇軾 詩 HOME 李公擇求黃鶴樓詩因記舊所聞於馮當世者(이공택구황학루시인기구소문어풍당세자) : 소식(蘇軾) 이공택이 황학루를 읊은 시를 요구하여 옛날에 풍당세에게 들었던 것을 적는다 黃鶴樓前月滿川,抱關老卒饑不眠。夜聞三人笑語言,羽衣著屐響空山。 非鬼非人意其仙,石扉三叩聲清圓。洞中鏗鈜落門關,縹緲入石如飛煙。 雞鳴月落風馭還,迎拜稽首願執鞭。汝非其人骨腥膻,黃金乞得重莫肩。 持歸包裹敝席氈,夜穿茅屋光射天。里閭來觀已變遷,似石非石鉛非鉛。 或取而有眾忿喧,訟歸有司今幾年。無功暴得喜欲顛,神人戲汝真可憐。 願君為考然不然,此語可信馮公傳。 黃鶴樓前月滿川(황학루전월만천) : 황학루 앞 넓은 강에 달빛이 가득할 때 抱關老卒飢不眠(포관노졸기불면) : 관문지기 늙은 병졸은 배가 고파 잠 못 이루네. 夜聞三人笑語言(야문삼인소어언) : 밤중에 세.. 2022. 9. 16. 孫莘老求墨妙亭詩(손신노구묵묘정시) : 소식(蘇軾) 산과바다 蘇軾 詩 HOME 孫莘老求墨妙亭詩(손신노구묵묘정시) : 소식(蘇軾) 손신노가 묵묘정을 노래한 시를 요구하여 蘭亭繭紙入昭陵,世間遺跡猶龍騰。顏公變法出新意,細筋入骨如秋鷹。 徐家父子亦秀絕,字外出力中藏棱。嶧山傳刻典刑在,千載筆法留陽冰。 杜陵評書貴瘦硬,此諭未公吾不憑。短長肥瘠各有態,玉環飛燕誰敢憎。 吳興太守真好古,購買斷缺揮縑繒。龜跌入座螭隱壁,空齋晝靜聞登登。 奇蹤散出走吳越,勝事傳說誇友朋。書來乞詩要自寫,為把栗尾書溪藤。 後來視今猶視昔,過眼百世如風燈。他年劉郎憶賀監,還道同是須服膺。 蘭亭繭紙入昭陵(난정견지입소릉) : 견지에 쓴 ⟪난정집서⟫ 소릉 안에 묻혔지만 世間遺迹猶龍騰(세간유적유룡등) : 세상에 전하는 왕희지 필적 날아오르는 용과 같네. 顔公變法出新意(안공변법출신의) : 안진경이 창제한 서법 새로운 뜻을 드러내니 細筋.. 2022. 9. 16. 試院煎茶(시원전다) : 소식(蘇軾) 산과바다 蘇軾 詩 HOME 試院煎茶(시원전다) : 소식(蘇軾) 과거 시험장에서 차를 끓이며 蟹眼已過魚眼生,颼颼欲作松風鳴。蒙茸出磨細珠落,眩轉繞甌飛雪輕。 銀瓶瀉湯誇第二,未識古人煎水意。君不見昔時李生好客手自煎,貴從活火發新泉。 又不見今時潞公煎茶學西蜀,定州花瓷琢紅玉。我今貧病長苦饑,分無玉碗捧蛾眉。 且學公家作茗飲,磚爐石銚行相隨。不用撐腸拄腹文字五千卷,但願一甌常及睡足日高時。 蟹眼已過魚眼生(해안이과어안생) : 게 눈이 지나고 물고기 눈이 생기다가 颼颼欲作松風鳴(수수욕작송풍명) : 쏴아 하고 솔바람 소리 들려 오네. 蒙茸出磨細珠落(몽용출마세주락) : 맷돌에서 작은 구슬들이 잇달아 떨어지는데 眩轉遶甌飛雪輕(현전요구비설경) : 찻사발에는 빙글빙글 가벼운 눈이 휘날리는구나. 銀甁瀉湯誇第二(은병사탕과제이) : 은병에서 찻물을 부으며.. 2022. 9. 16. 望海樓晚景五絕(망해루만경오절) : 소식(蘇軾) 산과바다 蘇軾 詩 HOME 望海樓晚景五絕(망해루만경오절) : 소식(蘇軾) 망해루의 저녁 풍경 其一 海上濤頭一線來,樓前相顧雪成堆。從今潮上君須上,更看銀山二十回。 其二 橫風吹雨入樓斜,壯觀應須好句誇。雨過潮平江海碧,電光時掣紫金蛇。 其三 青山斷處塔層層,隔岸人家喚欲應。江上秋風晚來急,為傳鐘鼓到西興。 其四 樓下誰家燒夜香,玉笙哀怨弄初涼。臨風有客吟秋扇,拜月無人見晚妝。 其五 沙河燈火照山紅,歌鼓喧喧笑語中。為問少年心在否,角巾欹側鬢如蓬。 其一 海上濤頭一線來(해상도두일선래) : 바다 위의 파도 마루가 한 줄로 달려오니 樓前指顧雪成堆(누전지고설성퇴) : 누각 앞엔 순식간에 눈 더미가 쌓이네. 從今潮上君須上(종금조상군수상) : 지금부터 그대들은 조수 위에 올라가서 更看銀山二十回(갱간은산이십회) : 은빛 산을 스무 번은 더 보아야 한다네.. 2022. 9. 16. 監試呈諸試官(감시정제시관) : 소식(蘇軾) 산과바다 蘇軾 詩 HOME 監試呈諸試官(감시정제시관) : 소식(蘇軾) 과거시험을 감독하다가 여러 고시관에게 보이다 我本山中人,寒苦盜寸廩。文辭雖少作,勉強非天廩。 既得旋廢忘,懶惰今十稔。麻衣如再著,墨水真可飲。 每聞科詔下,白汗如流瀋。此邦東南會,多士敢題品。 芻蕘盡蘭蓀,香不數葵荏。貧家見珠貝,眩晃自難審。 緬懷嘉祐初,文格變已甚。千金碎全璧,百衲收寸錦。 調和椒桂釅,咀嚼沙礫磣。廣眉成半額,學步歸踔踸。 維時老宗伯,氣壓群兒凜。蛟龍不世出,魚鮪初驚淰。 至音久乃信,知味猶食椹。至今天下士,微管幾左衽。 謂當千載後,石室祠高朕。爾來又一變,此學初誰諗。 權衡破舊法,芻豢笑凡飪。高言追衛樂,篆刻鄙曹沈。 先生周孔出,弟子淵騫寢。卻顧老鈍軀,頑樸謝鐫鋟。 諸君況才傑,容我懶且噤。聊欲廢書眠,秋濤喧午枕。 我本山中人(아본산중인) : 나는 본래 산속에서 살던 사람이건만.. 2022. 9. 16. 和歐陽少師寄趙少師次韻(화구양소사기조소사차운) : 소식(蘇軾) 산과바다 蘇軾 詩 HOME 和歐陽少師寄趙少師次韻(화구양소사기조소사차운) : 소식(蘇軾) 태자소사 조개에게 부친 구양수의 시에 화답하여 차운한다. 朱門有遺啄,千里來燕雀。公家冷如冰,百呼無一諾。 平生親友半遷逝,公雖不怪旁人愕。世事如今臘酒濃,交情自古春雲薄。 二公凜凜和非同,疇昔心親豈貌從。白頭相映松間鶴,清句更酬雪裏鴻。 何日揚雄一廛足,卻追范蠡五湖中。 朱門有乳啄(주문유유탁) : 부잣집에는 먹다 남은 음식이 버려져 있고 千里來燕雀(천리래연작) : 천 리 밖 먼 곳에서 제비 참새 날아오네. 公家冷如氷(공가냉여빙) : 공의 집은 얼음처럼 냉랭하여서 百呼無一諾(백호무일락) : 백 번을 불러도 대답이 한 번도 없었다네. 平生親友半遷逝(평생친우반천서) : 평생의 친구 중에 절반이 떠나가니 公雖不怪傍人愕(공수불괴방인악) : 공은 괴.. 2022. 9. 16. 沈諫議召遊湖不赴(심간의소유호불부) : 소식(蘇軾) 산과바다 蘇軾 詩 HOME 沈諫議召遊湖不赴 明日得雙蓮於北山下作一絕 持獻沈既見和又別作一首 因用其韻(심간의소유호불부 명일득쌍련어북산하작일절 지헌침기견화우별작일수 인용기운) : 소식(蘇軾) 간의대부 심입이 호수에서 놀자고 부르는 것을 가지 않고 내일 북산 아래 쌍련을 얻어 1절을 짓고, 심입이 이미 보고 알려온 것에 화운하여 또 한 수를 짓다. 湖上棠陰手自栽,問公更得幾回來。水仙亦恐公歸去,故遣雙蓮一夜開。 詔書行捧縷金箋,樂府應歌相府蓮。莫忘今年花發處,西湖西畔北山前。 其一 湖上棠陰水自栽(호상당음수자재) : 호숫가의 팥배나무는 공이 손수 심은 것이고 問公更得幾回來(문공갱득기회래) : 공께서는 몇 번이나 다시 올 수 있겠오? 水仙亦恐公歸去(수선역공공귀거) : 공이 돌아가는 것 수선왕도 두려운지 故遺雙蓮一夜開(고유쌍련일야.. 2022. 9. 16. 答任師中次韻(답임사중차운) : 소식(蘇軾) 산과바다 蘇軾 詩 HOME 答任師中次韻(답임사중차운) : 소식(蘇軾) 임사중에게 답하여 차운하다 閑裏有深趣,常憂兒輩知。已成歸蜀計,誰惜買山貲。 世事久已謝,故人猶見思。平生不飲酒,對子敢論詩。 閑裏有深趣(한리유심취) : 한적한 가운데 깊은 운치가 있기에 常夏兒輩知(상하아배지) : 아이들이 이 운치를 알까 늘 걱정했네. 已成歸蜀計(이성귀촉계) : 촉으로 돌아갈 계책은 이미 완성되었건만 誰借買山貲(수차매산자) : 그 누가 산 살 돈을 빌려나 주려나? 世事久已謝(세사구이사) : 세속 일은 오래전에 이미 사절했는데 故人猶見思(고인유견사) : 옛 친구가 아직도 나를 생각해 주는구나. 平生不飮酒(평생불음주) : 나는 평소에 술을 마시지 않는데 對子敢論詩(대자감논시) : 그대 앞에선 감히 시를 논할 수 있겠나? 산과바다 이계도 2022. 9. 16. 焦千之求惠山泉詩(초천지구혜산천시) : 소식(蘇軾) 산과바다 蘇軾 詩 HOME 焦千之求惠山泉詩(초천지구혜산천시) : 소식(蘇軾) 초천지에게 혜산천에서 길어 온 샘물을 보내줄 것을 청하며 茲山定空中,乳水滿其腹。遇隙則發見,臭味實一族。 淺深各有值,方圓隨所蓄。或為雲洶湧,或作線斷續。 或鳴空洞中,雜佩間琴築。或流蒼石縫,宛轉龍鸞蹙。 瓶罌走四海,真偽半相瀆。貴人高宴罷,醉眼亂紅綠。 赤泥開方印,紫餅截圓玉。傾甌共嘆賞,竊語笑僮僕。 豈如泉上僧,盥灑自挹掬。故人憐我病,蒻籠寄新馥。 欠伸北窗下,晝睡美方熟。精品厭凡泉,願子致一斛。 玆山定空中(자산정공중) : 이 산은 틀림없이 가운데가 텅텅 비어 乳水滿其腹(유수만기복) : 배 안에 젖이 가득 들어 있을 거네. 遇隙則發見(우극칙발견) : 틈새를 만나면 겉으로 나타나는데 臭味實一族(취미실일족) : 그 맛은 실로 한 가지네. 淺深各有値(천심각유치) .. 2022. 9. 16. 夜泛西湖五絕(야범서호오절) : 소식(蘇軾) 산과바다 蘇軾 詩 HOME 夜泛西湖五絕(야범서호오절) : 소식(蘇軾) 밤에 서호에 배를 띄우고 新月生魄跡未安,才破五六漸盤桓。今夜吐艷如半璧,遊人得向三更看。 三更向闌月漸垂,欲落未落景特奇。明朝人事誰料得,看到蒼龍西沒時。 蒼龍已沒牛斗橫,東方芒角升長庚。漁人收筒及未曉,船過惟有菇蒲聲。 菇蒲無邊水茫茫,荷花夜開風露香。漸見燈明出遠寺,更待月黑看湖光。 湖光非鬼亦非仙,風恬浪靜光滿川。須臾兩兩入寺去,就視不見空茫然。 其一 新月生魄迹未安(신월생백적미안) : 초승달은 그늘이 생기고 지나는 자취가 불안한데 纔破五六慚盤桓(재파오육참반환) : 초닷새 엿새를 지나자 차츰 배회하기 시작했네. 今夜吐艶如半壁(금야토염여반벽) : 오늘 밤은 아름다움을 토해 절반의 벽옥인 듯 游人得向三更看(유인득향삼경간) : 나그네 이 몸이 삼경이 되도록 바라보고 있네.. 2022. 9. 16. 宿望湖樓再和(숙망호루재화) : 소식(蘇軾) 산과바다 蘇軾 詩 HOME 宿望湖樓再和(숙망호루재화) : 소식(蘇軾) 망호루에서 자면서 다시 화답하여 新月如佳人,出海初弄色。娟娟到湖上,瀲瀲搖空碧。 夜涼人未寢,山靜聞響屐。騷人故多感,悲秋更憀慄。 君胡不相就,朱墨紛黝赤。我行得所嗜,十日忘家宅。 但恨無友生,詩病莫訶詰。君來試吟詠,定作鶴頭側。 改罷心愈疑,滿紙蛟蛇黑。 新月如佳人(新月如佳人) : 아름다운 여인처럼 생긴 초승달 出海初弄色(出海初弄色) : 비로소 바다 위로 고운 빛을 드러내네. 娟娟到湖上(娟娟到湖上) : 어여쁘게 호수로 올라와서는 瀲瀲搖空碧(瀲瀲搖空碧) : 맑고 푸른 수면에서 넘실넘실 흔들리네 夜凉人未寢(夜凉人未寢) : 밤공기 서늘하여 아직 잠이 안 드는데 山靜聞響屐(山靜聞響屐) : 고요한 산속에서 나막신 소리만 울리네 騷人故多感(騷人故多感) : 시인은 예로.. 2022. 9. 16. 自徑山回得呂察推詩用其韻招之宿湖上(자경산회득여찰추시용기운초지숙호상) : 소식(蘇軾) 산과바다 蘇軾 詩 HOME 自徑山回得呂察推詩用其韻招之宿湖上(자경산회득여찰추시용기운초지숙호상) : 소식(蘇軾) 경산에서 돌아와 관찰추관 여중보가 보낸 시를 읽고 난 뒤에 그 시를 차운하여 서호에서 만나 함께 지낼 것을 청하는 시를 짓다 多君貴公子,愛山如愛色。心隨葉舟去,夢繞千山碧。 新詩到中路,令我喜折屐。古來軒冕徒,操舍兩悲慄。 數朝辭簪笏,兩腳得暫赤。歸來不入府,卻走湖上宅。 寵辱吾久忘,寧畏官長詰。飄然便欲去,誰在子思側。 君能從我遊,出郭及未黑。 多君貴公子(다군귀공자) : 그대는 귀한 집 자손인데다 愛山如愛色(애산여애색) : 여색을 좋아하듯 산을 좋아하는구려 心隨葉舟去(심수엽주거) : 마음은 일엽편주를 따라 시골로 내려가서 夢繞千山碧(몽요천산벽) : 꿈속에 수많은 청산을 맴돌았겠네. 新詩到中路(신시도중로) : 일 마치.. 2022. 9. 16. 이전 1 ··· 22 23 24 25 26 27 28 ··· 15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