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과바다
自徑山回得呂察推詩用其韻招之宿湖上(자경산회득여찰추시용기운초지숙호상) : 소식(蘇軾)
경산에서 돌아와 관찰추관 여중보가 보낸 시를 읽고 난 뒤에 그 시를 차운하여 서호에서 만나 함께 지낼 것을 청하는 시를 짓다
多君貴公子,愛山如愛色。心隨葉舟去,夢繞千山碧。
新詩到中路,令我喜折屐。古來軒冕徒,操舍兩悲慄。
數朝辭簪笏,兩腳得暫赤。歸來不入府,卻走湖上宅。
寵辱吾久忘,寧畏官長詰。飄然便欲去,誰在子思側。
君能從我遊,出郭及未黑。
多君貴公子(다군귀공자) : 그대는 귀한 집 자손인데다
愛山如愛色(애산여애색) : 여색을 좋아하듯 산을 좋아하는구려
心隨葉舟去(심수엽주거) : 마음은 일엽편주를 따라 시골로 내려가서
夢繞千山碧(몽요천산벽) : 꿈속에 수많은 청산을 맴돌았겠네.
新詩到中路(신시도중로) : 일 마치고 오는 길에 보내준 시를 받고
今我喜折屐(금아희절극) : 너무나 기뻐서 나막신이 부러지게 하는구려
古來軒冕徒(고래헌면도) : 예로부터 초헌(軺軒)을 타고 면류관을 쓰는 이들이
操舍兩悲慄(조사양비율) : 권력을 쥐면 전률하고 놓으면 슬퍼했는데
數朝辭簪笏(수조사잠홀) : 그대는 몇 조대 동안 관직을 마다하셨으니
兩脚得暫赤(양각득잠적) : 잠시동안 맨발로 다닐 수가 있겠구려
歸來不入府(귀래부입부) : 나는 돌아오다가 관청으로 안 들어가고
却走湖上宅(각주호상택) : 도리어 호숫가의 집으로 달려가나니
寵辱吾久忘(총욕오구망) : 총애도 모욕도 잊은 지가 오래되었도다.
寧畏官長詰(영외관장힐) : 태수의 꾸지람을 어찌 두려워하리오?
飄然便歸去(표연편귀거) : 그대 이렇게 훌쩍 돌아가 버리면
誰在子思側(수재자사측) : 그 누가 자사 옆에 있어 주리오?
君能從我遊(군능종아유) : 그대 나를 따라 함께 놀 수 있다면
出郭及未黑(출곽급미흑) : 어두워지기 전에 성 밖으로 나와 주시오
* 徑山 : 항주성(杭州城) 서북쪽에 있다. 당조(唐朝) 때 창건된 경산사(徑山寺)는 항주에 있는 영은사(靈隱寺)와 정자사(淨慈寺), 영파(寧波)의 천동사(天童寺), 아육왕사(阿育王寺)와 함께 선원오산(禪院五山)으로 불렸다.
* 察推(찰추) : 관찰추관(觀察推官)의 약칭이다. 여기서 여찰추(呂察推)는 여중보(呂仲甫)를 가리킨다.
* 折屐(절극) : 미칠 듯이 기뻐하는 것을 가리킨다.
* 軒冕(헌면) : 벼슬에 올라 녹봉을 받는 것을 가리킨다.
* 操舍(조사) : 쥐는 것과 놓는 것을 가리킨다.
* 軺軒(초헌) : 종이품 이상의 벼슬아치가 따던 외바퀴 수레. 命車 木馬 軺車 軒軺
* 悲栗(비율) : 슬퍼하는 것을 가리킨다. 피리(觱篥)를 가리키는 돌궐어(beri)의 음역으로, 그 소리가 구슬퍼서 붙여진 말이다.
* 簪笏(잠홀) : 고대에 관리들이 쓰던 것으로 관(冠)에 꽂는 비녀와 손에 드는 판(版)을 가리킨다. 관직이나 관리를 가리킨다.
산과바다 이계도
'*** 詩 *** > 東坡居士 蘇軾 詩' 카테고리의 다른 글
夜泛西湖五絕(야범서호오절) : 소식(蘇軾) (0) | 2022.09.16 |
---|---|
宿望湖樓再和(숙망호루재화) : 소식(蘇軾) (0) | 2022.09.16 |
遊徑山(유경산) : 소식(蘇軾) (0) | 2022.09.16 |
宿臨安凈土寺(숙임안정토사) : 소식(蘇軾) (0) | 2022.09.15 |
宿餘杭法喜寺 寺後綠野亭望吳興諸山懷孫莘老學士(숙여항법희사 사후록야정망오흥제산회손신노학사) : 소식(蘇軾) (0) | 2022.09.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