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과바다
宿臨安凈土寺(숙임안정토사) : 소식(蘇軾)
임안의 정토사에서 묵으며
雞鳴發餘杭,到寺已亭午。參禪固未暇,飽食良先務。
平生睡不足,急掃清風宇。閉門群動息,香篆起煙縷。
覺來烹石泉,紫筍發輕乳。晚涼沐浴罷,衰髮稀可數。
浩歌出門去,暮色入村塢。微月半隱山,圓荷爭瀉露。
相攜石橋上,夜與故人語。明朝入山房,石鏡炯當路。
昔照熊虎姿,今為猿鳥顧。廢興何足弔,萬世一仰俯。
雞鳴發餘杭(계명발여항) : 닭이 울 때 여항을 출발했는데
到寺已亭午(도사이정오) : 절에 이르니 때가 벌써 정오가 다되었네.
參禪固未暇(참선고미가) : 참선할 겨를은 워낙 없나니
飽食良先務(포식양선무) : 배불리 먹는 것이 정말 급선무라네.
平生睡不足(평생수부족) : 평소에 늘 수면이 부족했기에
急掃淸風宇(급소청풍우) : 산들바람 부는 집을 서둘러서 청소했네.
閉門群動息(폐문군동식) : 문을 걸어 닫은 채 모든 동작을 멈췄는데
香篆起烟縷(향전기연루) : 향에서 하늘하늘 연기가 피어나네.
覺來烹石泉(각래팽석천) : 깨어나서 바위틈의 물을 길어 끓이니
紫筍發輕乳(자순발경유) : 자순차에서 보글보글 가벼운 젖이 생기네.
晩凉沐浴罷(만량목욕파) : 저녁나절 시원할 때 목욕하고 나니
衰發稀可數(쇠발희가수) : 쇠잔해진 머리가 듬성듬성 헤아릴 수 있겠네.
浩歌出門去(호가출문거) : 큰 소리로 노래하며 문을 나서니
暮色入村塢(모색입촌오) : 적막한 시골 마을에 땅거미가 찾아드네.
微月半隱山(미월반은산) : 희미한 조각달은 산에 반쯤은 숨어 있고
圓荷爭瀉露(원하쟁사로) : 둥그런 연잎은 다투어 이슬을 쏟는데
相攜石橋上(상휴석교상) : 돌다리 위에서 서로 손을 잡고
夜與故人語(야여고인어) : 밤중에 친한 이와 이야기를 하네.
明朝入山房(명조입산방) : 내일 아침에 산방원에 들어갈 때면
石鏡炯當路(석경형당로) : 돌 거울이 길을 막고 번쩍번쩍 빛나겠지
昔照熊虎姿(석조웅호자) : 옛날에는 곰과 범의 모습을 비췄는데
今爲猿鳥顧(금위원조고) : 지금은 원숭이와 새가 돌아볼 뿐이라네.
廢興何足弔(폐흥하족조) : 망하고 흥함이야 슬퍼할 것이 무엇이랴?
萬古一仰俯(만고일앙부) : 만고의 세월도 잠시 잠깐인 것을!
* 亭午(정오)=正午(정오) 낮 열두 시. 오정(午正).
산과바다 이계도
'*** 詩 *** > 東坡居士 蘇軾 詩' 카테고리의 다른 글
自徑山回得呂察推詩用其韻招之宿湖上(자경산회득여찰추시용기운초지숙호상) : 소식(蘇軾) (0) | 2022.09.16 |
---|---|
遊徑山(유경산) : 소식(蘇軾) (0) | 2022.09.16 |
宿餘杭法喜寺 寺後綠野亭望吳興諸山懷孫莘老學士(숙여항법희사 사후록야정망오흥제산회손신노학사) : 소식(蘇軾) (0) | 2022.09.15 |
七月一日出城舟中苦熱(칠월일일출성주중고열) : 소식(蘇軾) (0) | 2022.09.15 |
和蔡準郎中見邀遊西湖三首(화채준낭중견요유서호삼수) : 소식(蘇軾) (0) | 2022.09.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