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산에는 꽃이 피네

*** 佛 心***/長阿含經44

長阿含經 23. 究羅檀頭經 산과바다 長阿含經 23. 究羅檀頭經 구라단두경 구라단두경(究羅檀頭經) : 부처님께서 구살라국(俱薩羅國) 시사바(尸舍婆) 숲에 계실 때, 학덕을 겸비한 구라단두 바라문이 스승의 11법 구족을 찬탄하는 제자들의 말을 물리치고 스스로 부처님께 나아가 부처님의 공덕을 찬탄하며 제사법(祭.. 2015. 2. 20.
長阿含經 22. 種德經 산과바다 長阿含經 22. 種德經 종덕경 종덕경(種德經) : 부처님께서 앙가국(鴦伽國) 첨파성(瞻婆城)에 계실 때 5법(5法 : 種姓ㆍ諷誦ㆍ端正ㆍ持戒ㆍ智慧)을 구족한 종덕이라는 바라문이 부처님의 공덕을 찬탄하자, 부처님께서는 5법을 구족한 이를 바라문이라 하지만 불교에서는 그 다섯가.. 2015. 2. 20.
長阿含經 21. 梵動經 범동경 산과바다 長阿含經 21. 梵動經 범동경 범동경(梵動經)은 부처님께서 마가다국 죽림(竹林)에 계실 때 선념(善念)이라는 범지는 3보를 비방하였으나 그의 제자 범마달(梵摩達)은 3보를 칭찬한 것을 두고 여러 비구들 사이에 논의가 빗발쳤다. 이것을 아신 부처님께서는 모든 비구들에게 바라.. 2015. 2. 19.
長阿含經 20. 阿摩晝經 산과바다 長阿含經 20. 阿摩晝經 아마주경 아마주경(阿摩晝經)은 부처님께서 구살라국(俱薩羅國)의 이차능가라(伊車能伽羅) 바라문 촌에 계실 때 비가라사라(沸伽羅娑羅) 바라문이 아마주라는 바라문으로 하여금 부처님께서 32상(相)을 구족했는지의 여부를 알아보게 하였다. 그 때 아마.. 2015. 2. 18.
長阿含經 19. 大會經 대회경 산과바다 長阿含經 19. 大會經 대회경 대회경(大會經)은 부처님께서 석시제국(釋翅提國)의 가유림(迦維林)에 계실 때 시방세계의 모든 신(神)과 묘천(妙天)이 그곳에 모여 3보를 예경하고 부처님 공덕을 칭송하고 있는 동안 4정거천(淨居天)은 게송으로 부처님을 찬탄하였다. 부처님께서는 .. 2015. 2. 18.
長阿含經 18. 自歡喜經 산과바다 長阿含經 18. 自歡喜經 자환희경 자환희경(自歡喜經)은 사리불이 부처님의 공덕을 찬탄하여 과거ㆍ현재ㆍ미래의 사문 바라문 중에 지혜ㆍ신족(神足)ㆍ공덕ㆍ도력에 있어 부처님과 같은 이가 없을 것이라고 부처님께 아뢰자 부처님께서는 그러한 사실을 인정하시면서 불교가 바.. 2015. 2. 18.
長阿含經 17. 淸淨經 산과바다 長阿含經 17. 淸淨經 청정경 청정경(淸淨經)은 주나(周那)라는 사미가 아난에게 외도 스승인 니건자가 죽자 그 제자들이 두 파로 분열되어 서로 다툰다는 소식을 전하자 부처님께서는 이를 인연으로 무쟁(無諍)의 정법(正法)을 말씀하셨다. 如是我聞。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一.. 2015. 2. 12.
長阿含經 16. 善生經 산과바다 무량사 극락전 長阿含經 16. 善生經 선생경 선생경(善生經)은 선생(善生)이라는 장자(長者)의 아들이 아버지의 유언에 따라 동ㆍ서ㆍ남ㆍ북ㆍ상ㆍ하의 6방(方)에 예배하였다. 그러나 선생의 6방에 대한 예배는 극히 형식적인 것이었으므로 부처님께서는 6방에 대한 예배의 의의와.. 2015. 2. 11.
長阿含經 15. 阿耨夷經 산과바다 통도사 금강계단 長阿含經 15. 阿耨夷經 아누이경 아누이경(阿耨夷經)은 부처님께서 명녕국(冥寧國)의 아누이성에 계실 때 방가바(房伽婆) 범지를 위하여 선숙(善宿) 비구의 이야기를 거론하며 범지의 삿된 견해나 악행(惡行)을 깨뜨리고 정해탈(淨解脫)을 얻도록 가르치.. 2015. 2. 11.
長阿含經 14. 釋提桓因問經 산과바다 長阿含經 14. 釋提桓因問經 석제환인문경 석제환인문경(釋提桓因問經)은 부처님께서 비타산(毗陀山)에 계시면서 화염(火焰)삼매에 드신 뒤에 석제환인 즉 제석천왕의 질문에 대답하신 것이다. 즉 일체 중생의 원결(怨結)의 원인은 탐욕과 질투에서 생기고, 탐욕과 질투는 애증(.. 2015. 2. 11.
長阿含經 13. 大緣方便經 산과바다 화엄사 대웅전 長阿含經 13. 大緣方便經 대연방편경 대연방편경(大緣方便經)은 부처님께서 아난에게 불교의 근본 교의를 말씀하신 것이며 또 이 설명이 되는 중요 교리인 인연법을 순역(順逆) 생멸의 관법에 따라 말씀하신 것이다. * 大緣方便經의 이역본으로는 후한 시대 안세.. 2015. 2. 10.
長阿含經 12. 三聚經 삼취경 산과바다 운주사 미륵불 長阿含經 12. 三聚經 삼취경 삼취경(三聚經)은 부처님께서는 3취(聚) 즉 선한 세계ㆍ악한 세계ㆍ열반의 세계 등의 세 갈래 세계를 설명하셨고, 다시 이 3취를 자세히 나누어 여러 가지 법을 설하셨는데 거기엔 선과 악에 대한 교리적 내용을 담고 있다. 如是我聞。 .. 2015. 2. 10.
長阿含經 11. 增一經 산과바다 長阿含經 11. 增一經 증일경 증일경(增一經)의 내용은 『십상경』과 같지만 사리불이 아닌 부처님을 통해 직접 설교가 이루어지고 있는 점이 다르다. 내용분류에 있어서도 부처님께서 여러 가지 법상을 분류하여 설하고 있는데 불교의 교리들을 성법(成法)ㆍ수법(修法)ㆍ각법(覺.. 2015. 2. 10.
長阿含經 10. 十上經 산과바다 희방사 대웅보전 長阿含經 10. 十上經 십상경 십상경(十上經)은 중집경(衆集經)과 같은 경우로 부처님께서 사리불에게 설법케 하신 것이다. 열 가지로 법상(法相)을 분류하고 그 10법을 다시 여러 가지로 분류하여 상세히 설명하였는데 총 550가지에 이른다. 그리고 이러한 상법(上.. 2015. 2. 10.
長阿含經 9. 衆集經 산과바다 長阿含經 9. 衆集經 중집경 중집경(衆集經)은 부처님께서 파바성(波婆城)에 계실 때 등의 통증으로 괴로워하시자 사리불(舍利弗)이 대신하여 설법하는 형식을 취한 경이다. 사리불의 설교에 의하면 자이나교의 스승인 니건이 죽은 뒤 자이나교의 교단이 둘로 분열하여, 제자들이.. 2015. 2. 10.
長阿含經 8. 散陀那經 산과바다 長阿含經 8. 散陀那經 산타나경 산타나경(散陀那經)은 산타나라는 거사가 오잠바리(烏暫婆利) 범지녀림(梵志女林)에 머물던 니구타(尼俱陀) 범지 등 5백 범지를 찾아갔을 때 니구타 범지는 쉽게 부처님을 복종시킬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이에 부처님께서 이것을 천이(天耳)로 들.. 2015. 2. 10.
長阿含經 7. 弊宿經 산과바다 長阿含經 7. 弊宿經 폐숙경 폐숙경(弊宿經)은 지혜와 덕망을 겸비한 가섭(迦葉)동자가 단견(斷見)을 가진 폐숙 바라문의 삿된 견해를 12가지 비유를 들어 분명 다른 세계와 업과(業果)가 있음을 설교한 것이다. * 弊宿經 폐숙경의 이역 경전으로는 송 시대 법현(法賢)이 한역한 대.. 2015. 2. 10.
長阿含經 6. 轉輪聖王修行經 산과바다 長阿含經 6. 轉輪聖王修行經 전륜성왕수행경 전륜성왕수행경(轉輪聖王修行經)은 옛날 견고념(堅固念)이라는 전륜성왕이 불법(佛法)을 실천ㆍ수행하여 4천하(天下)를 정법(正法)으로 다스림으로써 세상이 태평하였으나 후대에 이르러서는 비법(非法)이 행해져 그로 인해 사람들.. 2015. 2.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