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산에는 꽃이 피네
*** 佛 心***/長阿含經

長阿含經 7. 弊宿經

by 산산바다 2015. 2. 10.

산과바다

 

 

 

長阿含經

 

7. 弊宿經 폐숙경

 

폐숙경(弊宿經)은 지혜와 덕망을 겸비한 가섭(迦葉)동자가 단견(斷見)을 가진 폐숙 바라문의 삿된 견해를 12가지 비유를 들어 분명 다른 세계와 업과(業果)가 있음을 설교한 것이다.

* 弊宿經 폐숙경의 이역 경전으로는 송 시대 법현(法賢)이 한역한 대정구왕경(大正句王經)이 있으며, 중아함경 제1671번째 소경인 비사경(蜱肆經)도 비슷한 내용을 담고 있다.

 

 

 

 

爾時童女迦葉與五百比丘遊行拘薩羅國漸詣斯波醯婆羅門村時童女迦葉在斯波醯村北尸舍婆林止有婆羅門名曰弊宿止斯波醯村此村豊樂民人眾多樹木繁茂波斯匿王別封此村與婆羅門弊宿以爲梵分弊宿婆羅門常懷異見爲人說言無有他世亦無更生無善惡報

 

그 때 동녀(童女) 가섭(迦葉)5백 비구와 함께 구살라국(拘薩羅國)을 유행(遊行)하다가 점차로 사파혜(斯波醯) 바라문촌에 이르렀다. 그 때 동녀 가섭은 사파혜촌의 북쪽에 있는 시사바숲[尸舍婆林]에 머물렀다.

 

그 때 폐숙(弊宿)이라는 바라문이 사파혜촌에 머물고 있었는데, 이 마을은 풍요롭고 살기 좋아 백성들이 많이 살았으며 수목도 무성했다. 바사닉왕(波斯匿王)은 따로 이 마을을 떼어 바라문 폐숙에게 주어 범분(梵分)으로 만들었다. 폐숙 바라문은 항상 이견(異見)을 가지고 사람들에게 말했다.

범분(梵分): ()이 내린 영토로서 영구히 세금이 면제된 지역을 말함.

 

다른 세상이란 없는 것이요, 또 다시 태어난다는 것[]도 없는 것이며 선악의 과보도 없다.”

 

 

斯波醯村人聞童女迦葉與五百比丘從拘薩羅國漸至此尸舍婆林自相謂言此童女迦葉有大名聞已得羅漢耆舊長宿多聞廣博聰明叡智辯才應機善於談論今得見者不亦善哉彼村人日日次第往詣迦葉爾時弊宿在高樓上見其村人隊隊相隨不知所趣即問左右持蓋者言彼人何故群隊相隨

 

그 때 사파혜촌 사람들은 동녀 가섭이 5백 명의 비구와 함께 구살라국에서 이곳 시사바숲으로 가까이 오고 있다는 소식을 듣고 서로들 말하였다.

이 동녀 가섭은 큰 명성이 있고 이미 아라한이 되었으며 나이도 많고 덕이 높으며 많이 들어 널리 알며 총명하고 지혜롭다고 한다. 그리고 그 말솜씨[辯才]는 상대의 근기에 맞게 잘 설명한다고 들었다. 그러니 이제 만나보는 것 또한 좋지 않을까?” 

 

이 때 그 마을 사람들은 날마다 차례로 가섭을 찾아보았다. 그 때 폐숙은 높은 누각 위에서 그 마을 사람들이 떼지어 가는 것을 바라보았는데 그들이 가는 곳을 알지 못했다. 그래서 곧 측근에서 일산[]을 들고 있는 시자(侍者)에게 물었다.

저 사람들은 무엇 때문에 저렇게 떼지어 가는가?”

 

 

侍者答曰我聞童女迦葉將五百比丘遊拘薩羅國至尸舍婆林又聞其人有大名稱已得羅漢耆舊長宿多聞廣博聰明叡智辯才應機善於談論彼諸人等群隊相隨欲詣迦葉共相見耳

 

시자가 대답했다.

제가 듣기로는 동녀 가섭이 5백 비구를 거느리고 구살라국을 유행하며 시사바 숲으로 왔는데 또한 듣기에 그는 큰 명성이 있고 이미 아라한이 되어 나이도 많고 덕이 높으며 많이 들어 널리 알며 총명하고 지혜롭다고 합니다. 그리고 그는 말솜씨가 뛰어나 상대의 근기에 맞게 잘 설명한다는 말을 들었습니다. 저 사람들이 떼지어 가는 것은 그 가섭을 만나고자 해서입니다.”

 

 

弊宿婆羅門即勅侍者汝速往語諸人且住當共俱行往與相見所以者何彼人愚惑欺誑世間說有他世言有更生言有善惡報而實無他世亦無更生無善惡報

 

그 때 폐숙 바라문은 곧 시자에게 명령했다.

너는 빨리 저 사람들에게 가서, 잠깐 기다렸다가 함께 가서 만나자고 말하라. 왜냐 하면, 저 가섭은 어리석고 미혹하여 세상 사람을 속이고 있기 때문이다. 그는 다른 세상이 있고 다시 태어남[]이 있으며 선악의 과보가 있다고 말한다. 그러나 사실 다른 세상이란 없는 것이고 다시 태어남[]도 없는 것이며 선악의 과보도 없는 것이다.”

 

 

使者受敎已即往語彼斯婆醯村人言婆羅門語汝等且住當共俱詣往與相見

그 때 시자는 명령을 받자마자 곧 사파혜촌 사람들에게 가서 말했다.

바라문께서 당신들에게 말씀하시기를 "너희들은 좀 기다렸다가 같이 가서 만나자"고 하셨다.” 

 

 

村人答曰善哉善哉若能來者當共俱行

마을 사람들이 대답했다.

좋다, 좋다. 만일 올 수 있다면 마땅히 같이 갈 것이다.” 

 

 

使還尋白彼人已住可行者行

시자는 돌아와 자세히 말했다.

저 사람들이 기다리고 있습니다. 가실 수 있으면 가십시오.”

 

 

婆羅門即下高樓勅侍者嚴駕與彼村人前後圍遶詣舍婆林到已下車步進詣迦葉所問訊訖一面坐其彼村人婆羅門居士有禮拜迦葉然後坐者有問訊已而坐者有自稱名已而坐者有叉手已而坐者有默而坐者弊宿婆羅門語童女迦葉言今我欲有所問寧有閑暇見聽許不

 

그 때 바라문은 곧 높은 누각에서 내려와 시자에게 명령하여 가마[]를 준비시켰다. 그리고 그 마을 사람들에게 앞뒤로 둘러싸여 함께 시사바숲으로 가서 수레에서 내렸다. 걸어서 가섭에게로 나아가 인사를 나눈 뒤 한쪽에 앉았다. 그 마을 사람들 중 바라문이나 거사(居士)들은 가섭에게 예배한 뒤에 앉는 자도 있고 인사를 나눈 뒤에 앉는 자도 있었으며 자기 이름만 댄 뒤에 앉는 자도 있고 합장하고 나서 앉는 자도 있었으며 잠자코 앉는 자도 있었다.

 

그 때 폐숙 바라문은 동녀 가섭에게 말했다.

지금 제가 묻고 싶은 것이 있습니다. 혹 틈을 내어 들어주실 수 있겠습니까?”

 

 

迦葉報曰隨汝所問聞已當知

가섭이 대답했다.

당신이 묻는 바를 따라 들을 것이니 그렇게 알라.”

 

 

婆羅門言今我論者無有他世亦無更生無罪福報汝論云何

바라문이 말했다.

지금 내 주장은 다른 세상이란 없는 것이고, 다시 태어난다는 것도 없는 것이며 죄와 복의 과보도 없다는 것입니다. 당신의 주장은 어떻습니까?”

 

 

迦葉答曰我今問汝隨汝意答今上日月爲此世耶爲他世耶爲人爲天耶

가섭이 대답했다.

내가 지금 그대에게 물을 것이니 그대의 생각대로 대답하라. 지금 위에 있는 해와 달은 이 세상인가, 다른 세상인가? 사람인가, 하늘인가?”

 

 

婆羅門答曰日月是他世非此世也是天非人

바라문이 대답했다.

해와 달은 다른 세상이요, 이 세상이 아닙니다. 그것은 하늘이요, 사람이 아닙니다.”

 

 

迦葉答曰以此可知必有他世亦有更生有善惡報

가섭이 대답했다.

이것으로써 알 수 있나니, 반드시 다른 세상은 있는 것이요, 또한 다시 태어남도 있고 선악의 과보도 있는 것이다.”

 

 

婆羅門言汝雖云有他世有更生及善惡報如我意者皆悉無有

바라문이 말했다.

당신이 비록 다른 세상이 있고 다시 태어남도 있으며 선악의 과보도 있다고 말하지만 내 생각으로는 모두 없는 것입니다.”

 

 

迦葉問曰頗有因緣可知無有他世無有更生無善惡報耶

가섭이 물었다

자못 어떤 이유[因緣]로 다른 세상은 없는 것이고 다시 태어남도 없으며 선악의 과보가 없는 줄로 아는가?”

 

 

婆羅門答曰有緣

바라문이 대답했다.

연유가 있습니다.”

 

 

迦葉問曰以何因緣言無他世

가섭이 물었다.

어떤 연유로 다른 세상이 없다고 하는가?”

 

 

婆羅門言迦葉我有親族知識遇患困病我往問言諸沙門婆羅門各懷異見言諸有殺生盜竊邪淫兩舌惡口妄言綺語貪取嫉妬邪見者身壞命終皆入地獄我初不信所以然者初未曾見死已來還說所墮處若有人來說所墮處我必信受汝今是我所親十惡亦備若如沙門語者汝死必入大地獄中今我相信從汝取定若審有地獄者汝當還來語我使知然後當信迦葉彼命終已至今不來彼是我親不應欺我許而不來必無後世

 

바라문이 말했다.

가섭이여, 저에겐 병을 앓아 매우 고생하는 친족과 벗[知識]이 있었습니다. 저는 그에게 가서 물었습니다

"모든 사문과 바라문들은 각각 다른 견해를 가지고 있는데 모든 살생도둑질삿된 음행이간질욕설거짓말꾸밈말탐취질투삿된 견해를 가진 사람은 몸이 무너지고 목숨이 끝나면 모두 지옥에 들어간다고 한다. 그러나 나는 처음부터 그 말을 믿지 않았다. 왜냐 하면 아직까지 죽은 사람으로서 다시 돌아와 그가 떨어졌던 곳에 대해 말해 주는 이를 전혀 보지 못했기 때문이다. 만일 어떤 사람이 와서 그가 떨어졌던 곳에 대해 이야기해 준다면 나는 반드시 믿고 수용할 것이다.

지금 너는 나와 친하고 또 10()도 갖추고 있다. 만일 저 사문의 말대로라면 너는 죽어 반드시 큰 지옥에 들어갈 것이다. 이제 나는 너를 믿고 네 말에 따라 결정할 것이니, 분명히 지옥이 있다면 너는 마땅히 돌아와서 내게 말해 알려 달라. 그런 뒤에야 믿을 것이다." 

가섭이여, 그는 벌써 죽었지만 아직까지 오지 않았습니다. 그는 제 친족이라서 당연히 저를 속일 리가 없는데 오지 않는 것을 보면 반드시 뒷세상은 없는 것입니다.”

 

 

迦葉報曰諸有智者以譬喩得解今當爲汝引喩解之譬如盜賊常懷姧詐犯王禁法伺察所得將詣王所白言此人爲賊願王治之王即勅左右收繫其人遍令街巷然後載之出城付刑人者左右人即將彼賊付刑人者彼賊以柔語守衛者汝可放我見諸親里言語辭別然後當還云何婆羅門彼守衛者寧肯放不

* : 의 대치(연할 연)

 

가섭이 대답했다.

모든 지혜 있는 사람은 비유를 들어 말해 주면 쉽게 이해한다고 한다. 나도 이제 그대를 위해 비유를 끌어와 그것을 깨닫게 하리라.

비유하면 도적이 항상 간사한 계책을 품고 있다가 왕이 금지하는 법을 범하자, 경관[伺察]이 그를 붙잡아 왕에게 데리고 가서 아뢰었다

"이 사람이 도둑질을 하였습니다. 원컨대 왕께서 그를 다스려 주십시오." 

왕은 곧 측근에 있는 신하에게 명령했다

"그 사람을 결박하여 거리를 두루 돌게 한 뒤, 그를 싣고 성을 나가 사형을 집행하는 자에게 맡겨라." 

그 때 측근에 있던 사람들은 곧 그 도둑을 끌어다 사형 집행자에게 맡겼다. 그 도둑은 부드러운 말로 수위(守衛)에게 말했다

"당신은 나를 놓아주시오. 고향의 모든 친족들을 만나 작별의 인사를 마친 뒤에 반드시 돌아오겠소." 

 

바라문이여,

어떠한가? 저 수위는 기꺼이 그를 놓아주겠는가?”

 

 

婆羅門答曰不可

바라문이 말했다.

안 될 것입니다.”

 

 

迦葉又言彼同人類俱存現世而猶不放況汝所親十惡備足身死命終必入地獄獄鬼無慈又非其類死生異世彼若以軟言求於獄鬼汝暫放我還到世間見親族言語辭別然後當還寧得放不

 

가섭은 또 말했다.

그는 모두 같은 사람으로서 현세에 함께 살고 있는데도 오히려 놓아주지 않는데, 더구나 그대의 친족은 10()을 갖추었으니 몸이 죽어 수명이 끝난 다음 틀림없이 지옥에 들어갔을 것이다. 지옥의 귀신은 자비심도 없고 또 사람도 아니며 죽은 사람과 산 사람은 세상을 달리하고 있다.

그가 아무리 부드러운 말로 지옥의 귀신에게 요구하기를 "너는 잠시만 나를 놓아다오. 내가 세간으로 돌아가 친족들을 만나 작별 인사를 한 뒤에 반드시 돌아올 것이다"라고 한들 석방될 수 있겠는가?”

 

 

婆羅門答曰不可

바라문이 대답했다.

안 될 것입니다.”

 

 

迦葉又言以此相方自足可知何爲守迷自生邪見耶

가섭은 또 말했다.

이것으로 서로 비교해 보면 저절로 충분히 알 수 있을 것이다. 어떻게 미혹[]한 것을 고집하며 스스로 사견(邪見)을 내는가?”

 

 

婆羅門言汝雖引喩謂有他世我猶言無

바라문이 말했다.

당신이 아무리 비유를 들어 다른 세상이 있다고 하지만 나는 그래도 없다고 생각합니다.”

 

 

迦葉復言汝頗更有餘緣可知無他世耶

가섭이 다시 말했다.

그대는 또 어떤 다른 이유가 있어 다른 세상이 없다는 것을 아는가?”

 

 

婆羅門報言我更有餘緣知無他世

바라문이 대답했다.

내게는 다시 다른 이유가 있어 다른 세상이 없다는 것을 압니다.”

 

 

迦葉問曰以何緣知

가섭이 물었다.

어떤 인연으로 알 수 있는가?”

 

 

答曰迦葉我有親族遇患篤重我往語言諸沙門婆羅門各懷異見說有他世言不殺不盜不淫不欺不兩舌惡口妄言綺語貪取嫉妬邪見者身壞命終皆生天上我初不信所以然者初未曾見死已來還說所墮處若有人來說所墮生我必信耳今汝是我所親十善亦備若如沙門語者汝今命終必生天上今我相信從汝取定若審有天報者汝當必來語我使知然後當信迦葉彼命終已至今不來彼是我親不應欺我許而不來必無他世

 

그는 대답했다.

가섭이여, 저에겐 병을 앓아 위독한 친족이 있었습니다. 저는 그에게 가서 말했습니다

"모든 사문과 바라문은 각각 다른 견해를 가지고 다른 세상이 있다고들 말한다. 살생하지 않고 도둑질하지 않고 사음하지 않으며 속이지 않고 이간질 하는 말욕설거짓말꾸밈말탐욕질투삿된 견해를 가지지 않은 사람은 몸이 무너지고 목숨이 끝나면 다 천상(天上)에 태어난다고 하는데 나는 처음부터 그것을 믿지 않았다. 왜냐 하면 아직까지 죽은 사람이 다시 돌아와 자신이 떨어졌던 곳에 대해 말해주는 이를 전혀 보지 못했기 때문이다. 만일 어떤 사람이 와서 그가 떨어졌던 곳에 대해 말해준다면 나는 반드시 그것에 대한 믿음이 생길 것이다.

지금 너는 나와 친하고 또 10()도 구족하고 있다. 만일 사문의 말대로라면 너는 이제 목숨을 마치면 반드시 천상에 태어날 것이다. 이제 나는 너를 믿고 네 말에 따라 결정할 것이니, 만일 분명히 하늘의 과보가 있거든 너는 마땅히 와서 내게 말해 알려 달라. 그런 뒤에야 나는 믿을 것이다."

가섭이여, 그는 벌써 죽었지만 아직까지 오지 않았습니다. 그는 내 친족이라서 당연히 저를 속일 리가 없는데 오지 않는 것을 보면 반드시 다른 세상이란 없는 것입니다.”

 

 

迦葉又言諸有智者以譬喩得解我今當復爲汝說喩譬如有人墮於深廁身首沒溺王勅左右挽此人出以竹爲篦三刮其身澡豆淨灰次如洗之後以香湯沐浴其體細末眾香坌其身上勅除髮師淨其鬚髮又勅左右重將洗沐如是至三洗以香湯坌以香末名衣上服莊嚴其身百味甘饍以恣其口將詣高堂五欲娛樂其人復能還入廁不

 

가섭이 또 말했다.

모든 지혜 있는 사람은 비유를 들어 말하면 쉽게 이해한다고 한다. 나도 이제 또 그대를 위해 비유를 들어 말하리라.

비유하면 어떤 사람이 깊은 뒷간에 떨어져 머리까지 빠졌다고 하자. 왕은 측근에 있는 사람에게 명령하여 그 사람을 끌어내어 대나무로 긁개를 만들어 세 번 그 몸을 긁고 가루비누[?]와 깨끗한 재[淨灰]로 여러 번 씻긴다. 다음에는 향탕(香湯)에 목욕시켜 여러 가지 고운 가루향을 그 몸에 뿌리고 이발사를 시켜 그 수염과 머리를 깨끗이 깎게 하고 또 측근에 명령하여 거듭 씻긴다. 이렇게 세 번을 되풀이하고 향탕에 목욕시키고 가루향을 몸에 뿌리며 좋은 옷으로 그 몸을 꾸미고 온갖 맛있고 감미로운 음식으로 그 입을 만족시키며 다시 높은 집에 올라가 5()으로써 즐긴다고 하자.

그 사람이 다시 그 뒷간으로 들어가려고 하겠는가?”

 

 

答曰不能彼處臭惡何可還入

그는 대답했다.

들어가려고 하지 않을 것입니다. 그곳은 냄새 나고 나쁜 곳인데 무엇 때문에 도로 그곳에 들어가려 하겠습니까?”

 

 

迦葉言諸天亦爾此閻浮利地臭穢不淨諸天在上去此百由旬遙聞人臭甚於廁溷婆羅門汝親族知識十善具足然必生天五欲自娛快樂無極寧當復肯還來入此閻浮廁不

 

가섭이 말했다.

모든 하늘도 또한 그렇다. 이 염부리(閻浮利)의 땅은 냄새나고 더러워 깨끗하지 못하다. 모든 하늘은 여기서부터 거리가 백 유순(由旬)이나 떨어진 위에서 멀리 사람들의 냄새를 맡지만 뒷간 냄새보다 더 심하게 여긴다.

바라문이여,

그대의 친족과 벗들은 10()을 갖추었으므로 틀림없이 하늘에 태어나 5욕을 스스로 즐기며 쾌락이 끝이 없을 텐데 무엇 하러 다시 기꺼이 이 염부리지로 돌아오려고 하겠는가?”

 

 

答曰不也

그가 대답했다.

아닐 것입니다.”

 

 

迦葉又言以此相方自足可知何爲守迷自生邪見

가섭이 또 말했다.

이것으로 서로 비교해 보면 저절로 충분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어떻게 미혹한 것을 고집하며 스스로 사견(邪見)을 내는가?”

 

 

婆羅門言汝雖引喩言有他世我猶言無

바라문이 말했다.

당신이 아무리 비유를 들어 다른 세상이 있다고 하지만 나는 그래도 없다고 말할 것입니다.”

 

 

迦葉復言汝頗更有餘緣可知無他世耶

가섭이 다시 말했다.

그대는 또 어떤 다른 이유가 있어 다른 세상이 없는 것을 아는가?”

 

 

婆羅門報言我更有餘緣知無他世

바라문이 대답했다.

내게는 다시 다른 이유가 있어 다른 세상이 없다는 것을 압니다.”

 

 

迦葉問曰以何緣知

가섭이 물었다.

어떤 인연으로 알 수 있는가?”

 

 

答曰迦葉我有親族遇患篤重我往語言沙門婆羅門各懷異見說有後世言不殺不盜不淫不欺不飮酒者身壞命終皆生忉利天上我亦不信所以然者初未曾見死已來還說所墮處若有人來說所墮生我必信耳今汝是我所親五戒具足身壞命終必生忉利天上令我相信從汝取定若審有天福者汝當還來語我使知然後當信迦葉彼命終已至今不來彼是我親不應有欺許而不來必無他世

 

그는 대답했다.

가섭이여, 저에겐 병을 앓아 매우 위독한 친족이 있었습니다. 저는 가서 말했습니다.

"사문과 바라문들은 각각 다른 견해를 가지고 뒷세상[後世]이 있다고들 말한다. 살생하지 않고 도둑질하지 않으며 사음하지 않고 속이지 않으며 술을 마시지 않는 사람은 몸이 무너지고 목숨이 끝나면 모두 도리천(利天) 에 태어날 것이라고 하는데 나는 또한 믿지 않는다. 왜냐 하면 아직까지 죽은 사람이 돌아와 자신이 떨어졌던 곳에 대해 말해 주는 이를 전혀 보지 못했기 때문이다. 만일 어떤 사람이 와서 그가 떨어졌던 곳에 대해 이야기해준다면 나는 꼭 그것을 믿을 것이다.

지금 너는 나와 친하고 또 5()도 구족했으니 몸이 무너지고 목숨이 끝나면 반드시 도리천에 태어날 것이다. 이제 나는 너를 믿고 네 말에 따라 결정할 것이니, 만일 분명히 하늘의 복이 있거든 너는 마땅히 돌아와 내게 말해 알려 달라. 그런 뒤에야 나는 마땅히 믿을 것이다." 

가섭이여, 그는 벌써 죽었지만 아직까지 오지 않았습니다. 그는 내 친족이라서 당연히 나를 속일 리가 없는데 오지 않는 것을 보면 반드시 다른 세상이란 없는 것입니다.”

 

 

迦葉答言此間百歲正當忉利天上一日一夜耳如是亦三十日爲一月十二月爲一歲如是彼天壽千歲云何婆羅門汝親族五戒具足身壞命終必生忉利天上彼生天已作是念言我初生此當二三日中娛樂遊戱然後來下報汝言寧得見不

 

가섭이 대답했다.

이 인간 세상의 100살은 바로 도리천의 하루 낮하루 밤에 해당한다.

이렇게 또한 30일이 1개월이고 12개월이 1년이니 이렇게 계산하면 저 하늘의 수명은 천 살이나 된다. 어떤가? 바라문이여, 그대의 친족으로서 5계를 구족한 사람은 몸이 무너지고 목숨이 끝나 반드시 도리천에 태어났을 것이다. 그는 하늘에 태어나서 이렇게 생각했을 것이다

"나는 여기에 처음으로 태어났으니, 마땅히 2, 3일 동안 여기서 즐겁게 놀다가 그 다음에 내려가서 그에게 알려주어야겠다."

이렇게 생각하였다면 그대가 만나볼 수 있겠는가?”

 

 

答曰不也我死久矣何由相見

그는 대답했다.

안 될 것입니다. 저는 이미 죽은 지 오래 일 텐데 어떻게 서로 만날 수 있겠습니까?”

 

 

婆羅門言我不信也誰來告汝有忉利天壽命如是

바라문이 말했다.

저는 믿을 수 없습니다. 누가 와서 당신에게 도리천이 있고 그 수명이 이와 같다고 말했습니까?”

 

 

迦葉言諸有智者以譬喩得解我今更當爲汝引喩譬如有人從生而盲不識五色亦不見日星象丘陵溝壑有人問言白五色云何盲人答曰無有五色如是麤星象山陵溝壑皆言無有云何婆羅門彼盲人言是正答不

 

가섭이 말했다.

모든 지혜 있는 사람은 비유를 들어 말해주면 쉽게 이해한다고 한다. 나도 이제 다시 그대를 위해 비유를 들어 말해 주겠다.

비유하면 어떤 사람이 나면서부터 장님이 되어 파란색[]노란색[]빨간색[]흰색[] 등 다섯 가지 색깔과 거칠고 미세한 것과 길고 짧은 것을 모르며 또 해구름골짜기를 보지 못했는데 어떤 사람이 장님에게 물었다

"파란색노란색빨간색흰색 등의 다섯 가지 색이 어떠한가?"

장님이 대답했다

"다섯 가지 색은 없다. 그와 같이 거칠고 미세한 것과 길고 짧은 것과 해산언덕골짜기는 모두 없는 것이다."

이렇게 말한다면 어떤가? 바라문이여, 저 장님의 말이 올바른 대답인가?”

 

 

答曰不也

그는 대답했다

아닙니다.

 

 

所以者何世間現有五色星象山陵溝壑而彼言無婆羅門汝亦如是忉利天壽實有不虛汝自不見便言其無

 

왜냐 하면 세간에는 현재 파란색노란색빨간색흰색 등 다섯 가지 색깔과 거칠고 미세한 것과 길고 짧은 것과 해산언덕골짜기들이 있는데 그는 없다고 하기 때문입니다.”

 

바라문이여,

그대도 또한 그와 같다. 도리천의 수명은 실제로 있는 것이지 공허한 것이 아니다. 그대는 스스로 보지 못했다고 하여 곧 그것이 없다고 말하고 있다.”

 

 

婆羅門言汝雖言有我猶不信

바라문이 말했다.

당신은 아무리 있다고 말하지만 저는 그래도 믿지 않습니다.”

 

 

迦葉又言汝復作何緣而知其無

가섭은 또 말했다.

그대는 또 무슨 연유로 그것이 없다는 것을 아는가?”

 

 

答曰迦葉我所封村人有作賊者伺察所得將詣我所語我言此人爲賊唯願治之我答言收縛此人著大釜中厚泥使其牢密勿令有泄遣人圍遶以火煮之我時欲觀知其精神所出之處將諸侍從遶釜而觀都不見其神去來處又發釜看亦不見神有往來之處以此緣故知無他世

* : 1.덮개 2.숨다 3.보호하다

 

그가 대답했다.

가섭이여, 제가 봉작받은 마을에 도둑질하는 사람이 있었는데 경관이 붙잡아 내 처소로 데리고 와서 말했습니다.

"이 사람은 도둑질을 하였습니다. 원컨대 다스려 주십시오."

나는 대답했습니다

"이 사람을 묶어 큰 가마솥에 넣고, 둘레를 진흙으로 두툼하게 덮어 단단히 봉해 새지 못하게 하라. 그리고 사람을 시켜 둘러싸고 솥에 불을 때어 삶아라."

나는 그 때에 그 사람의 정신이 빠져 나가는 곳을 살펴 알아보고 싶어서 모든 시종(侍從)을 데리고 에워싸고 살펴보았지만 그 정신이 오고 가는 것을 전혀 보지 못했습니다. 또 그 솥을 열고 보았지만 또한 정신이 오고 간 흔적을 보지 못했습니다. 이 이유로 다른 세상이 없다는 것을 압니다.”

 

 

迦葉又言我今問汝若能答者隨意報之婆羅門汝在高樓息寢臥時頗曾夢見山林江河園觀浴池國邑街巷不

가섭이 또 말했다.

내가 이제 그대에게 묻겠다. 만일 답할 수 있거든 마음대로 대답하라.

 

바라문이여,

너는 높은 누각에 누워 잠을 잘 때 일찍이 꿈에서 산림(山林)강하(江河)동산[]을 보았으며, 욕지(浴池)나라고을거리를 본 적이 있는가?”

 

 

答曰夢見

그는 대답했다.

꿈에 본 적이 있습니다.”

 

 

又問婆羅門汝當夢時居家眷屬侍衛汝不

또 물었다.

바라문이여,

그대가 꿈을 꿀 때 그대 집의 권속들은 그대를 시중들고 있었는가?”

 

 

答曰侍衛

그는 대답했다.

시중들고 있었습니다.”

 

 

又問婆羅門汝諸眷屬見汝識神有出入不

또 물었다.

바라문이여,

너의 모든 권속들은 너의 식신(識神)이 드나드는 것을 보았다고 하던가?”

 

 

答曰不見

그는 대답했다.

 

 

迦葉又言汝今生存識神出入尙不可見況於死者乎汝不可以目前現事觀於眾生婆羅門有比丘初夜後夜捐除睡眠精勤不懈專念道品以三昧力修淨天眼以天眼力觀於眾生死此生彼從彼生此壽命長短顔色好醜隨行受報善惡之趣皆悉知見汝不可以穢濁肉眼不能徹見眾生所趣便言無也婆羅門以此可知必有他世

 

보지 못했습니다.”

가섭은 또 말했다.

그대는 현재 살아 있는 사람인데도 식신이 드나드는 것을 볼 수 없는데 더구나 죽은 사람에 있어서이겠는가? 그대는 눈앞에 나타난 일만 가지고 중생을 관찰해서는 안 된다.

바라문이여,

어떤 비구가 밤새도록[初夜後夜] 잠자지 않고 정근하고 게으름을 피우지 않고 오로지 도품(道品)만 생각하며 삼매의 힘으로써 천안(天眼)을 닦아 깨끗이 하고 천안(天眼)의 힘으로 중생을 관찰한다고 하자. 그 때 그는 중생들이 여기서 죽어 저기에 태어나고 저기서 죽어 여기에 태어나며 수명의 길고 짧음과 안색이 좋고 추함과 행()에 따라 과보를 받아 좋고 나쁜 세계[]에 가는 것을 모두 보아서 안다.

그대는 더럽고 탁한 육안(肉眼)이기 때문에 중생이 가는 곳을 환히 보지 못한다. 그렇다고 덮어놓고 없다고 말하는 것은 옳지 못하다. 바라문이여, 이로써 다른 세상이 반드시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婆羅門言汝雖引喩說有他世如我所見猶無有也

바라문이 말했다.

당신이 아무리 비유를 들어 다른 세상이 있다고 말하지만 내 소견 같아서는 그래도 그것은 없습니다.”

 

 

迦葉又言汝頗更有因緣知無他世耶

가섭이 또 말했다.

그대는 자못 또 다른 연유가 있어 다른 세상이 없다는 것을 아는가?”

 

 

婆羅門言

바라문이 말했다.

있습니다.”

 

 

迦葉言以何緣知

가섭이 말했다.

어떤 연유로 아는가?”

 

 

婆羅門言我所封村人有作賊者伺察所得將詣我所語我言此人爲賊唯願治之我勅左右收縛此人生剝其皮求其識神而都不見又勅左右臠割其肉以求識神又復不見又勅左右截其筋骨間求神又復不見又勅左右打骨出髓髓中求神又復不見迦葉我以此緣知無他世

 

바라문이 말했다.

제가 봉작받은 마을에 도둑질을 한 사람이 있었는데 경관이 붙잡아 제 처소로 데리고 와서 말했습니다

"이 사람은 도둑질을 하였습니다. 오직 원컨대 다스려 주십시오."

나는 측근 사람에게 명령하여 그 사람을 묶어 놓고 그 가죽을 산 채로 벗기게 하고 그 식신(識神)을 찾았으나 도무지 발견하지 못했습니다. 또 측근 사람에게 명령하여 그 살을 베게 하면서 식신을 찾았으나 그래도 발견하지 못했습니다. 또 측근 사람에게 명령하여 그 힘줄을 끊고 뼈 속에서 식신을 찾았으나 또 발견하지 못했습니다. 또 측근 사람에게 명령하여 뼈를 쪼개고 골수[]를 내게 하여 골수 속에서 식신을 찾았으나 또 발견하지 못했습니다. 가섭이여, 나는 이런 이유로 다른 세상이 없는 줄로 압니다.”

 

 

迦葉復言諸有智者以譬喩得解我今復當爲汝引喩乃往過去久遠世時有一國壞荒毁未復時有商賈五百乘車經過其土有一梵志奉事火神常止一林諸商人皆往投宿淸旦別去時事火梵志作是念言向諸商人宿此林中今者已去儻有遺漏可試往看尋詣彼所都無所見唯有一小兒始年一歲獨在彼坐梵志復念我今何忍見此小兒於我前死今者寧可將此小兒至吾所止養活之耶即抱小兒往所住處而養育之其兒轉大至十餘歲

 

가섭이 다시 말했다.

모든 지혜 있는 사람은 비유를 들어 말하면 쉽게 이해한다고 한다. 나도 이제 다시 그대를 위해 비유를 들어 말해 주겠다.

아주 먼 옛날에 어떤 나라가 있었는데 그 나라는 척박하고 허물어져 미처 회복되지 않았다. 그 때 어떤 상인이 500대의 수레를 끌고 그 지역을 지났는데 어떤 한 범지(梵志)가 화신(火神)을 섬기면서 늘 한 숲에 머무르고 있었다. 모든 상인들은 거기 가서 하룻밤을 지내고 이른 아침에 하직 인사를 하고 떠나갔다. 그 때 불을 섬기는 범지가 이렇게 생각했다.

"아까 여러 상인들이 이 숲 속에서 묵고 이제 떠났는데 혹 빠뜨린 것이 있는지 시험삼아 가보아야겠다."

이렇게 생각하고 곧 거기에 가보았으나 아무것도 없고 다만 한 살 난 어린애가 그 자리에 홀로 있었다. 범지는 다시 생각했다

"내 이제 어찌 이 어린애를 차마 내 앞에서 죽게 하랴. 차라리 이 아이를 내가 사는 곳으로 데리고 가서 길러야겠다."

그리고는 곧 어린애를 안고 사는 곳으로 돌아와 길렀다. 그 아이가 점점 자라 열 살 남짓이 되었다.

 

 

此梵志以少因緣欲遊人間語小兒曰我有少緣欲暫出行汝善守護此火愼勿使滅若火滅者當以鑽鑽木取火燃之具誡勅已出林遊行梵志去後小兒貪戲不數視火火遂便滅小兒戲還見火已滅懊惱而言我所爲非我父去時具約勅我守護此火愼勿令滅而我貪戲致使火滅當如之何彼時小兒吹灰求火不能得已便以斧劈薪求火復不能得又復斬薪置於臼中搗以求火又不能得

 

이 때 이 범지는 잠깐 볼 일이 있어 속세에 가기 위해 아이에게 말했다.

"내가 볼 일이 있어 잠깐 자리를 비우고자 한다. 너는 이 불을 잘 보호해 부디 꺼지지 않도록 하라. 만일 불이 꺼지거든 송곳으로 나무를 비벼 불을 피우도록 하라."

이렇게 자세히 일러주고 숲을 나와 길을 떠났다. 범지가 떠난 뒤 어린애는 장난에 빠져 자주 불을 돌보지 않아 불이 그만 꺼져 버렸다. 어린애는 놀다 돌아와 불이 꺼진 것을 보고 걱정되어 말했다.

"내가 잘못했다. 우리 아버지는 떠나실 때 자세히 가르쳐 주면서 나에게 당부하기를 이 불을 잘 지켜 부디 꺼지지 않게 하라고 하셨다. 그런데 나는 장난에 빠져 그만 불을 꺼지게 했으니, 장차 이 일을 어쩌면 좋을까?"

그 때 그 어린애는 재를 불면서 불을 구했으나 얻지 못했고, 다시 도끼로 땔감을 쪼개 불을 구했으나 또 얻지 못했다. 다시 땔감을 부수어 절구통에 넣고 찧으면서 불을 구했으나 또 얻지 못했다.

 

 

爾時梵志於人間還詣彼林所問小兒曰吾先勅汝使守護火火不滅耶小兒對曰我向出戲不時護視火今已滅復問小兒汝以何方便更求火耶小兒報曰火出於木我以斧破木求火不得火復斬之令碎置於臼中杵搗求火復不能得彼梵志以鑽鑽木出火積薪而燃告小兒曰夫欲求火法應如此不應破析杵碎而求

 

그 때 범지가 속세에서 돌아와 숲 속으로 가서 어린애에게 물었다.

"내 먼저 너에게 불을 잘 보살피라고 당부하였는데 불은 꺼지지 않았느냐?"

어린애가 대답했다.

"제가 나가서 노는 데 정신이 팔려 자주 보살피지 못해 불이 이미 꺼지고 말았습니다."

다시 어린애에게 물었다.

"너는 어떤 방편으로 다시 불을 구하였느냐?"

어린애가 대답했다.

"불은 나무에서 생기는 것이라서 저는 도끼로 나무를 쪼개어 불을 구했으나 얻지 못했습니다. 다시 그것을 끊어 부수어 절구통에 넣고 찧으면서 불을 구했으나 불은 결국 얻지 못했습니다."

그 때 그 범지는 송곳으로 나무를 비벼 불을 내어 섶을 쌓아 태우면서 어린애에게 말했다.

"대개 불을 구하는 방법은 이런 것이다. 그저 나무를 쪼개고 절구로 찧고 해서 구해지는 것이 아니다."

 

 

婆羅門汝亦如是無有方便皮剝死人而求識神汝不可以目前現事觀於眾生婆羅門有比丘初夜後夜捐除睡眠精勤不懈專念道品以三昧力修淨天眼以天眼力觀於眾生死此生彼從彼生此壽命長短顔色好醜隨行受報善惡之趣皆悉知見汝不可以穢濁肉眼不能徹見眾生所趣便言無也婆羅門以此可知必有他世

 

바라문이여,

그대도 또한 이와 같아서 방편도 없이 죽은 사람의 가죽을 벗겨 식신을 구했다. 그대는 눈앞에 나타난 일만으로 중생을 관찰해서는 안 된다.

 

바라문이여,

어떤 비구는 밤새도록 자지 않고 정근하여 게으르지 않으며 오로지 도품(道品)만 생각하고 삼매의 힘으로써 천안(天眼)을 닦아 깨끗이 하고 천안의 힘으로 중생을 관찰하여 여기서 죽어 저기에 나고, 저기서 죽어 여기에 나며 수명의 길고 짧음과 안색이 좋고 추함과 행을 따라 과보를 받아 선악(善惡)의 세계[]로 나아가는 것을 모두 보아 안다. 그대는 더럽고 탁한 육안(肉眼)이기 때문에 중생의 가는 세계를 환히 보지 못하는 것인데 그저 없다고 말해서는 안 된다. 바라문이여, 이로써 반드시 다른 세상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婆羅門言汝雖引喩說有他世如我所見猶無有也

바라문이 말했다.

당신이 아무리 비유를 들어 다른 세상이 있다고 말하지만 내 소견 같아서는 그래도 그것은 없습니다.”

 

 

迦葉復言汝頗更有因緣知無他世耶

가섭이 다시 말했다.

그대는 자못 또 다른 연유가 있어 다른 세상이 없다는 것을 아는가?”

 

 

婆羅門言

바라문이 말했다.

그렇습니다.”

 

 

迦葉言以何緣知

가섭이 말했다.

어떤 연유로 아는가?”

 

 

婆羅門言我所封村人有作賊者伺察所得將詣我所語我言此人爲賊唯願治之我勅左右將此人以稱稱之侍者受命即以稱稱又告侍者汝將此人安徐殺之勿損皮肉即受我敎殺之無損我復勅左右更重稱之乃重於本迦葉生稱彼人識神猶在顔色悅豫猶能言語其身乃輕死已重稱識神已滅無有顔色不能語言其身更重我以此緣知無他世

 

바라문이 말했다.

제가 봉작받은 마을에 도둑질을 하는 사람이 있었는데 경관이 붙잡아 내 처소로 데리고 와서 말했습니다.

"이 사람은 도둑질을 하였습니다. 원컨대 이 사람을 다스려 주십시오."

나는 측근 사람들에게 명령했습니다

"이 사람을 데려다 저울로 달아 보아라." 

시중드는 사람들은 명령을 받고 곧 저울로 달았습니다. 나는 또 시중드는 사람에게 말했습니다

"이 사람을 데려다 편안하게 그를 죽이되 가죽과 살에 상처를 내지 말라."

시중드는 사람들은 내 명령을 받고 곧 그를 죽이되 상처를 내지 않았습니다. 나는 다시 좌우 사람들에게 명령하여 그것을 다시 달아보았는데 그것은 본래보다 무거웠습니다. 가섭이여, 그를 산 채로 달았을 때에는 그는 식신(識神)이 아직 있어 안색이 아름답고 또 능히 말까지 했는데 그 몸은 가벼웠습니다. 그러나 그를 죽여 다시 달았을 때에는 식신은 이미 없어져 안색도 없어지고 또 말도 하지 못했는데 그 몸은 더 무거웠습니다. 나는 이런 이유로 다른 세상이 없다는 것을 압니다.”

 

 

迦葉語婆羅門吾今問汝隨意答我如人稱鐵先冷稱已然後熱稱何有光色柔軟而輕何無光色堅革而重

 

가섭이 바라문에게 말했다.

내 이제 그대에게 물으리니, 그대는 생각대로 내게 대답하라. 사람이 쇠를 달아보는 것과 같다. 먼저 차가울 때 달아보고 다음에 뜨거울 때 달아보면 어떤 것이 광택[光色]이 있고 부드러우면서도 가벼우며, 어떤 것이 광택이 없고 단단하며 무거운가?”

 

 

婆羅門言熱鐵有色柔軟而輕冷鐵無色剛强而重

바라문이 말했다.

뜨거운 쇠는 빛이 있고 부드러우며 가볍고, 차가운 쇠는 빛이 없고 단단하며 무겁습니다.”

 

 

迦葉語言人亦如是生有顔色柔軟而輕死無顔色剛强而重以此可知必有他世

가섭이 말했다.

사람도 그와 같다. 살아서는 안색이 있고 부드러우며 가볍지만, 죽으면 안색도 없고 단단하며 무겁다. 이로써 반드시 다른 세상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婆羅門言汝雖引喩說有他世如我所見必無有也

바라문이 말했다.

당신이 아무리 비유를 들어 다른 세상이 있다고 말하지만 내 소견 같아서는 틀림없이 없습니다.”

 

 

迦葉言汝復有何緣知無他世

가섭이 말했다.

그대는 또 어떤 연유가 있어 다른 세상이 없다는 것을 아는가?”

 

 

婆羅門答言我有親族遇患篤重我到彼語言扶此病人令右脇臥視瞻屈伸言語如常又使左臥反覆宛轉屈伸視瞻言語如常尋即命終吾復使人扶轉左臥右臥反覆諦觀不復屈伸視瞻言語吾以是知必無他世

 

바라문이 대답했다.

저에겐 병이 들어 위독한 친족이 있었습니다. 그 때 나는 거기 가서 말했습니다

"이 병자를 부축해 오른쪽으로 눕혀라."

그러자 바라보는 것이나 굽히고 펴는 것이나 말하는 것이 평상시와 같았습니다. 또 왼쪽으로 눕히게도 하였고 뒤엎게도 하였으며, 뒹굴게도 하였는데 굽히고 펴는 것이나 바라보는 것이나 말하는 것이 평상시와 같았습니다.

그가 곧 죽자 나는 다시 사람을 시켜 부축해 굴리게 하고 왼쪽으로 눕히고 오른쪽으로 눕히고 뒤엎게도 하면서 자세히 살펴보았더니 다시는 굽혀 펴거나 바라보거나 말도 하지 않았습니다. 나는 이로써 반드시 다른 세상이 없다는 것을 압니다.”

 

 

迦葉復言諸有智者以譬喩得解今當爲汝引喩昔有一國不聞貝聲時有一人善能吹貝往到彼國入一村中執貝三吹然後置地村人男女聞聲驚動皆就往問此是何聲哀和淸徹乃如是耶彼人指貝曰此物聲也彼村人以手觸貝曰汝可作聲汝可作聲貝都不鳴其主即取貝三吹置地村人言向者美聲非是貝力有手有口有氣吹之然後乃鳴人亦如是有壽有識有息出入則能屈伸視瞻語言無壽無識無出入息則無屈伸視瞻語言

 

가섭이 다시 말했다.

모든 지혜 있는 사람은 비유를 들어 말하면 쉽게 이해한다고 한다. 나도 이제 마땅히 그대를 위해 비유를 들어 말해 주겠다.

옛날에 어떤 나라가 있었는데 그 나라 사람들은 고동 소리를 들어본 적이 없었다. 그 때 고동을 잘 부는 어떤 사람이 그 나라에 가서 한 마을에 들어가 고동을 쥐고 세 번 분 다음 땅에 놓아두었다. 그러자 그 마을 사람들 남녀 모두가 그 소리를 듣고 놀라 모두 가서 물었다

"이것이 무슨 소리기에 이처럼 애절하고 부드러우며 맑고 트였습니까?" 

그 사람은 고동을 가리키며 말했다

"이 물건의 소리입니다."

그 마을 사람들은 손을 고동에 대보면서 말했다.

"너는 소리를 내어라, 너는 소리를 내어라."

그러나 고동은 전혀 소리를 내지 않았다. 그 주인은 곧 고동을 들고 세 번 분 다음 땅에 내려놓았다. 그 때 마을 사람들은 말했다

"전에 그 아름다운 소리는 이 고동의 힘이 아니라 손이 있고 입이 있고 기운이 있어서 그것을 분 뒤에야 비로소 고동이 우는구나."

사람도 또한 그와 같아서 목숨이 있고 식()이 있고 숨결[]의 출입이 있어야 곧 능히 굽히고 펴고 바라보고 말할 수 있는 것이다. 목숨이 없고 식이 없고 출입하는 숨결이 없으면 곧 굽히고 펴고 바라보고 말할 수 없다.”

 

 

又語婆羅門汝今宜捨此惡邪見勿爲長夜自增苦惱

또 바라문에게 말했다.

그대는 이제 마땅히 이 사악(邪惡)한 소견을 버리고 긴긴 어둠[長夜] 속에서 스스로 고뇌를 더하지 말라.”

 

 

婆羅門言我不能捨所以然者我自生來長夜諷誦翫習堅固何可捨耶

바라문이 말했다.

나는 버릴 수 없습니다. 왜냐 하면 저는 나면서부터 지금까지 긴긴 어둠[長夜] 속에서 외우고 익혀 굳어졌기 때문입니다. 그러니 어떻게 버리겠습니까?”

 

 

迦葉復言諸有智者以譬喩得解我今當更爲汝引喩乃往久遠有一國土其土邊壃人民荒壞彼國有二人一智一愚自相謂言我是汝親共汝出城採侶求財即尋相隨詣一空聚見地有麻即語愚者共取持歸彼二人各取一擔復過前村見有麻縷其一智者言麻縷成功輕細可取其一人言我已取麻繫縛牢固不能捨也其一智者即取麻縷重擔而去復共前進見有麻布其一智者言麻布成功輕細可取彼一人言我以取麻繫縛牢固不能復捨其一智者即捨麻縷取布自重復共前行見有劫貝其一智者言劫貝價貴輕細可取彼一人言我已取麻繫縛牢固齎來道遠不能捨也一智者即捨麻布而取劫貝

 

가섭이 다시 말했다.

모든 지혜 있는 사람은 비유를 들어 말해 주면 쉽게 이해한다고 한다. 나도 이제 그대를 위해 비유를 들어 말해주겠다.

먼 옛날에 어떤 나라가 있었다. 그 땅은 변방에 있었고, 백성들은 피폐하였다. 그 나라에 두 사람이 있었는데 한 사람은 지혜롭고 다른 한 사람은 어리석었다. 그들이 서로 말했다

"나는 당신의 친구요, 우리 함께 성을 나가 짝이 되어 재물을 구해봅시다."

그들은 곧 짝을 이루어 다니다가 길가의 어떤 빈터에 이르러 삼[]이 있는 것을 보고, 지혜로운 사람이 어리석은 사람에게 말하였다

"이것을 가지고 함께 돌아가자."

그 때 그 두 사람은 각각 한 짐씩 메고 다시 앞마을을 지나다가 삼실[麻縷]을 보았다. 지혜로운 이가 말했다

"삼실은 공력이 들어간 데다 가볍고 미세하니 이것을 가지고 갑시다."

그러자 다른 한 사람이 말했다

"나는 이미 삼을 취해 단단하고 견고하게 묶었기 때문에 이것을 버릴 수 없습니다." 

지혜로운 이는 곧 무거운 짐을 버리고 삼실을 가지고 갔다. 그들은 다시 앞으로 나아가다가 삼베가 있는 것을 보았다. 지혜로운 이가 말했다

"이 삼베는 공력이 들어간 데다 또한 가볍고 미세하니 이것을 가지고 갑시다."

그러자 다른 한 사람이 말했다

"나는 이미 삼을 취해 단단하고 견고하게 묶었기 때문에 이것을 버릴 수 없습니다."

지혜로운 이는 곧 삼실을 버리고 삼베를 가지고 갔다. 그리고 스스로 소중히 여겼다.

그들은 다시 앞으로 나아가다가 솜[劫貝]이 있는 것을 보았다. 지혜로운 이가 말했다

"솜은 값이 비싸고 또 가볍고 미세하니, 이것을 가지고 갑시다."

다른 한 사람이 말했다.

"나는 이미 삼을 취해 단단하고 견고하게 묶었고 먼 길을 가지고 왔으니, 버릴 수 없소."

그 때 그 지혜로운 사람은 곧 삼베를 버리고 솜을 가졌다.

 

 

如是前行見劫貝縷次見白疊次見白銅次見白銀次見黃金其一智者言若無金者當取白銀若無白銀當取白銅乃至麻縷若無麻縷當取麻耳今者此村大有黃金眾寶之上汝宜捨麻我當捨銀共取黃金自重而歸彼一人言我取此麻繫縛牢固齎來道遠不能捨也汝欲取者自隨汝意其一智者捨銀取金重擔而歸其家親族遙見彼人大得金寶歡喜奉迎得金者見親族迎復大歡喜其無智人負麻而歸居家親族見之不悅亦不起迎其負麻者倍增憂愧婆羅門汝今宜捨惡習邪見勿爲長夜自增苦惱如負麻人執意堅固不取金寶負麻而歸空自疲勞親族不悅長夜貧窮自增憂苦也

 

이렇게 앞으로 가다가 솜실을 보았고 다음에 흰 천을 보았으며 다음에는 백동(白銅)을 보았고, 다음에는 백은(白銀)을 보았으며, 다음에는 황금을 보았다. 그 지혜로운 이는 말했다.

"만일 금이 없으면 백은을 취하고 만일 백은이 없으면 백동(白銅)에서부터 나아가 삼실에 이르기까지라도 가질 것이요, 만일 삼실이 없으면 삼이라도 가져야 할 것이오. 그러나 이제 이 마을에 숱한 보배 중에 제일가는 황금이 많이 있으니, 그대는 마땅히 삼을 버리시오. 나도 마땅히 백은을 버리겠소. 그리고 우리 함께 황금을 취해 스스로 소중히 여기며 돌아갑시다."

그 한 사람이 말했다

"나는 이 삼을 취해 단단하고 견고하게 묶었고 또 먼 길을 가지고 왔으니, 버릴 수 없소. 그대나 가지고 싶으면 당신 뜻대로 가지시오."

그 지혜로운 이는 은을 버리고 황금을 취해 한 짐 잔뜩 지고 집으로 돌아왔다. 친족은 멀리서 그 사람이 많은 황금을 얻은 것을 보고 기뻐하면서 맞이했다. 그 때 황금을 얻은 사람은 친족이 맞이하는 것을 보고 다시 크게 기뻐했다. 그러나 저 지혜 없는 사람은 삼을 지고 돌아왔다. 친족들은 그것을 보고 불쾌하게 생각했고 또 일어나 맞이하지도 않았다. 그 삼을 지고 온 사람은 더욱더 부끄러워하고 번민했다.  

 

바라문이여,

그대도 이제 그 좋지 않은 습관과 삿된 소견을 버려 긴 세월 동안 스스로 고뇌를 더하도록 하지 말라. 그것은 마치 저 삼을 진 사람이 고집이 세어 금을 취하지 않고 삼을 지고 돌아왔다가 부질없이 스스로 피로하고 친족들이 기뻐하지 않을 뿐 아니라 오랫동안 빈궁하여 스스로 걱정과 고통을 더하는 것과 같은 것이다.”

 

 

婆羅門言我終不能捨此見也所以者何我以此見多所敎授多所饒益四方諸王皆聞我名亦盡知我是斷滅學者

 

바라문이 말했다.

저는 끝내 이 견해를 버릴 수 없습니다. 왜냐 하면 저는 이 견해로 남을 많이 가르쳤고 또 이익 되는 바가 많았기 때문입니다. 사방의 모든 왕들은 모두 내 이름만 들어도 모두 제가 단멸(斷滅)을 주장하는 학자인 줄로 알고 있습니다.”

 

 

迦葉復言諸有智者以譬喩得解我今當更爲汝引喩乃往久遠有一國土其土邊壃人民荒壞時有商人有千乘車經過其土水穀薪草不自供足時商主念言我等伴多水穀薪草不自供足今者寧可分爲二分其一分者於前發引其前發導師見有一人身體麤大目赤面黑泥塗其身遙見遠來即問汝從何來報言我從前村來又問彼言汝所來處多有水穀薪草不耶其人報言我所來處豊有水穀薪草無乏我於中路逢天暴雨其處多水亦豊薪草又語商主汝曹車上若有穀草盡可捐棄彼自豊有不須重車

 

가섭이 다시 말했다.

모든 지혜 있는 사람은 비유를 들어 말하면 잘 이해한다고 한다. 나도 이제 다시 그대를 위하여 비유를 들어 말해 주겠다.

오랜 옛날에 어떤 국토가 있었는데 그 국토는 변방에 있었고 백성들은 피폐하였다. 그 때 천 대의 수레를 끌고 상인들이 그 국토를 지나가고 있었는데 물과 곡식과 땔감을 자급할 수가 없었다. 그 때 상인의 우두머리가 생각했다.

"우리 일행은 사람은 많고 물과 곡식과 땔감은 자급할 수가 없으니, 이제 차라리 두 패로 가르자." 

그리하여 그 한 무리는 먼저 출발했다. 먼저 출발한 무리의 길잡이가, 몸이 크고 눈이 붉고 얼굴은 검은데 그 몸에는 진흙을 바른 어떤 사람이 멀리서 오는 것을 보고 곧 물었다

"그대는 어디서 오는가?" 

그는 대답했다

"나는 앞마을에서 온다." 

또 그에게 물었다

"그대가 온 곳에는 물과 곡식과 땔감이 많던가?" 

그 사람은 대답했다

"내가 온 곳에는 물과 곡식과 땔감이 많이 있어 모자라지 않았다. 나는 도중에서 폭우를 만났는데 거기에는 물도 많고 또 땔감도 풍부했다." 

또 상인의 우두머리에게 말했다

"당신들의 수레에 만일 곡식이나 땔감이 있거든 모두 버려라. 저기는 그것들이 풍부하니, 구태여 수레를 무겁게 할 필요가 없다."

 

 

彼商主語眾商言吾向前行見有一人目赤面黑泥塗其身我遙問言汝從何來即答我言我從前村來我尋復問汝所來處豊有水穀薪草不也答我言彼大豊耳又語我言向於中路逢天暴雨此處多水又豊薪草復語我言君等車上若有穀草盡可捐棄彼自豊有不須重車汝等宜各棄諸穀草輕車速進即如其言各共捐棄穀草輕車速進如是一日不見水草二日三日乃至七日又復不見商人窮於曠澤爲鬼所食

 

그러자 상인의 우두머리가 여러 상인들에게 말했다

"내가 아까 앞서가다가 어떤 사람을 보았는데, 그는 눈이 붉고 얼굴은 검으며, 그 몸에는 진흙을 바르고 있었다. 내가 그를 만나 물었다.

너는 어디서 오느냐? 그는 곧 내게 대답했다. 나는 앞마을에서 온다.

나는 또 물었다. 네가 온 곳에는 물과 곡식과 땔감이 많던가?

그는 내게 대답했다그곳에는 넉넉하게 많이 있다.

그리고 또 내게 말했다.

전에 도중에서 폭우를 만났는데 거기에는 물도 많고 또 땔감도 풍부했다.

그는 다시 내게 말했다

만일 그대들 수레에 곡식이나 땔감이 있거든 그것을 모두 버려라. 거기는 그런 것들이 풍부하니 구태여 수레를 무겁게 할 필요가 없다.

그러니 너희들은 각각 모든 곡식과 땔감을 버리고 수레를 가볍게 하여 빨리 가도록 하자."

 

그러자 곧 그의 말대로 각자 모든 곡식과 땔감을 버리고 수레를 가볍게 하여 빨리 나아갔다. 이렇게 하여 하루를 지나갔는데도 물과 땔감이 보이지 않았고, 3, 4일 나아가 7일을 가도 역시 보이지 않았다. 그 때 상인들은 넓은 늪에서 헤매다가 귀신에게 잡혀 먹혔다.

 

 

其後一部次復進路商主時前復見一人目赤面黑泥塗其身遙見問言汝從何來彼人答言從前村來又問汝所來處豊有水穀薪草不耶彼人答曰大豊有耳又語商主吾於中路逢天暴雨其處多水亦豊薪草又語商主君等車上若有穀草便可捐棄彼自豊有不須重車

 

그 뒤에 다른 한 무리가 또 길을 떠났는데 그 상인들의 우두머리가 또 어떤 사람을 보았다. 눈은 붉고 얼굴은 검으며 그 몸은 진흙으로 발랐다. 그를 만나자 물었다.

"너는 어디서 오느냐?"

그 사람은 대답했다

"앞마을에서 온다." 

또 물었다

"네가 온 곳에는 물과 곡식과 땔감이 많던가?" 

그 사람은 대답했다

"매우 많았다." 

그는 또 상인 우두머리에게 말했다

"나는 도중에서 폭우를 만났는데 거기에는 물도 많고 땔감도 풍부했다."

그리고 또 상인 우두머리에게 말했다

"만일 그대들의 수레 위에 곡식이나 땔감이 있거든 그것들을 모두 버려라. 거기에는 그런 것들이 풍부하니 구태여 수레를 무겁게 할 필요가 없다."

 

 

商主還語諸商人言吾向前行見有一人道如此事君等車上若有穀草可盡捐棄彼自豊有不須重車商主言汝等穀草愼勿捐棄須得新者然後當棄所以者何新陳相接然後當得度此曠野時彼商人重車而行如是一日不見水草二日三日至于七日又亦不見但見前人爲鬼所食骸骨狼藉

 

그 때 상인 우두머리는 돌아와 모든 상인들에게 말했다

"내가 아까 앞서 가다가 어떤 사람을 만났는데 그는 내게 이런 말을 했다.

(만일 그대들의 수레 위에 곡식이나 땔감이 있거든 모두 버려라. 저기는 그런 것들이 풍부하니 구태여 수레를 무겁게 할 필요가 없다.) 

그 때 상인 우두머리가 말했다.

"너희들은 부디 곡식이나 땔감을 버리지 말라. 모름지기 새것을 얻은 뒤에 그것을 버려는 것이 좋을 것이다. 왜냐 하면 새 것과 묵은 것이 서로 연이어진 뒤에라야 비로소 이 광야를 건널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2, 3일 나아가 7일 동안 그 상인들은 무거운 수레를 끌고 갔다.

이렇게 하루를 가도 물과 땔감은 보이지 않았고 2, 3일 나아가 7일을 가도 역시 보이지 않았다. 다만 귀신에게 먹힌 앞 사람들의 해골이 흩어져 있는 것만 보일 뿐이었다.

 

 

婆羅門彼赤眼黑面者是羅剎鬼也諸有隨汝敎者長夜受苦亦當如彼前部商人無智慧故隨導師語自沒其身婆羅門諸有沙門婆羅門精進智慧有所言說承用其敎者則長夜獲安如彼後部商人有智慧故得免危難婆羅門汝今寧可捨此惡見勿爲長夜自增苦惱

 

바라문이여,

저 눈이 붉고 얼굴이 검은자는 나찰귀(羅刹鬼)였다. 그대의 가르침을 따르는 모든 사람이 긴긴 세월 동안 고통을 받는 것도 또한 마땅히 저들과 같을 것이다. 앞에 떠난 상인들은 지혜가 없었기 때문에 길잡이의 말을 따랐다가 그 자신을 스스로 멸망시킨 것이다.

 

바라문이여,

열심히 정진하고 지혜가 있는 저 사문 바라문들의 가르침을 받들어 행하면 곧 긴긴 세월 동안 안락을 얻을 것이다. 저 나중의 상인 무리들은 지혜가 있었기 때문에 위험과 어려움을 면할 수 있었으니, 바라문이여, 그대는 이제 차라리 그 악한 소견을 버려 긴긴 세월 동안 스스로 고뇌만 늘어나게 하지 말라.”

 

 

婆羅門言我終不能捨所見也設有人來强諫我者生我忿耳終不捨見

바라문은 말했다.

저는 끝내 제 견해를 버릴 수 없습니다. 설령 어떤 사람이 와서 억지로 저에게 충고하더라도 제 분노만 살 뿐 저는 끝내 제 견해를 버리지 않을 것입니다.”

 

 

迦葉又言諸有智者以譬喩得解我今當復爲汝引喩乃昔久遠有一國土其土邊壃人民荒壞時有一人好喜養猪詣他空村見有乾糞尋自念言此處饒糞我猪豚飢今當取草裹此乾糞頭戴而歸即尋取草裹糞而戴於其中路逢天大雨糞汁流下至于足跟眾人見已皆言狂人糞除臭處正使天晴尙不應戴況於雨中戴之而行其人方怒逆罵汝等自癡不知我家猪豚飢餓汝若知者不言我癡婆羅門汝今寧可捨此惡見勿守迷惑長夜受苦如彼癡子戴糞而行眾人訶諫逆更瞋罵謂他不知

* : (꾸짖을 리) 욕하다.

 

가섭이 또 말했다.

모든 지혜 있는 사람은 비유를 들어 말해 주면 쉽게 이해한다고 한다. 나도 이제 마땅히 그대를 위하여 다시 비유를 들어 말해주겠다.

오랜 옛날 어떤 나라가 있었는데 그 나라는 변방에 위치하고 있는데다가 백성들마저 피폐하였다. 그 때 돼지를 잘 기르는 어떤 사람이 있었는데 그는 다른 빈 마을에 갔다가 마른 똥이 있는 것을 보고 혼자 생각했다

"여기엔 똥이 흔한데 우리 돼지들은 굶주리고 있다. 나는 이제 이 마른 똥을 풀에 싸서 머리에 이고 가리라." 

그는 곧 풀을 뜯어 똥을 싸서 머리에 이고 가는데 도중에 큰 비를 만나 똥물이 흘러내려 발꿈치에까지 이르렀다. 여러 사람들은 그것을 보고 다들 말했다.

"미친 사람이로군. 똥을 발라[] 냄새를 풍기다니……. 냄새나는 똥은 맑은 날에도 이고 가지 않아야 하겠거늘 하물며 비오는 날에 그것을 이고 가다니."

* 똥을 발라[]: 원문에는 "糞除 ()"자로 되어 있으나 이것으로는 문맥이 통하지 않고 불광대장경(佛光大藏經)각주에 의하면 송()()() 3()에는 "칠할 도()"자로 되어 있다고 했는데 이것이 문맥상 더 잘 통하므로 이를 따랐다.

 

그러자 그 사람은 버럭 화를 내며 도리어 꾸짖었다

"너희들은 어리석어 우리 집 돼지가 굶는 것을 모른다. 너희들이 만일 그런 줄을 안다면 나를 어리석다고 말하지 못할 것이다."

 

바라문이여,

그대는 이제 그 나쁜 견해를 버려야 한다. 미혹(迷惑)된 생각을 고집하여 기나긴 세월 동안 고통을 받는 일이 없게 하라. 그대는 저 어리석은 자가 똥을 이고 가는 것과 같다. 그는 여러 사람의 꾸지람을 듣고도 도리어 욕하고 꾸짖으면서 그들이 무지하다고 한다.”

 

 

婆羅門語迦葉言汝等若謂行善生天死勝生者汝等則當以刀自刎飮毒而死或五縛其身自投高岸而今貪生不能自殺者則知死不勝生

 

바라문이 가섭에게 말했다.

당신들이 만일 선()을 행하면 하늘에 나게 되나니 죽는 것이 사는 것보다 낫다고 한다면 당신들은 마땅히 칼로써 스스로 목을 찌르던지 독약을 마시고 죽던지 혹은 몸을 다섯 가지로 묶어 스스로 높은 벼랑에서 떨어지던지 해야 할 것입니다. 그런데 지금 삶을 탐하여 스스로 죽지 못하는 것을 보면 곧 죽는 것이 사는 것보다 낫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迦葉復言諸有智者以譬喩得解我今當更爲汝引喩昔者此斯波醯村有一梵志耆舊長宿年百二十彼有二妻一先有子一始有娠彼梵志未久命終其大母子語小母言所有財寶盡應與我汝無分也時小母言汝爲小待須我分娠若生男者應有財分若生女者汝自嫁娶當得財物彼子慇懃再三索財小母答如初其子又逼不已時彼小母即以利刀自決其腹知爲男女

 

가섭은 다시 말했다.

모든 지혜 있는 사람은 비유를 들어 말하면 쉽게 이해한다고 한다. 나도 이제 또한 그대를 위하여 비유를 들어 말해 주겠다.

옛날 이 사파혜촌(斯波醯村)에 한 범지(梵志) 기구장숙(耆舊長宿나이 많고 덕망 있는 노인)이 있었는데 그의 나이 120 살이었다. 그에게는 두 아내가 있었는데 한 명은 먼저 난 아들이 있었고 다른 한 명은 처음으로 아이를 배고 있었다. 그 때 그 범지는 오래지 않아 목숨을 마쳤다. 그러자 그 큰 어머니의 아들이 작은 어머니에게 말하였다.

"가지고 있는 재보(財寶)는 모두 내게 주어야 마땅할 것이오. 당신의 몫은 없소."

그러자 작은 어머니가 말했다.

"너는 내가 몸을 풀 때까지 잠시만 기다려라. 만일 아들을 낳거든 마땅히 재물을 나누어야 할 것이고, 만일 딸을 낳거든 네가 장가들어 데리고 살면서 그 재물을 몽땅 가지거라."

그러나 전처의 아들은 은근히 두 번 세 번 재물을 요구했고, 작은 어머니는 처음과 같이 대답했다. 그 아들의 강압에 못 이겨, 작은 어머니는 곧 예리한 칼로 스스로 자신의 배를 갈라 아들인가 딸인가를 알아보려고 했다.”

 

 

語婆羅門言母今自殺復害胎子汝婆羅門亦復如是旣自殺身復欲殺人若沙門婆羅門精勤修善戒德具足久存世者多所饒益天人獲安吾今末後爲汝引喩當使汝知惡見之殃昔者此斯波醯村有二伎人善於弄丸二人角伎一人得勝不如者語勝者言今日且停明當更共試其不如者即歸家中取其戱丸塗以毒藥暴之使乾明持此丸詣勝者所語言更可角伎即前共戱先以毒丸授彼勝者勝者即吞其不如者復授毒丸得已隨呑其毒轉行擧身戰動

 

다시 바라문에게 말했다.

그 어머니는 이렇게 자살함으로써 또 태아에게 해를 가했다. 바라문이여, 그대도 또한 그와 같다. 이미 자신을 죽이고 또 남을 죽이려 하고 있다. 만일 사문 바라문이 꾸준히 힘써 선()을 닦고 계덕(戒德)을 두루 갖추어 이 세상에 오래 산다면 많은 이익을 주어 천상과 인간이 안락을 얻을 것이다.

나는 이제 마지막으로 그대를 위해 비유를 들어 말해서 마땅히 그대에게 나쁜 견해의 재앙을 알게 하리라.

 

옛날 이 사파혜촌에 구슬을 잘 다루는 두 재주꾼이 있었다. 그 두 사람이 재주를 다투어 한 사람이 이겼다. 그러자 진 사람이 이긴 사람에게 말했다

"오늘은 그만 하고 내일 다시 시합하자." 

진 사람은 곧 집으로 돌아가 놀이 구슬에 독약을 발랐다. 이튿날 그것을 가지고 이긴 사람에게 가서 말했다

"다시 재주를 겨뤄보자." 

그리고 곧 앞으로 나아가 함께 놀았다. 그는 먼저 독약을 바른 구슬을 이긴 사람에게 주었고, 이긴 사람은 곧 그것을 입에 물었다. 진 사람이 다시 구슬을 주자 그는 곧 입에 물었다. 그러자 그 독기가 온몸에 퍼져 몸이 떨렸다.

 

 

不如者以偈罵曰

吾以藥塗丸  而汝呑不覺

小伎汝爲呑  久後自當知

 

그 때 진 사람이 게송으로 꾸짖었다.”

 

내가 구슬에 독약을 발랐는데

너는 입에 물고도 깨닫지 못하는구나.

조그마한 재주를 가진 네가 삼킨 것을

오랜 뒤에는 마땅히 저절로 알게 되리.

 

 

迦葉語婆羅門言汝今當速捨此惡見勿爲專迷自增苦毒如彼伎人呑毒不覺

 

가섭이 바라문에게 말했다.

그대는 이제 빨리 그 나쁜 견해를 버려 미혹된 생각을 고집하면서 스스로 고통의 독을 더하게 하지 말라. 너는 마치 저 재주꾼이 독을 삼키고도 깨닫지 못하는 것과 같다.”

 

 

婆羅門白迦葉言尊者初設月喩我時已解所以往返不時受者欲見迦葉辯才智慧生牢固信耳我今信受歸依迦葉

 

그 때 바라문이 가섭에게 말했다.

존자(尊者)시여, 당신이 처음 달에 비유해 말씀하셨을 때, 저는 이미 깨달았습니다. 그런데 몇 번이나 되풀이하면서 당장 받아들이지 않은 까닭은 가섭의 말솜씨[辯才]와 지혜를 보고 굳건한 믿음을 얻고자 했기 때문입니다. 저는 이제 그것을 믿고 받아들여 가섭께 귀의하겠습니다.”

 

 

迦葉報言汝勿歸我如我所歸無上尊者汝當歸依

가섭이 대답했다.

그대는 내게 귀의하지 말라. 내가 귀의하는 위없이 존귀한 분[無上尊者]께 그대도 마땅히 귀의해야 하리라.”

 

 

婆羅門言不審所歸無上尊者今爲所在

바라문도 말했다.

귀의해야 할 위없이 존귀한 분은 지금 어디 계신지요?”

 

 

迦葉報言今我師世尊滅度未久

가섭도 대답했다.

지금 나의 스승이신 세존께서 멸도(滅度)하신 지 오래되지 않았다.”

 

 

婆羅門言世尊若在不避遠近其當親見歸依禮拜今聞迦葉言如來滅度今即歸依滅度如來及法眾僧迦葉聽我於正法中爲優婆塞自今已後盡壽不殺不盜不淫不欺不飮酒我今當爲一切大施

 

바라문은 말했다.

세존께서 만일 계신다면 멀고 가까움을 가리지 않고 마땅히 직접 뵙고 귀의하고 예배하였을 것입니다. 그런데 지금 가섭의 말씀을 들으면 여래께서는 이미 멸도 하셨다 하니 그러면 이제 곧 멸도하신 여래와 법과 스님들께 귀의하고자 합니다. 가섭이시여, 제가 정법(正法) 가운데서 우바새(優婆塞)가 되는 것을 허락해 주십시오.

저는 지금부터 목숨이 다할 때까지 살생하지 않고[不殺], 도둑질하지 않으며[不盜], 간음하지 않고[?], 속이지 않으며[不欺], 술을 마시지 않고[不飮酒], 또 나는 마땅히 일체 중생들에게 큰 보시를 하겠습니다.”

 

 

迦葉語言若汝宰殺眾生撾打僮僕而爲會者此非淨福又如磽确薄地多生荊棘於中種植必無所獲汝若宰殺眾生撾打僮僕而爲大會施邪見眾此非淨福若汝大施不害眾生不以杖楚加於僮僕歡喜設會施淸淨眾則獲大福猶如良田隨時種植必獲果實

 

가섭이 말했다.

만일 그대가 중생을 살해하고 하인들을 때린다면 아무리 모임[]을 가진다 해도 그것은 청정한 복이 되지 않을 것이니, 이는 또 자갈이 많은 메마른 땅에 게다가 가시덩쿨이 많이 나서 우거진 그런 곳에 씨를 뿌려도 반드시 얻는 것이 없는 것과 같다.

그대가 만일 중생을 살해하고 하인들을 때리면서 큰 모임을 열어 삿된 견해를 가진 대중에게 보시한다면 그것은 청정한 복이 아니다. 그러나 만일 그대가 크게 보시를 행하고 중생을 해치지 않으며 회초리로 종들을 때리지 않고 기쁘게 모임을 열어 청정한 대중에게 보시한다면 곧 큰 복을 거둘 것이다. 그것은 마치 좋은 밭에 때맞추어 종자를 뿌리면 반드시 그 열매를 얻는 것과 같다.”

 

 

迦葉自今已後常淨施眾僧不令斷絶

가섭이여, 저는 지금부터 항상 스님들께 청정한 보시를 행하되 단절되지 않게 하겠습니다.”

 

 

有一年少梵志名曰摩頭在弊宿後立弊宿顧語曰吾欲設一切大施汝當爲我經營處分

그 때 한 젊은 범지가 있었는데 이름을 마두(摩頭)라고 했다. 그는 폐숙의 뒤에 서 있었다. 폐숙이 그를 돌아보며 말했다.

나는 지금 일체 중생에게 큰 보시를 베풀고자 한다. 너는 마땅히 나를 위하여 경영하고 처리하라.”

 

 

年少梵志聞弊宿語已即爲經營爲大施已而作是言願使弊宿今世後世不獲福報

그 때 젊은 범지는 폐숙의 말을 듣고 곧 큰 보시를 위해 경영하였고, 그 일을 마치자 그는 이렇게 말했다

폐숙이 금생이나 후생에 복의 과보를 얻지 않게 되기를 바라나이다.”

 

 

弊宿聞彼梵志經營施已有如是言願使弊宿今世後世不獲果報即命梵志而告之曰汝當有是言耶

그 때 폐숙은 저 범지가 경영해 보시를 마치고 "폐숙이 금생이나 후생에 복의 과보를 얻지 않게 되기를 바라나이다."라고 하는 말을 듣고 그는 곧 범지에게 명령해 말했다.

네가 분명 그런 말을 했는가?”

 

 

答曰如是實有是言所以然者今所設食麤澁弊惡以此施僧若以示王王尙不能以手暫向當食之現在所設不可喜樂何由後世得淨果報王施僧衣純以麻布若以示王王尙不能以足暫向能自著現在所施不可喜樂何由後世得淨果報

* 의대치(하물며 황)

 

그는 대답했다.

그렇습니다. 진실로 그런 말을 했습니다. 왜냐 하면 지금 베푼 음식은 모두 거칠고 떫고 아주 나쁜 것인데 그것을 스님들께 보시했기 때문입니다.

만일 그것을 왕께서 보셨다면 왕께서는 오히려 잠깐이라도 손을 대지 않았을 것인데 하물며 그것을 드시겠습니까?

현재에 베푼 것은 기쁘고 즐거워할 만한 것이 못되는데, 무엇으로 말미암아 후세에 청정한 과보를 얻겠습니까? 왕께서는 스님의 옷을 보시할 때 순 삼베로써 하였습니다. 만일 그것을 왕께서 보셨다면 왕께서는 오히려 잠깐이라도 발을 대지 않았을 것인데, 하물며 그것을 직접 입으시겠습니까? 현재 보시한 것은 기쁘고 즐거워할 만한 것이 아닌데 무엇으로 말미암아 후세에 청정한 과보를 얻겠습니까?”

 

 

婆羅門又告梵志自今已後汝以我所食我所著衣以施眾僧

그 때 바라문 폐숙은 또 젊은 범지에게 말했다.

지금부터 너는 내가 먹는 음식, 내가 입는 옷으로 스님들께 보시하라.”

 

 

梵志即承敎旨以王所食王所著衣供養眾僧婆羅門設此淨施身壞命終生一下劣天中梵志經營會者身壞命終忉利天

 

그 때 젊은 바라문은 분부를 받고 곧 왕이 먹는 음식과 왕이 입는 옷으로 여러 스님들께 공양했고 그 범지는 이 청정한 보시를 행한 뒤 몸이 무너지고 목숨이 끝나서는 한 단계 하열한 하늘[一下劣天]에 태어났다.

그리고 그 모임을 경영한 범지는 몸이 무너지고 목숨이 끝나고는 도리천(利天)에 태어났다.

 

* 도리천(忉利天, Trāyastriṃśa)은 음역하여 다라야등릉사(多羅夜登陵舍) 또는 달리야달리사(怛唎耶怛唎奢)라고도 하며, 의역하여 33(三十三天)이라고도 한다.

불교의 우주론에 따르면, 도리천은 6욕천(六欲天) 가운데 두 번째 하늘[], 수미산(須彌山)의 정상에 위치하고 있다. 수미산 정상에는 동서남북 4방에 천인(天人)들이 사는 각각 8개씩의 천성(天城)이 있으며, 중앙에는 제석천(帝釋天, Śakra, Indra, 인드라)이 사는 선견성(善見城)이 있어 33천이라고 한다. 도리천의 천인들의 수명은 1000세이고, 도리천의 하루가 인간세상의 100년이다.

 

 

 

爾時弊宿婆羅門年少梵志及斯婆醯婆羅門居士等聞童女迦葉所說歡喜奉行

 

이 때 폐숙 바라문과 젊은 범지 및 사파혜촌의 바라문거사들은 동녀 가섭의 말을 듣고 기뻐하고 즐거워하며 받들어 행했다.

 

 

 

 

산과바다 이계도

'*** 佛 心*** > 長阿含經' 카테고리의 다른 글

長阿含經 9. 衆集經  (0) 2015.02.10
長阿含經 8. 散陀那經  (0) 2015.02.10
長阿含經 6. 轉輪聖王修行經  (0) 2015.02.09
長阿含經 5. 小緣經  (0) 2015.02.09
長阿含經 4. 闍尼沙經  (0) 2015.02.09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