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산에는 꽃이 피네
***한자성어(漢字成語)***/한자성어(漢字成語)

14. 결혼(結婚)에 관련된 漢字成語

by 산산바다 2025. 2. 2.

산과바다

한자성어(漢字成語) HOME

 

 

14. 결혼(結婚)에 관련된 漢字成語

한글 발음 漢字成語 의미 해석
각침찬금금란 角枕粲錦禽爛 각침(角枕)과 비단(緋緞) 이불이 찬란(燦爛)하다.’는 뜻으로, 신혼(新婚)의 금침(衾枕)이 아름다움을 이르는 말.
결발부부 結髮夫婦 총각(總角)과 처녀(處女)끼리 혼인(婚姻)한 부부(夫婦).
결발부처 結髮夫妻 귀밑머리를 풀어 쪽을 찌고 상투를 튼 부부(夫婦)라는 뜻으로, 정식(正式)으로 결혼(結婚)한 부부(夫婦)를 이르는 말.
계명지조 鷄鳴之助 어질고 현명(賢明)한 왕비(王妃)의 내조(內助)를 이르는 말. 예전에 어진 왕비(王妃)는 새벽이면 반드시 왕()께 나아가 닭이 울었으니 일어나라고 권()하여 왕()이 아침 일찍부터 일어나 정사(政事)를 보도록 하였다는 데서 유래(由來)한다. 출전:시경(詩經) 96. 계명(雞鳴)-시경 제풍(詩經 齊風)
고분 鼓盆 물동이를 두드린다.’는 뜻으로, 아내의 죽음을 비유적(比喩的)으로 이르는 말. 장자(莊子)의 아내가 죽어서 혜자(惠子)가 조문(弔問)하러 갔더니 장자(莊子)가 다리를 뻗고 앉아 동이를 두드리며 노래하고 있었다는 고사(故事)에서 유래(由來)한다. 鼓盆之痛(고분지통)  鼓盆之嘆()(고분지탄) 
고분지통 鼓盆之痛 물동이를 두드리는 슬픔이라는 뜻으로, 아내가 죽은 슬픔을 이르는 말.
고자과학 孤雌寡鶴 짝을 잃은 외로운 새라는 뜻으로, 남편(男便)이나 아내를 잃은 사람을 이르는 말.
금슬 琴瑟 1. 거문고와 비파(琵琶)를 아울러 이르는 말. 2. ‘금실(琴瑟)’(琴瑟(금실) : 부부(夫婦)()의 사랑.)의 원말. 琴瑟之樂(금슬지락)
금슬상화 琴瑟相和 ()과 슬()이 합주(合奏)하여 화음(和音)이 조화(調和)되는 것같이 부부(夫婦) 사이가 다정하고 화목(和睦)함을 비유적(比喩的)으로 이르는 말.
금슬지락 琴瑟之樂 금실지락(琴瑟之樂)’의 원말(-). 琴瑟之樂(금실지락) : 부부간(夫婦間)의 사랑.
금심 琴心 1. 거문고 소리를 통()하여 자신(自身)의 마음을 표현(表現).
2. 부인(夫人)에 대()한 애모(愛慕)의 마음.
남창여수 男唱女隨 남자(男子)가 앞에 나서서 서두르고 여자(女子)는 따라만 함.
남흔여열 男欣女悅 남녀(男女)가 좋아한다.는 뜻으로, 부부(夫婦)가 화락(和樂)함을 이르는 말.
내외지간 內外之間 부부(夫婦) 사이.
동고동락 同苦同樂 괴로움과 즐거움을 함께 한다.는 뜻으로, 같이 고생(苦生)하고 같이 즐김.
동방화촉 洞房華燭 동방(東方)에 비치는 환한 촛불이라는 뜻으로, 혼례(婚禮)를 치르고 나서 첫날밤에 신랑(新郞)이 신부(新婦) ()에서 자는 의식(儀式)을 이르는 말. 출전:유신(庾信)
매자 媒子 결혼(結婚)이 이루어지도록 중간(中間)에서 소개(紹介)하는 사람.
문당호대 門當戶對 결혼(結婚) 조건(條件)이 갖추어진 상대(相對).
미망인 未亡人 남편(男便)을 여읜 여자(女子). 아직 따라 죽지 못한 사람이라는 뜻. 과부.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장공편(莊公篇)>에 나오는 말이다.  유래 
백년가기 百年佳期 젊은 남녀(男女)가 부부(夫婦)가 되어 평생(平生)을 같이 지낼 것을 굳게 다짐하는 아름다운 언약(言約).
백년가약 百年佳約 젊은 남녀(男女)가 부부(夫婦)가 되어 평생(平生)을 같이 지낼 것을 굳게 다짐하는 아름다운 언약(言約).
백년동락 百年同樂 부부(夫婦)가 되어 한평생(-平生)을 같이 살며 함께 즐거워함.
백년지고락 百年之苦樂 남편(男便)과 아내로서 함께 지내는 일생(一生) 동안의 괴로움과 즐거움.
백년지약 百年之約 젊은 남녀(男女)가 부부(夫婦)가 되어 평생(平生)을 같이 지낼 것을 굳게 다짐하는 아름다운 언약(言約).
백년해락 百年偕樂 부부(夫婦)가 되어 한평생(-平生)을 같이 즐겁게 지냄.
백년해로 百年偕老 부부(夫婦)가 되어 한평생(-平生)을 사이좋게 지내고 즐겁게 함께 늙음. (偕老(해로))
백주지조 栢舟之操 백주(栢舟)라는 시를 지어 맹세(盟誓)하고 절개(節槪節介)를 지킨다.’는 뜻으로, 남편(男便)이 일찍 죽은 아내가 절개(節槪節介)를 지키는 것을 의미(意味). 출전:시경(詩經) 26 柏舟(백주)-詩經邶風(시경패풍) 45 柏舟(백주)-詩經鄘風(시경용풍)  유래 
부부지정 夫婦之情 부부(夫婦) 사이의 애정(愛情).
부창부수 夫唱婦隨 남편(男便)이 주장(主掌)하고 아내가 이에 잘 따름. 또는 부부(夫婦) 사이의 그런 도리(道理).
붕성지통 崩城之痛 ()이 무너질 만큼 큰 슬픔이라는 뜻으로, 남편(男便)이 죽은 슬픔을 이르는 말.
비익연리 比翼連理 비익조(比翼鳥)와 연리지(連理枝)’라는 뜻으로, 부부(夫婦)가 아주 화목(和睦)함을 이르는 말. (連理枝(연리지)) (比翼鳥(비익조)) 장한가(長恨歌) - 백거이(白居易)  유래 
비익조 比翼鳥 1. 암컷과 수컷의 눈과 날개가 하나씩이어서 짝을 짓지 아니하면 날지 못한다는 전설(傳說)()의 새.
2. 남녀(男女)나 부부(夫婦) 사이의 두터운 정()을 비유적(比喩的)으로 이르는 말. (連理枝(연리지)) 장한가(長恨歌) - 백거이(白居易)
사즉동혈 死則同穴 부부(夫婦)가 죽은 뒤에 한 무덤에 묻힌다.’는 뜻으로, 부부(夫婦)의 사이가 매우 좋음을 나타내는 말. 시경(詩經)에서 유래(由來)한다. 穀則異室(곡칙이실) : 살아서는 한 집에 못살아도 死則同穴(사칙동혈) : 죽어서는 함께 묻히리라 73 大車(대거)-詩經 王風(시경 왕풍)
삼생가약 三生佳約 삼생(三生)을 두고 끊어지지 않을 아름다운 언약(言約)’이라는 뜻으로, ‘약혼(約婚)’을 달리 이르는 말. * 삼생(三生) : 과거(過去), 현재(現在), 미래(未來)의 세상(世上)이라는 뜻에서, 전생(前生)과 현생(現生)과 후생(後生)의 총칭(總稱).
삼생연분 三生緣分 삼생(三生)을 두고 끊어지지 않을 깊은 인연(因緣). 부부간(夫婦間)의 인연(因緣)을 이른다.
성기 星期 1. 음력(陰曆) 77일을 이르는 말. 2. ‘혼인날(婚姻-)’을 달리 이르는 말. 칠석(七夕)의 견우성(牽牛星)ㆍ직녀성(織女星)의 전설(傳說)에서 유래(由來)한다.
성친 成親 1. 출세(出世)하여 부모(父母)의 명예(名譽)를 높임.
2. ‘친척(親戚)이 된다.’는 뜻으로, ‘혼인(婚姻)’을 달리 이르는 말.
수어지교 水魚之交 1. ‘물이 없으면 살 수 없는 물고기와 물의 관계(關係)’라는 뜻으로, 아주 친밀(親密)하여 떨어질 수 없는 사이를 비유적(比喩的)으로 이르는 말.
2. 임금과 신하(臣下) 또는 부부(夫婦)의 친밀(親密)함을 이르는 말. 출전:삼국지(三國志)  유래 
수어지친 水魚之親 1. ‘물이 없으면 살 수 없는 물고기와 물의 관계(關係)’라는 뜻으로, 아주 친밀(親密)하여 떨어질 수 없는 사이를 비유적(比喩的)으로 이르는 말.
2. 임금과 신하(臣下) 또는 부부(夫婦)의 친밀(親密)함을 이르는 말.  유래 
실가지락 室家之樂 부부(夫婦) 사이의 화목(和睦)한 즐거움.
쌍비 雙飛 한 쌍()의 새가 나란히 날아간다.’는 뜻으로, 부부(夫婦)가 화합(和合)함을 이르는 말.
쌍숙쌍비 雙宿雙飛 함께 자고 함께 날아간다.’는 뜻으로, 남녀(男女) 또는 부부(夫婦)가 깊게 관계(關係)를 맺어 함께 기거(起居)함을 이르는 말.
앙망종신 仰望終身 일생(一生)을 존경(尊敬)하고 사모(思慕)하여 내 몸을 의탁(依託)하는 일. , 아내가 남편(男便)에 대()하여 하는 말. 출전:맹자(孟子) 所仰望而終身也(소앙망이종신야) : 우러러보면서 일생을 살 사람인데 孟子(맹자) 33. 齊人有一妻一妾(제인유일처일첩)
양주 兩主 바깥주인(--主人)과 안주인(-主人)’이라는 뜻으로, ‘부부(夫婦)’를 이르는 말.
어수지친 魚水之親 물고기와 물처럼 친()한 사이라는 뜻으로, 임금과 신하(臣下)의 친밀(親密)한 사이. 또는 서로 사랑하는 부부(夫婦) 사이.
엄처시하 嚴妻侍下 ()한 아내를 모시는 그 아래라는 뜻으로, 아내에게 쥐여사는 남편(男便)의 처지(處地)를 놀림조(--調)로 이르는 말.
여고금슬 如鼓琴瑟 거문고와 비파(琵琶)를 타는 것과 같다.’는 뜻으로, 부부(夫婦) ()에 화락(和樂)함을 비유(比喩譬喩)해 이르는 말. 출전:시경(詩經) 01 關雎(관저)-詩經(시경)
여필종부 女必從夫 아내는 반드시 남편(男便)을 따라야 한다는 말.
연리 連理 두 나무의 가지가 서로 맞닿아서 결이 서로 통()한 것. 이라는 뜻으로 화목(和睦)한 부부(夫婦)나 남녀(男女) 사이를 비유적(比喩的)으로 이르는 말.
연리비익 連理比翼 비익조(比翼鳥)와 연리지(連理枝)’라는 뜻으로, 부부(夫婦)가 아주 화목(和睦)함을 이르는 말.  유래 
연리지 連理枝 1. 두 나무의 가지가 서로 맞닿아서 결이 서로 통한 것.
2. 화목(和睦)한 부부(夫婦)나 남녀(男女) 사이를 비유적(比喩的)으로 이르는 말. (比翼鳥(비익조)) 장한가(長恨歌) - 백거이(白居易)  유래 
원앙계 鴛鴦契 금실(琴瑟)이 좋은 부부(夫婦)의 사이.
원앙지계 鴛鴦之契 금실(琴瑟)이 좋은 부부(夫婦)의 사이.
월하노인 月下老人 부부(夫婦)의 인연(因緣)을 맺어 준다는 전설(傳說)()의 늙은이. 중국(中國) 당나라(--)의 위고(韋固)가 달밤에 어떤 노인(老人)을 만나 장래(將來)의 아내에 대한 예언(豫言)을 들었다는 데서 유래(由來)한다.
월하빙인 月下氷人 월하노인(月下老人)과 빙상인(氷上人)’이라는 뜻으로, 중매(仲媒)를 하는 사람을 이르는 말. 출전:속유괴록(續幽怪錄) 유래 
유어유수 猶魚有水 물고기와 물과의 관계(關係)처럼 임금과 신하(臣下) 또는 부부(夫婦) 사이가 친밀(親密)함을 이르는 말.
이성지락 二姓之樂 부부간(夫婦間)의 사랑.
이성지합 二姓之合 서로 다른 두 성()이 합()하였다.’는 뜻으로, 남녀(男女)의 혼인(婚姻)을 이르는 말.
작수성례 酌水成禮 물 한 그릇만 떠서 놓고 혼례(婚禮)를 치른다.’는 뜻으로, 가난한 집안의 혼례(婚禮)를 이르는 말.
정정 定情 부부(夫婦)가 정()을 맺는다.’는 뜻으로, ‘혼인(婚姻)’을 이르는 말.
제미 齊眉 밥상(-)을 눈썹과 가지런하도록 공손(恭遜)히 들어 남편(男便) 앞에 가지고 간다.’는 뜻으로, 남편(男便)을 깍듯이 공경(恭敬)함을 이르는 말.
조강지처 糟糠之妻 지게미와 쌀겨로 끼니를 이을 때의 아내라는 뜻으로, 몹시 가난하고 천()할 때에 고생(苦生)을 함께 겪어 온 아내를 이르는 말. 후한서(後漢書)<송홍전(宋弘傳)>에 나오는 말이다.  유래 
졸가 拙歌 보잘것없는 노래라는 뜻으로, 자기(自己)의 노래를 겸손(謙遜謙巽)하게 이르는 말.
종신대사 終身大事 평생(平生)에 관계(關係)되는 큰일이라는 뜻으로, ‘결혼(結婚)’을 이르는 말.
종옥지연 種玉之緣 혼인(婚姻)의 인연(因緣).
주량회갑 舟梁回甲 결혼(結婚)한 지 예순이 되는 그날.
지복연인 指腹連姻 배를 손가락으로 가리켜 혼인(婚姻)을 약속(約束)한다.’는 뜻으로, 임신부(妊娠婦)가 있는 두 집안에서 아이들을 낳기 전()에 배 속의 아이들끼리 약혼(約婚)을 맺는 일을 이르는 말. 약혼(約婚)한 증표(證票)로 적삼의  깃을 나누어 가졌다고 하여 할삼혼(割衫婚)’이라고도 한다. 指腹爲婚(지복위혼)
지복위혼 指腹爲婚 배를 손가락으로 가리켜 혼인(婚姻)을 약속(約束)한다.’는 뜻으로, 임신부(妊娠婦)가 있는 두 집안에서 아이들을 낳기 전에 배 속의 아이들끼리 약혼(約婚)을 맺는 일을 이르는 말. 약혼(約婚)한 증표(證票)로 적삼의 깃을 나누어 가졌다고 하여 할삼혼(割衫婚)’이라고도 한다.
지복재금 指腹裁襟 배를 손가락으로 가리켜 혼인(婚姻)을 약속(約束)한다.’는 뜻으로, 임신부(妊娠婦)가 있는 두 집안에서 아이들을 낳기 전()에 배 속의 아이들끼리 약혼(約婚)을 맺는 일을 이르는 말. 약혼(約婚)한 증표(證票)로 적삼의 깃을 나누어 가졌다고 하여 할삼혼(割衫婚)’이라고도 한다.
지복지맹 指腹之盟 배 속의 태아(胎兒)를 가리켜 결혼(結婚) 약속(約束)을 함. 유래 
지복지약 指腹之約 배 속의 태아(胎兒)를 가리켜 결혼(結婚) 약속(約束)을 함. 指腹之盟(지복지맹)  유래 
지복혼 指腹婚 배를 손가락으로 가리켜 혼인(婚姻)을 약속(約束)한다.’는 뜻으로, 임신부(妊娠婦)가 있는 두 집안에서 아이들을 낳기 전()에 배 속의 아이들끼리 약혼(約婚)을 맺는 일을 이르는 말. 약혼(約婚)한 증표(證票)로 적삼의 깃을 나누어 가졌다고 하여 할삼혼(割衫婚)’이라고도 한다.
지자우귀 之子于歸 딸이 시집(-)가는 일. 출전:시경(詩經) 之子于歸(지자우귀) : 그녀 시집올 적에 156. 東山(동산)-詩經 豳風(시경 빈풍)
진진지연 秦晉之緣 혼인(婚姻)을 맺은 두 집 사이의 가까운 정의(情誼)를 이르는 말.
진진지의 秦晉之誼 혼인(婚姻)을 맺은 두 집 사이의 가까운 정의(情誼)를 이르는 말. 중국(中國)의 진나라(--)와 진나라(--)의 왕실(王室)이 혼인(婚姻)을 맺고 지낸 데서 유래(由來)한다.
진진지호 秦晉之好 혼인(婚姻)을 맺은 두 집 사이의 가까운 정의(情誼)를 이르는 말. 중국(中國)의 진나라(--)와 진나라(--)의 왕실(王室)이 혼인(婚姻)을 맺고 지낸 데서 유래(由來)한다.  유래 
진환진애 秦歡晉愛 혼인(婚姻)을 맺은 두 집 사이의 가까운 정의(情誼)를 이르는 말.
창수 倡隨(唱隨) 남편(男便)이 주장(主掌)하고 아내가 이에 잘 따름. 또는 부부(夫婦) 사이의 그런 도리(道理).
천생배필 天生配匹 하늘에서 미리 정()하여 준 배필(配匹)’이라는 뜻으로, 나무랄 데 없이 신통(神通)히 꼭 알맞은 한 쌍()의 부부(夫婦)를 이르는 말.
천생연분 天生緣分 하늘이 정()하여 준 연분(緣分).
천생인연 天生因緣 하늘이 정()하여 준 연분(緣分).
천작지합 天作之合 하늘이 지어 준 결합(結合)’이라는 뜻으로, 부부(夫婦)의 결합(結合)이나 그 배필(配匹)을 이르는 말.
천정배필 天定配匹 하늘에서 미리 정()하여 준 배필(配匹)’이라는 뜻으로, 나무랄 데 없이 신통(神通)히 꼭 알맞은 한 쌍의 부부(夫婦)를 이르는 말.
천정연분 天定緣分 하늘이 정()하여 준 연분(緣分).
친불인매 親不因媒 부부(夫婦)의 의가 좋은 것은 중매(仲媒)에 의함이 아님. 출전:한시외전(韓詩外傳)
파경지탄 破鏡之歎() 깨어진 거울 조각을 들고 하는 탄식(歎息嘆息)’이라는 뜻으로, 부부(夫婦)의 이별(離別)을 서러워하는 탄식(歎息嘆息)을 이르는 말.
하가 下嫁 지체가 낮은 곳으로 시집(-)간다.’는 뜻으로, 공주(公主)나 옹주(翁主)가 귀족(貴族)이나 신하(臣下)에게로 시집(-)감을 이르던 말.
합연기연 合緣奇緣 이상(異常)하게(보통이 아닌) 결합(結合)하는 인연(因緣)’이라는 뜻으로, 부부(夫婦)가 되는 인연(因緣)을 이르는 말.
해로 偕老 부부(夫婦)가 일생(一生)을 함께 지내며 함께 늙어감. (百年偕老(백년해로))
해로동혈 偕老同穴 살아서는 같이 늙고 죽어서는 한 무덤에 묻힌다.’는 뜻으로, 생사(生死)를 같이하자는 부부(夫婦)의 굳은 맹세(盟誓)를 이르는 말. 시경(詩經)에 나오는 말이다. 73 大車(대거)-詩經 王風(시경 왕풍) 31 擊鼓(격고)-詩經邶風(시경패풍)  유래 
화촉 華燭 혼인식(婚姻式) 따위에서 좌상(座上)의 등화(燈火). 뜻이 바뀌어 혼례(婚禮)를 달리 일컫는 말이 되었음.
화촉동방 華燭洞房 첫날밤에 신랑(新郞) 신부(新婦)가 자는 방().

 

14 한자성어 결혼.hwpx
0.10MB

 

 

 

 

산과바다 이계도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