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산에는 꽃이 피네
***한자성어(漢字成語)***/한자성어(漢字成語)

15. 은혜(恩惠)에 관련된 漢字成語

by 산산바다 2025. 2. 2.

산과바다

한자성어(漢字成語) HOME

 

 

15. 은혜(恩惠)에 관련된 漢字成語

한글 발음 漢字成語 의미 해석
각골난망 刻骨難忘 남에게 입은 은혜(恩惠)가 뼈에 새길 만큼 커서 잊히지 아니함.  유래 
각골명심 刻骨銘心 뼈에 새기고 마음에 새긴다.는 뜻으로, 마음속 깊이 새겨 두고 잊지 아니함. 출전:후한서(後漢書)
갈자이음 渴者易飮 목이 마른 자는 무엇이든 잘 마신다.는 뜻으로, 곤궁(困窮)한 사람은 은혜(恩惠)에 감복하기 쉬움을 비유(比喩譬喩)해 이르는 말.
결사보국 決死報國 죽을 각오(覺悟)를 하고 나라의 은혜(恩惠)에 보답(報答).
결초 結草 죽은 뒤에라도 은혜(恩惠)를 잊지 않고 갚음을 이르는 말. 중국(中國) 춘추시대(春秋時代), 진나라(--)의 위과(魏顆)가 아버지가 세상(世上)을 떠난 후()에 서모(庶母)를 개가(改嫁)시켜 순사(殉死)하지 않게 하였더니, 그 뒤 싸움터에서 그 서모(庶母) 아버지의 혼()이 적군(敵軍)의 앞길에 풀을 묶어 적()을 넘어뜨려 위과(魏顆)가 공()을 세울 수 있도록 하였다는 고사(故事)에서 유래(由來)한다.
결초보은 結草報恩 죽은 뒤에라도 은혜(恩惠)를 잊지 않고 갚음을 이르는 말. 중국(中國) 춘추시대(春秋時代), 진나라(--)의 위과(魏顆)가 아버지가 세상(世上)을 떠난 후()에 서모(庶母)를 개가(改嫁)시켜 순사(殉死)하지 않게 하였더니, 그 뒤 싸움터에서 그 서모(庶母) 아버지의 혼()이 적군(敵軍)의 앞길에 풀을 묶어 적()을 넘어뜨려 위과(魏顆)가 공()을 세울 수 있도록 하였다는 고사(故事)에서 유래(由來)한다. 출전: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  유래 
결초함환 結草啣環 은혜(恩惠)를 잊지 않고 기필코 보답(報答).
고두사은 叩頭謝恩 머리를 조아리며 은혜(恩惠)에 감사(感謝).
공유국양 恭惟鞠養 삼가 자기(自己)를 길러 준 부모(父母)의 은공(恩功)을 생각한다.’라는 뜻으로, 자식은 부모(父母)의 은공(恩功)을 잊지 말아야 함.  유래 
구로지은 劬勞之恩 자기(自己)를 낳아 기른 어버이의 은혜(恩惠).
권고지은 眷顧之恩 돌보아 준 은혜(恩惠).
기불택식 饑不擇食() 굶주린 사람은 먹을 것을 가리지 않는다.’는 뜻으로, 빈곤(貧困)한 사람은 대수롭지 않은 은혜(恩惠)에도 감격(感激)함을 비유적(比喩的)으로 이르는 말.
난망지은 難忘之恩 잊을 수 없는 은혜(恩惠).
난망지택 難忘之澤 잊을 수 없는 은혜(恩惠).
만세불망 萬世不忘 영원(永遠)히 은혜(恩惠)나 은덕(恩德)을 잊지 아니함.
망극 罔極 ()이 없는 슬픔. 보통(普通) 임금이나 어버이의 상사(喪事)에 쓰는 말이다.
망극지은 罔極之恩 1. 지극(至極)한 은혜(恩惠). 2. 임금이나 부모(父母)의 한없는 은혜(恩惠).
망극지통 罔極之痛 ()이 없는 슬픔. 보통(普通) 임금이나 어버이의 상사(喪事)에 쓰는 말이다.
무육지은 撫育之恩 잘 돌보아 고이 길러 준 은혜(恩惠).
박시제중 博施濟衆 사랑과 은혜(恩惠)를 널리 베풀어 뭇사람을 구제(救濟). 출전:논어(論語) 如有博施於民而能濟衆 : '만약 백성에게 널리 베풀고 많은 사람을 구제할 수 있다면 어떻겠습니까? 論語(논어) 6. 雍也(옹야)
반포보은 反哺報恩 까마귀 새끼가 자라서 늙은 어미 까마귀에게 먹이를 물어다 주어 보답(報答)한다.’는 뜻으로, 자식(子息)이 자라서 어버이의 은혜(恩惠)에 보답(報答)함으로써 효()를 행()함을 이르는 말.
반포조 反哺鳥 어미 새에게 먹을 것을 물어다 주는 새라는 뜻으로, ‘까마귀를 이르는 말.
반포지효 反哺之孝 까마귀 새끼가 자라서 늙은 어미에게 먹이를 물어다 주는 효()’라는 뜻으로, 자식(子息)이 자란 후()에 어버이의 은혜(恩惠)를 갚는 효성(孝誠)을 이르는 말.  유래 
백골난망 白骨難忘 죽어서 백골(白骨)이 되어도 잊을 수 없다.’는 뜻으로, 남에게 큰 은덕(恩德)을 입었을 때 고마움의 뜻으로 이르는 말.
백배치사 百拜致謝 거듭 절을 하며 고맙다는 뜻을 나타냄.
백배치은 百拜致恩 거듭 절을 하며 입은 은혜(恩惠)를 고마워함.
보본반시 報本反始 은혜(恩惠)를 입으면 보답(報答)할 것을 생각하여 그 근본(根本)을 잊지 않는다.’는 뜻으로, 천지(天地)와 선조(先祖)의 은공(恩功)에 보답(報答)함을 이르는 말. 출전:예기(禮記)
보이국사 報以國士 남을 국사(國士)로 대우(待遇)하면 자기(自己)도 또한 국사(國士)로서 대접(待接)을 받는다.는 뜻으로, 지기(知己)의 은혜(恩惠)에 감동(感動)함을 이르는 말. 출전:사기(史記)
불망지은 不忘之恩 잊지 못할 은혜(恩惠).
불비지혜 不費之惠 자기(自己)에게는 해()가 될 것이 없어도 남에게는 이익(利益)이 될 만하게 베풀어 주는 은혜(恩惠).
불인인열 不因人熱 사람의 열()로써 밥을 짓지 않는다.는 뜻으로, 남에게 은혜(恩惠)를 입는 것을 떳떳이 여기지 않음을 이르는 말.
사은숙배 謝恩肅拜 예전에, 임금의 은혜(恩惠)에 감사(感謝)하며 공손(恭遜)하고 경건(敬虔)하게 절을 올리던 일.
생사골육 生死骨肉 죽은 사람을 살려내어 뼈에 살을 붙인다.’는 뜻으로, 큰 은혜(恩惠)를 베풂을 비유적(比喩的)으로 이르는 말. 출전: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
수은망극 受恩罔極 입은 은혜(恩惠)가 그지없음.
시우지화 時雨之化 철 맞추어 내리는 비로 초목(草木)이 자란다.는 뜻으로, 임금의 은혜(恩惠)가 두루 천하(天下)에 미침을 이르는 말.
식마육불음주상인 食馬肉不飮酒傷人 말고기를 먹고 술을 마시지 않으면 건강(健康)을 해()치게 된다.’는 뜻으로, ()으로써 다른 사람에게 너그럽게 대하는 것을 비유(比喩譬喩)하는 말. 출전:사기(史記)
여산대은 如山大恩 산 만큼이나 크고 많은 은혜(恩惠).
오조사정 烏鳥私情 까마귀가 새끼 적에 어미가 길러 준 은혜(恩惠)를 갚는 사사(私事)로운 애정(愛情)’이라는 뜻으로, 자식(子息)이 부모(父母)에게 효성(孝誠)을 다하려는 마음을 이르는 말.
우로지은 雨露之恩 비와 이슬이 만물(萬物)을 기르는 것처럼 은혜(恩惠)가 골고루 미침을 이르는 말.
우로지택 雨露之澤 이슬과 비의 덕택(德澤)’이라는 뜻으로, ()의 넓고 큰 은혜(恩惠)를 이르는 말.
운수해립 雲垂海立 임금의 은혜(恩惠)가 온 백성(百姓)에게 미쳐 기뻐하는 일.
원걸종양 願乞終養 부모(父母)가 돌아가시는 날까지 봉양(奉養)하기를 원()하다.’는 뜻으로, 부모(父母)에 대한 지극(至極)한 효성(孝誠)을 이르는 말. 출전:이밀(李密)의 진정표(陳情表)
유각양춘 有脚陽春 다리가 있는 양춘(陽春)이라는 뜻으로, 널리 은혜(恩惠)를 베푸는 사람을 이르는 말. 출전:서언고사(書言故事)
은중태산 恩重泰山 은혜(恩惠)가 태산(泰山)같이 큼.
의해은산 義海恩山 ()는 바다와 같고, 은혜(恩惠)는 산과 같다.는 뜻으로, 은의(恩義)가 대단히 크고 깊음을 이르는 말.
일반지덕 一飯之德 밥 한 끼를 베푸는 덕()’이라는 뜻으로, 아주 작은 은덕(恩德)을 이르는 말.
일반지보 一飯之報 밥 한 끼를 얻어먹은 데에 대()한 보답(報答)’이라는 뜻으로, 작은 은혜(恩惠)에 대()한 보답(報答)을 이르는 말.
일반지은 一飯之恩 밥 한 끼를 얻어먹은 은혜(恩惠)’라는 뜻으로, 작은 은혜(恩惠)를 이르는 말.
일반천금 一飯千金 조그만 은혜(恩惠)에 크게 보답(報答)함을 이르는 말. 중국(中國) 한나라(--)의 한신(韓信)이 빨래하는 노파(老婆)에게서 한 끼의 밥을 얻어먹고 뒤에 천금(千金)으로 사례(謝禮)하였다는 데서 유래(由來)한다. 출전:사기(史記)  유래 
자오 慈烏 까마귓과의 새를 통틀어 이르는 말. 몸은 대개(大槪) 검은색(--)이며, 번식기(繁殖期)3~5월이다. 어미 새에게 먹이를 물어다 준다고 하여 반포조(反哺鳥)’ 또는 효조(孝鳥)’라고도 한다.  잡식성(雜食性)으로 갈까마귀, 떼까마귀, 잣까마귀 따위가 있다. 출전:당서(唐書)  유래 까마귀는 자란 뒤에는 어미에게 먹이를 가져다가 주어, 길러 준 은혜(恩惠)를 갚는데, 이것을 반포(反哺)라하며, 이 때문에 까마귀를 자오(慈烏)라 부름.
재생지은 再生之恩 죽게 된 것을 살려 준 은혜(恩惠).
재조지은 再造之恩 거의 멸망(滅亡)하게 된 것을 구원(救援)하여 도와준 은혜(恩惠).
적선여경 積善餘慶 착한 일을 많이 한 결과(結果)로 경사(慶事)스럽고 복된 일이 자손(子孫)에게까지 미침. 주역(周易)<문언전(文言傳)>에 나오는 말이다. 여경(餘慶) : 남에게 착한 일을 많이 한 보답으로 뒷날 그 자손이 누리게 되는 경사(慶事).
정성 定省 밤에는 부모(父母)의 잠자리를 보아 드리고 이른 아침에는 부모(父母)의 밤새 안부(安否)를 묻는다.’는 뜻으로, 부모(父母)를 잘 섬기고 효성(孝誠)을 다함을 이르는 말.
조석정성 朝夕定省 밤에는 부모(父母)의 잠자리를 보아 드리고 이른 아침에는 부모(父母)의 밤새 안부(安否)를 묻는다.’는 뜻으로, 부모(父母)를 잘 섬기고 효성(孝誠)을 다함을 이르는 말.
지은보은 知恩報恩 은혜(恩惠)를 알고 그 은혜(恩惠)에 보답(報答)함을 이르는 말.
천은망극 天恩罔極 하늘의 은혜(恩惠)가 한이 없다.는 뜻으로, 임금의 은덕(恩德)이 더할 나위 없이 두터움을 이르는 말.
촌초춘휘 寸草春暉 부모(父母)의 은혜(恩惠)는 일만(一萬) ()의 일()도 갚기 어려움을 이르는 말.
추원보본 追遠報本 조상(祖上)의 덕을 추모(追慕)하여 제사(祭祀)를 지내고, 자기(自己)의 태어난 근본(根本)을 잊지 않고 은혜(恩惠)를 갚음.
출필고반필면 出必告反必面 나갈 때는 부모(父母)님께 반드시 출처(出處)를 알리고 돌아오면 반드시 얼굴을 뵈어 안전(安全)함을 알려 드린다.는 뜻으로, 밖에 나갔다 오거나 들어올 때 부모(父母)님께 반드시 알려야함을 이르는 말.
투도보리 投桃報李 복숭아에 대()한 보답(報答)으로 오얏(자두)을 보낸다.는 뜻으로, 내가 은덕(恩德)을 베풀면 남도 이를 본받음을 비유(比喩譬喩)해 이르는 말. 출전:시경(詩經)
하해지은 河海之恩 큰 강()이나 넓은 바다와 같이 넓고 큰 은혜(恩惠).
한천자우 旱天慈雨 가문 하늘에 자애(慈愛)로운 비라는 뜻으로, 곤경(困境)에 처했을 때 구원(救援)을 받음을 비유(比喩譬喩)해 이르는 말.
해구의지 解裘衣之 자기(自己) 갑옷(-)을 벗어 남에게 입힌다.는 뜻으로, 남에게 은혜(恩惠)를 베풂.을 이르는 말. 출전:전국책(戰國策)
해의추식 解衣推食 옷을 벗어주고 음식(飮食)을 밀어준다.는 뜻으로, 남에게 은혜(恩惠)를 베푸는 것.
호천망극 昊天罔極 하늘이 넓고 끝이 없다.는 뜻으로, 부모(父母)의 은혜(恩惠)가 매우 크고 끝이 없음을 이르는 말.
효조 孝鳥 까마귀가 어미에게 먹이를 물어다 주어 보은(報恩)한다는 데에서 유래(由來)한 말로, ‘까마귀를 달리 이르는 말.

 

15 한자성어 은혜.hwpx
0.09MB

 

 

 

 

산과바다 이계도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