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산에는 꽃이 피네
***한자성어(漢字成語)***/한자성어(漢字成語)

17. 청렴(淸廉)에 관련된 漢字成語

by 산산바다 2025. 2. 2.

산과바다

한자성어(漢字成語) HOME

 

 

17. 청렴(淸廉) 관련된 漢字成語

한글 발음 漢字成語 의미 해석
강좌칠현 江左七賢 고려(高麗) 후기(後期)에 명리(名利)를 떠나 사귀던 일곱 선비. 이인로(李仁老), 오세재(吳世才), 임춘(林椿), 조통(趙通), 황보항(皇甫抗), 함순(咸淳), 이담지(李湛之)를 중국(中國) 진나라(--) 때의 죽림칠현(竹林七賢)에 상대(相對)하여 이르는 말이다.
경산조수 耕山釣水 ()에는 밭을 갈고, 물에서는 물고기를 잡는 생활(生活)을 한다.’는 뜻으로, 소박(素朴)하고 속세(俗世)에서 떠난 생활(生活)을 영위(營爲)함을 이름.
경초 勁草 억센 풀이라는 뜻으로, 지조(志操)가 꿋꿋한 사람을 비유적(比喩的)으로 이르는 말.
곡굉이침지 曲肱而枕之 팔을 구부려 베개로 삼는다.’는 뜻으로, 몹시 가난한 생활(生活)을 이르는 말.
매처학자 梅妻鶴子 매화(梅花)를 아내로 삼고 학을 자식(子息)으로 삼는다.’는 뜻으로, 유유자적(悠悠自適)한 풍류(風流) 생활(生活)을 이르는 말. 중국(中國) 송나라(--)의 임포(林逋)가 서호(西湖)에 은거(隱居)하면서, 처자(妻子)도 없이  오직 매화(梅花)를 심고 학()을 기르며 생활(生活)을 즐겼다는 데서 유래(由來)한다.
명경지수 明鏡止水 1. 맑은 거울과 고요한 물. 2. 잡념(雜念)과 가식(假飾)과 헛된 욕심(欲心慾心) 없이 맑고 깨끗한 마음. 출전:장자(莊子)의 덕충부편(德充符篇)  유래 
백이지렴 伯夷之廉 백이(伯夷)의 청렴(淸廉)함을 이르는 말. 출전:한서(漢書)
법지불행자상정지 法之不行自上征之 ()이 행()하여 지지 않는 이유(理由)는 위에서 그것을 지키지 않기 때문이다.’는 뜻으로, 윗물이 맑아야 아랫물도 맑다는 뜻임. 출전:사기(史記)의 상군열전(商君列傳)  유래 
빙청옥결 氷淸玉潔 얼음 같이 맑고 옥같이 깨끗하다.는 뜻으로, 청렴결백(淸廉潔白)한 절조(節操)나 덕행(德行)을 나타내는 말.
삼구 三九 1. 삼공(三公 삼정승)과 구경(九卿 아홉 대신)을 아울러 이르는 말.
2. ‘부추로 만든 세 가지의 반찬(飯饌)’이라는 뜻으로, 청빈(淸貧)함을 이르는 말. ‘()’()’의 음()이 통()한 데서 온 말이다.
삼마태수 三馬太守 세 마리의 말을 타고 오는 수령(守令)’이라는 뜻으로, 재물(財物)에 욕심(欲心慾心)이 없는 깨끗한 관리(官吏), 청백리(淸白吏)를 이르는 말.  유래 
안빈낙도 安貧樂道 가난한 생활(生活)을 하면서도 편안(便安)한 마음으로 도()를 즐겨 지킴.
운심월성 雲心月性 구름 같은 마음과 달 같은 성품(性品)’이라는 뜻으로, 맑고 깨끗하여 욕심(欲心慾心)이 없음을 이르는 말. 출전:맹호연(孟浩然)의 억조수재소상인(憶周秀才素上人) - 野客 高僧(야객운작심 고승월위성 ; 시골에 사는 사람들 구름을 마음으로 하고, 고매한 스님은 달을 그 성품으로 삼나니.)<맹호연孟浩然>
일금일학 一琴一鶴 하나의 가야금(伽倻琴)과 한 마리의 학()이 전() 재산(財產)’이라는 뜻으로, 관리(官吏)의 청렴결백(淸廉潔白)한 생활(生活)을 이르는 말.  유래
청렴결백 淸廉潔白 마음이 맑고 깨끗하며 재물(財物) 욕심(慾心)이 없음.
청빈낙도 淸貧樂道 청렴결백(淸廉潔白)하고 가난하게 사는 것을 옳은 것으로 여기고 즐김.
청소지사 淸素之士 결백(潔白)하고 허례허식(虛禮虛飾)이 없는 선비. 출전:위지(魏志)
추호불범 秋毫不犯 마음이 아주 깨끗하고 청렴(淸廉)하여 조금도 남의 것을 범()하지 아니함.
탁영탁족 濯纓濯足 갓끈과 발을 물에 담가 씻는다.는 뜻으로, 세속(世俗)에 얽매이지 않고 초탈(超脫)하게 살아가는 것을 비유(比喩譬喩)하는 말. 출전:맹자(孟子) 可以濯我纓(가이탁아영)이요 : 나의 갓끈을 씻을 것이요. 可以濯我足(가이탁아족)이라하여늘 : 나의 발을 씻을 것이라 하였다. 孟子(맹자) 8. 自侮人侮(자모인모)
평이담백 平易淡白 깨끗하며 욕심(慾心)이 없는 마음.
허유괘표 許由掛瓢 허유가 나뭇가지에 표주박을 걸었다가 시끄러워서 떼어버렸다.’는 뜻으로, 속세(俗世)를 떠나 청렴(淸廉)하게 살아가는 모양(模樣)을 이름.  유래 

 

17 한자성어 청렴.hwpx
0.08MB

 

 

 

 

산과바다 이계도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