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산에는 꽃이 피네
***한자성어(漢字成語)***/한자성어(漢字成語)

18. 자애(至愛)에 관련된 漢字成語

by 산산바다 2025. 2. 2.

산과바다

한자성어(漢字成語) HOME

 

 

18. 자애(至愛)에 관련된 漢字成語

한글 발음 漢字成語 의미 해석
과정지훈 過庭之訓 뜰에서 가르친다.’는 뜻으로, 아버지가 자식(子息)에게 사람의 도리(道理)를 가르치는 것을 말함. 출전:논어(論語) 論語(논어) 16. 季氏(계씨)  유래 
노우지독 老牛舐犢 노우지독지애(老牛舐犢之愛). 출전:후한서(後漢書)
노우지독지애 老牛舐犢之愛 늙은 소가 송아지를 핥아주는 사랑이라는 뜻으로, 부모(父母)의 자식(子息)에 대()한 사랑이 깊음을 이르는 말. 출전:후한서(後漢書)
막지기자지악 莫知其子之惡 자기(自己) 자식(子息)의 잘못을 모른다.’는 뜻으로, 부모(父母)의 자식(子息)에 대()한 사랑이 맹목적(盲目的)임을 이르는 말.
모원단장 母猿斷腸 어미원숭이의 창자가 끊어졌다.는 뜻으로, 창자가 끊어지는 것 같은 슬픔, 애통(哀痛)함을 형용(形容)해 이르는 말.  유래 
부정모혈 父精母血 아버지의 정수(精髓)와 어머니의 피란 뜻으로, 자식(子息)은 부모(父母)의 뼈와 피를 물려받음을 이르는 말.
부풍모습 父風母習 아버지와 어머니를 골고루 닮음.
부형자제 父兄子弟  아버지나 형의 가르침을 받고 자란 젊은이.
사조지별 四鳥之別 네 마리 새의 이별(離別)’이라는 뜻으로, 모자(母子)의 이별(離別)을 비유(比喩譬喩)해 이르는 말. 출전:공자가어(孔子家語)  유래 
서하지통 西河之痛 부모(父母)가 자식(子息)을 잃은 슬픔. 출전:사기(史記)  유래 
시민여자 視民如子 백성(百姓)을 제 자식(子息)처럼 여김.
애자지정 愛子之情 자식(子息)을 사랑하는 정().
양처현모 良妻賢母 지아비에게는 좋은 아내이면서 자녀(子女)에게는 현명(賢明)한 어머니를 두고 이르는 말. 출전:사기(史記)
엄부자모 嚴父慈母 엄격(嚴格)한 아버지와 사랑이 깊은 어머니라는 뜻으로, 아버지는 자식(子息)들을 엄격(嚴格)히 다루어야 하고 어머니는 자식(子息)들을 깊은 사랑으로 보살펴야 함을 이르는 말.
연독지정 吮犢之情 어미 소가 송아지를 핥아 주는 정()’이라는 뜻으로, 자기(自己)의 자녀(子女)나 부하(部下)에 대()한 사랑을 겸손(謙遜謙巽)하게 이르는 말.
연저지인 吮疽之仁 장군(將軍)이 부하(部下)를 지극(至極)히 사랑함을 이르는 말. 중국(中國) 전국시대(戰國時代)의 오기(吳起)라는 장수(將帥)가 자기(自己) 부하(部下)의 종기(腫氣)를 입으로 빨아서 낫게 하였다는 데서 유래(由來)한다. 사기(史記)<손자오기열전(孫子吳起列傳)>에 나오는 말이다. 출전:사기(史記)
오가기린 吾家麒麟 우리 집의 기린이라는 뜻으로, 부모(父母)가 자기(自己) 자식(子息)의 준수(俊秀)함을 칭찬(稱讚)하는 말.
오문표수 吾門標秀 내 집의 걸출(傑出)한 자식(子息)을 이르는 말. 출전:진서(晉書)
의려 倚閭 어머니가 마을 어귀에 서서 자식(子息)이 돌아오기를 기다림. 또는 그런 어머니의 마음.
의려지망 倚閭之望 자녀(子女)나 배우자(配偶者)가 돌아오기를 초조(焦燥)하게 기다리는 마음.  유래 
의려지정 倚閭之情 자녀(子女)나 배우자(配偶者)가 돌아오기를 초조(焦燥)하게 기다리는 마음.
의문 倚門 어머니가 마을 어귀에 서서 자식(子息)이 돌아오기를 기다림. 또는 그런 어머니의 마음.
의문이망 倚門而望 어머니가 대문(大門)에 기대어 서서 자식(子息)이 돌아오기를 기다림. 또는 그런 어머니의 마음.  유래 
의문지망 倚門之望 어머니가 마을 어귀에 서서 자식(子息)이 돌아오기를 기다림. 또는 그런 어머니의 마음. 출전:전국책(戰國策)  유래 
자모지심 慈母之心 자애(慈愛)로운 어머니의 마음.
자애지정 慈愛之情 자애(慈愛)로운 마음. 자애(慈愛) : 아랫사람에게 베푸는 도타운 사랑.
장중보옥 掌中寶玉 손안에 있는 보배로운 구슬이란 뜻으로, ()하고 보배롭게 여기는 존재(存在)를 비유적(比喩的)으로 이르는 말.
절발역주 截髮易酒 머리를 잘라 술과 바꾼다.’는 뜻으로, 자식(子息)에 대()한 모정(母情)의 지극(至極)함을 이르는 말. 출전:진서(晉書)  유래 
절용애인 節用愛人 나라의 재물(財物)을 아껴 쓰는 것이 곧 백성(百姓)을 사랑함을 말함. 출전:논어(論語)의 학이편(學而篇) 節用而愛人:물건을 절약하여 쓰고 사람을 아껴 써야 한다. 論語(논어) 1. 學而(학이)
절용이애인 節用而愛人 나라의 재물(財物)을 아껴 쓰는 것이 곧 백성(百姓)을 사랑함을 말함. 출전:논어(論語)의 학이편(學而篇) 論語(논어) 1. 學而(학이)
정훈 庭訓 가정(家庭)의 교훈(敎訓). 논어(論語)<계씨편(季氏篇)>에서 공자(孔子)가 아들 이()가 뜰을 달려갈 때 불러 세우고 시()와 예()를 배워야 한다고 가르친 데서 유래(由來)한다. 論語(논어) 16. 季氏(계씨)
지독 舐犢 어미 소가 송아지를 핥는 사랑이란 뜻으로, 자식(子息)에 대()한 어버이의 지극(至極)한 사랑을 비유적(比喩的)으로 이르는 말.
지독지애 舐犢之愛 어미 소가 송아지를 핥는 사랑이란 뜻으로, 자식(子息)에 대()한 어버이의 지극(至極)한 사랑을 비유적(比喩的)으로 이르는 말. 출전:후한서(後漢書)
지독지정 舐犢之情 어미 소가 송아지를 핥는 사랑이란 뜻으로, 자식(子息)에 대()한 어버이의 지극(至極)한 사랑을 비유적(比喩的)으로 이르는 말.
추정 趨庭 자식(子息)이 부모(父母)의 가르침을 받음.
취공비집공휴 吹恐飛執恐虧 불면 날아갈까 쥐면 터질까 걱정한다.는 뜻으로, 부모(父母)가 자식(子息)을 애지중지함을 이르는 말. 출전:청장관전서(靑莊館全書)
취지공비집지공함 吹之恐飛執之恐陷 불면 날아갈까 두렵고, 잡으면 빠질까 두렵다.’는 뜻으로, 어린 자녀를 매우 사랑함을 이르는 말. 출전:순오지(旬五志)
포통서하 抱痛西河 부모(父母)가 자식(子息)을 잃고 슬퍼함을 이르는 말.  유래 

 

18 한자성어 자애.hwpx
0.08MB

 

 

 

 

산과바다 이계도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