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이 좋아**/사찰 여행150 서산 마애삼존불상(瑞山磨崖三尊佛像)에 가보다 산과바다 서산 마애삼존불상(瑞山 磨崖三尊佛像)에 가보다2014. 2. 15.산과바다는 선재(한병국)님과 부부 동반하여충청남도 서산시 운산면 용현리의 가야산 절벽에 새겨진 백제시대의 마애삼존불상(마애여래삼존상) 가야산 절벽 중턱 화강석에 조각된 백제 말기의 불상으로 본존상, 보살 입상, 반가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석조 불상의 가장 우미(優美)한 예로 꼽힌다. 국보 제84호이다. 백제 조각의 대표적인 예이다. 중앙의 본존상을 중심으로 오른쪽에는 보살입상이, 왼쪽에는 반가사유상이 있다. 본존상은 시무외·여원인의 입상으로 얼굴은 네모형이며 눈을 크게 뜨고 밝게 미소짓고 있다. 법의는 통견으로 입고 있는데 가슴이 깊게 벌어져 있고, 끝자락은 어깨 뒤로 넘겨져서 U자형의 둥근 옷주름이 자연스럽게 늘어져 있다. 보살.. 2014. 2. 19. 서산 개심사(開心寺)에 다시 가보다 산과바다 서산 개심사(開心寺)에 다시 가보다 2014. 2. 15. 산과바다는 선재(한병국)님과 부부 동반하여 충청남도 서산시 운산면 신창리 상왕산에 있는 절. 대한불교조계종 제7교구 본사인 수덕사(修德寺)의 말사이다. 〈사적기 事蹟記〉에 의하면 654년(무열왕 1) 혜감국사(慧鑑國師)가 창건.. 2014. 2. 19. 무량사 아미타 제일도량에 들리고 산과바다 무량사 아미타 제일도량에 들리고 2013. 10월 5일-6일 곰나루 모임- 신현철 장기영 양문석 이계도 김현민 충남 부여군 외산면 만수산에 위치 10월 5일 오후-칠갑산 등산 후-무량사-대천해수욕장 충북종합수련원숙소-어항 저녁식사-1박 10월 6일-남포방조제 죽도-무창포-부사방조제-.. 2013. 10. 8. 세종시 황룡사에 가보다 산과바다 세종시 황룡사에 가보다 2013. 7. 16. 산과바다는 서산꽃 벗님과 동행 세종특별자치시 연동면 황우산에 위치 세종시 연동면 황우산에 자리한 전통사찰 77호 황룡사는 대한불교조계종 전통사찰로 조선의 명재상 황희(黃喜 1363~1462)의 후손들이 나라의 태평성대와 가문의 번창을 기.. 2013. 7. 19. 비암사(碑岩寺)에 가보다. 백제의 마지막 종묘사찰 산과바다 백제의 마지막 종묘사찰인 비암사(碑岩寺)에 가보다 2013. 7. 16. 담음 서산꽃 벗님과 동행하여 백제의 마지막 종묘사찰인 비암사에 가보다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다방리 4번지에 위치 제주의 도깨비도로가 있어 가보았었는데 비암사에서 내려오는 길에도 도깨비 도로가 100여m .. 2013. 7. 17. 승보사찰 송광사에 들리다. 산과바다 송광사 관음전 뒤쪽에 안치되어있는 보조국사 지눌스님의 감로탑이다. 승보사찰 송광사에 들리다. 2013. 6. 6. 송광사는 전라남도 순천시 송광면에 위치 산과바다는 서산꽃님과 * 보조국사 지눌스님의 감로탑(사리탑)이 관음전 뒤에 안치되어있더군요. * -불-법-승 삼보사찰 중 승보사찰인 송광사에 들리어 둘러보고- 서산경유 벗님과 3박 4일 일정을 마친다. 지금 남아 있는 기록에 의하면 송광사는 신라 말 혜린(慧璘)선사에 의해 창건되었다고 한다.창건 당시의 이름은 송광산 길상사(吉祥寺)였으며 100여 칸쯤 되는 절로 30, 40명의 스님들이 살 수 있는 그리 크지 않은 규모의 절이었다고 한다. 그 뒤 고려 인종 때 석조(釋照)대사께서 절을 크게 확장하려는 원을 세우고 준비하던 중 타계하여 뜻.. 2013. 6. 11. 돌산도 향일암 산과바다 여수 시티두어 1코스(돌산도 향일암) 2013. 6. 4. 10:00-17:30(5,000원) 산과바다는 서산꽃님과 함께 엑스포역-오동도-진남관-해양수산과학관-향일암-여수시장(여수 수산물특화시장)-엑스포역 향일암을 보러가는 길의 왼쪽으로 푸르다 못해 검게 보이는 바다를 끼고 향일암까지 가는 길.. 2013. 6. 8. 희방사(喜方寺)에 가보다. 산과바다 희방사(喜方寺)에 가보다. 2013. 5. 31. 둘둘모임-박범익 강경원 이계도(6명) 경북 영주시 풍기읍 수철리 소백산에 있는 절. 희방사(喜方寺) 대한불교조계종 제16교구 본사인 고운사(孤雲寺)의 말사이다. 643년(선덕여왕 12)에 두운(杜雲)이 창건하였으며 1850년(철종 1) 화재로 소실되어 강월(江月)이 중창하였으나 6·25 때 4동 20여 칸의 당우와 사찰에 보관되어오던 『월인석보』권1과 권2의 판본(版本)도 함께 소실되었다. 그러나 주존불(主尊佛)만은 무사하여 두운이 기거하던 천연동굴 속에 봉안하였다가 1953년에 주지 안대근(安大根)이 중건한 뒤 대웅전에 봉안하였다. 문화재로는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226호인 동종(銅鍾)과 누구의 것인지 알 수 없는 높이 1.5m와 1.3m의 부.. 2013. 6. 2. 부석사(浮石寺)에 다녀오다. 산과바다 부석이 있어서 부석사라 했는가 보다. 부석사(浮石寺)에 다녀오다. 2013. 5. 31. 둘둘모임-박범익 강경원 이계도 (6명) 경북 영주시 부석면에 위치 부석사는 우리나라 화엄종의 본찰로 초조인 의상 이래 그 전법 제자들에 의해 지켜져 온 중요한 사찰이다. 신라의 불교는 눌지왕 때에 들어와 법흥왕 때에 수용된 뒤에 크게 발전하였다. 부석사 오르는 길이 아름답군요. 중국을 통하여 전입된 교학 불교는 신라 불교로 하여금 종파성을 띠게 하였는데 가장 특징적으로 운위되는 종파는 화엄종과 법상종이다. 그 가운데에서도 전법 사실이 뚜렷하고 종찰이 확실한 것은 의상의 화엄종이다. 의상은 676년 부석사에 자리 잡은 뒤 입적할 때까지 이곳을 떠나지 않았고 그의 법을 이은 법손들 역시 마찬가지였다. 부석사 원.. 2013. 6. 2. 원풍리 마애불상군(磨崖佛像群) 산과바다원풍리 마애불상군(磨崖佛像群)2013. 5. 24. 담음충북 괴산군 연풍면 신풍리에 위치 원풍리 마애불상군(磨崖佛像群)앞의 깨끗한 계곡물이 흐르고있다. 원풍리 마애불상군(磨崖佛像群)국가지정 보물 97호인 원풍리 마애불상군(磨崖佛像群)은 각기 다른 형상의 불상이 나란히 앉아 이불병좌상(二佛竝坐像)이라하고 주변을 자세히 살펴보면 작은 불상들이 많이 세겨져 있어서 원풍리 마애불상군(磨崖佛像群)이라한다. 이체불(二體佛)로도 불리는 마애불상군은 30m 높이의 암벽 중앙 부위에 가로 6m, 세로 5.5m 크기로 암각 되어있으며 고려중기인 12세기에 축조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산과바다 이계도 2013. 5. 25. 각연사 산과바다 각연사에 들려보며 2013. 3. 8. 산과바다 홀로 충북 괴산군 칠성면 태성리에 위치 각연사(覺淵寺)는 충청북도 괴산군 칠성면 태성리에 위치한 사찰이다. 신라 법흥왕 때 유일대사가 세웠다는 설이 있다. 각연사에는 보물 제433호인 비로자나불좌상을 비롯하여 비로전(충청북도 유.. 2013. 3. 10. 강화도 전등사 산과바다 강화도 전등사에 가보다. 2013. 3. 1. 안해와 동반하여 대한불교조계종 전등사 인천광역시 강화군 길상면 온수리 635에 위치 전등사가 창건된 것은 서기 381년(고구려 소수림왕 11년)으로 전해지고 있다. 우리나라에 불교가 처음으로 전래된 것이 서기 372년이므로 지금은 그 소재를 .. 2013. 3. 4. 안국사지(安國寺址)에 가보다. 산과바다당진 안국사지에는 고려시대의 석조삼존불입상이 있다. 천북굴단지에 가다2913. 1. 30.충남 보령시 천북면 장은리산과바다는 선재님(한병국)과 동행하여 서산 박종규 벗님과 굴단지에서 만남굴 1망에 30,000원(3명이 먹기 너무 많음) 굴칼국수 1인분 5,000원(3명이 2인분 주문)굴을 구울 때 열리지 않는 놈은 죽은굴(상한굴) 인가 보다. 아까워서 깨가며 빼서 먹었더니 귀가길에 휴게소에 여러 번 들려 불편하였다. 노로바이러스인가? 걱정하였는데...... 천북굴단지의 굴구이집들이 늘어서있다. 여러번 들려본 곳으로 예쁜아즘씨사장님이 친절하고 서비스가 좋아서 가보세굴집에 들린다. 1망이 30,000인데 3명이 먹기 너무 많았다. 구울때 열리지 않는놈은 죽은굴인가보다. 아까워서 칼로 드드려.. 2013. 2. 1. 노악산 남장사(露嶽山 南長寺)에 가보다 산과바다 남장사극락보전 노악산 남장사(露嶽山 南長寺)에 가보다 2013. 1. 15. 산과바다는 선재님과 동행 경상북도 상주시 남장동 노악산에 있는 절 대한불교조계종 제8교구 본사인 직지사(直指寺)의 말사이다. 관음선원주차장-관음선원-등산-궁중암-쉴바위-하산-남장사주차장-남장사 관.. 2013. 1. 18. 고운단풍 반기며 내장산 내장사에 가보다 산과바다 내장산 내장사에 가보다2012. 10. 30.가을빛 너무 좋아 산과바다는 서산꽃님과 동행 고운단풍을 반기며전북 정읍시 내장동 590에 위치 고운단풍을 반기며 지난해 늦은시기 쓸쓸함을 보았기에 올해는 서둘러서 절정기에 다가서니 내장산 아름다움에 입벌리고 즐겁네. 2012. 10.30. 산과바다 이계도 매표소를 지나 단풍열차를 기다려 타고 오른다.(매표소에서 케이블카타는곳까지 운행한다) 왕복권 7,000원 매표를 하고 줄을서서 케이블카 타기를 약 20여분 기다린다. 평일인데도 관광객들이 아주 많군요. 전망대 정자에 가는중에 문필암이라던가? 정자에 올라 이리저리 조망을 한다. 우측부터 불출암 망해봉 연지봉 까치봉이 멀리 보인다. 정자에서 내려와 알밤한봉지 구매하여 까먹으면서 탑승장.. 2012. 10. 31. 백암산 백양사에 가보다 산과바다백암산 백양사에 가보다2012. 10. 30.가을빛 너무 좋아 산과바다는 서산꽃님과 동행 고운단풍을 반기며전남 장성군 북하면 약수리에 위치서산꽃님은 40여년만에 와서본다면서 옛날을 그리는가보다.진사들이 벌써와서 쌍계루의 반영을 담는가보다.물결이 일어서인지 잠잠해지를 기다리는가보다. 사진 애호가들이 많이 보인다. 일찍들리어 조금은 한가하여 사진 담기가 좋았다.내장산 내장사에 가보려고 서둘러 나선다. * 백암산 백양사에 가보다(12. 10. 30)* 백암산 백양사 단풍길 아름다워(11. 10. 28)* 백암산 백양사 단풍배웅(10. 11. 14)* 백양사에 들리어(07. 11. 11) 산과바다 이계도 2012. 10. 31. 강천산 강천사 산과바다 강천산 강천계곡 단풍놀이 2012. 10. 29. 산과바다는 서산꽃님과 동행 강천계곡의 아름다운 단풍을 보러가다. 전북 전라북도 순창군 청계리 위치 청주-경부고속도로-호남고속도로-전주-순창-강천사 매표소를 지나 계곡의 물길따라 계곡을 오르는데 비좁을 정도로 관광객들이 많군.. 2012. 10. 31. 음성 미타사(彌陀寺) 마애여래입상을 보러 가다 산과바다 1998년에 세운 동양 최대의 지장보살입상 음성 미타사(彌陀寺) 마애여래입상을 보러 가다 2012. 9. 8. 충청북도 음성군 소이면 비산리 가섭산에 위치 고려 전기에 창건된 대한불교조계종단의 법주사 말사(末寺). 마애여래입상(충북도유형문화제 제 130호) 고려후기의 작품으로 추정.. 2012. 9. 9. 이전 1 ··· 3 4 5 6 7 8 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