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이 좋아**/사찰 여행150 제8교구 본사 직지사 산과바다대한불교조계종 교구본사와 말사 HOME 제8교구 본사 직지사 경북 김천시 대항면 직지사길 95 * 산내암자 黃岳山 直指寺 * 산내암자 : 삼성암, 백련암, 운수암, 북암, 은선암, 중암, 명적암 * 말사 黃岳山 直指寺* 직지사 말사번호사찰명주소번호사찰명주소1법륭사(法隆寺)경기도 시흥시 하중로173번길 1129극락암(極樂庵)경북 상주시 모서면 화현동 572용선사(龍禪寺)경북 문경시 산북면 석봉리 23530황령사(黃嶺寺) 경북 상주시 은척면 황령리 283문수암경북 칠곡군 왜관읍 아곡리 53731용흥사(龍興寺)경북 상주시 지천동 7134와룡정사대구광역시 달서구 용산동 564-232상락사(常樂寺)경북 상주시 서성동 60-85미륵암경북 김천시 남면 월명리 23033동.. 2025. 1. 2. 제7교구 본사 덕숭총림 수덕사 산과바다대한불교조계종 교구본사와 말사 HOME 제7교구 본사 덕숭총림 수덕사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 수덕사 안길 79 * 수덕사 교구 말사번호지역사찰명주소1예산녹야원충청남도 예산군 삽교읍 윤봉길로 1566-142 대련사충청남도 예산군 광시면 동산2길 1193 마하원충청남도 예산군 예산읍 향교길12번길 9-134 만월사충청남도 예산군 예산읍 무한산성2길 18-55 보덕사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 가야산로 400-746 영각사충청남도 예산군 삽교읍 신가동길 21-67 청정사충청남도 예산군 예산읍8 탈해사충청남도 예산군 예산읍 수철길 294-1179 해국사충청남도 예산군 대술면 상항방산로 489-3310 향천사충청남도 예산군 예산읍 향천사로 117-2011 화암사충청남도 예산군 신암면 용.. 2025. 1. 2. 제6교구 본사 관음성지 마곡사 산과바다대한불교조계종 교구본사와 말사 HOME 제6교구 본사 관음성지 마곡사 충남 공주시 사곡면 마곡사로 966 * 마곡사 말사소개번호사찰명주소번호사찰명주소1갑사충남 공주시 계룡면 중장리 41성불사충남 천안시 동남구 안서동 178-82강당사충남 아산시 송악면 강당리 320-142성월사충남 천안시 서북구 직산읍 군서리3개태사충남 논산시 연산면 천호리 10843세심사충남 아산시 염치읍 산양리 2204경선정사충남 계룡시 엄사면 전원로 54-644소원사대전 중구 석교동 328-15고란사충남 부여군 부여읍45송림사충남 연기군 금남면 축산리 38-536고산사대전 동구 대성동46승천사충남 천안시 동남구 성남면 대정리7관촉사충남 논산시 관촉동47신안사충남 금산군 제원면 신안리 528광덕사충남 천안시 .. 2025. 1. 2. 제5교구 본사 법주사 산과바다대한불교조계종 교구본사와 말사 HOME 제5교구 본사 법주사 충청북도 보은군 속리산면 법주사로 405(사내리 209 * 법주사 말사 법주사 말사번호사찰명주소번호사찰명주소1가산사충북 옥천군 안내면 안내회남로 67162상암사충북 괴산군 연풍면 원풍리 743-12가섭사충북 음성군 음성읍 가섭길 49463상원사충북 괴산군 청안면 질마로 오리목1길 27-643각연사충북 괴산군 칠성면 각연길 45164상환암충북 보은군 속리산면 법주사로 658-224개심사충북 괴산군 괴산읍 역말길 2265서광사충북 옥천군 안내면 방하목로 211-275고산사충북 제천시 덕산면 월악로9길 11366석천암충북 괴산군 청천면 삼송길 205-1826공림사충북 괴산군 청천면 괴산로 10467선원사충북 보은군 보.. 2025. 1. 2. 제4교구 본사 월정사 산과바다대한불교조계종 교구본사와 말사 HOME 제4교구 본사 월정사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오대산로 374-8 * 말사안내 오대산 월정사 * 월정사 말사지역번호 사찰명주소산내 암자(평창)중대사자암(오대산로), 동대관음암(오대산로), 서대수정암, 남대지장암(오대산로), 북대미륵암(오대산로), 오대산 사고평창군1. 극락사2. 대덕사3. 문수사4. 법장사5. 상원사6. 영감사 7. 월정사(月精寺) 8. 육수암강원 평창군 읍 노람들길 57평창군 대학면 대덕길 165평창군 용평면 평창대로 1804-21평창군 대화면 고대동길 300평창군 진부면 오대산로 1211-14평창군 진부면 오대산로 713-85평창군 진부면 오대산로 374-8평팡군 진부면 오대산로 374-8강.. 2025. 1. 2. 제3교구 본사 설악산 신흥사 산과바다대한불교조계종 교구본사와 말사 HOME 제3교구 본사 설악산 신흥사 강원도 속초시 설악동 170 설악산 신흥사 * 신흥사 말사번호사찰명주소번호사찰명주소1감로암서울시 종로구 충신동 1518상원사강원도 춘천시 서면 덕두원리 1852건봉사강원도 고성군 거진읍 건봉사로723번지19심곡사강원도 양구읍 송청리 산11번지3계조암강원도 고성군 속초시 설악동 17020심원사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상노리 724관음사강원도 속초시 교동 767-4021안양암강원도 속초시 설악동 1705극락암강원도 고성군 간성읍 교동리 28122영혈사강원도 양양군 양양읍 파일이리 8436금강삼사강원도 고성군 거진읍 화포리 산3번지23오세암강원도 인제군 북면 용대리 727낙산사강원도 양양군 강현면 전진리 5524원.. 2025. 1. 2. 제2교구 본사 용주사 산과바다대한불교조계종 교구본사와 말사 HOME 제2교구 본사 용주사 경기도 화성시 용주로 136(송산동) * 용주사 말사순서사찰명도로명 주소1감로사대전광역시 서구 변동서로28번길 65 (변동 254-66)2고달사경기도 여주시 북내면 고달사로 271-15 (상교리 414-1)3관악사경기도 과천시 중앙동 산 12-94구곡사경기도 여주시 웅골로 161-63 (가업동 155-24)5극락사(광주)경기 광주시 오포읍 양촌길 268-1 (양벌리 825-1)6극락사(당진)충남 당진시 운곡로 163-13 (채운동 378-6)7극락사(용인)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원삼면 보개원삼로1684번길 58 (죽능리 385)8금강사경기도 화성시 안녕길 32-12 (안녕동 180-156)9내원사경기도 이천시 마.. 2025. 1. 2. 대한불교조계종 HOME 산과바다대한불교조계종 교구본사와 말사 HOME 제1교구 본사 조계사 대한불교조계종서울특별시 종로구 우정국로 55(견지동) (재)대한불교조계종 유지재단 조계사(曹溪寺)는 조계종 절로 1395년에 지어졌다. 1910년에 승려들의 모금으로 설립된 각황사가 모태이다. 1938년에는 태고사가 설립되었고, 1954년에 조계사로 개칭되었다. 현재 조계사는 서울특별시 종로구 견지동에 위치한다. 삼보 종찰1. 불보종찰 통도사2. 법보종찰 해인사3. 승보종찰 송광사 팔대 총림1. 영축총림 통도사2. 가야총림 해인사3. 조계총림 송광사4. 덕숭총림 수덕사5. 고불총림 백양사6. 팔공총림 동화사7. 쌍계총림 쌍계사8. 금정총림 범어사 * 서울특별시 총무원 직할 조계사* 경기도 화성시 용주사, 남양주시 봉선사* 강원특별자치.. 2025. 1. 1. 반야산 관촉사(盤若山 灌燭寺)에 가보다. 산과바다 반야산 관촉사(盤若山 灌燭寺)에 가보다.2024. 12. 18. 담음충청남도 논산시 은진면 관촉리 반야산에 있는 절.대한불교조계종 제6교구 본사인 마곡사의 말사이다. * 문화재로는 석조미륵보살입상(일명 은진미륵; 국보 제323호)과 석등(보물 제232호) 등* 관촉사는 서기 968년(고려 광종 19)에 혜명 화상에 의해 창건되었고, 혜명 화상은 1백 여명의 장인과 함께 970년 석조관음보살상의 조성 공사를 시작하여 37년 후인 1006년(목종 9) 완성했다. 관촉사에 현존하는 건축물로는 미륵전과 대광명전, 삼성각, 명부전, 반야루, 해탈문, 사천왕문, 일주문 등이 있다. 문화재로는 석조미륵보살입상(일명 은진미륵; 국보 제323호)과 석등(보물 제232호), 배례석(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53호),.. 2024. 12. 20. 모악산 금산사(母岳山 金山寺)에 가보다. 산과바다모악산 금산사(母岳山 金山寺)에 가보다.2024. 12. 18. 담음전북특별자치도 김제시 금산면 모악산(母岳山)에 있는 삼국시대 백제의 제30대 무왕 당시 창건한 사찰.대한불교조계종 제17교구 본사. 『금산사사적(金山寺事蹟)』에 의하면 600년(무왕 1)에 창건되었으며, 백제 법왕이 그의 즉위년(599)에 칙령으로 살생을 금하고, 그 이듬해에 금산사에서 38인의 승려를 득도시킨 것으로 되어 있다.그러나 이때는 그 규모나 사격(寺格:절의 품격)으로 볼 때 별로 큰 사찰이 아니었으며, 1492년(성종 23)에 쓴 「금산사오층석탑 중창기」에 의하면 과거불(過去佛)인 가섭불(迦葉佛) 때의 옛터를 중흥한 것으로 되어 있다. 이는 금산사의 터전에 오랜 불연(佛緣)이 있음을 강조한 것이다.금산사가 대찰의 면모.. 2024. 12. 19. 계룡산 갑사( 鷄龍山 甲寺)에 가보다. 산과바다 계룡산 갑사( 鷄龍山 甲寺)에 가보다. 2024. 12. 8. 담음 충청남도 공주시 계룡면 계룡산에 있는 삼국시대에 창건된 사찰. 주차료 3000원, 입장료는 없음 갑사는 충청남도 공주시 계룡면 계룡산(鷄龍山)에 있는 삼국시대에 창건된 사찰이다. 계룡갑사, 갑사, 갑사사, 계룡사라고도 한다. 420년 아도화상 창건설, 556년(진흥왕 17) 혜명 창건설, 아도가 창건하고 혜명이 중창했다는 설 등이 있다.679년(문무왕 9)에는 의상대사가 중수하여 ‘화엄대학지소(華嚴大學之所)’로 삼은 뒤 신라 화엄십찰의 하나가 되었다. 문화유산으로는 보물인 ‘갑사철당간 및 지주’, ‘갑사 승탑’, ‘갑사 동종’, ‘월인석보목판’이 있다.대한불교조계종 제6교구 본사인 마곡사의 말사이다. 계룡갑사(鷄龍甲寺) · 갑사.. 2024. 12. 9. 백암산 백양사(白巖山 白羊寺)에 가보다 산과바다 백암산 백양사(白巖山 白羊寺)에 가보다 2024. 12. 6. 담음 * 단풍철이 지나서 아쉬움에 홀로 백양사에 가보다. * 백양사는 전라남도 장성군 북하면 백암산(白巖山)에 있는 삼국시대 백제의 승려 여환(如幻)이 창건한 사찰임. 대한불교조계종 제18교구 본사이다. 632년(무왕 33) 여환(如幻)이 창건하여 백양사라 하였으며 1034년(덕종 3) 중연(中延)이 중창하면서 정토사(淨土寺)라 개칭하였고, 1350년(충정왕 2) 각진국사(覺眞國師)가 3창하였다. 15세기에 백암사(白巖寺)로 바뀌었다가 16~19세기 중반에 다시 정토사(淨土寺)로 고쳤다.다시 백양사로 개액(改額)한 것은 1574년(선조 7) 환양(喚羊)이 중건하면서부터이다. 환양(喚羊)이 백양사에 주석하면서 매일 『법화경』을 독송하니.. 2024. 12. 7. 속리산 법주사(法住寺) 산과바다 속리산 법주사(法住寺)에 가보다. 2024. 2. 4. 담음 법주사(法住寺)는 대한민국의 충청북도 보은군, 속리산에 있는 절이다. 대한불교 조계종 제5교구 본사이다. 2018년 '산사, 한국의 산지승원'이라는 명칭으로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되었다. 법주사에는 부처님사리 1과, 국가지정문화재인 국보 3점, 보물 13점, 시도 유형문화재 24점 등을 보유하고 있다. 역사 : 공민왕도 세조 임금도 찾아온 명찰 법주사는 신라 진흥왕 14년(553년)에 의신조사가 창건하였다. 의신조사(義信祖師)가 천축(天竺, 印度)에 갔다가 백나귀에 불경을 싣고 와서 절을 지을 터를 찾아다니는 길에 흰 노새가 지금의 법주사 터에 이르러 발걸음을 멈추고 울었다고 한다. 의신조사가 노새의 기이한 행적에 걸음을 멈추고 .. 2024. 2. 5. 각연사(覺淵寺)에 가보다 산과바다 각연사(覺淵寺)에 가보다 2022. 2. 28. 3월 1일 전후하여 매년 너도바람꽃을 볼 수 있었기에 나서보았으나 늦추위 때문인지 꽃은 보이지 않고...... 귀가길에 각연사에 가보았다. 각연사(覺淵寺)는 충청북도 괴산군 칠성면 보개산(寶蓋山)에 있는 삼국시대 신라의 승려 유일이 창건한 사찰. 대한불교조계종 제5교구 본사인 법주사(法住寺)의 말사이다. 신라 법흥왕 때에 유일대사가 현재의 충북 괴산군 칠성면 쌍곡리 근처에 터를 잡고 절을 지으려 했다. 재목 다듬는 공사를 하는데, 까마귀 떼가 날아들어 쉬지 않고 대팻밥과 나무부스러기를 물고 어디론가 사라졌다. 유일대사는 이 모습을 기이하게 여겨 까마귀들을 따라가 보았다. 현재의 각연사 터 연못에 대팻밥이 떨어져 있어 들여다보니 연못 안에 돌부처님 .. 2022. 3. 1. 태화산 마곡사(泰華山 麻谷寺)에 가보다. 산과바다 태화산 마곡사(麻谷寺)에 가보다. 2022. 2. 26. 산과바다 홀로 전에 다녀보았던 기억을 되살리며 천년고찰 마곡사(麻谷寺)는 전통과 불교의 문화가 잘 어우러진 사찰이다. 충청남도(忠淸南道) 공주시(公州市) 사곡면(寺谷面) 운암리(雲岩里)에 위치 태화산(泰華山) 동쪽 산허리에 자리 잡은 마곡사는 대한불교 조계종의 제6교구본사(本寺)입니다.충청남도 기념물 제192호 공주 마곡사(公州 麻谷寺)보물 제269호 감지은니 묘법연화경 권1 (紺紙銀泥 妙法蓮華經 卷一)[6]보물 제270호 감지금니 묘법연화경 권6 (紺紙金泥 妙法蓮華經 卷六)[7]보물 제799호 공주 마곡사 오층석탑(五層石塔)보물 제800호 공주 마곡사 영산전(靈山殿)보물 제801호 공주 마곡사 대웅보전(大雄寶殿)보물 제802호 공주 마.. 2022. 3. 1. 속리산 법주사(法住寺)에 들려보다 산과바다 속리산 법주사(法住寺)에 들려보다 2016. 10. 20. 담음 둘둘모임 강경원 박범익 이창근 이계도 부부동반 속리산 세조길따라 세심정휴게소까지 올르내리고 오랜만에 법주사를 둘러보는군요. 충북 보은군 속리산면 사내리 속리산(俗離山)에 있는 신라시대의 절 법주사는 대한불교조.. 2016. 10. 24. 마이산 은수사(銀水寺)에 올라보다. 산과바다 마이산 은수사(銀水寺)에 올라보다. 2016. 8. 14. 담음 우리의 만남(박종규 이계도 홍순호 박상기 부부동반) 마이산 탑사에서 300여m 위에 위치한 은수사에 올라보다. 전라북도 진안군 마령면 마이산남로 406(동촌리)에 있는 한국불교 태고종 사찰로 마이산에 위치한다. 진안 마이산은 남해 금산과 함께 조선 개국과 관련된 설화를 가진 대표적 영산(靈山)이다. 조선 건국 전 이성계는 꿈에서 선인으로부터 금으로 된 자를 받았는데, 얼마 뒤 마이산에서 꿈속의 장소와 똑같은 곳을 찾고는 놀라게 된다. 그때, 이성계는 산 속의 이 절에 자리 잡고, 건국의 꿈을 세웠으며 절집의 샘물이 은(銀)처럼 맑다 하여 절집 이름을 ‘은수사(銀水寺)’라고 붙였다고 한다. 은수사는 원래 조선시대 초, 이름 모를 스님.. 2016. 8. 18. 마이산 탑사에 가 보다. 산과바다 마이산 탑사에 가 보다.2016. 8. 14. 담음우리의 만남(박종규 이계도 홍순호 박상기 부부동반) 마이산 탑사와 은수사에 올라보다.전라북도 진안군 마령면 마이산남로 367에 위치. 마이산의 남쪽 사면에 탑사가 있다. 마이산 서봉 절벽 아래에 있는 사찰로 태고종단 소속이다. 탑사(塔寺)는 그 이름이 의미하는 바와 같이 마이산 석탑에서 유래한다. 1920년경 이갑룡(李甲龍)[1860~1957]이 마이산에 들어와 암자를 짓고 거주하면서 점차적으로 탑사의 모습을 만들어 나갔으며, 그 후 그의 손자인 이왕선(李旺善)이 한국 불교 태고종에 사찰 등록을 하고, ‘한국 불교 태고종 탑사’로 이름하였다. 마이산 남문주차장에서 1.6km 올라가야 탑사가 나타나는군요. 탑영저수지 넘어로 마이산의 숫마이봉.. 2016. 8. 17. 이전 1 2 3 4 5 6 ··· 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