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산에는 꽃이 피네

禪詩/禪師들의 禪詩189

函虛得通(함허득통)의 禪詩(선시) (1)~(10) 산과바다 禪師의 禪詩 HOME 선사의 선시 函虛得通(함허득통) (1376~1433)의 禪詩 (1)~(10) ● 函虛得通(함허득통) (1376~1433. 高麗~朝鮮. 幢號 得通. 俗姓 劉. 法名 己和. 忠州사람. 1411년 京畿 加平群 下面 雲岳山 顯燈寺 重創) * 강화 정수사 함허대사와 각시바위 (淨水寺, 在摩尼東南谷中, 寺下舊有浮屠殿, 皇明永樂間, 名釋得通号涵虛子, 自中土航海東來, 結履於此有岩名閣氏或云閣氏岩, 傳云 涵虛子 住此菴久不返, 其妻尋到請歸, 不得死化爲石板, 以此名之.) “정수사는 마니산 동남쪽 계곡 가운데에 있다. 절 아래에 부도전이 있었는데 명나라 영락년간(1403~1424)에 이름이 득통이고 호가 함허자인 스님이 중국에서 배를 타고 동쪽으로 와서 이 곳에 절을 짓고 살았다. 이곳에 각씨암이.. 2022. 11. 8.
涵月海源(함월해원)의 禪詩(선시) (1)~(12) 산과바다 禪師의 禪詩 HOME 선사의 선시 涵月海源(함월해원) (1691~1770)의 禪詩 (1)~(12) ● 涵月海源(함월해원) (1691~1770. 本 完山 李氏. 咸南 咸興出生. 字 天鏡. 法號 涵月. 法名 海源) 대흥사 13대종사(大興寺十三大倧師) 해남 대흥사(大興寺)의 고승은 서산대사(西山大師)관련항목 보기[1520~1604]와 제자들인 13대종사, 13대강사로 대표된다. 1823년 대흥사에서 간행된 『대둔사지(大芚寺志)』에 이들의 행적과 사상 등이 약술되어 있다. 활동 사항 서산대사의 법맥을 이은 고승으로는 사명(四溟) 유정(惟政)[1544~1610], 소요(逍遙) 태능(太能)[1562~1649], 정관(靜觀) 일선(一禪)[1533~1608], 편양(鞭羊) 언기(彦機)[1581~1644] 등이.. 2022. 11. 8.
韓龍雲(한용운)의 禪詩(선시) (131)~(141) 산과바다 禪師의 禪詩 HOME 선사의 선시 韓龍雲(한용운) (1879~1944)의 禪詩 (131)~(141) ● 韓龍雲(한용운) (1879~1944. 忠南 洪城 出生. 僧侶. 詩人. 獨立運動家. 本 淸州. 俗名 裕天. 法名 龍雲. 法號 卍海 /萬海) 우리나라의 승려ㆍ시인ㆍ독립운동가(1879~1944). 속명은 정옥(貞玉)이고 아명은 유천(裕天)이며 법호는 만해(萬海)이다. 용운은 법명(法名)이다. 3ㆍ1 독립 선언에 민족 대표로 참가하여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에도 앞장섰다. 민족의 현실과 이상에 대해 노래한 으로 저항 문학에도 앞장섰다. 저서로 《조선 불교 유신론》과 시집 《님의 침묵》 등이 있다. 본관 청주(淸州), 호 만해(萬海·卍海), 속명 유천(裕天), 자 정옥(貞玉), 계명 봉완(奉玩)이다. 1.. 2022. 11. 7.
韓龍雲(한용운)의 禪詩(선시) (121)~(130) 산과바다 禪師의 禪詩 HOME 선사의 선시 韓龍雲(한용운) (1879~1944)의 禪詩 (121)~(130) 우리나라의 승려ㆍ시인ㆍ독립운동가(1879~1944). 속명은 정옥(貞玉)이고 아명은 유천(裕天)이며 법호는 만해(萬海)이다. 용운은 법명(法名)이다. 3ㆍ1 독립 선언에 민족 대표로 참가하여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에도 앞장섰다. 민족의 현실과 이상에 대해 노래한 으로 저항 문학에도 앞장섰다. 저서로 《조선 불교 유신론》과 시집 《님의 침묵》 등이 있다. 본관 청주(淸州), 호 만해(萬海·卍海), 속명 유천(裕天), 자 정옥(貞玉), 계명 봉완(奉玩)이다. 1879년 8월 29일 충청남도 홍성(洪城)에서 출생하였다. 서당에서 한학을 배우다가 동학농민운동에 가담했으나 실패하자 1896년(건양 1) 설.. 2022. 11. 7.
韓龍雲(한용운)의 禪詩(선시) (111)~(120) 산과바다 禪師의 禪詩 HOME 선사의 선시 韓龍雲(한용운) (1879~1944)의 禪詩 (111)~(120) ● 韓龍雲(한용운) (1879~1944. 忠南 洪城 出生. 僧侶. 詩人. 獨立運動家. 本 淸州. 俗名 裕天. 法名 龍雲. 法號 卍海 /萬海) 우리나라의 승려ㆍ시인ㆍ독립운동가(1879~1944). 속명은 정옥(貞玉)이고 아명은 유천(裕天)이며 법호는 만해(萬海)이다. 용운은 법명(法名)이다. 3ㆍ1 독립 선언에 민족 대표로 참가하여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에도 앞장섰다. 민족의 현실과 이상에 대해 노래한 으로 저항 문학에도 앞장섰다. 저서로 《조선 불교 유신론》과 시집 《님의 침묵》 등이 있다. 본관 청주(淸州), 호 만해(萬海·卍海), 속명 유천(裕天), 자 정옥(貞玉), 계명 봉완(奉玩)이다. 1.. 2022. 11. 7.
韓龍雲(한용운)의 禪詩(선시) (101)~(110) 산과바다 禪師의 禪詩 HOME 선사의 선시 韓龍雲(한용운) (1879~1944)의 禪詩 (101)~(110) ● 韓龍雲(한용운) (1879~1944. 忠南 洪城 出生. 僧侶. 詩人. 獨立運動家. 本 淸州. 俗名 裕天. 法名 龍雲. 法號 卍海 /萬海) 우리나라의 승려ㆍ시인ㆍ독립운동가(1879~1944). 속명은 정옥(貞玉)이고 아명은 유천(裕天)이며 법호는 만해(萬海)이다. 용운은 법명(法名)이다. 3ㆍ1 독립 선언에 민족 대표로 참가하여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에도 앞장섰다. 민족의 현실과 이상에 대해 노래한 으로 저항 문학에도 앞장섰다. 저서로 《조선 불교 유신론》과 시집 《님의 침묵》 등이 있다. 본관 청주(淸州), 호 만해(萬海·卍海), 속명 유천(裕天), 자 정옥(貞玉), 계명 봉완(奉玩)이다. 1.. 2022. 11. 7.
韓龍雲(한용운)의 禪詩(선시) (91)~(100) 산과바다 禪師의 禪詩 HOME 선사의 선시 韓龍雲(한용운) (1879~1944)의 禪詩 (91)~(100) ● 韓龍雲(한용운) (1879~1944. 忠南 洪城 出生. 僧侶. 詩人. 獨立運動家. 本 淸州. 俗名 裕天. 法名 龍雲. 法號 卍海 /萬海) 우리나라의 승려ㆍ시인ㆍ독립운동가(1879~1944). 속명은 정옥(貞玉)이고 아명은 유천(裕天)이며 법호는 만해(萬海)이다. 용운은 법명(法名)이다. 3ㆍ1 독립 선언에 민족 대표로 참가하여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에도 앞장섰다. 민족의 현실과 이상에 대해 노래한 으로 저항 문학에도 앞장섰다. 저서로 《조선 불교 유신론》과 시집 《님의 침묵》 등이 있다. 본관 청주(淸州), 호 만해(萬海·卍海), 속명 유천(裕天), 자 정옥(貞玉), 계명 봉완(奉玩)이다. 18.. 2022. 11. 7.
韓龍雲(한용운)의 禪詩(선시) (81)~(90) 산과바다 禪師의 禪詩 HOME 선사의 선시 韓龍雲(한용운) (1879~1944)의 禪詩 (81)~(90) ● 韓龍雲(한용운) (1879~1944. 忠南 洪城 出生. 僧侶. 詩人. 獨立運動家. 本 淸州. 俗名 裕天. 法名 龍雲. 法號 卍海 /萬海) 우리나라의 승려ㆍ시인ㆍ독립운동가(1879~1944). 속명은 정옥(貞玉)이고 아명은 유천(裕天)이며 법호는 만해(萬海)이다. 용운은 법명(法名)이다. 3ㆍ1 독립 선언에 민족 대표로 참가하여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에도 앞장섰다. 민족의 현실과 이상에 대해 노래한 으로 저항 문학에도 앞장섰다. 저서로 《조선 불교 유신론》과 시집 《님의 침묵》 등이 있다. 본관 청주(淸州), 호 만해(萬海·卍海), 속명 유천(裕天), 자 정옥(貞玉), 계명 봉완(奉玩)이다. 187.. 2022. 11. 7.
韓龍雲(한용운)의 禪詩(선시) (71)~(80) 산과바다 禪師의 禪詩 HOME 선사의 선시 韓龍雲(한용운) (1879~1944)의 禪詩 (71)~(80) ● 韓龍雲(한용운) (1879~1944. 忠南 洪城 出生. 僧侶. 詩人. 獨立運動家. 本 淸州. 俗名 裕天. 法名 龍雲. 法號 卍海 /萬海) 우리나라의 승려ㆍ시인ㆍ독립운동가(1879~1944). 속명은 정옥(貞玉)이고 아명은 유천(裕天)이며 법호는 만해(萬海)이다. 용운은 법명(法名)이다. 3ㆍ1 독립 선언에 민족 대표로 참가하여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에도 앞장섰다. 민족의 현실과 이상에 대해 노래한 으로 저항 문학에도 앞장섰다. 저서로 《조선 불교 유신론》과 시집 《님의 침묵》 등이 있다. 본관 청주(淸州), 호 만해(萬海·卍海), 속명 유천(裕天), 자 정옥(貞玉), 계명 봉완(奉玩)이다. 187.. 2022. 11. 7.
韓龍雲(한용운)의 禪詩(선시) (61)~(70) 산과바다 禪師의 禪詩 HOME 선사의 선시 韓龍雲(한용운) (1879~1944)의 禪詩 (61)~(70) ● 韓龍雲(한용운) (1879~1944. 忠南 洪城 出生. 僧侶. 詩人. 獨立運動家. 本 淸州. 俗名 裕天. 法名 龍雲. 法號 卍海 /萬海) 우리나라의 승려ㆍ시인ㆍ독립운동가(1879~1944). 속명은 정옥(貞玉)이고 아명은 유천(裕天)이며 법호는 만해(萬海)이다. 용운은 법명(法名)이다. 3ㆍ1 독립 선언에 민족 대표로 참가하여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에도 앞장섰다. 민족의 현실과 이상에 대해 노래한 으로 저항 문학에도 앞장섰다. 저서로 《조선 불교 유신론》과 시집 《님의 침묵》 등이 있다. 본관 청주(淸州), 호 만해(萬海·卍海), 속명 유천(裕天), 자 정옥(貞玉), 계명 봉완(奉玩)이다. 187.. 2022. 11. 7.
韓龍雲(한용운)의 禪詩(선시) (51)~(60) 산과바다 禪師의 禪詩 HOME 선사의 선시 韓龍雲(한용운) (1879~1944)의 禪詩 (51)~(60) ● 韓龍雲(한용운) (1879~1944. 忠南 洪城 出生. 僧侶. 詩人. 獨立運動家. 本 淸州. 俗名 裕天. 法名 龍雲. 法號 卍海 /萬海) 우리나라의 승려ㆍ시인ㆍ독립운동가(1879~1944). 속명은 정옥(貞玉)이고 아명은 유천(裕天)이며 법호는 만해(萬海)이다. 용운은 법명(法名)이다. 3ㆍ1 독립 선언에 민족 대표로 참가하여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에도 앞장섰다. 민족의 현실과 이상에 대해 노래한 으로 저항 문학에도 앞장섰다. 저서로 《조선 불교 유신론》과 시집 《님의 침묵》 등이 있다. 본관 청주(淸州), 호 만해(萬海·卍海), 속명 유천(裕天), 자 정옥(貞玉), 계명 봉완(奉玩)이다. 187.. 2022. 11. 7.
韓龍雲(한용운)의 禪詩(선시) (41)~(50) 산과바다 禪師의 禪詩 HOME 선사의 선시 韓龍雲(한용운) (1879~1944)의 禪詩 (41)~(50) ● 韓龍雲(한용운) (1879~1944. 忠南 洪城 出生. 僧侶. 詩人. 獨立運動家. 本 淸州. 俗名 裕天. 法名 龍雲. 法號 卍海 /萬海) 우리나라의 승려ㆍ시인ㆍ독립운동가(1879~1944). 속명은 정옥(貞玉)이고 아명은 유천(裕天)이며 법호는 만해(萬海)이다. 용운은 법명(法名)이다. 3ㆍ1 독립 선언에 민족 대표로 참가하여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에도 앞장섰다. 민족의 현실과 이상에 대해 노래한 으로 저항 문학에도 앞장섰다. 저서로 《조선 불교 유신론》과 시집 《님의 침묵》 등이 있다. 본관 청주(淸州), 호 만해(萬海·卍海), 속명 유천(裕天), 자 정옥(貞玉), 계명 봉완(奉玩)이다. 187.. 2022. 11. 7.
韓龍雲(한용운)의 禪詩(선시) (31)~(40) 산과바다 禪師의 禪詩 HOME 선사의 선시 韓龍雲(한용운) (1879~1944)의 禪詩 (31)~(40) ● 韓龍雲(한용운) (1879~1944. 忠南 洪城 出生. 僧侶. 詩人. 獨立運動家. 本 淸州. 俗名 裕天. 法名 龍雲. 法號 卍海 /萬海) 우리나라의 승려ㆍ시인ㆍ독립운동가(1879~1944). 속명은 정옥(貞玉)이고 아명은 유천(裕天)이며 법호는 만해(萬海)이다. 용운은 법명(法名)이다. 3ㆍ1 독립 선언에 민족 대표로 참가하여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에도 앞장섰다. 민족의 현실과 이상에 대해 노래한 으로 저항 문학에도 앞장섰다. 저서로 《조선 불교 유신론》과 시집 《님의 침묵》 등이 있다. 본관 청주(淸州), 호 만해(萬海·卍海), 속명 유천(裕天), 자 정옥(貞玉), 계명 봉완(奉玩)이다. 187.. 2022. 11. 7.
韓龍雲(한용운)의 禪詩(선시) (21)~(30) 산과바다 禪師의 禪詩 HOME 선사의 선시 韓龍雲(한용운) (1879~1944)의 禪詩 (21)~(30) ● 韓龍雲(한용운) (1879~1944. 忠南 洪城 出生. 僧侶. 詩人. 獨立運動家. 本 淸州. 俗名 裕天. 法名 龍雲. 法號 卍海 /萬海) 우리나라의 승려ㆍ시인ㆍ독립운동가(1879~1944). 속명은 정옥(貞玉)이고 아명은 유천(裕天)이며 법호는 만해(萬海)이다. 용운은 법명(法名)이다. 3ㆍ1 독립 선언에 민족 대표로 참가하여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에도 앞장섰다. 민족의 현실과 이상에 대해 노래한 으로 저항 문학에도 앞장섰다. 저서로 《조선 불교 유신론》과 시집 《님의 침묵》 등이 있다. 본관 청주(淸州), 호 만해(萬海·卍海), 속명 유천(裕天), 자 정옥(貞玉), 계명 봉완(奉玩)이다. 187.. 2022. 11. 7.
韓龍雲(한용운)의 禪詩(선시) (11)~(20) 산과바다 禪師의 禪詩 HOME 선사의 선시 韓龍雲(한용운) (1879~1944)의 禪詩 (11)~(20) ● 韓龍雲(한용운) (1879~1944. 忠南 洪城 出生. 僧侶. 詩人. 獨立運動家. 本 淸州. 俗名 裕天. 法名 龍雲. 法號 卍海 /萬海) 우리나라의 승려ㆍ시인ㆍ독립운동가(1879~1944). 속명은 정옥(貞玉)이고 아명은 유천(裕天)이며 법호는 만해(萬海)이다. 용운은 법명(法名)이다. 3ㆍ1 독립 선언에 민족 대표로 참가하여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에도 앞장섰다. 민족의 현실과 이상에 대해 노래한 으로 저항 문학에도 앞장섰다. 저서로 《조선 불교 유신론》과 시집 《님의 침묵》 등이 있다. 본관 청주(淸州), 호 만해(萬海·卍海), 속명 유천(裕天), 자 정옥(貞玉), 계명 봉완(奉玩)이다. 187.. 2022. 11. 7.
韓龍雲(한용운)의 禪詩(선시) (1)~(10) 산과바다 禪師의 禪詩 HOME 선사의 선시 韓龍雲(한용운) (1879~1944)의 禪詩 (1)~(10) ● 韓龍雲(한용운) (1879~1944. 忠南 洪城 出生. 僧侶. 詩人. 獨立運動家. 本 淸州. 俗名 裕天. 法名 龍雲. 法號 卍海 /萬海) 우리나라의 승려ㆍ시인ㆍ독립운동가(1879~1944). 속명은 정옥(貞玉)이고 아명은 유천(裕天)이며 법호는 만해(萬海)이다. 용운은 법명(法名)이다. 3ㆍ1 독립 선언에 민족 대표로 참가하여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에도 앞장섰다. 민족의 현실과 이상에 대해 노래한 으로 저항 문학에도 앞장섰다. 저서로 《조선 불교 유신론》과 시집 《님의 침묵》 등이 있다. 본관 청주(淸州), 호 만해(萬海·卍海), 속명 유천(裕天), 자 정옥(貞玉), 계명 봉완(奉玩)이다. 1879.. 2022. 11. 7.
寒溪玄一(한계현일)의 禪詩(선시) (1)~(2) 산과바다 禪師의 禪詩 HOME 선사의 선시 寒溪玄一(한계현일) (1630∼1716)의 禪詩 (1)~(2) ● 寒溪玄一(한계현일) (1630∼1716. 朝鮮 中期 僧侶) 《寒溪集》은 현일(玄一)의 문집이다. 벽암(碧岩)의 법을 이었으며, 서문에서는 벽암의 문하에 삼교(三敎)에 능통한 이는 백곡(白谷)과 한계(寒溪)뿐이라고 하였다. (1) 久旱次韻(구한 차운) : 오랜 가뭄 詩를 次韻해 짓다 莫言無事是山僧 ~ 일 없는 게 山僧이라 말하지 마시게나. 亦恨炎天旱氣蒸 ~ 불볕더위 날 가물어 푹푹 찜이 안타까워 朝夕爲焚香一炷 ~ 아침저녁 香 심지 사르며 誠心憂國願年豊 ~ 誠心으로 나라 근심 농사 豊年 祈願하노라. (2) 贈遊山僧(증유산승) : 산놀이 하는 승려에게 주다 道本從心得 ~ 道란 本來 마음에서 얻는 法인데.. 2022. 11. 7.
鶴鳴禪師(학명선사)의 禪詩(선시) (1)~(2) 산과바다 禪師의 禪詩 HOME 선사의 선시 鶴鳴禪師(학명선사) (1867~1929)의 禪詩 (1)~(2) ● 鶴鳴禪師(학명선사) (1867~1929. 韓末 高僧. 法號 鶴鳴. 俗姓 白氏. 法名 啓宗. 字 白農. 全南 靈光 出生) (1) 夢中遊(몽중유) : 꿈속에 산다네. 妄道始終分兩頭 ~ 시작이니 끝이니 구별하지 말게나. 冬經春到似年流 ~ 겨울 가고 봄이 온다고 해가 바뀐 듯하지만 試看長天何二相 ~ 보게나. 저 하늘이 달라졌는가? 浮生自作夢中遊 ~ 우리가 어리석게도 꿈속에 사는 걸세. 묵은해니 새해니 분별하지 말게. 겨울가고 봄이오니 해 바뀐 듯하지만, 보게나, 저 하늘이 뭐 변함이 있는가. 우리가 어리석어 꿈속에 사네. (2) 悟道頌(오도송) : 오도송 前生誰是我 ~ 前生에는 누가 나이며 來生我爲誰 ~.. 2022. 11.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