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412 큰물레나물 Hypericum ascyron 산과바다 큰물레나물 Hypericum ascyron 2019. 7. 15. 담음 꽃잎을 담으려고 12일에 꽃이 시들어서 볼 수가 없어서 다음날(13일) 다시가보니 날씨가 흐려서 인지 꽃이 피지 않았고 15일 해가 떠서 점심때 가보니 꽃이 피어 있어 담을 수가 있었답니다. * 꽃이피어 꽃술의 길이를 비교해보니 수술이 암술대보다 길게 보여 물레나물로 보이나 암술대의 길이가 1cm정도로 위쪽에서 1/3 정도가 갈라지지는 것으로 보아 깊게 갈라지는 물레나물과 구분이 되어 큰물레나물로 동정하여 올려보는데......↑위는 12일 꽃이 피지않은 꽃봉오리이고...... 잘 보면 오른쪽 위에 암술대가 1/3정도 갈라진것이 보이는군요.↓아래는 14일 위꽃봉오리가 열리어 꽃이핀 모습인데...... 꽃술의 길이를 비교할.. 2019. 7. 15. 수강아지풀 Bottle grass 산과바다 수강아지풀 Bottle grass 2019. 7. 12. 담음 강아지풀과 모양이 같아 보이는데 이삭이 한 뼘 정도는 되고 키가 1m 정도로 커 보임이 강아지풀과 구분이 되는군요. * 조와 강아지풀의 잡종으로 가라지조라고도 하는군요. 수강아지풀 Setaria x pycnocoma (Steud.) Henrard ex Nakai 현화식물문 >백합.. 2019. 7. 15. 솔나물 Galium verum 산과바다 솔나물 Galium verum 2019. 7. 12. 담음 지난해와 같은장서인 양지바른 무덤가 언덕에서 자라고 있음을 담았는데 잎이 소나무 잎처럼 가늘고 길게 생겨서 솔나물이라 한다는 군요. * 4개로 갈라진 노란색 꽃은 하나하나의 지름이 2.5㎜로 매우 작으며 많은 수의 꽃들이 뭉쳐서 피는군요. .. 2019. 7. 14. 부들 Oriental Cattail 산과바다 부들 Oriental Cattail 2019. 7. 12. 담음 * 두꺼비연못 가장자리에 자라고 있음을 담았는데 애기부들은 위 수꽃과 아래 암꽃이 떨어져 있는데 부들은 위 수꽃과 아래 암꽃이 이어져있군요. * 꽃가루받이가 일어날 때 부들부들 떨기 때문에 부들이라는 이름이 붙었다고 하는군요. 부들 Typha orientalis C. Presl 속씨식물 >외떡잎식물강 >벼목 >부들과 >부들속(Typha) 개울가나 연못의 습지에서 자란다. 뿌리줄기가 옆으로 뻗으며 키가 2m에 이른다. 잎은 선형으로 어긋나고 줄기를 완전히 감싸며, 길이는 1.3m에 이르나 너비는 1㎝가 채 되지 않는다.꽃은 7월에 노란(황색) 꽃이 줄기 끝에 무리져 피는데 수꽃은 위쪽에, 암꽃은 그 아래쪽에.. 2019. 7. 14. 메꽃 Bind weed 산과바다 메꽃 Bind weed 2019. 7. 12. 담음 꽃모양이 메꽃 큰메꽃 나팔꽃이 닮아 혼동하기 쉬운데 잎 모양과 꽃피는 시간이 다르군요. * 나팔꽃이 아침에 피는 데 반하여 메꽃은 한낮에도 피는 것이 다르군요. * 나팔꽃의 잎은 어긋나고 긴 잎자루를 가지며 둥근 심장 모양이고 잎 몸의 끝이 보통 3개로 갈라진다. * 메꽃의 잎은 어긋나고 긴 타원형이고 잎의 아랫부분이 귓불모양으로 되어 있다. * 큰메꽃의 잎은 어긋나고 엽병이 길고 삼각상 달걀모양 또는 삼각형이며 밑부분이 옆으로 퍼져서 다시 각 2개로 갈라져 심장저로 되고 위 끝이 뾰족하며 길이 4-8cm, 폭 3-7cm로서 양면에 털이 없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메꽃 Calystegia japonica (THUNB). CHOIS. .. 2019. 7. 14. 명아주 Goosefoot 산과바다 명아주 Goosefoot 2019. 7. 12. 담음 * 꽃잎은 없고 붉은색의 꽃받침(花托)이 5조각으로 깊게 갈라져서 꽃처럼 보인다. 다수의 잔 꽃이 밀착되어있음이 특이하군요. * 명아주는 예로부터 장수 지팡이가 되는 청려장(靑藜杖:명아주의 대로 만든 지팡이)을 만들어 사용하였다는 군요. 명아.. 2019. 7. 13. 머루 Wild Grape 산과바다 머루 Wild Grape 2019. 7. 12. 담음 * 열매가 달리며 황록색의 꽃은 계속 피고 있군요. 머루 Vitis coignetiae Pulliatex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갈매나무목 >포도과 >포도속(Vitis) 다래와 더불어 야생 열매의 대표적인 덩굴식물이다. 바위 위나 다른 나무 위로 기어올라 울창한 정글을 만든다. 줄기의 일년생가지는 뚜렷하지 않은 능선이 있으며 붉은빛이 돌고 어릴 때는 성모(星毛)로 덮여 있다.잎은 어긋나기하며 심장형 또는 원형이고 5개로 얕게 갈라지며, 길이와 폭이 각 8~30cm × 8~30cm로, 심장저이며, 작은 삼각형의 톱니가 있고, 3개로 얇게 갈라지기도 하고, 어린잎은 전체에 붉은 갈색의 털이 있다.꽃은 5월 중순~7월 말에.. 2019. 7. 13. 댕댕이덩굴 Queen coral beads 산과바다 댕댕이덩굴 Queen coral beads 2019. 7. 12. 담음 * 야산 기슭 길가의 다랑이논둑에서 자람을 담았는데 전에는 6월 초순경에도 꽃이 보이더니 올해에는 7월 중순인데도 꽃망울만 줄줄이 모여 달려 꽃필 준비를 하고 있음도 예쁘고 다른 장소에서는 꽃도 보이는군요. * 10월에 짙은 군청색 또는 검은색의 열매도 예쁘게 달리더군요. * 왼쪽으로 감는 하록(夏綠) 으로 잘 분지한다. 서로 휘감으면서 단단한 줄기를 만든다. * 낙엽이 지는 덩굴성 넓은잎나무이다. * 1년지는 녹색인데, 거친 털(粗毛)이 있다. 2년지부터는 회갈색이 된다. 댕댕이덩굴 Coculus orbiculatus L. DC.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미나리아재비목 >방기과 >댕댕이덩굴속(Cocc.. 2019. 7. 13. 대추나무 Jujube tree 산과바다 대추나무 Jujube tree 2019. 7. 12. 담음 6월 초 중순경에 폈던 꽃에는 열매가 달려있고 같은 가지인데도 아직도 꽃이 피고 있군요. 대추나무 Zizyphus jujubavar. inermis (Bunge) Rehder 현화식물문 >쌍떡잎식물강 >갈매나무목 >갈매나무과 >대추나무속(Zizyphus) 원산지는 중국으로, 우리나.. 2019. 7. 13. 큰물레나물 Hypericum ascyron 산과바다 큰물레나물 Hypericum ascyron 2019. 7. 12. 담음 * 오후에 야산 기슭 길가에서 자람을 담았는데 꽃이 시들어서 꽃을 볼 수가 없군요. * 암술대의 길이가 1cm정도로 위쪽에서 1/3 정도가 갈라지는 것이 깊게 갈라지는 물레나물과 구분이 되는군요. 큰물레나물 Hypericum ascyron var. longistylum Maxim. 속씨식물 >쌍떡잎식물강 >물레나물목 >물레나물과 >물레나물속(Hypericum) 물레나물과의 여러해살이풀. 산과 들의 양지바른 곳에서 자란다. 높이 약 1m이다. 줄기는 나무처럼 단단하고 곧게 서며 4개의 능선이 있다. 잎은 마주나고 바소꼴이며 전체적으로 물레나물보다 크고 끝이 뾰족하며 밑부분은 줄기를 감싼다. 가장자리에는 투.. 2019. 7. 13. 개암 Hazelnut 산과바다 개암 Hazelnut 2019. 7. 12. 담음 3월 초순경에 꽃을 담았었는데 벌써 개암이 익어가며 넓은 총포에 싸여있음이 특이하군요. * 개암(Hazelnut)은 개암나무의 열매를 말하며 개암 또는 헤이즐넛이라 하고, 이명으로는 콥넛(cobnut), 필버트 넛(Filbert nut) 이라고도 한다. 개암나무 Corylus heterophyl.. 2019. 7. 13. 부처꽃 Loose strife 산과바다 부처꽃 Loose strife 2019. 7. 7. 담음 * 청주 두꺼비집 앞의 야산 다랑이논 도랑가에서 담았는데 습지에서 자라는군요. 부처꽃 Lythrum anceps (Koehne) Makino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도금양목 >부처꽃과 >부처꽃속(Lythrum) 부처꽃과의 다년생 초본으로 천굴채(千屈菜)라고도 한다. 냇가, 초원 등의 습지에서 자란다. 높이 1m 정도로서 곧게 자라며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잎은 마주나고 바소꼴이며 대가 거의 없고 원줄기와 더불어 털, 잎자루도 거의 없으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은 5∼8월에 홍자색으로 피며 잎겨드랑이에 3∼5개가 달려 층층이 달린 것같이 보인다. 포는 보통 옆으로 퍼지며 밑부분이 좁고 바소꼴 또는 달걀 모양의 긴 타원.. 2019. 7. 7. 아까시흰구멍버섯(←아까시재목버섯) Perenniporia fraxinea 산과바다 아까시흰구멍버섯(←아까시재목버섯) Perenniporia fraxinea 2019. 7. 4. 담음 6~7월이 되면 살아있는 아까시나무 밑동이나 그루터기에 혹 같은 유균이 부정형으로 발생하는군요. * 아까시재목버섯 이던 것이 아까시흰구멍버섯으로 이름이 바뀌었답니다. 아까시흰구멍버섯 Perenniporia fraxin.. 2019. 7. 4. 접시꽃 Holly hock 산과바다 접시꽃 Holly hock 2019. 7. 1. 담음 * 유년시절 시골에서 자라며 마을에서는 접시꽃을 체키화라고 불러 그런 줄로 알았는데 이것이 한자로 촉규화(蜀葵花)를 잘못 발음하였던 것이군요. * 두산백과에서는 꽃 모양이 접시를 닮아서 접시꽃이라고 한다고 하고 * 생물자원정보에서는 열매(분과)가 편평한 원형으로 심피가 수레바퀴처럼 돌려붙어 접시모양이기 때문에 이 이름이 접시꽃이라 붙여졌다고 하는군요. * 수술은 서로 합쳐져서 암술을 둘러싸고 있어 뭉툭하게 하얀 꽃가루가 묻어 있음도 특이하군요. * 수술은 서로 합쳐져서 암술을 둘러싸고 있어 뭉툭하게 하얀 꽃가루가 묻어 있음도 특이하군요. 접시꽃 Althaea rosea (L.) Cav.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아욱목 >아욱과 >접시꽃속(A.. 2019. 7. 2. 채송화 Rose moss 菜松花 산과바다 채송화 Rose moss 菜松花 2019. 7. 1. 담음 * 붉은 꽃잎 가운데 수술에 붙은 황색 꽃밥이 많고 그 사이에 암술대에 5~9개의 암술머리가 뒤로 젖혀져 있어 마치 꽃 속에 또 꽃이 핀 것처럼 보임이 특이하군요. * 또 꽃은 낮에 피었다가 오후에 시드는데, 맑은 날 햇볕을 받을 때만 피는 것도 특이하군요. 채송화 Portulaca grandiflora Hook.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석죽목 >쇠비름과 >쇠비름속(Portulaca) 채송화는 남아메리카 원산이며 관상용으로 심는다. 마당의 한켠이나 담벼락 아래 주로 심었으며 양지바른 곳에서 잘 자란다. 줄기는 붉은 빛을 띠고 가지가 많이 갈라져서 퍼지며 높이 20cm내외이다. 잎은 육질로 어긋나고 가늘고 긴 .. 2019. 7. 2. 원추리 Orange Daylily 산과바다 원추리 Orange Daylily 2019. 7. 1. 담음 * 두꺼비생태공원내의 두꺼비연못가 길가에서 자라며 꽃을 피워 반기는 군요. * 꽃이 피고 지고를 반복하는데 매일 다른 꽃을 보게 되는군요. 그래서 꽃 이름이 Daylily라 하는군요. 원추리 Hemerocallis fulva L. 속씨식물문 >외떡잎식물강 >백합목 >백합과 >원추리속(Hemerocallis) 넘나물이라고도 한다. 산지에서 자란다. 높이 약 1m이다. 뿌리는 사방으로 퍼지고 원뿔 모양으로 굵어지는 것이 있다. 잎은 2줄로 늘어서고 길이 약 80cm, 나비 1.2∼2.5cm이며 끝이 처진다. 조금 두껍고 흰빛을 띤 녹색이다.꽃은 7∼8월에 핀다. 꽃줄기는 잎 사이에서 나와서 자라고, 끝에서 가지가 갈라.. 2019. 7. 2. 신나무(열매) Amur Maple 산과바다 신나무(열매) Amur Maple 2019. 7. 1. 담음5월 초순경에 꽃이피고 지난 5월 15일에 열매의 날개가 구멍 뚫린 것 같이 보이더니 시과인 열매의 양쪽 날개가 거의 평행하거나 겹쳐지며 붉은빛 날개가 꽃처럼 달리어 예뻐 보이는군요. 신나무 Acer tataricum L. subsp. ginnala (Maxim.) Wesm.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무환자나무목 >단풍나무과 >단풍나무속(Acer) 계곡 주변 또는 산기슭에 자라는 낙엽 떨기나무 또는 작은키나무이다. 줄기는 높이 2-10m이다. 잎은 마주나며, 홑잎이고, 둥근 난형, 길이 5-9cm, 폭 3-6cm, 3갈래로 얕게 또는 깊게 갈라진다. 잎 양면에 털이 없다. 잎.. 2019. 7. 2. 비비추 Hosta longipes 산과바다 비비추 Hosta longipes 2019. 7. 1. 담음 꽃의 색깔이 자주색, 붉은빛 자주색, 옅은 자주색 등 다양하군요. 꽃이 아래를 향해 피고 있어어 들어 속을 들여다 보았다. 6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이 있군요. 비비추 Hosta longipes (Franch. &Sav.) Matsum. 속씨식물문 >외떡잎식물강 >백합목 >백합.. 2019. 7. 2. 이전 1 ··· 5 6 7 8 9 10 11 ··· 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