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산에는 꽃이 피네

***한자성어(漢字成語)***25

21. 고전(古傳)에 관련된 漢字成語 산과바다한자성어(漢字成語) HOME  21. 고전(古傳)에 관련된 漢字成語한글 발음漢字成語의미 해석가급천병家給千兵제후(諸侯) 나라에 일천 군사(軍士)를 주어 그의 집을 호위(護衛)시킴.가도멸괵假道滅虢다른 나라의 길을 임시(臨時)로 빌려 쓰다가 나중에 그 나라를 쳐서 없앰.  유래감모변색鑑貌辨色모양(模樣)과 거동(擧動)으로 그 마음속을 분별(分別)할 수 있음.갑장대영甲帳對楹아름다운 갑장(甲帳)이 기둥을 대하였으니, 동방삭(東方朔)이 갑장(甲帳)을 지어 임금이 잠시(暫時) 정지(停止)하는 곳임.개차신발蓋此身髮이 몸의 털은 대개 사람마다 없는 이가 없음.거가비경車駕肥輕수레의 말은 살찌고 몸의 의복(衣服)은 가볍게 차려져 있음.거야동정鉅野洞庭거야(鋸野)는 태산(泰山) 동편에 있는 광야(廣野), 동정(洞庭)은 호.. 2025. 2. 2.
20. 학문(學問)에 관련된 漢字成語 산과바다한자성어(漢字成語) HOME  20. 학문(學問)에 관련된 漢字成語한글 발음漢字成語의미 해석각곡유목刻鵠類鶩‘고니를 새기려다 실패(失敗)해도 집오리와 비슷하게는 된다.’는 뜻으로, 성현(聖賢)의 글을 배움에 그것을 완전(完全)히 다 익히지는 못하더라도 최소한(最小限) 선인(善人)은 될 수 있다는 말.각곡유아刻鵠類鵝‘고니를 새기려다 실패(失敗)해도 거위와 비슷하게는 된다.’는 뜻으로, 성현(聖賢)의 글을 배움에 그것을 완전(完全)히 다 익히지는 못하더라도 최소한(最小限) 선인(善人)은 될 수 있다는 말.거무구안居無求安(학문에 뜻을 두려면) 살아감에 편한 것만 구하지 말라는 뜻. 출전:논어(論語) 論語(논어) 1. 學而(학이) 子曰 君子食無求飽 居無求安 :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군자는 먹음에 배부름을.. 2025. 2. 2.
19. 독서(讀書)에 관련된 漢字成語 산과바다한자성어(漢字成語) HOME  19. 독서(讀書)에 관련된 漢字成語한글 발음漢字成語의미 해석개권유익開卷有益‘책을 펴서 읽으면 반드시 이로움이 있다.’는 뜻으로, 독서(讀書)를 권장(勸奬)하는 말. 개권(開卷)은 책을 펴서 읽는 것을 말함. 출전:왕벽지(王闢之)의 승수연담록(繩水燕談錄)경독耕讀1. 농사(農事)짓기와 글 읽기. 2. 농사(農事)를 지으며 글을 읽음.경세치용經世致用학문(學問)은 세상(世上)을 다스리는 데에 실질적(實質的)인 이익(利益)을 줄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는 유교(儒敎)의 한 주장(主張).권학강문勸學講文학문(學問)을 권(勸)하며 공부(工夫)에 힘쓰게 함.남아수독오거서男兒須讀五車書남자(男子)는 모름지기 다섯 수레에 실을 만큼의 책을 읽으라는 말. 출전:두공부시집(杜工部詩集)다문다독.. 2025. 2. 2.
18. 자애(至愛)에 관련된 漢字成語 산과바다한자성어(漢字成語) HOME  18. 자애(至愛)에 관련된 漢字成語한글 발음漢字成語의미 해석과정지훈過庭之訓‘뜰에서 가르친다.’는 뜻으로, 아버지가 자식(子息)에게 사람의 도리(道理)를 가르치는 것을 말함. 출전:논어(論語) 論語(논어) 16. 季氏(계씨)  유래 노우지독老牛舐犢노우지독지애(老牛舐犢之愛). 출전:후한서(後漢書)노우지독지애老牛舐犢之愛「늙은 소가 송아지를 핥아주는 사랑」이라는 뜻으로, 부모(父母)의 자식(子息)에 대(對)한 사랑이 깊음을 이르는 말. 출전:후한서(後漢書)막지기자지악莫知其子之惡‘자기(自己) 자식(子息)의 잘못을 모른다.’는 뜻으로, 부모(父母)의 자식(子息)에 대(對)한 사랑이 맹목적(盲目的)임을 이르는 말.모원단장母猿斷腸「어미원숭이의 창자가 끊어졌다.」는 뜻으로, 창자가.. 2025. 2. 2.
17. 청렴(淸廉)에 관련된 漢字成語 산과바다한자성어(漢字成語) HOME  17. 청렴(淸廉)에 관련된 漢字成語한글 발음漢字成語의미 해석강좌칠현江左七賢고려(高麗) 후기(後期)에 명리(名利)를 떠나 사귀던 일곱 선비. 이인로(李仁老), 오세재(吳世才), 임춘(林椿), 조통(趙通), 황보항(皇甫抗), 함순(咸淳), 이담지(李湛之)를 중국(中國) 진나라(晉--) 때의 죽림칠현(竹林七賢)에 상대(相對)하여 이르는 말이다.경산조수耕山釣水‘산(山)에는 밭을 갈고, 물에서는 물고기를 잡는 생활(生活)을 한다.’는 뜻으로, 소박(素朴)하고 속세(俗世)에서 떠난 생활(生活)을 영위(營爲)함을 이름.경초勁草‘억센 풀’이라는 뜻으로, 지조(志操)가 꿋꿋한 사람을 비유적(比喩的)으로 이르는 말.곡굉이침지曲肱而枕之‘팔을 구부려 베개로 삼는다.’는 뜻으로, 몹시 가.. 2025. 2. 2.
16. 평범(平凡)에 관련된 漢字成語 산과바다한자성어(漢字成語) HOME  16. 평범(平凡)에 관련된 漢字成語한글 발음漢字成語의미 해석가담街談길거리에 떠도는 말이나 화젯거리.가담항설街談巷說거리나 항간(巷間)에 떠도는 소문(所聞). 출전:한서(漢書)  유래 가담항어街談巷語거리나 항간(巷間)에 떠도는 소문(所聞). 출전:한서(漢書)가담항의街談巷議거리나 항간(巷間)에 떠도는 소문(所聞).가설항담街說巷談거리나 항간(巷間)에 떠도는 소문(所聞).각화무염刻畫無鹽「아무리 꾸며도 무염(無鹽)」이란 뜻으로, 얼굴이 못생긴 여자(女子)가 아무리 화장(化粧)을 해도 미인(美人)과 비교(比較) 할 바가 못됨. 즉 비교(比較)가 되지 않음을 이르는 말.  유래 갑남을녀甲男乙女‘갑(甲)이란 남자(男子)와 을(乙)이란 여자(女子)’라는 뜻으로, 평범(平凡)한 사람들.. 2025. 2. 2.
15. 은혜(恩惠)에 관련된 漢字成語 산과바다한자성어(漢字成語) HOME  15. 은혜(恩惠)에 관련된 漢字成語한글 발음漢字成語의미 해석각골난망刻骨難忘남에게 입은 은혜(恩惠)가 뼈에 새길 만큼 커서 잊히지 아니함.  유래 각골명심刻骨銘心「뼈에 새기고 마음에 새긴다.」는 뜻으로, 마음속 깊이 새겨 두고 잊지 아니함. 출전:후한서(後漢書)갈자이음渴者易飮「목이 마른 자는 무엇이든 잘 마신다.」는 뜻으로, 곤궁(困窮)한 사람은 은혜(恩惠)에 감복하기 쉬움을 비유(比喩ㆍ譬喩)해 이르는 말.결사보국決死報國죽을 각오(覺悟)를 하고 나라의 은혜(恩惠)에 보답(報答)함.결초結草죽은 뒤에라도 은혜(恩惠)를 잊지 않고 갚음을 이르는 말. 중국(中國) 춘추시대(春秋時代)에, 진나라(晉--)의 위과(魏顆)가 아버지가 세상(世上)을 떠난 후(後)에 서모(庶母)를 개.. 2025. 2. 2.
14. 결혼(結婚)에 관련된 漢字成語 산과바다한자성어(漢字成語) HOME  14. 결혼(結婚)에 관련된 漢字成語한글 발음漢字成語의미 해석각침찬금금란角枕粲錦禽爛‘각침(角枕)과 비단(緋緞) 이불이 찬란(燦爛)하다.’는 뜻으로, 신혼(新婚)의 금침(衾枕)이 아름다움을 이르는 말.결발부부結髮夫婦총각(總角)과 처녀(處女)끼리 혼인(婚姻)한 부부(夫婦).결발부처結髮夫妻「귀밑머리를 풀어 쪽을 찌고 상투를 튼 부부(夫婦)」라는 뜻으로, 정식(正式)으로 결혼(結婚)한 부부(夫婦)를 이르는 말.계명지조鷄鳴之助어질고 현명(賢明)한 왕비(王妃)의 내조(內助)를 이르는 말. 예전에 어진 왕비(王妃)는 새벽이면 반드시 왕(王)께 나아가 닭이 울었으니 일어나라고 권(勸)하여 왕(王)이 아침 일찍부터 일어나 정사(政事)를 보도록 하였다는 데서 유래(由來)한다. 출전:시.. 2025. 2. 2.
13. 교감(交感)에 관련된 漢字成語 산과바다한자성어(漢字成語) HOME  13. 교감(交感)에 관련된 漢字成語한글 발음漢字成語의미 해석강산지조江山之助산수(山水)의 아름다운 풍경(風景)이 사람의 시정(詩情)을 도움.강산풍월江山風月「강(江)과 산(山), 바람과 달」이라는 뜻으로, 자연(自然)의 아름다운 경치(景致)를 일컫는 말.강산풍월주인江山風月主人‘강산(江山)과 풍월(風月)을 차지한 주인(主人)’이란 뜻으로, 경치(景致)가 좋은 산수(山水) 간(間)에서 욕심(慾心) 없이 즐겁게 살고 있는 사람을 이르는 말.강호가도江湖歌道조선(朝鮮) 시대(時代)에 속세(俗世)를 떠나 자연(自然)을 벗하여 지내면서 일어난 시가(詩歌) 생활(生活)의 경향(傾向).강호연파江湖煙波1. 강(江)이나 호수(湖水) 위에 안개처럼 보얗게 이는 기운. 또는 그 수면(水面)의.. 2025. 2. 2.
12. 연애(戀愛)에 관련된 漢字成語 산과바다한자성어(漢字成語) HOME  12. 연애(戀愛)에 관련된 漢字成語한글 발음漢字成語의미 해석격활상사隔闊相思멀리 떨어져 있으면서 몹시 사모(思慕)함.구곡간장九曲肝腸‘굽이굽이 서린 창자’라는 뜻으로, 깊은 마음속 또는 시름이 쌓인 마음속을 비유적(比喩的)으로 이르는 말. 유래 낙화유수落花流水1. ‘떨어지는 꽃과 흐르는 물’이라는 뜻으로, 가는 봄의 경치(景致)를 이르는 말. 2. 살림이나 세력(勢力)이 약(弱)해져 아주 보잘것없이 됨을 비유적(比喩的)으로 이르는 말. 3. ‘떨어지는 꽃에 정(情)이 있으면 물에도 또한 정(情)이 있어 떨어지는 꽃은 물이 흐르는 대로 흐르기를 바라고 유수(流水)는 떨어지는 꽃을 띄워 흐르기를 바란다.’는 뜻으로, 남녀(男女)가 서로 그리워함을 이르는 말. 유래 무산몽巫.. 2025. 2. 1.
11. 미인(美人)에 관련된 漢字成語 산과바다한자성어(漢字成語) HOME  11. 미인(美人)에 관련된 漢字成語한글 발음漢字成語의미 해석가인박명佳人薄命미인(美人)은 불행(不幸)하거나 병약(病弱)하여 요절(夭折)하는 일이 많음. 출전:소식(蘇軾) 미인박명(美人薄命) 유래 경국傾國1. 나라의 힘을 다 기울임. 2. ‘임금이 혹(惑)하여 나라가 기울어져도 모를 정도(程度)의 미인(美人)’이라는 뜻으로, 뛰어나게 아름다운 미인(美人)을 이르는 말. 3. 나라를 위태(危殆)롭게 함. 출전:사기(史記)경국지색傾國之色‘임금이 혹(惑)하여 나라가 기울어져도 모를 정도(程度)의 미인(美人)’이라는 뜻으로, 뛰어나게 아름다운 미인(美人)을 이르는 말. 유래 경성傾城1. ‘성을 기울게 한다.’는 뜻으로, 나라를 위태(危殆)롭게 할 정도(程度)로 뛰어남을 이르는.. 2025. 2. 1.
10. 충성(忠誠)에 관련된 漢字成語 산과바다한자성어(漢字成語) HOME  10. 충성(忠誠)에 관련된 漢字成語한글 발음漢字成語의미 해석간뇌도지肝腦塗地‘참혹(慘酷)한 죽임을 당(當)하여 간장(肝臟)과 뇌수(腦髓)가 땅에 널려 있다.’는 뜻으로, 나라를 위하여 목숨을 돌보지 않고 애를 씀을 이르는 말. 출전:사기(史記)의 유경열전(劉敬列傳) 유래 갈충보국竭忠報國충성(忠誠)을 다하여 나라의 은혜(恩惠)를 갚음.거동궤車同軌‘여러 지방(地方)의 수레의 너비를 같게 하고 글은 같은 글자(-字)를 쓰게 한다.’는 뜻으로, 천하(天下)가 통일(統一)된 상태(狀態)를 이르는 말. 거동궤서동문車同軌書同文‘여러 지방(地方)의 수레의 너비를 같게 하고 글은 같은 글자(-字)를 쓰게 한다.’는 뜻으로, 천하(天下)가 통일(統一)된 상태(狀態)를 이르는 말. 동문.. 2025. 2. 1.
9. 공경(恭敬)에 관련된 漢字成語 산과바다한자성어(漢字成語) HOME  9. 공경(恭敬)에 관련된 漢字成語한글 발음漢字成語의미 해석초려삼고草廬三顧인재(人材)를 맞아들이기 위하여 참을성 있게 노력(勞力)함. 중국(中國) 삼국시대(三國時代)에, 촉한(蜀漢)의 유비(劉備)가 난양(南陽)에 은거(隱居)하고 있던 제갈량(諸葛亮)의 초옥(草屋)으로 세 번이나 찾아갔다는 데서 유래(由來)한다. 출전:제갈량(諸葛亮)의 출사표(出師表) 유래 감당애甘棠愛선정(善政)을 베푼 인재(人材)를 사모(思慕)하는 마음이 간절(懇切)함을 비유(比喩ㆍ譬喩)해 이르는 말.감당유애甘棠遺愛청렴결백(淸廉潔白)하거나 선정(善政)을 베푼 사람을 그리워하는 마음을 이르는 말. 출전:시경(詩經) 16 甘棠(감당)-詩經召南 유래 감당지애甘棠之愛‘감당나무(甘棠--)를 아끼고 사랑한다.’.. 2025. 1. 31.
8. 의리(義理)에 관련된 漢字成語 산과바다한자성어(漢字成語) HOME  8. 의리(義理)에 관련된 漢字成語한글 발음漢字成語의미 해석간담상조肝膽相照‘간과 쓸개를 내놓고 서로에게 내보인다.’는 뜻으로, 서로 속마음을 털어놓고 친(親)하게 사귐. 출전:한유(韓愈) 유래 간목부의干木富義단간목(段干木)은 의로움이 대단함. 유래 강남일지춘江南一枝春「강남(江南)에서 매화(梅花) 가지 하나를 친구(親舊)에게 보내 봄소식(-消息)을 알린다.」는 뜻으로, 친구(親舊) 사이의 돈독(敦篤)한 우정(友情)을 대신(代身)하는 정표(情表)를 보낼 때 쓰이는 말. 거경지신巨卿之信‘거경(巨卿)의 신의(信義)’라는 뜻으로, 굳은 약속(約束)을 뜻하며 성실(誠實)한 인품(人品)을 나타내는 말. 유래 견리사의見利思義눈앞의 이익(利益)을 보면 의리(義理)를 먼저 생각함... 2025. 1. 31.
7. 예절(禮節)에 관련된 漢字成語 산과바다한자성어(漢字成語) HOME  7. 예절(禮節)에 관련된 漢字成語한글 발음漢字成語의미 해석가무이주家無二主「한 집안에 주인(主人)이 둘이 있을 수 없다.」는 뜻으로, 군신(君臣)의 다름을 이르는 말. 출전:예기(禮記)배가경拜家慶오래도록 떠나 있던 자식(子息)이 귀가(歸嫁)해서 부모(父母)를 뵙는 일. 출전:맹활연(孟活然)의 시(詩)부부유별夫婦有別오륜(五倫)의 하나. 「남편(男便)과 아내는 분별(分別)이 있어야 한다.」는 뜻으로, 부부(夫婦) 사이에는 인륜상(人倫上) 각각(各各) 직분(職分)이 있어 서로 침범(侵犯)하지 못할 구별(區別)이 있음. 유래 부위부강夫爲婦綱삼강(三綱)의 하나. 남편(男便)은 아내의 벼리가 됨. 유래 부위자강父爲子綱삼강(三綱)의 하나. 아버지는 자식(子息)의 벼리가 됨. 유래.. 2025. 1. 31.
6. 효행(孝行)에 관련된 漢字成語 산과바다한자성어(漢字成語) HOME  6. 효행(孝行)에 관련된 漢字成語한글 발음漢字成語의미 해석가빈친로家貧親老 ‘집이 가난하고 어버이가 늙었다.’는 뜻으로, 집안의 사정(事情)이 여의(如意)치 못하여 마땅치 않은 일이라도 해야 하는 상태(狀態)를 이르는 말. 출전:공자가어(孔子家語)고빙叩氷물고기를 잡기 위하여 얼음에 구멍을 내려고 두드림을 이르는 말. 중국(中國) 진나라(晉--)의 왕연(王延)이 효성(孝誠)이 지극(至極)하여 계모(繼母)가 겨울철에 잉어를 먹고 싶어 하자 얼음을 두들겨 깨고 물고기를 얻었다는데서 유래(由來)한다.노래지희老萊之戲‘노래자(老萊子)의 재롱’이라는 뜻으로, 자식(子息)이 나이가 들어도 부모(父母)의 자식(子息)에 대(對)한 마음은 똑같으니 변(變)함없이 효도(孝道)를 해야 한다.. 2025. 1. 30.
5. 출중(出衆)에 관련된 漢字成語 산과바다한자성어(漢字成語) HOME  5. 출중(出衆)에 관련된 漢字成語한글 발음漢字成語의미 해석가인박명佳人薄命미인(美人)은 불행(不幸)하거나 병약(病弱)하여 요절(夭折)하는 일이 많음. 출전:박명가인(薄命佳人) : 소식(蘇軾) 유래 가중연성價重連城여러 성(城)을 합(合)할 정도(程度)로 그 값어치가 귀중(貴重)하다는 말.가치연성價値連城 여러 성(城)을 합(合)할 정도(程度)로 그 값어치가 귀중(貴重)하다는 말.각로청수刻露淸秀‘나뭇잎이 저 산 모양(模樣)이 드러나 맑고 빼어나다.’는 뜻으로, 가을 경치(景致)가 맑고 수려함을 형용(形容)해 이르는 말. 출전:구양수(歐陽脩)간기인물間氣人物세상(世上)에 드문 뛰어난 인물(人物).간성干城‘방패(防牌ㆍ旁牌)와 성(城)’이라는 뜻으로, 나라를 지키는 믿음직한 군대.. 2025. 1. 30.
4. 겸손(謙遜)에 관련된 漢字成語 산과바다한자성어(漢字成語) HOME  4. 겸손(謙遜)에 관련된 漢字成語한글 발음漢字成語의미 해석가고가하可高可下‘높아도 가(可)하고 낮아도 가(可)하다.’는 뜻으로, 인자(仁者)는 벼슬이 높아도 거만(倨慢)하지 않고 낮아도 두려워하지 않음으로써 직위(職位)의 고하(高下)를 가리지 않음.견마犬馬1. 개와 말을 아울러 이르는 말. 2. ‘개나 말과 같이 천(賤)하고 보잘것없다.’는 뜻으로, 자신(自身)에 관한 것을 낮추어 이르는 말.견마지년犬馬之年‘개나 말처럼 보람 없이 헛되게 먹은 나이’라는 뜻으로, 남에게 자기(自己)의 나이를 낮추어 이르는 말.견마지령犬馬之齡「개나 말이 하는 일 없이 나이만 더하다.」라는 뜻으로, 아무 하는 일 없이 나이만 먹는 일. 자기(自己) 나이를 겸손(謙遜)하게 이르는 말. 출전.. 2025. 1.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