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산에는 꽃이 피네

7월412

꼬리조팝나무 Willowleaf spiraea 산과바다 꼬리조팝나무 Willowleaf spiraea 2024. 7. 6. 담음 * 꼬리조팝나무는 우리나라의 조팝나무속 식물 가운데 꽃은 가장 진한 붉은색이며, 꽃차례는 유일하게 원추꽃차례를 이루므로 구분된다.  * 붉게 보이는 수술이 도드라져서 특이하고 연한 붉은색 꽃이 예쁘군요.       꼬리조팝나무 Spiraea salicifolia L.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장미목 > 장미과 >조팝나무속(Spiraea) 진주화·수선국이라고도 한다. 골짜기 습지에서 자라는 떨기나무이다. 높이 1∼2m이다. 가지에 능선이 있으며 털이 나거나 나지 않는 것도 있다.잎은 어긋나고 바소꼴이며 양 끝이 뾰족하고 날카로운 톱니가 있다. 잎 길이는 4∼8cm, 나비 1.5∼2cm로서 뒷면에 잔털이 난다.꽃은 .. 2024. 7. 6.
계란가지 Eggplant 산과바다 계란가지 Eggplant  2024. 7. 6. 담음 * 열매가 계란 모양이라 이름이 Eggplant가 되었군요.  * 세종수목원에서 가꾸어 자람을 담았는데 계란 모양의 흰가지가 예쁘게 달려 있군요.        가지 Solanum melongena L.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통화식물목 >가지과 >가지속(Solanum)  온대에서는 한해살이풀이나 열대에서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인도 원산이며, 열대에서 온대에 걸쳐 재배한다.높이는 60∼100cm로, 식물 전체에 별 모양의 회색털이 나고 가시가 나기도 한다. 줄기는 검은빛이 도는 짙은 보라색이다. 잎은 어긋나고 달걀 모양이며 길이 15∼35cm로 잎자루가 있고 끝이 뾰족하거나 둔하고 가장자리가 거의 밋밋하지만 다소 물결모양으로 되며 좌.. 2024. 7. 6.
무궁화 無窮花 Althea (a rose of Sharon) 산과바다 무궁화 無窮花 Althea (a rose of Sharon) 2024. 7. 5. 담음 * 무궁화꽃은 새벽에 꽃이 피기 시작하였다가 오후에는 오므라들기 시작하고 해 질 무렵에는 꽃이 떨어지기를 반복한다. * 무궁화를 나라꽃으로 선정한 것은 1896년 독립문 주춧돌을 놓는 의식 때 애국가 후렴에 ‘무궁화 삼천리 화려강산’이라는 구절을 넣으면서 민족을 상징하는 꽃이 되었다고 한다.       무궁화 Hibiscus syriacus L.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아욱목 >아욱과 >무궁화속(Hibiscus) 무궁화는 낙엽 관목으로서 여러 품종이 있고 높이가 3~4m에 달하며, 어린 가지에 털이 많으나 점차 없어진다. 무궁화는 정원에서 재배가 쉽고 씨로 번식이 가능하지만 꺾꽂이로 번식되므로 형.. 2024. 7. 5.
애기부들 Smallreed mace 산과바다 애기부들 Smallreed mace 2024. 7. 4. 담음 * 부들은 수꽃과 암꽃이 이어져 있는데  * 애기부들은 위에 수꽃과 밑에 암꽃이삭이 층을 이루어 떨어져 달림으로 구분되는군요.       애기부들 Typha angustifolia L.      속씨식물문 >외떡잎식물강 >부들목 >부들과 >부들속(Typha)  연못가나 강가의 얕은 물 속에서 자란다. 뿌리줄기는 옆으로 벋는다. 줄기는 곧게 서고 높이가 1.5∼2m이다. 잎은 길이 80∼130cm의 줄 모양이고 털이 없으며 두텁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밑 부분이 잎집이 되어 줄기를 감싼다. 꽃은 6∼7월에 피고 줄기 윗부분에 원기둥 모양의 육수꽃차례를 이루며 달린다. 한 줄기에 2개의 꽃차례가 층을 이루며 달리는데, 수꽃은 위쪽의 꽃차례.. 2024. 7. 4.
부들 Oriental Cattail 산과바다 부들 Oriental Cattail 2024. 7. 4. 담음 큰잎부들(잎 폭 1~1.6cm)과 부들(잎 폭 1cm 미만)을 구분해 봐야겠군요. * 애기부들은 위 수꽃과 아래 암꽃이 떨어져 있는데  * 부들은 위 수꽃과 아래 암꽃이 이어져 있군요. (줄기 끝부분에 수꽃-암꽃 위치) * 꽃가루받이가 일어날 때 부들부들 떨기 때문에 부들이라는 이름이 붙었다고 하는군요.       부들 Typha orientalis C. Presl      속씨식물 >외떡잎식물강 >벼목 >부들과 >부들속(Typha)  개울가나 연못의 습지에서 자란다. 뿌리줄기가 옆으로 뻗으며 줄기는 직립하며 키가 2m에 이른다. 잎은 선형으로 어긋나고 줄기를 완전히 감싸며, 길이는 1.3m에 이르나 너비는 1㎝ 미만이다.꽃은 7월에.. 2024. 7. 4.
백일홍 Zinnia 산과바다 백일홍 Zinnia 2024. 7. 1. 담음 * 유년 시절 심어 가꾸던 백일홍과 다르게 꽃 색깔이 다양한 품종들이 있군요.*  일반적으로 배롱나무도 백일홍이라 하여 혼용되고 있으나 이는 전혀 다른 식물이다.       백일홍 Zinnia violacea Cav.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국화목 >국화과 >백일홍속(Zinnia) 백일홍이라는 이름은 화기가 길어 백일 동안 붉게 핀다는 뜻이다.한해살이풀이다. 줄기는 곧추서며, 높이 30~90cm이다. 잎은 마주나며, 긴 난형으로 길이 4~6cm, 폭 3~5cm, 밑부분은 줄기를 감싼다. 잎 가장자리는 밋밋하며, 양면에 거친 털이 난다. 잎자루는 없다. 꽃은 6~10월에 피고 줄기와 가지 끝에서 머리모양꽃차례가 1개씩 달리며, 자주색, 노.. 2024. 7. 2.
블루베리 Blueberry 산과바다 블루베리 Blueberry 2024. 7. 1. 담음 * 전에 5월 초에 꽃을 담았었는데 이제는 블루베리 열매가 익어가는군요.       블루베리 Vaccinium corymbosum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진달래목 >진달래과 >산앵도나무속(Vaccinium) 북아메리카 원산으로 20여 종이 알려져 있고 한국에도 정금나무·산앵두나무 등이 있으며 모두 열매를 먹을 수 있다. 로부시(lowbush) 블루베리, 하이부시(highbush) 블루베리, 래비트아이(rabbiteye) 블루베리 등 세 품종이 주종을 이루고 있다. 블루베리에는 푸른색으로 상징되는 안토시안 색소, 새콤달콤한 당분, 점성이 있는 펙틴, 은은한 향기 등이 있다. 또한 블루베리는 100g당 식이섬유가 4.5g이 들어 있으.. 2024. 7. 2.
토마토 Tomato 산과바다 토마토 Tomato 2024. 7. 1. 담음 * 가지속(Solanum) 식물의 꽃들은 꽃잎이 뒤로 젖혀진 모양이 비슷하군요. * 토마토가 과일이냐? 채소냐? 하는 시비가 한때 미국에서 정부와 업자 사이에 논란이 있었다.    이에 대법원에서 토마토를 채소로서 판결을 내렸다. 어찌 됐든 토마토는 과일과 채소의 두 가지 특성을 갖추고 있으며 비타민과 무기질 공급원으로 아주 우수한 식품이다.       토마토 Lycopersicon esculentum MILL.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통화식물목 >가지과 >가지속(Solanum) 일년감이라고도 한다. 남아메리카 서부 고원지대 원산이다. 높이 약 1~2m이다. 가지를 많이 내고 줄기에 황록색 털이 많이 난다. 건들면 점액을 분비하며 토마토.. 2024. 7. 2.
애기우산나물 Shredded umbrella plant 산과바다 애기우산나물 Shredded umbrella plant 2024. 7. 1. 담음 * 우산나물은 갈래잎이 넓고 얕게 갈라져 있는 데 비해서   이 種은 잎이 깊게 갈라지고, 갈래잎이 좁고,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뾰족한 톱니가 있어 애기우산나물로 동정하여 올린다.       애기우산나물 Syneilesis aconitifolia (Bunge) Maxim.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국화목 >국화과 >우산나물속(Syneilesis) 약간 깊은 산속의 반 그늘지고 부엽이 두껍게 쌓인 비옥하고 보습성이 좋은 토양에 생육한다. 줄기는 높이가 70~120cm이고 원줄기는 자줏빛이 돌며 가지가 없고 2개의 잎이 달린다. 뿌리는 짧은 근경이 옆으로 벋는다.잎은 첫째 잎은 둥글고 지름 20~30cm로서 .. 2024. 7. 2.
실새삼 Australian dodder 산과바다 실새삼 Australian dodder 2024. 7. 1. 담음 * 개미취의 잎에 기생함을 담았는데 덩굴이 아주 가늘고 꽃의 총상꽃차례가 덩어리처럼 뭉쳐 달림이 새삼과 달라 구분이 되어 실새삼으로 올리는군요.  * 새삼속(Cuscuta) 식물의 기주는 주로 콩과식물이며 국화과 식물 그리고 버드나무, 찔레나무, 사철나무, 그 밖의 다양한 풀, 나무, 고사리 등으로 기주도 다양하군요.       실새삼 Cuscuta australis R.Br.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통화식물목 >메꽃과 >새삼속(Cuscuta) 한해살이 기생식물로 새삼에 비해 줄기가 아주 가늘고, 각처의 들, 밭둑, 콩밭에 나며 주로 콩과(大豆)에 기생한다. 기주는 주로 콩과 식물이며 국화과 식물 그리고 버드나무, 찔.. 2024. 7. 2.
때죽나무 Snowbell 산과바다 때죽나무 Snowbell 2023. 7. 22. 담음 * 지난 5월 초에 흰색의 꽃이 아래로 늘어져 달리고 노란 꽃밥을 보임이 예쁘고 은은한 꽃 향이 발길을 잡더니 어느덧 열매가 주렁주렁 달려있군요. * 때죽나무와 쪽동백나무의 꽃이 비슷한데  * 쪽동백나무는 20~30여 꽃송이의 꽃차례가 매우 짧아 가지런히 줄을 지어 무더기로 피는데  * 때죽나무는 1~5개의 꽃송이가 흩어져 있어 구분되는군요.           때죽나무 Styrax japonica Siebold & Zucc.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감나무목 >때죽나무과> 때죽나무속(Styrax) 산과 들의 낮은 지대에서 자란다. 낙엽소교목으로 높이는 10m 내외이다. 가지에 성모(星毛)가 있으나 없어지고 표피가 벗겨지면서 .. 2023. 7. 23.
때죽나무 충영(때죽납작진딧물 충영) 산과바다 때죽나무 충영(때죽납작진딧물 충영)(황록색 충영, 벌레혹) 2023. 7. 22. 담음 * 때죽나무의 어린 가지 끝에 황녹색인 방추형의 벌레혹을 형성한다. * 벌레혹 끝에 구멍이 있는 것은 유시태생 암컷이 탈출하였나 보군요. * 때죽납작진딧물은 때죽나무, 쪽동백나무를 겨울기주로 월동하며 포아풀을 여름기주로 서식하는 기주 이동성 진딧물이다. 진딧물이 잎을 흡즙하면서 형성되는 사방이 막힌 둥근 혹 안에 들어가서 군집을 형성하는 것이 특징이다. 몸통은 전체적으로 연한 주황색이며 더듬이와 다리는 황갈색이다. 흰 밀랍 가루를 덮어쓰고 있다            때죽납작진딧물 Ceratovacuna nekoashi (Sasaki, 1910)          절지동물문 >곤충강 >노린재목 >진딧물과 >때죽납작.. 2023. 7. 23.
봉선화(봉숭아) Garden Balsam 鳳仙花 산과바다 봉선화(봉숭아) Garden Balsam 鳳仙花 2023. 7. 22. 담음 * 봉숭아꽃을 괭이밥잎과 함께 짓이겨 손톱에 동여매어 하룻밤 자고 나면 곱게 물들던 유년 시절이 그립군요. * 품종에 따라 꽃 색깔이 다양하고 꽃의 생김새가 마치 봉(鳳)을 닮아 봉선화라 부른다는군요.       봉선화(봉숭아 鳳仙花) Impatiens balsamina L.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무환자나무목 >봉선화과 >물봉선속(Impatiens)  봉숭아라고도 하며 봉선화과(鳳仙花科 Balsaminaceae)에 속하는 1년생 초. 키는 60㎝ 정도이다. 잎은 피침형으로 어긋나고 잎가장자리에 잔 톱니들이 있다.꽃은 7~8월에 잎겨드랑이에 1~3송이씩 모여 피며, 꽃 색은 품종에 따라 여러 가지이다. 꽃잎.. 2023. 7. 23.
나무수국 Panicle Hydrangea 산과바다  나무수국 Panicle Hydrangea  2023. 7. 22. 담음  * 꽃이 피어 양성화와 열매가 없다면 나무수국과 큰나무수국의 구분이 어렵군요.    * 연록색 봉오리가 연녹색 꽃을 피워 점점 흰색으로 되고 모두 흰색이 되면 양성화가 피기 시작하는군요.  * 나무수국은 중성화와 양성화가 같이 피는데 큰나무수국은 꽃이 중성화만 피므로 구분이 되는군요.  * 수국이나 산수국은 꽃이 산방꽃차례를 이루지만 나무수국은 원추꽃차례이군요.            나무수국 Hydrangea paniculata Siebold.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장미목 >범의귀과 >수국속(Hydrangea) 관상용으로 정원에 심는다. 낙엽 관목으로 높이는 2∼3m이다. 잎은 마주나고 때로는 3개가 .. 2023. 7. 23.
꽈리 Alkekengi 산과바다 꽈리 Alkekengi 2023. 7. 22. 담음 * 화관이 5갈래가 아니고 4갈래로 얕게 갈라지고 가장자리에 털이 있고 수평으로 퍼져서 5각형 모양으로 특이하군요.           꽈리 Physalis alkekengi L.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통꽃식물목 >가지과 >꽈리속(Physalis) 마을 부근의 길가나 빈터에서 자라며 심기도 한다. 땅속줄기가 길게 뻗어 번식하며, 줄기는 곧게 서고 가지가 갈라지며 털이 없고 높이가 40∼90cm이다. 잎은 어긋나지만 한 마디에서 2개씩 나고 잎자루가 있으며, 잎몸은 넓은 달걀 모양으로 끝이 뾰족하고 밑쪽은 둥글거나 넓은 쐐기 모양이며 가장자리에 깊게 패인 톱니가 있다. 잎 길이는 5∼12cm, 폭은 3.5∼9cm이다. 꽃은 6.. 2023. 7. 23.
금불초 Inula 산과바다 금불초 Inula 2023. 7. 20. 담음 * 가운데는 총포의 통상화가 반구형으로 되어있고 바깥쪽은 설상화가 여러장의 꽃잎으로 모두 황색이군요.   * 6월 하순부터 꽃이 피기 시작하여 9월 말경까지 피고 지고 하여 오랫동안 꽃을 볼 수 있군요. * 금불초(金佛草)는 샛노란 꽃잎이 무리지어 피어 있는 모습이 부처님의 환하고 온화한  모습을 닮았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는군요.       금불초(金佛草) Inula britannica L. var. japonica (Thunb.) Franch. & Sav.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초롱꽃목 >국화과 >금불초속(Inula) 꽃국화과의 다년초. 습지에서 자란다. 뿌리줄기가 뻗으면서 번식하는데 높이 30∼60cm이고 전체에 털이 나며 줄기는.. 2023. 7. 20.
백합 Lily 산과바다 백합 Lily 2023. 7. 13. 담음 * 향기가 진하군요. * 백합속(나리속) 속명의 Lilium은 라틴어 ‘li(희다)’과 ‘lium(꽃)’의 합성어로 유럽에서 알려진 순백색의 Madona Lily에서 붙여짐.       백합 Lilium longiflorum L.      속씨식물문 >외떡잎식물강 >백합목 >백합과 >백합속(=나리속 Lilium) 높이 2m까지 자라는 구근(球根) 식물로 구근은 인경(鱗莖)으로 둥글다. 인경은 희거나 연노란색이고 직경 10cm 내외다. 주로 햇볕이 직접 쬐지 않는 숲이나 수목의 그늘 또는 북향의 서늘한 곳에서 자란다. 잎은 어긋나고 줄 모양이거나 바소꼴인데 때로 돌려난다. 잎의 길이는 10~18cm이며 피침형으로 표면은 광택이 나고 엽병(葉柄)은 없다. .. 2023. 7. 14.
무궁화 無窮花 Althea 산과바다 무궁화 無窮花 Althea 2023. 7. 13. 담음 * 무궁화꽃은 새벽에 꽃이 피기 시작하였다가 오후에는 오므라들기 시작하고 해 질 무렵에는 꽃이 떨어지기를 반복한다. * 무궁화를 나라꽃으로 선정한 것은 1896년 독립문 주춧돌을 놓는 의식 때 애국가 후렴에 ‘무궁화 삼천리 화려강산’이라는 구절을 넣으면서 민족을 상징하는 꽃이 되었다고 한다. 무궁화 Hibiscus syriacus L.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아욱목 >아욱과 >무궁화속(Hibiscus) 무궁화는 낙엽 관목으로서 여러 품종이 있고 높이가 3~4m에 달하며, 어린 가지에 털이 많으나 점차 없어진다. 무궁화는 정원에서 재배가 쉽고 씨로 번식이 가능하지만 꺾꽂이로 번식되므로 형질을 변형시키지 않고 유지하는 것이 쉽다. 잎은 어긋.. 2023. 7.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