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산에는 꽃이 피네
禪詩/寒山詩集(寒山, 拾得, 豊干) 詩

한산시(寒山詩) 190

by 산산바다 2024. 3. 25.

산과바다

寒山詩集 : 한산(寒山) 습득(拾得) 풍간(豊干)

 

 

          한산시(寒山詩) 190

        《詩 三百三首 其一九十

 

摧殘荒草廬(최잔황초려) : 부서지고 황폐한 초가집에서

其中烟火蔚(기중연화위) : 불이나 연기가 자욱하였네.

借問群小兒(차문군소아) : 안에 있는 아이들에게 물어보았네.

生來凡幾日(생래범기일) : 이 집에서 얼마나 살았느냐고

門外有三車(문외유삼거) : 문밖에 수레를 세 대나 대놓고

迎之不肯出(영지불긍출) : 아이들을 불러내도 나오려 하지 않네.

飽食腹膨脝(포식복팽형) : 잘 먹어서 배가 불러 다른 뜻 없으니

個是痴頑物(개시치완물) : 모두가 어리석고 고집 센 이들이네.

 

摧殘(최잔) : 꺾이고 부서지다. 꺾여서 욕을 보다.

() : 성하다. 구름이 일다. 이때의 독음은

借問(차문) : 묻다.

痴頑(치완) : 어리석고 고집이 셈(=완치頑痴)

 

 

 

 

산과바다 이계도

'禪詩 > 寒山詩集(寒山, 拾得, 豊干) 詩'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산시(寒山詩) 192  (0) 2024.03.25
한산시(寒山詩) 191  (0) 2024.03.25
한산시(寒山詩) 189  (0) 2024.03.25
한산시(寒山詩) 188  (0) 2024.03.25
한산시(寒山詩) 187  (0) 2024.03.25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