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과바다
괄허취여(括虛取如) 오도송(悟道頌) (1720 ~ 1789)
유심(幽心:그윽한 마음)
山中人方在空谷(산중인방재공곡) : 산 속 사람이 빈 골짜기에 사노라니
坐蒲團方女蘿衣(좌포단방여라의) : 부들방석에 앉아도 비단옷일세.
翠丈環而爲屛(취장환이위병) : 푸른색 높은 산 둘러 병풍이요.
白雲飛而爲유(백운비이위유) : 흰구름 날아 휘장이 되네.
朝건葉方落松(조건엽방락송) : 아침에 채취한 잎은 낙락송인데
暮採秀方燁燁芝(모채수방엽엽지) : 저녁에 뜯은 잎은 향초로다.
石泉兮冷冷(석천혜랭냉) : 바위틈에서 솟은 물은 차고도 찬데
我齒方自潔(아치방자결) : 내 이를 닦으니 스스로 맑아졌다.
杳然方與世相違(묘연방여세상위) : 아득한 자연 속세는 더욱 멀고
風埈方不到丈室(풍준방불도장실) : 저세상 회오리바람도 내 방에는 못 드네.
산과바다 이계도
'禪詩 > 悟道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파긍선(白坡亙璇) 오도송(悟道頌) (0) | 2022.11.26 |
---|---|
영파성규(影波聖奎) 오도송(悟道頌) (0) | 2022.11.26 |
묵암최눌(默菴最訥) 오도송(悟道頌) (0) | 2022.11.26 |
월성선사(月城禪師) 오도송(悟道頌) (0) | 2022.11.26 |
만화원오(萬化圓悟) 오도송(悟道頌) (0) | 2022.11.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