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과바다
六言詩(육언시) : 맹호연(孟浩然)
여섯 자로 이룬 시
花嬋娟沃春泉(화선연옥춘천) : 꽃이 선연하니 봄 샘물이 풍성하고
竹嬋娟籠曉烟(죽선연농효연) : 새벽안개와 연기에 싸인 대나무 곱구나.
雲嬋娟不長妍(운선연부장연) : 구름이 선연하나 오래 곱지 못하고
月嬋娟眞可憐(월선연진가련) : 달도 선연하나 참으로 가련하네.
어구(語句)
* 六言詩 : 한 구가 6자로 구성된 시. 漢(한)의 谷永(곡영)이 처음 지었다 하며 唐(당) 나라에서도 6言絶句(6언절구)라 하여 지었고, 평측은 7언의 다섯째 글자를 생략한 형식이라 함.
* 嬋娟 : 곱고 아름다움. 품위 있고 아름다운 모양.
* 春泉 : 봄철의 샘물.
* 籠曉烟(농효연) : 새벽 연기, 안개에 둘러싸임.
* 長妍(장연) : 오래 고움. 오래 사랑스러움.
* 可憐(가련) : ① 불쌍함. ② 귀여움. ③ 맵시가 고움.
꽃과 대나무와 구름과 달 등 자연 현상을 두고 그 특색을 6언시로 읊었다. 풀이하기에 일관성이 없게 되었으니 첫 구는 ‘봄 샘물이 풍성하니 꽃이 곱다.’고해도 좋겠는데, 둘째 구를 ‘대나무 고우니 새벽안개 둘러싸네.’라 하면 어색하지 않을까. 셋째 구에서 구름은 그냥 있지 않고 갖가지로 모양이 바뀌며 흘러가니 오래 두고 볼 것이 못 되며, 넷째 구의 달은 가련한데 ‘가련’의 풀이는 어느 뜻이라도 다 어울리겠다.
압운(押韻), 평측(平仄)
6언절구. 압운은 각 구마다 두어 泉, 烟, 妍, 憐자로 평성 ‘先(선)’ 평운이다. 평측은 차례로 ‘平平平仄平平,仄平平平仄平,平平平仄平平,仄平平平仄平’으로 평측이 고르지 못하다. 6언은 다섯째 글자를 줄인 형태라 하니, 二四不同二六對(이사부동이륙대)가 二四不同二五對(이사부동이오대)여야 할 것인데 이 작품은 그마저 맞지 않아 따져볼 필요가 없다.
[네이버 지식백과]육언시[六言詩]
산과바다 이계도
'*** 詩 *** > 孟浩然 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숙종남취미사(宿終南翠微寺) : 맹호연(孟浩然) (0) | 2022.06.29 |
---|---|
무릉범주(武陵泛舟) : 맹호연(孟浩然) (0) | 2022.06.29 |
채초작(採樵作) : 맹호연(孟浩然) (0) | 2022.06.29 |
등망초산최고정(登望楚山最高頂) : 맹호연(孟浩然) (0) | 2022.06.29 |
전원작(田園作) : 맹호연(孟浩然) (0) | 2022.06.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