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과바다
제1편 梁惠王 下(양혜왕 하)
13. 間於齊楚(간어제초)
滕文公(등문공)이 : 등문공이
問曰滕(문왈등)은 : 물어 말하기를, 등나라는
小國也(소국야)라 : 작은 나라로서
間於齊楚(간어제초)하니 : 제나라와 초나라 사이에 끼어있으니
事齊乎(사제호)잇가 : 제나라를 섬겨야 하겠습니까.
事楚乎(사초호)잇가 : 초나라를 섬겨야 하겠습니까.
孟子對曰是謀(맹자대왈시모)는 : 맹자가 대답해 말하기를 이 계획에 대해서는
非吾所能及也(비오소능급야)로소이다 : 나도 능히 미칠 바가 못 됩니다.
無已則有一焉(무이칙유일언)하니 : 부득이하다면 한 가지 방법이 있으니
鑿斯池也(착사지야)하며 : 못을 파고
築斯城也(축사성야)하여 : 성을 쌓아서
與民守之(여민수지)하여 : 백성들과 함께 지켜서
效死而民弗去(효사이민불거)면 : 죽기를 다하여 백성들이 떠나지 아니하면
則是可爲也(칙시가위야)니이다 : 이것이야말로 해 볼 만합니다.
산과바다 이계도
'四書 > 孟子' 카테고리의 다른 글
孟子(맹자) 15. 效死勿去(효사물거) (0) | 2016.02.22 |
---|---|
孟子(맹자) 14. 齊人將築薛(제인장축설) (0) | 2016.02.22 |
孟子(맹자) 12. 鄒與魯鬨(추여노홍) (0) | 2016.02.22 |
孟子(맹자) 11. 諸侯救燕(제후구연) (0) | 2016.02.22 |
孟子(맹자) 10. 避水火也(피수화야) (0) | 2016.02.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