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과바다
제1편 梁惠王 下(양혜왕 하)
12. 鄒與魯鬨(추여노홍)
鄒與魯鬨(추여노홍)이러니 : 추나라가 노나라와 더불어 싸웠는데
穆公問曰吾有司死者三十三人(목공문왈오유사사자삼십삼인)이로되 : 목공이 맹자에게 물어 말하기를, 장교로서 죽은 사람이 33명이나
而民(이민)은 : 일반병들은
莫之死也(막지사야)하니 : 죽은 사람이 없으니
誅則不可勝誅(주칙불가승주)요 : 죽이려면 이루 다 죽일 수가 없고
不誅則疾視其長上之死而不救(불주칙질시기장상지사이불구)하니 : 죽이지 않으면 그 지휘관들을 밉게 보고서 죽어 가도 구원을 아니 하였으니
如之何則可也(여지하칙가야)잇고 : 어떻게 하면 좋겠습니까?
孟子對曰凶年饑歲(맹자대왈흉년기세)에 : 맹자가 대답해 말하기를, 흉년이 들어 먹을 것이 부족한 해에
君之民(군지민)이 : 임금의 백성들 가운데
老弱(노약)은 : 노인과 약한 사람은
轉乎溝壑(전호구학)하고 : 도랑과 시궁창에 뒹굴고
壯者(장자)는 : 어른들은
散而之四方者幾千人矣(산이지사방자기천인의)요 : 흩어져서 사방으로 떠나간 사람이 수천 명이었습니다.
而君之倉廩實(이군지창름실)하며 : 그런데 임금의 창고에는 곡식이 찼으며
府庫充(부고충)이어늘 : 부고에는 재물이 가득하지만
有司莫以告(유사막이고)하니 : 임금에게 고하는 관원이 없으니
是(시)는 : 이것은
上慢而殘下也(상만이잔하야)라 : 윗사람이 태만하여 아랫사람을 해치는 것입니다.
曾子曰戒之戒之(증자왈계지계지)하라 : 증자가 말하기를, 조심하고 조심하라
出乎爾者反乎爾者也(출호이자반호이자야)라하시니 : 너에게서 나간 것이 너에게로 돌아온다 하니
夫民(부민)이 : 대체 백성들이
今而後(금이후)에 : 이제부터야
得反之也(득반지야)로소니 : 보복함을 얻었으니
君無尤焉(군무우언)하소서 : 임금은 나무라지 마십시오
君行仁政(군행인정)하시면 : 임금께서 인정을 행하시면
斯民(사민)이 : 이제 백성들이
親其上(친기상)하여 : 그 윗사람과 친하게 되어
死其長矣(사기장의)리이다 : 윗사람을 위하여 죽을 것입니다.
산과바다 이계도
'四書 > 孟子' 카테고리의 다른 글
孟子(맹자) 14. 齊人將築薛(제인장축설) (0) | 2016.02.22 |
---|---|
孟子(맹자) 13. 間於齊楚(간어제초) (0) | 2016.02.22 |
孟子(맹자) 11. 諸侯救燕(제후구연) (0) | 2016.02.22 |
孟子(맹자) 10. 避水火也(피수화야) (0) | 2016.02.22 |
孟子(맹자) 9. 爲巨室(위거실) (0) | 2016.02.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