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색129 젖색손등버섯 Oligoporus tephroleucus 산과바다 젖색손등버섯 Oligoporus tephroleucus 2013. 8. 14. 담음 젖색손등버섯 Oligoporus tephroleucus (Fr.) Gilb. &Ryvarden 담자균문 >균심아강 >민주름버섯목 >구멍장이버섯과 >손등버섯속 젖색손등버섯 갓의 지름은 2~10cm 정도이고 두께는 0.5~2cm 정도이며 반원형이다. 표면은 백색 또는 담황색.. 2013. 8. 22. 귀버섯 Crepidotus mollis 산과바다 귀버섯 Crepidotus mollis 2013. 7. 29. 담음 대는 거의 없고 갓이 직접 기주에 부착되어 있음이 특이 하군요. 귀버섯 Crepidotus mollis (Schaeff.) Kummer. 균류 >담자균강 >주름버섯목 >귀버섯과 >귀버섯속 귀버섯의 자실체는 1~5cm 정도로 부채형이다. 여름부터 가을 사이에 활엽수림의 .. 2013. 8. 4. 말총낙엽버섯 Marasmius crinisequi 산과바다 말총낙엽버섯 Marasmius crinisequi 2013. 7. 29. 담음 균모가 아주 작고 자루가 매우 가늘어서 낙엽버섯이나 앵두낙엽버섯과 구분이 되는군요. 말총낙엽버섯 Marasmius crinisequi Muell:Karlchbr. 진정담자균강 >주름버섯목 >송이버섯과 >낙엽버섯속 균모의 지름 0.6~0.7cm이고 백색에서 황갈.. 2013. 7. 31. 말불버섯 Lycoperdon perlatum 산과바다 말불버섯 Lycoperdon perlatum 2013. 7. 29. 담음 말불버섯 Lycoperdon perlatum Pers. 균류 > 진정담자균강 > 말불버섯목 > 말불버섯과 > 말불버섯속 버섯의 지름은 2~6cm, 높이는 3~6cm이고 머리 부분은 구형이며 그 속에 포자가 생긴다. 표면은 백색이나 나중에 회갈색으로 되며 뾰족한 알.. 2013. 7. 30. 송편버섯 Trametes suaveolens 산과바다 송편버섯 Trametes suaveolens 2013. 7. 10. 담음 송편버섯 Trametes suaveolens (L. ex Fr.) Fr. 동담자균아강 >민주름목 >구멍장이버섯과 >송편버섯속 발생-봄부터 가을에 활엽수의 고목에 군생하는 1년생의 목재백색부후균이다. 특징 -갓은 4~6x5~12cm로 갓표면은 백색이고, 관공은 백색의 원.. 2013. 7. 11. 하얀선녀버섯 Marasmiellus ramealis 산과바다 하얀선녀버섯 Marasmiellus ramealis 2013. 7. 10. 담음 하얀선녀버섯 Marasmiellus candidus (Bolt.)Sing. 동담자균아강 >주름버섯목 >송이과 >마른가지버섯속 마른가지선녀버섯 또는 하얀마른가지버섯 이라고도 한다. 여름과 가을에 걸쳐서 활엽수의 죽은 가지 위에 산생 또는 군생하며 북.. 2013. 7. 11. 애기참반디 Sanicula tuberculata 산과바다 애기참반디 Sanicula tuberculata 2013. 5. 15. 담음 애기참반디 Sanicula tuberculata Maxim 현화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산형화목 >산형과 >참반디속(Sanicula) 참반디속의 여러해살이풀로 높이 8~20cm이며 근생엽은 손바닥 모양으로 원신형이며 폭 3~7cm로서 3개로 갈라지고 양쪽 열편이 다.. 2013. 5. 17. 태백제비꽃 Viola albida 산과바다 태백제비꽃 Viola albida 2013. 4. 27. 담음 태백제비꽃과 유사한 흰색 꽃으로 잎이 갈라진 것은 단풍제비꽃이고 잎이 더 세분화해서 갈라진 것은 남산제비꽃이다. 태백제비꽃 Viola albida Palib.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제비꽃목 >제비꽃과 >제비꽃속(Viola) 태백제비꽃은 우리나라 중부 이남의 산지에서 나는 다년생 초본이다. 생육환경은 양지 혹은 반음지의 물 빠짐이 좋은 곳에 자란다. 키는 약 25㎝ 정도이고, 잎은 길이 4.5~12㎝, 폭 2.5~10.5㎝로 가장자리에 안쪽으로 꼬부라진 톱니가 있고 뿌리에서 나온다. 꽃은 4~5월에 피며 백색이고 향기가 있다. 잎 사이에서 긴 꽃줄기가 나와 그 끝에 꽃이 1개씩 달리고 중앙에서 포가 2개씩 마주난다. 열매는 6~7.. 2013. 4. 28. 매화나무 Prunus mume 산과바다 매화나무 매(梅) Prunus mume 2013. 4. 2. 담음 매화나무 Prunus mume 현화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장미목 >장미과 >벗나무속 매실은 4군자의 하나로 문인, 화가들의 소재로 많이 쓰여 온 나무로 꽃을 매화라 하고, 열매를 매실이라고 한다. 매실나무는 이른 봄에 백색 또는 연분홍.. 2013. 4. 3. 고깔쥐눈물버섯 Coprinus disseminatus 산과바다 고깔쥐눈물버섯 Coprinus disseminatus 2012. 9. 10. 담음 고깔먹물버섯의 이름이 고깔쥐눈물버섯으로 과-속-종명이 바뀌어서 정정하여 올리는군요. 고깔먹물버섯과 고깔갈색먹물버섯이 중복되어 고깔쥐눈물버섯으로 종명이 바뀌었군요. 고깔쥐눈물버섯 Coprinus disseminatus (Pers.) Gray 담자.. 2012. 9. 13. 큰갓버섯 산과바다 큰갓버섯 2012. 9. 10. 담음 큰갓버섯 담자균문 > 균심아강 > 주름버섯목 > 주름버섯과 > 큰갓버섯속 큰갓버섯은 식용버섯나 날로 먹으면 소화기계통의 중독을 일으키는 버섯이다. 대의 상단부에 반지모양의 턱받이가 있으며 위아래로 움직일 수 있다. 갓은 지름이 5~30cm 정.. 2012. 9. 12. 예덕나무 Mallotus japonicus 산과바다 예덕나무 암꽃 예덕나무 Mallotus japonicus 2012. 8. 23. 담음 예덕나무 Mallotus japonicus (Thunb.) Muell. Arg. 속씨식물 > 쌍떡잎식물강 > 쥐손이풀목 > 대극과 대극과(大戟科 Euphorbiaceae)에 속하는 낙엽소교목. 키는 10m에 달하며 어린가지에는 별 모양의 털이 덮여 있고 붉은색을 띤다. 잎.. 2012. 8. 26. 참바위취 Saxifraga oblongifolia Nakai 산과바다 참바위취 Saxifraga oblongifolia Nakai 2012. 8. 5. 덕유평전에서 담음 참바위취 Saxifraga oblongifolia Nakai 피자식물문 >쌍떡잎식물강 >범의귀과 참바위취는 우리나라 각처의 깊은 산에서 자라는 다년생 초본이다. 생육환경은 습기가 많은 곳의 바위틈이나 계곡에서 자란다. 키는 약 30㎝ .. 2012. 8. 6. 예덕나무(Mallotus japonicus) 산과바다 예덕나무 수꽃 예덕나무(Mallotus japonicus) 2012. 6. 6. 서귀포해안에서 담음 예덕나무 Mallotus japonicus (Thunb.) Muell. Arg. 속씨식물 > 쌍떡잎식물강 > 쥐손이풀목 > 대극과 대극과(大戟科 Euphorbiaceae)에 속하는 낙엽소교목. 키는 10m에 달하며 어린가지에는 별 모양의 털이 덮여 있고 붉.. 2012. 6. 11. 가는장구채 Seoul catchfly 산과바다 가는장구채 Seoul catchfly2011. 08. 10. 담음 가는장구채 Melandrium seoulensis Nakai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중심자목 >석죽과 >(끈끈이)장구채속(Silene) 석죽과의 한해살이풀. 그늘진 곳에서 자란다. 전체에 가는 털이 나 있고 밑부분이 옆으로 기는데, 땅에 닿은 마디에서 뿌리가 나온다. 위쪽 줄기는 곧게 서서 많은 가지를 내며 높이는 60cm 정도이다. 잎은 어긋나고 잎자루가 있으며 달걀모양으로 윗부분이 뾰족하다. 꽃은 7∼8월에 원뿔형 취산꽃차례로 줄기와 가지의 끝에 피는데 대체로 흰색이고 가끔 황백색으로 피기도 한다. 꽃자루는 가늘고 길다. 꽃잎과 꽃받침은 각각 5개이고 수술은 10개이며 암.. 2011. 9. 5. 기름나물 Terebinthaceous hogfennel 산과바다 기름나물 Terebinthaceous hogfennel 2011. 8. 28. 담음 기름나물 Peucedanum terebinthaceum (Fisch.) Fisch. ex DC.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산형화목 >산형과 >기름나물속(Peucedanum) 산형과의 세해살이풀. 산기름나물, 참기름나물이라고도 한다. 양지바른 산기슭에서 자란다. 줄기는 곧추서고 가지가 많으며 높이는 30~90cm이다.잎은 어긋나고 긴 잎자루가 있으며, 끝이 뾰족하고 넓은 달걀모양으로 2회 3출엽(二回三出葉)이다. 작은잎은 넓은 달걀모양 또는 삼각형이고, 밑쪽으로 흘러서 날개처럼 되며 다시 깃꼴로 깊게 갈라지고 결각과 뾰족한 톱니가 있다. 잎집은 좁고 거꾸로 선 바소모양이다.꽃은 .. 2011. 8. 29. 참취 Rough aster 산과바다 참취 Rough aster2011. 8. 10. 담음일명 `취나물`이라고도 하며 산나물의 대명사처럼 여겨질 만큼 가장 많이 이용되는 산채다. 참취 Aster scaber Thunb.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초롱꽃목 >국화과 >참취속(Aster) 일명 `취나물`이라고도 하며 산나물의 대명사처럼 여겨질 만큼 가장 많이 이용되는 산채다. 줄기는 높이 1~1.5m이고 근경 끝에서 가지가 산방상으로 갈라지며 전체가 거칠거칠하다. 뿌리는 근경이 굵고 짧다.잎은 근생엽은 꽃이 필 때쯤 되면 없어지고 엽병이 길며 심장형이고 줄기잎은 어긋나기 하며 밑 부분의 것은 날개가 있는 긴 엽병이 있고 심장형이며 길이 9~24cm, 나비 6~18cm로서 거칠고 양면에 털이 있으며 가장자리.. 2011. 8. 11. 이질풀 Geranium thunbergii Siebold &Zucc. 산과바다 이질풀 Geranium thunbergii Siebold &Zucc. 11. 8. 10. 조령산에서 담음 이질풀 Geranium thunbergii Siebold &Zucc. 속씨식물문 > 쌍떡잎식물강 > 쥐손이풀과 이질풀은 우리나라 각처의 산과 들에서 자라는 다년생 초본이다. 생육환경은 반그늘 또는 양지에서 자란다. 키는 약 50㎝ 정도이고, 잎은.. 2011. 8. 11. 이전 1 ··· 4 5 6 7 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