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산에는 꽃이 피네

*** 詩 ***/詩佛 王維 詩167

수유반(茱萸沜) -왕유(王維)- 산과바다 왕유시(王維詩) HOME 수유반(茱萸沜) -왕유(王維)- 수유나무 물가에서 結實紅且綠(결실홍차녹) : 맺힌 열매 붉기도 하고 푸르기도 하여 復如花更開(복여화경개) : 더더욱 아름다운 꽃이 다시 핀 듯 하여라. 山中倘留客(산중당류객) : 산 속에 만약 손님이 머물게 된다면 置此茱萸杯(치차수유배) : 이 수유나무 아래에 술상을 차리리라. 산과바다 이계도 2020. 9. 13.
궁괴백(宮槐陌) -왕유(王維)- 산과바다 왕유시(王維詩) HOME 궁괴백(宮槐陌) -왕유(王維)- 홰나무 길 仄徑蔭宮槐(측경음궁괴) : 비스듬한 길에 홰나무 그늘져 있는데 幽陰多綠苔(유음다녹태) : 그윽하고 어둑한 길에 푸른 이끼 많구나. 應門但迎掃(응문단영소) : 문지기야, 손님 맞을 길 쓸어두어라 畏有山僧來(외유산승내) : 행여나 산에 계신 스님 올 것 같구나. 산과바다 이계도 2020. 9. 13.
임호정(臨湖亭) -왕유(王維)- 산과바다 왕유시(王維詩) HOME 임호정(臨湖亭) -왕유(王維)- 호숫가 정자에서 輕舸迎上客(경가영상객) : 빠른 배로 귀한 손님 맞아 悠悠湖上來(유유호상내) : 한가로이 호수 위로 돌아온다. 當軒對樽酒(당헌대준주) : 창가에서 한 단지 술 마주하니 四面芙蓉開(사면부용개) : 사방 연못에 연꽃이 피어난다. 산과바다 이계도 2020. 9. 13.
대저광희부지(待儲光羲不至) -왕유(王維)- 산과바다 왕유시(王維詩) HOME 대저광희부지(待儲光羲不至) -왕유(王維)- 오지 않는 저광희를 기다리며 重門朝已啓(중문조이계) : 겹겹의 문이 아침에 이미 열려 起坐聽車聲(기좌청거성) : 일어나 앉아서 수레소리 듣는다. 要欲聞淸珮(요욕문청패) : 맑은 패옥소리 들리려하는데 方將出戶迎(방장출호영) : 막 문을 나아가 맞으려 하였다. 晩鐘鳴上苑(만종명상원) : 새벽 종소리 상원에서 들려오고 疎雨過春城(소우과춘성) : 성긴 비가 봄날 성을 지나간다. 了自不相顧(요자부상고) : 결국 그대 찾아와 보지 않는데 臨堂空復情(림당공복정) : 마루에 나가 공연히 정을 품는다. 산과바다 이계도 2020. 9. 13.
작주여배적(酌酒與裴迪) -왕유(王維)- 산과바다 왕유시(王維詩) HOME 작주여배적(酌酒與裴迪) -왕유(王維)- 친구에게 술을 따르며 酌酒與君君自寬 (작주여군군자관) 그대에게 술 한 잔 권하노니 마음 편히 지내시게 人情飜覆似波瀾 (인정번복사파란) 세상 인정 뒤집어지는 것 출렁이는 파도와 같아 白首相知猶按劍 (백수상지유안검) 오래도록 사귀어온 사이에도 경계심 여전하고 朱門先達笑彈冠 (주문선달소탄관) 먼저 높이 되면 자기를 따르던 자 비웃는다네. 草色全經細雨濕 (초색전경세우습) 풀빛은 가랑비라도 내려야 젖게 마련이고 花枝欲動春風寒 (화지욕동춘풍한) 꽃가지 움이 트려는데 봄바람은 아직 차갑네. 世事浮雲何足問 (세사부운하족문) 세상일 뜬구름만 같으니 물어 무엇하랴 不如高臥且加餐 (불여고와차가찬) 조용히 지내며 맛있는 것 맘껏 먹느니만 못하다네. 산과.. 2020. 9. 13.
초원(椒園) -왕유(王維)- 산과바다 왕유시(王維詩) HOME 초원(椒園) -왕유(王維)- 산초나무 동산에서 桂尊迎帝子(계존영제자) : 계화주 부어 천자의 딸 맞고 杜若贈佳人(두야증가인) : 향초인 두약을 미인에게 드립니다. 椒漿奠瑤席(초장전요석) : 향초 술을 옥제단에 올려서 欲下雲中君(욕하운중군) : 구름의 신을 하강하게 하렵니다. 산과바다 이계도 2020. 9. 13.
반첩여삼수 班婕妤三首 -왕유(王維)- 산과바다 왕유시(王維詩) HOME 반첩여삼수 班婕妤三首 -왕유(王維)- 궁궐의 원망 其一 玉窓螢影度(옥창형영도) : 옥창에 반딧불 지나가고 金殿人聲絶(금전인성절) : 황금 궁전에는 말소리 끊겼다. 秋夜守羅幃(추야수나위) : 가을밤에 비단 휘장 지키는데 孤燈耿明滅(고등경명멸) : 외로운 등불만 환하게 비추고 꺼지지 않는다. 其二 宫殿生秋草,궁전에는 가을 풀이 자라고, 君王恩幸疏。제왕의 총애는 멀어졌다. 那堪闻凤吹,어찌 봉취(생황과 퉁소. 소리)를 들을 수 있겠나? 门外度金舆。문밖으로 제왕이 앉은 수레가 지나간다. 其三 怪来妆阁闭, 어쩐지 장각(단장하는 누각)이 닫혀 있고, 朝下不相迎。조회가 끝나도 영접하지 않는다하였다. 总向春园里,모두가 봄 동산으로 나아가, 花间笑语声。꽃 속에서 웃고 떠드는 소리가 들린다.. 2020. 9. 13.
홍모란(紅牡丹) -왕유(王維)- 산과바다 왕유시(王維詩) HOME 홍모란(紅牡丹) -왕유(王維)- 붉은 모란꽃 綠艶閒且靜(녹염한차정) : 초록의 요염한 잎이 한가하고 고요한데 紅衣淺復深(홍의천복심) : 붉은 옷, 꽃송이가 옅다가 다시 짙어진다. 花心愁欲斷(화심수욕단) : 꽃의 마음 시름겨워 애간장 끊어지는데 春色豈知心(춘색개지심) : 저물어가는 봄빛이 어찌 그 마음 알아줄까. 산과바다 이계도 2020. 9. 13.
좌액이화(左掖梨花) -왕유(王維)- 산과바다 왕유시(王維詩) HOME 좌액이화(左掖梨花) -왕유(王維)- 문하성에 핀 배꽃 閒灑堦邊草(한쇄계변초) : 배꽃 섬돌가 풀에 한가롭게 떨어져 輕隨箔外風(경수박외풍) : 밖 바람에 가벼이 발쪽으로 다가간다. 黃鶯弄不足(황앵농부족) : 노란 꾀꼬리 희롱하다 부족하여 嗛入未央宮(겸입미앙궁) : 꽃잎을 입에 물고 미앙궁으로 들어간다. 산과바다 이계도 2020. 9. 13.
잡시3수(雜詩三首) -왕유(王維)- 산과바다 왕유시(王維詩) HOME 잡시3수(雜詩三首) -왕유(王維)- 其一 家住孟津河(가주맹진하) : 집은 맹진 땅의 황하 강변이고 門對孟津口(문대맹진구) : 문 앞에는 맹진 나룻터가 보인다오. 常有南江船(상유남강선) : 항상 강남 왕래하는 배 있는데 寄書家中否(기서가중부) : 집편지가 집으로 갔는지 모르겠다오. ※ 맹진(孟津): 중국 하남성 맹현 남쪽에 있는 나루. ​ 其二 君自故鄉來(군자고향래),그대는 고향에서 오셨으니 應知故鄉事(응지고향사)。응당 고향 일을 아시겠네. 來日綺窗前(내일기창전),오시던 날 창 앞의 寒梅着花未(한매착화미)。매화엔 꽃이 피었는지요. ​ 其三 已見寒梅發(이견한매발),이미 한매도 피어나고 復聞啼鳥聲(복문제조성)。다시 새 우는 소리도 들려오네. 心心視春草(심심시춘초),근심스러운 .. 2020. 9. 13.
희제망천별업(戲題輞川別業) -왕유(王維)- 산과바다 왕유시(王維詩) HOME 희제망천별업(戲題輞川別業) -왕유(王維)- 시를 지어 망천 별장에 재미로 적어두다 柳條拂地不須折(유조불지부수절) : 버들가지 땅을 스쳐도 꺾이지 않아 松樹梢雲從更長(송수피운종경장) : 소나무가 구름에 닿아 마음껏 더욱 자란다. 藤花欲暗藏猱子(등화욕암장노자) : 등나무꽃은 어둑해져 원숭이를 숨기고 柏葉初齊養麝香(백섭초제양사향) : 측백 나뭇잎 막 가지런히 돋아나 사향을 기른다. 산과바다 이계도 2020. 9. 13.
영운지송종제(靈雲池送從弟) -왕유(王維)- 산과바다 왕유시(王維詩) HOME 영운지송종제(靈雲池送從弟) -왕유(王維)- 영운지에서 사촌 아우를 송별하며 金杯緩酌淸歌轉(금배완작청가전) : 금잔에 느긋하게 술 부우나 맑은 노래 더욱 맑고 畫舸輕移艶舞廻(화가경이염무회) : 그림을 장식한 배가 가볍게 움직이니 요염한 춤 돌아간다. 自歎鶺鴒臨水別(자탄척령림수별) : 스스로 한탄하노니, 할미새 물에 임하여 이별해 떠나니 不同鴻雁向池來(부동홍안향지내) : 기러기 떼가 연못 향하여 함께 날아오는 것과 같지 않구나. 산과바다 이계도 2020. 9. 13.
구호우시배적(口號又示裴迪) -왕유(王維)- 산과바다 왕유시(王維詩) HOME 구호우시배적(口號又示裴迪) -왕유(王維)- 입으로 지어 부르고 배적에게 보이다 安得捨塵網(안득사진망) : 어찌 해야 티끌세상 그물 벗어나 拂衣辭世喧(불의사세훤) : 옷자락 떨치고 세상 소란함을 버릴까 悠然策藜杖(유연책려장) : 한가히 명아주 지팡이 짚고서 歸向桃花源(귀향도화원) : 이상향 도화원 향하여 돌아갈까. 산과바다 이계도 2020. 9. 13.
양주새신(涼州賽神) -왕유(王維)- 산과바다 왕유시(王維詩) HOME 양주새신(涼州賽神) -왕유(王維)- 양주에서 새신하다 涼州城外少行人(양주성외소항인) : 양주성 밖에 행인은 드물고 百尺峯頭望虜塵(백척봉두망노진) : 백 척 산봉우리에서 오랑캐 땅 먼지 바라본다. 健兒擊鼓吹羌笛(건아격고취강적) : 건장한 사나이가 북을 치고 피리를 불며 共賽城東越騎神(공새성동월기신) : 성 동쪽 월기신에게 제를 올린다. 산과바다 이계도 2020. 9. 13.
곡은요(哭殷遙) -왕유(王維)- 산과바다 왕유시(王維詩) HOME 곡은요(哭殷遙) -왕유(王維)- 은요를 곡하여 送君返葬石樓山(송군반장석누산) : 그대 보내려 돌아와 석루산에 장사지내니 松柏蒼蒼賓馭還(송백창창빈어환) : 송백은 짙푸른데 손님들 말 타고 돌아간다. 埋骨白雲長已矣(매골백운장이의) : 흰 구름에 뼈를 묻으니 영원히 그만인데 空餘流水向人間(공여류수향인간) : 쓸쓸히 남은 흐르는 물, 세상으로 흘러간다. 산과바다 이계도 2020. 9. 13.
탄백발(歎白髮) -왕유(王維)- 산과바다 왕유시(王維詩) HOME 탄백발(歎白髮) -왕유(王維)- 백발을 탄식하여 宿昔朱顔成暮齒(숙석주안성모치) : 옛날 홍안이 늙어 이가 다 빠지고 須臾白髮變垂髫(수유백발변수초) : 잠깐 사이에 총각머리가 백발로 변했구나. 一生幾許傷心事(일생기허상심사) : 일생에 상심한 일 얼마나 되었던가. 不向空門何處銷(부향공문하처소) : 불교에 귀의하지 않으면 어디서 해탈하나. 산과바다 이계도 2020. 9. 13.
실제(失題) -왕유(王維)- 산과바다 왕유시(王維詩) HOME 실제(失題) -왕유(王維)- 제목이 전하지 않는 시 淸風明月苦相思(청풍명월고상사) : 맑은 바람 불고 밝은 달빛 비치면 애타게 그립고 蕩子從戎十載餘(탕자종융십재여) : 떠돌이로 군에 입대한지 십여 년이로구나. 征人去日殷勤囑(정인거일은근촉) : 출정하는 사람 떠나는 날에 은근히 부탁했노라 歸雁來時數寄書(귀안내시수기서) : 기러기 날아 올 때에 편지 자주 부쳐달라고. 산과바다 이계도 2020. 9. 13.
산중기제제매(山中寄諸弟妹) -왕유(王維)- 산과바다 왕유시(王維詩) HOME 산중기제제매(山中寄諸弟妹) -왕유(王維)- 산중에서 여러 동생들에게 山中多法侶(산중다법려) : 산중에서는 법우가 많아 禪誦自爲羣(선송자위군) : 참선과 독송하며 무리가 된다. 城郭遙相望(성곽요상망) : 성곽을 아득히 바라보아도 唯應見白雲(유응견백운) : 오직 흰 구름만 보일 뿐이로다. 산과바다 이계도 2020. 9.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