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산에는 꽃이 피네

*** 詩 ***/漢詩24

한국한시 思舊山(곽인) 외 산과바다 思舊山 사구산 廓인(곽인) 舊山煙蘿中 구산연라중 고향 산 안개 속 담쟁이 우거진 곳에 三椽有茅屋 삼연유모옥 띠로 이은 초가삼간이 있다네 故人昨寄信 고인작기신 어제 온 옛 친구 서신에 當歸盈一국 당귀영일국 당귀를 한그릇 가득하게 담아 가라네 微官不放歸 미관불방귀 미관말직이라 휴가도 못 얻어 歸計徒自熟 귀계도자숙 가고픈 마음 생각뿐이라네 愁來鳴玉琴 수내명옥금 서글픈 마음에 거문고를 타니 霜楓生古木 상풍생고목 서리맞은 단풍나무 하나 둘 고목이 되어가네 松都懷古 송도회고 權격(권격) 雪月前朝色 설월전조색 눈 속의 저 달은 전 왕조의 빛이고 寒鐘故國聲 한종고국성 차가운 저 종소리는 옛 나라의 소리라네 南樓愁獨立 남루수독립 시름에 겨워 남쪽 누각에 홀로 서 있으니 殘郭暮烟生 잔곽모연생 남은 옛 성터에 저녁.. 2006. 12. 13.
한국한시 長源亭應製野수騎牛(郭輿곽여) 외 산과바다 長源亭應製野 騎牛 장원정응제야수기우 시골노인 소를 타고 가는 모습을 보고 郭 輿 곽 여 太平容貌恣騎牛 태평용모자기우 태평한 모습으로 편하게 소에 걸터앉아 半濕殘 過壟頭 반습잔비과롱두 비안개 축축한 들길을 가네. 知有水邊家近在 지유수변가근재 저 물가 가까운 곳에 집이 있는가. 從他落日傍溪流 종타락일방계류 그를 쫓아 흐르는 냇물 곁에 석양이 지네. 野 (야수)는 시골 늙은이 殘 (잔비)는 안개비 혹은 그쳐 가는 비 곽 여 (郭 輿 1058 - 1130) 본관 청주(淸州). 자 몽득(夢得). 시호 진정(眞靜). 문과에 급제하여 내시부(內侍府)에 재직하다가 합문지후(閤門祗侯)를 거쳐 홍주(洪州)를 다스리고 예부원외랑(禮部員外郞)을 역임하였다. 그후 금주(金州)의 초당(草堂)으로 돌아가 학문에 전념하였다.. 2006. 12. 13.
한국한시 四友亭詠松(강희안) 외 산과바다 四友亭詠松 사우정영송 소나무를 읊음 姜 希顔 강희안 階前偃盖一孤松 계전언개일고송 계단 앞을 덮어 드리운 한 그루 홀로선 소나무 枝幹多年老作龍 지간다년로작룡 가지와 줄기가 오래되어 용의 형상 되었네. 歲暮風高 病目 세모풍고개병목 세모에 바람 높이 불어 병든 눈을 비비고 보니 擬看千丈上靑空 의간천장상청공 마치 용이 천길 높이 하늘로 오르는 것 같네. 강 희안 姜 希顔 1419 - 1464 본관 진주(晋州), 자 경우(景遇), 호 인재(仁齋). 희맹(希孟)의 형이다. 1441년(세종 23) 식년문과에 정과로 급제, 돈령부주부로 벼슬을 시작하였다. 1443년 정인지 등과 세종이 지은 정운(正韻) 28자에 대한 해석을 자세하게 기록하였다. 1444년에는 의사청(議事廳)에 나아가 신숙주 ·최항 ·박팽년 등.. 2006. 12. 13.
오언절구 오언율시 칠언절구 칠언율시 산과바다 오언절구 오언율시 칠언절구 칠언율시 5언 절구 시 昨夜雨 花開昨夜雨 하고 花落今朝風 이라 可憐一春事 가 往來風雨中 이라 꽃이 어제밤 비에 피고 꽃이 오늘 아침 바람에 떨어졌구나. 가련하다. 한 봄날의 일들이 바람과 비 가운데 오고 가는구나. 問童子 松下問童子 하니 言師採藥去 라 只在此山中 이나 雲深不知處 라 소나무 아래에서 동자에게 물으니 말하기를 스승님은 약초를 캐러 갔습니다. 단지 이 산속에는 계시나 구름이 깊어 어느 곳에 계시는지를 알지 못하겠습니다. 山 鳥 四月綠陰多 한데 山鳥終日語 라 驚人不遠飛 하고 又向西山去 라 사월은 녹음이 짙은데 산새는 종일토록 지저귀는 구나. 사람에게 놀라도 멀리 날아가지 아니하고 또한 서산을 향하여 가는구나. 舟中夜吟.. 2006. 12. 8.
한국한시 산행(강백년) 외 산과바다 한국한시 감상(작자 가나다순) 山行 산행 산길을 걸으며 강 백년 姜 栢年 1603 - 1681 十里無人響 십리무인향 십리를 가도 사람의 소리 없고 山空春鳥啼 산공춘조제 텅 빈 산에서 봄새들만 울어대네. 逢僧問前路 봉승문전로 스님을 만나 앞길을 물었는데 僧去路還迷 승거로환미 스님이 떠나자 길을 돌아 헤매네 본관 진주. 자 숙구(叔久). 호 설봉(雪峰)·한계(閑溪)·청월헌(聽月軒). 시호 문정(文貞). 1627년(인조 5) 정시문과에 급제하였고, 1646년 부교리로 있을 때 강빈옥사(姜嬪獄事)가 일어나자 강빈의 억울함을 상소했다가 한때 삭직되었다. 이해 문과중시에 장원급제하여 동부승지(同副承旨)에 오르고 이듬해 상소하여 전국의 향교(鄕校)를 재흥하게 하였으며, 1648년 대사간으로서 다시 강빈의 신.. 2006. 9. 29.
唐詩 산과바다 ◆ 唐詩 (당시) ◆ ● 竹裏館 -- 王維 (죽리관 -- 왕유) 獨坐幽篁裏 (독좌유황리) 홀로 대숲 속에 앉아 彈琴復長嘯 (탄금복장소) 거문고를 타다가 휘파람도 불어본다 深林人不知 (심림인부지) 깊은 숲에 찾아오는 사람 없고 明月來相照 (명월래상조) 밝은 달만 서로 비추네. ● 鹿柴-- 王維 (녹시 -- 왕유) 空山不見人 (공산부견인) 산에 사람은 보이지 않고 但聞人語響 (단문인어향) 어디서 사람 소리만 들리네. 返照入深林 (반조입심림) 저녁놀 숲 속에 스미더니 復照靑苔上 (복조청태상) 다시 푸른 이끼 위에 비치네. ●春曉 -- 孟浩然 (춘효 --맹호연) 春眠不覺曉 (춘면부각효) 봄잠에 날이 샌 줄 몰랐더니 處處聞啼鳥 (처처문제조) 곳곳에서 새소리 들리네 夜來風雨聲 (야래풍우성) 어젯밤 비바람에.. 2006. 9.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