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에는 꽃이 피네3779 수염가래꽃 Chinese Lobelia 산과바다 수염가래꽃 Chinese Lobelia 2024. 8. 10. 담음 * 암술대가 2개로 갈라짐이 보이는군요. * 한글명 수염가래꽃은 ‘수염+가래+꽃’의 합성어다. 수염가래꽃 Lobelia chinensis Lour.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초롱꽃목 >초롱꽃과 >숫잔대속(Lobelia) 논두렁 또는 습지에 난다. 줄기는 높이 3~15cm이고 옆으로 뻗으며 군데군데에서 뿌리가 내리고 옆으로 선다.잎은 어긋나기 하여 2줄로 배열되며 엽병이 없고 피침형 또는 좁은 타원형이며 길이 1~2cm, 폭 2~4mm로서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꽃은 5~10월에 잎겨드랑이(葉腋)에서 연한 자줏빛 백색으로 피며, 5갈래로 깊게 갈라진 입술 모양으로 꽃자루(花柄) 끝에 하나씩 핀다. 꽃자루.. 2024. 8. 10. 채송화 Rose moss 산과바다 채송화 Rose moss 2024. 8. 9. 담음 * 꽃잎의 모양과 색깔이 다양하고(붉은색, 노란색, 흰색) 꽃잎 가운데 또 꽃이 피는 것 같군요. * 꽃이 낮에는 피었다가 오후에 시드는데 햇빛 받을 때만 피는 것도 특이하군요. 채송화 Portulaca grandiflora Hook.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석죽목 >쇠비름과 >쇠비름속(Portulaca) 채송화는 남아메리카 원산이며 관상용으로 심는다. 마당의 한켠이나 담벼락 아래 주로 심었으며 양지바른 곳에서 잘 자란다. 줄기는 붉은 빛을 띠고 가지가 많이 갈라져서 퍼지며 높이 20cm내외이다. 잎은 육질로 어긋나고 가늘고 긴 원기둥 모양이고 잎겨드랑이에 흰색털이 있다. 꽃은 가지 끝에 1~2송이씩 달리고 지름 2.5c.. 2024. 8. 9. 새팥 Wild red bean 산과바다 새팥 Wild red bean 2024. 8. 9. 담음 팥 종류는 황색 꽃이고 콩 종류는 자주색 꽃이 핀다.* 돌콩 새콩 새팥의 비교종속꽃 색돌콩콩속홍자색새콩새콩속연한 자주색새팥동부속연한 황색 새팥 Vigna angularis (Ohwi) var. nipponensis Ohwi & H. Ohashi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장미목 >콩과 >동부속(Vigna) 산녹두, 삼열엽채두라고도 한다. 전국의 낮은 지대 언덕 및 길가 초원지 풀밭에서 자라는 덩굴성의 한해살이풀로 높이 100~200cm 정도이다. 줄기는 가늘고 길며 다른 물체에 감겨 올라간다. 전체에 퍼진 털이 있다.잎은 어긋나기하고 엽병이 길며 3출엽이고 탁엽은 방패모양이며 밀모가 있다. 정소엽은 달걀 모양으로 길이 .. 2024. 8. 9. 방동사니 Asianflatsedge, Amurflatsedge 산과바다 방동사니 Asianflatsedge, Amurflatsedge 2024. 8. 8. 담음 * 방동사니속(Cyperus)의 종들은 비슷비슷하여 동정(同定)하기 어려운데 흔한 식물로 방동사니로 올려본다.? 방동사니 Cyperus amuricus Maxim. 속씨물문 >외떡잎식물강 >사초목 >사초과 >방동사니속(Cyperus) 전국 각지에 분포하고 논·밭둑이나 강가의 풀밭 양지에서 자란다. 줄기는 높이 10~60cm이고 곧추서며 여러 개 모여 난다. 뿌리는 수염뿌리로 모여난다(叢生).잎은 뿌리에서 나오고 화경에서는 어긋나기 하며 폭 2~6mm로서 선형이고 연하며 끝이 처진다. 잎은 향이 있으며, 끝이 좁아져 처지고, 기부의 잎집(葉鞘)은 줄기를 감싼다. 꽃은 8~10월에 이삭꽃차.. 2024. 8. 9. 매듭풀 Korean lespedza 산과바다 매듭풀 Korean lespedza 2024. 8. 8. 담음 * 최근까지 마디풀로 올렸었는데 꽃 모양과 잎 모양을 자세히 살펴 매듭풀로 동정하여 올린다. * 매듭풀은 마디풀과 이름도 비슷하고 사는 곳도 비슷해서 헷갈린다. 매듭풀 Kummerowia striata (Thunb. ex Murray) Schindl.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장미목 > 콩과 >매듭풀속(Kummerowia) 매돕풀이라고도 한다. 길가나 들 또는 하천가의 해가 잘 드는 곳에서 흔히 볼 수 있다. 높이 10∼30cm이다. 줄기는 곧게 서며, 가지는 가늘고 갈라져 옆으로 자라는데 아래쪽을 향해 잔털이 난다. 잎은 어긋나며, 3출엽으로 3개의 작은 잎이 모여 있다. 작은 잎은 긴 타원형으로 길이 10∼.. 2024. 8. 9. 금강아지풀 Yellow foxtail grass 산과바다 금강아지풀 Yellow foxtail grass 2024. 8. 8. 담음 다자란 이삭이 하늘을 향하고 있음이 특이하고 강아지풀과 다르군요. * 강아지풀과 서로 크게 다른 점으로는 꽃이삭의 모양과 까락(털)의 색깔이 다르군요. * 금강아지풀은 까락(털)의 색깔이 황금색이고 원기둥보양으로 다 자라도 이삭이 곧게 서 있는 반면 * 강아지풀은 이삭에 있는 까락(털)의 색깔이 연한 녹색이고 다 자라면 이삭이 밑으로 쳐지는 모양이 다르군요. 금강아지풀 Setaria glauca (L.) P. Beauv. 속씨식물문 >외떡잎식물강 >벼목 >벼과 >강아지풀속(Setaria) 경작지 주변이나 들판의 길가에 흔하게 자라는 한해살이풀이다. 줄기는 바로 서서 자라며, 기부에서 많은 가지가 생긴.. 2024. 8. 9. 강아지풀 green foxtail 산과바다강아지풀 green foxtail2024. 8. 8. 담음강아지풀의 본명은 ‘가라지’다. 훈몽자회(訓蒙字會)는 강아지풀을 ‘ᄀᆞ랏’으로 기재했다. ‘가라지’는 조와 강아지풀의 잡종으로 알려진 가라지조(수강아지풀)의 ‘가라지’이다. 강아지풀 Setaria viridis (L.) P.Beauv. 속씨식물문 >외떡잎식물강 >화본목 >벼과 >강아지풀속(Setaria) 길가나 빈터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1년생 초본이다. 밑에부터 가지가 갈라지는 줄기는 40~70cm 높이로 곧게 자라고 가장자리에 털이 있다. 잎은 길이 10~20cm 정도로 어긋나게 달리고 앞면을 만져보면 깔끄러운 느낌이 든다. 표면은 녹색 또는 자주색으로 가장자리에 털이 있다. 꽃은 7~8월 줄기 끝에 연한 녹색 또.. 2024. 8. 9. 돌콩 Glycine soja 산과바다 돌콩 Glycine soja 2024. 8. 8. 담음 콩 종류는 꽃이 자주색이고 팥 종류는 황색으로 구분이 되는군요. * 돌콩, 새콩, 새팥의 비교종속꽃 색꼬투리돌콩콩속홍자색콩 열매 모양, 황갈색의 거센털새콩새콩속연한 자주색콩 열매 모양새팥동부속연한 황색팥 열매(긴 원통 모양) 돌콩 Glycine soja Siebold & Zucc.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장미목 >콩과 >콩속(Glycine) 줄기는 덩굴성으로 길이가 2m에 달하며 밑으로 거슬러 난 갈색털이 있다.잎은 어긋나기하고 엽병은 길이 7~16cm로서 길며 우상(羽狀) 3출복엽이며 짧은 털이 있다. 소엽은 타원상 피침형이고 이 3~8cm, 폭 10~25mm로서 둔두이며 원저 또는 쐐기모양이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2024. 8. 8. 개미취 Tatarian Aster 산과바다 개미취 Tatarian Aster 2024. 8. 8. 담음 꽃은 7~10월에 연한 자주색 또는 하늘색으로 피며 벌개미취보다 좀 늦게 피며 옅은 붉은빛이 있군요. * 벌개미취와 개미취 구분종혀꽃 색깔개화 시기키 높이벌개미취연한 자줏빛6월부터50~60cm개미취하늘색 자줏빛7~10월 늦게 핌1~2m 개미취 Aster tataricus L.f.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초롱꽃목 >국화과 >참취속(Aster) 독특한 지역형이 나타난다. 울릉도 자생의 개체는 개화 시기가 10월 중순~11월 중순으로 상대적으로 늦으며 줄기가 굵고 초장이 짧은 것이 특징이다. 중부 및 경기도 일원에서 생육하는 개체는 초장이 2m에 이르는 대형이며 개화 시기는 7월말~10월 초로 일반적인 개체들보다 상.. 2024. 8. 8. 부처꽃 Loose strife 산과바다 부처꽃 Loose strife 2024. 7. 30. 담음 산남동 두꺼비생태공원 두꺼비집 앞 습지에서 자람을 담았는데 오랫동안(6월~8월 말까지) 꽃을 보여주는군요. 부처꽃 Lythrum anceps (Koehne) Makino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도금양목 >부처꽃과 >부처꽃속(Lythrum) 부처꽃과의 다년생 초본으로 천굴채(千屈菜)라고도 한다. 냇가, 초원 등의 습지에서 자란다. 높이 1m 정도로서 곧게 자라며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잎은 마주나고 바소꼴이며 대가 거의 없고 원줄기와 더불어 털, 잎자루도 거의 없으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은 5∼8월에 홍자색으로 피며 잎겨드랑이에 3∼5개가 달려 층층이 달린 것같이 보인다. 포는 보통 옆으로 퍼지며 밑부분이 좁고 바.. 2024. 7. 31. 원추리 Orange Daylily 산과바다 원추리 Orange Daylily 2024. 7. 30. 담음 * 꽃이 피고 지고를 반복하는데 매일 다른 꽃을 보게 되는군요. 그래서 꽃 이름이 Orange Daylily라 하는군요. 원추리 Hemerocallis fulva L. 속씨식물문 >외떡잎식물강 >백합목 >백합과 >원추리속(Hemerocallis) 넘나물이라고도 한다. 산지에서 자란다. 높이 약 1m이다. 뿌리는 사방으로 퍼지고 원뿔 모양으로 굵어지는 것이 있다. 잎은 2줄로 늘어서고 길이 약 80cm, 나비 1.2∼2.5cm이며 끝이 처진다. 조금 두껍고 흰빛을 띤 녹색이다.꽃은 7∼8월에 핀다. 꽃줄기는 잎 사이에서 나와서 자라고, 끝에서 가지가 갈라져서 6∼8개의 꽃이 총상꽃차례로 달린다. 빛깔은 주황색이고 길.. 2024. 7. 31. 분꽃 Four o'clock flower 산과바다 분꽃 Four o'clock flower 2024. 7. 30. 담음 * 분꽃은 일반적으로 오후 4시경에 꽃이 활짝 피어서 분꽃 이름이 Four o'clock flower라 붙여졌다는군요. * 지난 7원 28일 오후 4시 넘어서 가보니 꽃잎이 닫혀있더군요. * 분꽃(24. 7. 28) 그래서 오늘 다시 오후 7시 넘어서 관찰하니 꽃이 피기 시작하는군요. * 꽃의 색깔은 멘델의 법칙을 따르지 않는다. 분꽃의 경우에는 중간 유전이라는 형태로 나타난다. 표현형의 관계가 불완전한 것일 뿐이다. 그런데 분꽃의 경우에는 더욱 불분명하지 않아서, 혼합색상이 나오거나, 모자이크가 나오거나, 심지어 한 식물에서 색이 다른 두 꽃 그룹이 튀어나오기도 한다. 분꽃(粉꽃) Mirabilis jalap.. 2024. 7. 30. 죽단화(겹황매화) Kerria japonica 산과바다 죽단화(겹황매화) Kerria japonica 2024. 7. 29. 담음 * 시절뜨기 인가? 4월에 피는 꽃이 지금도 피는군요. * 죽단화는 꽃잎이 노란색 겹꽃인데 황매화는 노란색 꽃잎이 5장으로 다르군요. * 죽단화와 황매화는 노란색 꽃으로 줄기와 잎이 같아 꽃이 없으면 구분하기가 어렵군요. 죽단화(겹황매화) Kerria japonica DC. pleniflora (Witte) Rehder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장미목 >장미과 >황매화속(Kerria) 죽단화는 겹황매화 죽도화라고도 부른다. 황매화의 변종으로 중부 이남에 자라는 낙엽 활엽 떨기나무로 일본과 중국에 분포한다. 높이 1.5~2.0m, 어린 가지는 녹색이고 털이 없다. 잎은 어긋나며, 난형 또는 긴 난형으로.. 2024. 7. 29. 상사화 Magic Lily 산과바다 상사화 Magic Lily 2024. 7. 29. 담음 * 상사화속 식물들은 모두 꽃이 필 때는 잎이 없고, 잎이 달려 있을 때는 꽃이 없어 꽃과 잎이 서로 그리워한다는 의미로 상사화라 하는군요. 상사화 Lycoris squamigera Maxim. 속씨식물 >외떡잎식물강 >백합목 >수선화과 >상사화속(Lycoris) 한국이 원산지이며 관상용으로 심는다. 비늘줄기는 넓은 달걀모양이고 지름이 4∼5cm이며 겉이 검은빛이 도는 짙은 갈색이다. 꽃줄기는 곧게 서고 높이가 50∼70cm이며 약간 굵다. 잎은 봄에 비늘줄기 끝에서 뭉쳐나고 길이 20∼30cm, 폭 16∼25mm의 줄 모양이며 6∼7월에 마른다.꽃은 8~9월에 피고 꽃줄기 끝에 산형꽃차례를 이루며 4∼8개가 달린다. .. 2024. 7. 29. 망초 Canadian horseweed 산과바다 망초 Canadian horseweed 2024. 7. 29. 담음 * 머리모양꽃차례가 원추상으로 많이 달리는 꽃은 작고 보잘것없다. * 수과(瘦果)에 깃털이 있어 풍산포(風散布) 할 준비를 하고 있군요. * 망초를 비롯해 과거에 망초속(Conyza Less.)으로 분류되는 식물이 개망초속에 포함되었다.출처 : 개망초속 위키백과 망초 Conyza canadensis (L.) Cronquist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국화목 >국화과 >개망초속(Erigeron) 아메리카 원산의 귀화식물로 전국의 들이나 길가에 자라는 두해살이풀이다. 높이 100~150cm 정도로 곧게 자라고 전체에 굵은 털이 덮인다. 잎은 뿌리잎(根生葉)과 줄기잎이 다르고 뿌리잎(莖生葉)은 주걱형으로 방석형.. 2024. 7. 29. 돌미나리 Wild parsley 산과바다 돌미나리 Wild parsley 2024. 7. 29. 담음 5장의 꽃잎사이사이로 수술 5개가 꽃잎보다 길게 삐쭉하게 올라와 보임이 특이하군요. * 돌미나리는 계곡의 샘터나 들의 습지 또는 물가에서 야생하는 것으로 미나리에 비하여 줄기가 짧고 잎사귀가 많아 구분되는군요. 돌미나리 Oenanthe javanica (Blume) DC.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산형목 >산형과 >미나리속(Oenanthe) 계곡의 샘터나 들의 습지 또는 물가에서 야생하는 것으로 흔히 재배한다. 줄기는 높이가 30cm에 달하고 털이 없으며 밑에서 가지가 갈라져 옆으로 퍼지고 원줄기는 곧게 서며 속이 비었고 능각이 있으며 가을철에 기는 가지의 마디에서 뿌리가 내려 번식한다.잎은 어긋나기하고 근생엽과 .. 2024. 7. 29. 능소화 Chinese trumpet creeper 산과바다 능소화 Chinese trumpet creeper 2024. 7. 29. 담음 * 하늘 높은 줄 모르고 기어올라 꽃을 피운 능소화(凌霄花 하늘을 능가하는 꽃)가 싱싱하게 주홍빛 꽃잎을 넓게 벌리고 곱게도 피어있군요. * 꽃이 아름다워 정원에 많이 심어 기르는데 삽목으로 잘 번식이 된다는군요. 詩經 陣風(시경 진풍)에 능소화(苕)가 나오는군요.142. 防有鵲巢(방유작소) 방축위의 까치집 防有鵲巢(방유작소) : 방축 위에 까치집邛有旨苕(공유지초) : 언덕엔 향기로운 능소화誰侜予美(수주여미) : 누가 내 여인 꼬여내어心焉忉忉(심언도도) : 어찌 내 마음을 시름겹게 하나! 中唐有甓(중당유벽) : 뜰 안에 벽돌 길邛有旨鷊(공유지역) : 언덕엔 향기로운 타래난초 풀誰侜予美(수주여미) : 누가 내 여인 꼬여.. 2024. 7. 29. 노랑꽃창포 열매 Yellow flag iris 산과바다노랑꽃창포 열매 Yellow flag iris2024. 7. 29. 담음* 노랑꽃창포의 꽃은 노란색, 꽃창포의 꽃은 적자색, 창포의 꽃은 흰색, 붓꽃은 자주색으로 꽃의 색깔로 구분이 되는군요. 노랑꽃창포 Iris pseudoacorus L. 속씨식물문 >외떡잎식물강 >백합목 >붓꽃과 >붓꽃속(Iris) 유럽 원산이며 연못가에 많이 심는다. 뿌리줄기는 짧고 수염뿌리는 황갈색이다. 꽃줄기는 가지가 갈라지며 높이 60∼100cm이다. 잎은 길이 약 1m이고, 나비 2∼3cm이다. 꽃은 5월에 노란색으로 피며 꽃 밑에 2개의 큰 포(苞)가 있다. 외화피는 3개로 넓은 달걀 모양이고 밑으로 처지며 밑부분이 좁아지고, 내화피는 3개이며 긴 타원형이다. 암술대는 3개로 갈라진 다음 다시 2.. 2024. 7. 29. 이전 1 ··· 5 6 7 8 9 10 11 ··· 2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