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에는 꽃이 피네3779 맥문동 Broadleaf Liriope 산과바다 맥문동 Broadleaf Liriope 2024. 10. 24. 담음 * 종자가 익으면 검게 변하고 겨울에도 잎은 남아있더군요. 맥문동(麥門冬) Liriope platyphylla F. T. Wang 속씨식물문 >외떡잎식물강 >백합목 >백합과 >맥문동속(Liriope) 맥문동은 우리나라 중부 이남의 산지에서 자라는 상록 다년생 초본이다. 생육환경은 반그늘 혹은 햇볕이 잘 들어오는 나무 아래에서 자란다. 키는 30~50㎝이다.잎은 납작하며 길이가 30~50㎝, 폭이 0.8~1.2㎝이며, 끝이 뭉뚝하다. 꽃은 5∼8월에 피고 자줏빛이며 수상꽃차례의 마디에 3∼5개씩 달린다. 꽃이삭은 길이 8∼12cm이며 작은 꽃가지에 마디가 있다.열매는 삭과(蒴果)로 둥글고 10~11월에 익으.. 2024. 10. 25. 당매자나무 열매 Chinese barberry 산과바다 당매자나무 Chinese barberry 2024. 10. 24. 담음 * 매자나무 당매자나무 일본매자나무의 구분 꽃차례잎열매매자나무총상꽃차례거친 거치(잎 가장자리)원형당매자나무총상꽃차례잎 가장자리 밋밋타원형일본매자나무산형꽃차례잎 가장자리 매근타원형 당매자나무 Berberis poiretii C. K. Schneid.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미나리아재비목 >매자나무과 >매자나무속(Berberis) 산과 들에 나고 내한성이 커서 전국에서 볼 수 있으며 비옥하고 습기가 적당한 사질양토를 좋아한다. 내염성과 대기오염에 대한 저항성이 크므로 해안지방과 도심지에서도 잘 자란다.줄기는 높이가 2m에 달하며 가지에 털이 없으며 다소 능선이 지며 자갈색이고 가시는 단순하거나 3개로 갈라지.. 2024. 10. 25. 누운주름잎 Miquel's mazus 산과바다 누운주름잎 Miquel's mazus 2024. 10. 24. 담음 * 줄기가 누워있는데 10월에도 꽃이 피는군요. * 잎에 주름이 잡혀있어서 주름잎이라 하고 줄기가 누워서 기는 가지가 있어서 누운주름잎이라 한다. * 꽃피는 기간이 짧은데 주름잎은 줄기가 서서 자라고 연중 꽃이 핀다는군요. * 연중 꽃 피는 주름잎과 다르게 일정 기간(5월 전후)에만 꽃이 핀다. 누운주름잎 Mazus miquelii Makino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통화식물목 >주름잎과(또는 현삼과) >주름잎속(Mazus) 여러해살이풀로 누운담배풀이라고도 한다. 전국 각지에 분포하며 논두렁이나 습지에서 자란다. 줄기는 꽃이 진 다음 밑에서 기는줄기가 사방으로 뻗어 번식한다.* 잎이 군생한다. 잎은 거꿀.. 2024. 10. 25. 꽃댕강나무 Glossy Abelia 산과바다 꽃댕강나무 Glossy Abelia 2024. 10. 24. 담음 * 흰색 꽃이 종 모양인 통꽃으로 분꽃이나 라일락꽃의 판통(瓣筒 tube) 모양과 비슷한 꽃이 6월부터 11월까지도 꽃이 피고 지고 하는군요. 꽃댕강나무 Abelia mosanensis T.H.Chung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산토끼꽃목 >인동과 >댕강나무속(Abelia) 꽃댕강나무는 1880년 이전에 만들었는데, 낙엽성인 중국댕강나무(A. chinensis)에 상록성인 댕강나무(A. uniflora)의 화분을 받아서 만들었으며 상록성이다. 높이 1∼2m이다. 잎은 마주나고 달걀 모양이며 길이 2.5∼4cm이다. 끝이 무디거나 뾰족하며 가장자리에 뭉툭한 톱니가 있다. 수피는 원줄기에 6줄의 홈이 있고, 가지는.. 2024. 10. 24. 산국 Northern dendranthema 산과바다 산국 Northern dendranthema 2024. 10. 24. 담음 산국과 감국은 꽃 모양이 비슷한데 꽃의 크기, 개화 시기, 줄기의 색이 다르군요. * 산국, 감국의 구분종꽃 지름개화 시기줄기 색과 모양산국1~1.5cm(작다)9~11월(이르다)녹색이고, 많은 가지, 곧추선다.감국2.5cm(크다)10~12월(늦다)검은 자주색, 가늘고 길다. 산국 Dendranthema boreale (Makino) Lingex Kitam.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국화목 >국화과 >산국속(Dendranthema) 전국의 산과 들에 흔하게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높이 약 1m이다. 뿌리줄기는 길게 벋으며 줄기는 녹색이고 모여나고 곧추선다. 흰 털이 나며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잎은 뿌리에.. 2024. 10. 24. 구절초 九節草 Korean chrysanthemum 산과바다 구절초 九節草 Korean chrysanthemum 2024. 10. 24. 담음 * 구절초는 우리나라 가을꽃을 대표하는 꽃으로 소박하고 토속적이고 정감이 넘치는 백의(白衣)의 꽃이다. * 구절초는 구일초(九日草) 선모초(仙母草)라고도 하고 구절초라는 이름은 아홉 번 꺾이는 풀, 또는 음력 9월 9일에 꺾는 풀이라는 뜻에서 유래 되었다는군요. 구절초 Chrysanthemum zawadskii var. latilobum (Maxim.) Kitam.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초롱꽃목 >국화과 >국화속(Chrysanthemum) 넓은잎구절초·구일초(九日草)·선모초(仙母草)·들국화·고뽕[苦蓬]이라고도 한다.높은 지대의 능선에서 군락을 형성하여 자라지만, 들에서도 흔히 자란다. 우.. 2024. 10. 24. 개여뀌 Oriental smartweed 산과바다 개여뀌 Oriental smartweed 2024. 10. 24. 담음 적자색 또는 백색으로 피며, 송이꽃차례(總狀花序)로 꽃이삭(花穗)은 짧으면서 작은 꽃(小花)이 빼곡히 달려있군요. 개여뀌 Persicaria longiseta (De Bruyn) Kitagawa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마디풀목 >마디풀과 >여뀌속(Persicaria) 들이나 길가에 자란다. 높이 20∼50cm이다. 전체에 털이 없고 줄기는 붉은 자줏빛의 둥근 통 모양으로 곧게 선다. 가지를 많이 내며 마디에서 뿌리를 벋는다. 잎은 어긋나고 길이 4∼8cm, 나비 1∼2.5cm이며 넓은 바소꼴이다. 양면에 털이 나고 잎자루는 짧다. 잎집처럼 생긴 턱잎은 통 모양이고 길이 1cm 정도이며 가장자리에 수염털.. 2024. 10. 24. 울산도깨비바늘 Hairy beggarticks 산과바다 울산도깨비바늘 Hairy beggarticks 2024. 10. 21. 담음 * 울산도깨비바늘은 설상화가 없고 통상화로만 되어 있는데 * 도깨비바늘은 노란색 설상화가 1~3(5)개 정도 만 듬성듬성 달려 구분이 되는군요. 울산도깨비바늘 Bidens pilosa L.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초롱꽃목 >국화과 >도깨비바늘속(Bidens) 울산에서 처음 발견되었고, 도깨비바늘 종류라는 뜻의 이름이다. 원산지가 남아메리카인 외래식물이며, 한해살이풀이다. 높이는 50~100㎝이다.잎은 마주나기하고 깃꼴겹잎(우상복엽)이다. 작은잎(소엽)은 달걀형 또는 긴 달걀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꽃은 6~9월에 줄기와 가지 끝에 달리는 두상꽃차례에 노란색으로 핀다. 두상꽃차.. 2024. 10. 21. 미국가막사리 Devil‘s Beggarticks 산과바다 미국가막사리 Devil‘s Beggarticks 2024. 9. 28. 담음 머리모양꽃차례 겉에 6~10개의 잎 같은 총포가 있음이 특이하군요. * 가막사리와 미국가막사리의 비교종잎입자루 날개혀꽃(설상화)줄기가막사리긴타원상 피침형있다없다녹자색미국가막사리우상복엽 3출엽없다있다짙은 흑자색 미국가막사리 Bidens frondosa L.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초롱꽃목 >국화과 >도깨비바늘속(Bidens) 귀화식물로 미국가막사리는 가막사리와 마찬가지로 전 세계 논이나 습지에 널리 자란다. 모양도 많이 닮았다. 길가나 습기가 있는 빈터에서 흔히 자란다. 줄기는 높이가 1m에 달하며 곧게 서고 네모지며 속이 백색이고 털이 없으며 짙은 흑자색이다.잎은 마주나기고 우상복엽이며 소엽은 3.. 2024. 9. 29. 명아자여뀌 Knotweed, Pale smartweed 산과바다 명아자여뀌 Knotweed, Pale smartweed 2024. 9. 28. 담음 * 명아자여뀌는 홍자색(종종 백색)으로 피며 꽃차례는 이삭이 길고 끝이 아래로 쳐지는군요. * 흰색 꽃이 피는 흰여뀌는 이삭이 길지 않음. 명아자여뀌 Persicaria nodosa (Pers.) Opiz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마디풀목 >마디풀과 >여뀌속(Persicaria) 큰개여뀌라고도 한다. 빈터나 길가에서 흔히 무리 지어 자란다. 줄기는 높이가 0.5∼1m이고 굵은 가지가 갈라지며 흔히 붉은빛이 돌고 마디가 굵으며 검은빛이 도는 자주색 점이 있다.잎은 어긋나고 타원 모양의 바소꼴 또는 바소꼴이며 길이가 7∼20cm이고 끝이 뾰족하며 잎맥과 가장자리에 잔털이 있고 작은 선점(腺點)이 .. 2024. 9. 29. 둥근잎유홍초 Quamoclit coccinea Moench 산과바다 둥근잎유홍초 Quamoclit coccinea Moench 2024. 9. 28. 담음 * 유홍초(留紅草)는 잎이 새 깃처럼 갈라져 있어 새깃유홍초라고도 하고 * 둥근잎유홍초는 잎이 하트모양으로 둥글어 쉽게 구분이 되는군요. 둥근잎유홍초 Quamoclit angulata Bojer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통화식물목 >메꽃과 >유홍초속(Quamoclit) 메꽃과 유홍초속의 한해살이 덩굴식물로 능조라>라고도 한다. 열대 아메리카 원산이며 관상용으로 심는다. 덩굴은 나팔꽃처럼 자라면서 왼쪽으로 감아 올라간다. 길이는 3m 내외이다. 잎은 어긋나고 잎자루가 길며 심장 모양 원형이다. 잎 끝이 갑자기 뾰족해지며 밑 부분의 양쪽 끝이 뾰족한 각으로 된다.꽃은 8∼9월에 피고 노란빛.. 2024. 9. 29. 도꼬마리 Cocklebur 산과바다 도꼬마리 Cocklebur 2024. 9. 28. 담음 열매 총포의 갈고리 같은 돌기 속에 2개의 종자가 들어 있다. 도꼬마리 Xanthium strumarium L.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초롱꽃목 >국화과 >도꼬마리속 (Xanthium) 집 마을 빈터, 밭머리, 낮은 지대의 길가에서 흔히 자라지만 북부지방에 많다.줄기는 높이가 1m에 달하고 잎과 더불어 털이 있다. 단모(短毛)가 많으며 보통 엷은 녹색으로 흑자색의 반문(班紋)이 산재한다.잎은 어긋나기 하며 엽병이 길고 넓은 삼각형이며 예두 아심장저이고 길이 5~15cm로서 흔히 3개로 갈라지며 가장자리에 결각상의 톱니가 있고 3개의 큰 맥이 뚜렷하게 나타나며 양면이 거칠다.꽃은 8~9월에 피며 황색으로서 원줄기 끝과 가.. 2024. 9. 29. 까마중 Black nightshade 산과바다 까마중 Black nightshade 2024. 9. 28. 담음 꽃이 피고 난 후에 꽃잎이 뒤로 젖혀진 모양이 배풍등과 비슷하군요. * 까마중은 꽃밥이 노랗게 보이고 열매가 검게 익는 데 비해 * 배풍등은 적갈색(흑갈색) 꽃밥이 드러나 보이고 열매가 붉게 익음이 다르군요. 까마중 Solanum nigrum L.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통화식물목 >가지과 >가지속(Solanum) 가마중 까마종이 깜뚜라지라고도 한다. 밭이나 길가에서 자란다. 높이 20∼90cm이다. 줄기는 약간 모가 나고 가지가 옆으로 많이 퍼진다. 잎은 어긋나고 달걀 모양이며 길이 6∼10cm, 나비 4∼6cm이다. 가장자리에 물결 모양의 톱니가 있거나 밋밋하고 긴 잎자루가 있다.꽃은 5∼9월에 흰색으로 .. 2024. 9. 29. 미꾸리낚시 Arrow leaf smartweed 산과바다 미꾸리낚시 Arrow leaf smartweed 2024. 9. 28. 담음 * 야산 기슭 습지에서 담았는데 꽃봉오리가 흰색으로 달리고 꽃잎은 아직 안 열려있군요. * 심장 모양의 잎이 한두 개씩 달려있음도 특이하군요. 미꾸리낚시 Persicaria sagittata (L.)H.Gross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마디풀목 >마디풀과 >여뀌속(presicaria) 냇가나 습지에서 자란다. 줄기는 밑 부분이 옆으로 벋으며 뿌리를 내리고 길이가 20∼100cm이며 밑으로 향한 잔가시가 빽빽이 있어 다른 물체에 잘 붙는다. 잎은 어긋나고 길이 5∼10mm의 바소 모양이며 끝부분이 뾰족하고 밑 부분은 심장 모양이며 뒷면의 맥에는 잎자루와 함께 밑을 향한 가시가 있다. 칼집 모양의 턱잎.. 2024. 9. 29. 고마리 Ditch persicaria 산과바다 고마리 Ditch persicaria 2024. 9. 28. 담음 꽃은 흰색, 흰색 바탕에 붉은빛 또는 분홍색으로 피고 가지 끝에 10~20개씩 뭉쳐서 달리는데 꽃이 아름답게 피었군요. 고마리 Persicaria thunbergii (Siebold & Zucc.) H. Gross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마디풀목 >마디풀과 >여뀌속(Persicaria) 고만이라고도 한다. 도랑이나 산지의 물가에서 무리 지어 전국적으로 흔하게 자란다. 줄기는 모가 지고 길이가 1m에 달하며 상부는 비스듬히 서고 줄기는 능선을 따라 아래로 향한 가시가 있으며 털은 없다.잎은 어긋나기 하며 엽병이 있으나 윗부분 것은 엽병이 없고 창검 같으며 길이 4~7cm, 폭 3~7cm이고 표면은 누운 털이 성.. 2024. 9. 29. 개여뀌 Oriental smartweed 산과바다 개여뀌 Oriental smartweed 2024. 9. 28. 담음 * 적자색 또는 백색으로 피며, 송이꽃차례(總狀花序)로 꽃이삭(花穗)은 짧으면서 작은 꽃(小花)이 빼곡히 달려있군요. 개여뀌 Persicaria longiseta (De Bruyn) Kitagawa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마디풀목 >마디풀과 >여뀌속(Persicaria) 들이나 길가에 자란다. 높이 20∼50cm이다. 전체에 털이 없고 줄기는 붉은 자줏빛의 둥근 통 모양으로 곧게 선다. 가지를 많이 내며 마디에서 뿌리를 벋는다. 잎은 어긋나고 길이 4∼8cm, 나비 1∼2.5cm이며 넓은 바소꼴이다. 양면에 털이 나고 잎자루는 짧다. 잎집처럼 생긴 턱잎은 통 모양이고 길이 1cm 정도이며 가장자리에 수염털.. 2024. 9. 29. 가시박 Bur cucumber 산과바다 가시박 Bur cucumber 2024. 9. 28. 담음 * 꽃이 지고 나면 달리는 열매는 여러 개의 포자 덩어리가 뭉쳐서 자라는데 흰색의 뻣뻣한 가시털로 덮여 있다. 이 모양을 두고 가시박이라고 이름 지어졌다. * 가시박은 귀화식물로 타감작용(他感作用, allelopathy)을 하여 2009년 6월 환경부에서는 생태계 교란 유해식물로 지정하여 대대적인 퇴치 작업을 벌이는 식물이군요. 가시박 Sicyos angulatus L.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박목 >박과 >가시박속(Sicyos) 북아메리카 원산으로 우리나라에 귀화된 귀화식물이다. 흔히 중부 이남의 물가에서 자라는 1년생 초본이다.줄기는 4~8m 정도로 뻗으며 덩굴손으로 다른 물체를 감고 자란다. 잎은 어긋나게 달.. 2024. 9. 29. 산들깨 Large bract mosla 산과바다 산들깨 Large bract mosla 2024. 9. 28. 담음 * 산들깨, 쥐깨풀, 들깨풀의 꽃과 식물 보양이 비슷하여 구분이 어렵군요. 산들깨 Mosla japonica (Benth.) Maxim.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쐐기풀목 >꿀풀과 >쥐깨풀속(Mosla) 산과 들의 양지쪽에서 자란다. 높이 10∼40cm이다. 줄기는 곧추서며 네모지고 가지가 갈라진다. 포기 전체에 향기가 나고 마디에 털이 많이 난다. 잎은 마주나고 긴 달걀모양이며 길이 1∼2cm, 나비 7∼17mm이다. 잎자루가 짧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으며, 햇볕을 쬐는 부분은 자줏빛이 돈다.꽃은 7~8월에 피고 연한 홍자색이며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서 총상꽃차례로 달리고 포는 달걀모양이며 길이 3~6mm.. 2024. 9. 28. 이전 1 2 3 4 5 6 7 8 ··· 2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