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산에는 꽃이 피네

★ 산에는 꽃이 피네3779

해당화 Sweet brier 산과바다 해당화 Sweet brier 2024. 11. 2. 담음 국립세종수목원에서 담음      해당화(海棠花) Rosa rugosa Thunb.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장미목 >장미과 >장미속(Rosa)  해당나무·해당과(海棠果)·필두화(筆頭花)라고도 한다. 바닷가 모래땅에서 흔히 자란다. 높이 1∼1.5m로 가지를 치며 갈색 가시가 빽빽이 나고 가시에는 털이 있다.잎은 어긋나고 홀수 깃꼴겹잎이다. 작은 잎은 5∼9개이고 타원형에서 달걀 모양 타원형이며 두껍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표면에 주름이 많고 뒷면에 털이 빽빽이 남과 동시에 선점(腺點)이 있다. 턱잎은 잎같이 크다.꽃은 5∼7월에 피고 가지 끝에 1∼3개씩 달리며 홍색이지만 흰색 꽃도 있다. 꽃은 지름 6∼10cm이고 꽃잎은 .. 2024. 11. 4.
해국 Seashore spatulate aster 산과바다 해국 Seashore spatulate aster 2024. 11. 2. 국립세종수목원에서 담음 바닷가에서 자라는데 육지에서도 심어 자라기도 하는군요.      해국 Aster spathulifolius Maxim.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국화목 >국화과 >참취속(Aster) 해변국이라고도 한다. 바닷가에서 자란다. 줄기는 다소 목질화하고 가지가 많이 갈라지며 비스듬히 자라서 높이 30∼60cm로 된다.잎은 어긋나지만 달걀을 거꾸로 세운 듯한 모양으로 밑에서는 모여 나며 두껍다. 양면에 털이 빽빽이 나서 희게 보이고 잎 가장자리는 밋밋하거나 톱니가 약간 있으며 주걱 모양이다.꽃은 7∼11월에 피고 연한 보라색 또는 흰색이며 가지 끝에 두화(頭花)가 달린다. 총포는 반구형이며 포조각은.. 2024. 11. 4.
참취 Rough aster 산과바다 참취 Rough aster 2024. 11. 2. 담음 일명 ‘취나물’이라고도 하며 산나물의 대명사처럼 여겨질 만큼 가장 많이 이용되는 산채다.      참취 Aster scaber Thunb.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초롱꽃목 >국화과 >참취속(Aster)  일명 ‘취나물’이라고도 하며 산나물의 대명사처럼 여겨질 만큼 가장 많이 이용되는 산채다. 줄기는 높이 1~1.5m이고 근경 끝에서 가지가 산방상으로 갈라지며 전체가 거칠거칠하다. 뿌리는 근경이 굵고 짧다.잎은 근생엽은 꽃이 필 때쯤 되면 없어지고 엽병이 길며 심장형이고 줄기잎은 어긋나기 하며 밑 부분의 것은 날개가 있는 긴 엽병이 있고 심장형이며 길이 9~24cm, 나비 6~18cm로서 거칠고 양면에 털이 있으며 가장자리에 치아.. 2024. 11. 4.
칸나 Canna 산과바다 칸나 Canna 2024. 11. 2. 담음 * 꽃은 여름부터 가을까지 보랏빛·붉은빛·노란빛 등으로 계속 피고 줄기 윗부분에 달린다.  * 한국에서 원예용으로 주로 재배하는 칸나(C. generalis)는 인도와 아프리카가 원산지인 여러해살이풀이다.      칸나 Canna generalis L.H.Bailey & E.Z.Bailey      속씨식물문 >외떡잎식물강 >생강강 >홍초과 >칸나속(Canna)←홍초속 뿌리줄기는 고구마처럼 굵고, 줄기는 원기둥 모양이며 곧게 서고 높이가 1∼2m이며 자르면 점액이 나온다. 잎은 길이 30∼40cm의 넓은 타원 모양이고 양끝이 좁으며 밑 부분이 잎집이 되어 줄기를 감싼다.꽃은 여름부터 가을까지 보랏빛·붉은빛·노란빛 등으로 계속 피고 줄기 윗부분에 달린다.. 2024. 11. 4.
좀작살나무 Purple Beauty-berry 산과바다 좀작살나무 Purple Beauty-berry 2024. 11. 2. 담음 * 짙은 자주색의 열매가 옹기종기 달려 예쁘군요.      좀작살나무 Callicarpa dichotoma (Lour.) K. Koch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꿀풀목 >마편초과 >작살나무속(Callicarpa) 산기슭에서 자라며 키는 1.5 미터에 이른다. 나무껍질은 회갈색이며 어린 가지는 네모지고 암자색 별 모양 털이 나 있으나 점차 없어진다. 잎은 마주나고 길이 3~8cm, 너비 1.5~3cm로 길둥근꼴 또는 거꾸로 된 달걀 모양이며 끝이 뾰족하다. 표면은 짙은 녹색이고 뒷면은 연한 녹색이며, 작살나무와 달리 잎 가장자리의 끝부분 1/3부터 톱니가 있다.꽃은 6~8월 잎겨드랑이에서 취산꽃차례에 꽃 10~2.. 2024. 11. 4.
제주양지꽃 Stolonifera 산과바다 제주양지꽃 Stolonifera  2024. 11. 2. 국립세종수목원에서 담음 • 종명 stolonifera 는 기는줄기가 있다는 뜻이며, 변종명은 제주도 원산임을 뜻한다. • 제주 특산식물이다. • 중부지방에서 재배시에는 다른 양지꽃들에 비해 개화시기(5월)가 약간 늦다.      제주양지꽃 Potentilla stolonifera var. quelpaertensis Nakai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장미목 >장미과 >양지꽃속(Potentilla) 한라산 해발 700m 이상의 부엽이 두껍게 쌓여 비옥하고 배수성이 좋은 토양조건의 양지에서 자란다. 줄기는 높이가 20cm이고, 기는줄기가 사방으로 퍼지고 전체에 털이 있으며 자줏빛이 돈다. 양지꽃과 비슷하지만 기는줄기가 돋는 것이 다.. 2024. 11. 3.
좀개미취 Aster maackii 산과바다 좀개미취 Aster maackii 2024. 11. 2. 국립세종수목원에서 담음 * 오대산 계곡 정선 냇가 근처에 자생하며 개미취에 비해 잎이 좁고 키도 작으면서 꽃은 개미취보다 크고 화려하며 희귀식물이다.      좀개미취 Aster maackii  Regel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초롱꽃목 >국화과 >참취속(Aster) 남한에서는 분포지가 제한돼 있어서 희귀식물에 속하며 자생지에서의 채취를 막아야 할 것이다. 산골짝 냇가 근처에서 자란다. 줄기는 높이 45~85cm이고 자주빛이 도는 줄이 있으며 가지가 갈라져서 산방상이 된다.잎은 근생엽은 꽃이 필때 없어지고 중앙부의 잎은 엽병이 없으며 피침형이고 끝이 길게 뾰족해지며 밑부분이 좁고 길이 6.5~9cm, 나비 1~2cm로서 양면에.. 2024. 11. 3.
스러진 연꽃 반영 Lotus 산과바다 연꽃 Lotus 2024. 11. 2. 국립세종수목원 연지에서 담음 * 연꽃은 불교(佛敎)와 깊은 인연이 있는 식물로 연(蓮)은 흙탕물에 자라면서도 더러움에 물들지 아니하고 아름다운 꽃을 피운다.  * 우리 조상들은 이 불염성(不染性)에 한없는 신비를 느껴 신성시하였고 또 사랑하였다.      연꽃 Nelumbo nucifera Gaertn.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미나리아재비목 >연꽃과 >연꽃속(Nelumbo)  아시아 남부와 오스트레일리아 북부가 원산지이다. 진흙 속에서 자라면서도 청결하고 고귀한 식물로, 여러 나라 사람들에게 친근감을 주어 온 식물이다. 연못에서 자라고 논밭에서 재배하기도 한다. 뿌리줄기는 굵고 옆으로 뻗어가며 마디가 많고 가을에는 특히 끝부분이 굵어진다.잎은 .. 2024. 11. 3.
억새 Eulalia Grass 산과바다 억새 Eulalia Grass 2024. 11. 2. 국립세종수목원에서 담음 * 바람에 한쪽으로 쏠린 화서가 짤랑거리며 아름다워 보이는군요.      억새 Miscanthus sinensis var. purpurascens (Andersson) Rendle       속씨식물문 >외떡잎식물강 >화본목 >벼과 >억새속(Miscanthus) 산과 들에서 자란다. 높이 1∼2m로, 뿌리줄기는 모여나고 굵으며 원기둥 모양이다. 잎은 줄 모양이며 길이 40∼70cm, 너비 1∼2cm이다. 끝이 갈수록 뾰족해지고 가장자리는 까칠까칠하다. 맥은 여러 개인데, 가운데맥은 희고 굵다. 밑동은 긴 잎집으로 되어 있으며 털이 없거나 긴 털이 난다. 뒷면은 연한 녹색 또는 흰빛을 띠고 잎혀는 흰색 막질(膜質:얇은 종.. 2024. 11. 3.
핫립세이지 Hotlipsage 산과바다 핫립세이지 Hotlipsage 2024. 11. 2. 국립세종수목원에서 담음 * 처음에 꽃이 필 때 전체가 빨간색이었다가 기온이 올라가면 점점 흰색으로 물이 든다.    하지만 이는 기온에 따른 일시적인 현상으로 날씨가 추워지면 빨간색 꽃잎이 더 많아진다.      핫립세이지 Salvia microphylla Kunth 'Hot Lips'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통화식물목 >꿀풀과 >배암차즈기속(Salvia) 원산지는 멕시코이다. 내한성이 있는 다년생 화초류로 추운 지역에서는 낙엽이 지며 따뜻한 지역에서는 상록이다.잎은 작은 난형니며 여러개의 잎이 짤막한 줄기에 무더기로 붙어서 나오는 총생의 형태이며 줄기의 높이는 60~120cm 정도의 크기이다.꽃은 4월~11월에 피며 가지 끝에서.. 2024. 11. 3.
아그배나무 열매 Cherry apple 산과바다 아그배나무 열매 Cherry apple 2024. 11. 2. 국립세종수목원 분재원에서 담음      아그배나무 Malus sieboldii (Regel) Rehder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장미목 >장미과 >사과나무속(Malus) 나무껍질은 보랏빛의 갈색이다.잎은 어긋나기하며 타원형이고 길이와 폭이 각 3~6cm × 3~5cm로, 가장자리에 예리한 톱니가 있으며 양면에 털이 있고 잎자루에도 털이 있으며 길이는 1~4cm이다.꽃은 5월에 피고 지름 3cm로 연한 홍색이지만 점차 백색으로 변하고 우상모양꽃차례에 4~5개씩 달리며, 작은 꽃대는 길이 1.5~4cm이고 꽃잎은 타원상 또는 달걀꼴이고 길이 17~18mm로 밑부분이 짧게 뾰족하다.열매는 이과(梨果)로 둥글며 지름 4~6mm로.. 2024. 11. 3.
수크령 Fountain grass 산과바다 수크령 Fountain grass 2024. 11. 2. 국립세종수목원에서 담음 * 한글명 수크령은 그령을 암그령으로 삼고, 이에 대응하는 것에서 생겨난 이름이다.  * 그령(암그령)은 참새그령속(Eragrostis)이고 수크령은 수크령속(Pennisetum)으로 전혀 다른 종이다.      수크령 Pennisetum alopecuroides (L.)      속씨식물 >외떡잎식물강 >화본목 >벼과 >수크령속(Pennisetum) 줄기는 여러해살이로 짧은 땅속줄기(地下莖)가 다닥다닥 모여 나 큰 무리를 만든다.잎은 길이 30∼60cm, 나비 9∼15mm이며 잎몸(葉身)이 단단한 편이고, 짙은 녹색이며, 잎혀(葉舌)에 짧은 잔털이 있다.꽃은 8~9월에 피며, 꽃이삭(花穗)은 똑바로 서며(直立), .. 2024. 11. 3.
산사나무 열매 Chinese Hawthorn 산과바다 산사나무 열매 Chinese Hawthorn 2024. 11. 2. 담음 * 잎이 5~9개의 깃 모양으로 깊게 갈라지며 뾰쪽함이 특이하고, 4월 중순에 꽃이 피더니 꽃밥이 홍색이 아니고 담홍색으로 진해지더군요. * 가을에 빨간 열매도 꽃 못지않게 예쁘고 백색 반점이 있으며 9~10월에 빨갛게 혹은 노랗게 익는다.       산사나무 Crataegus pinnatifida Bunge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장미목 >장미과 >산사나무속(Crataegus)  줄기는 대부분 회색을 띠며 어린줄기에는 예리한 1~2cm 길이의 가시가 있다. 가시가 없는 나무도 있다. 수피(나무껍질)는 대부분 회색을 띠며 가시가 있다. 뿌리 근처에서 근맹아가 올라와 하나의 산사나무 군집을 이룬다.잎은 어긋나기하.. 2024. 11. 3.
범부채 열매 Blackberry Lily 산과바다 범부채 열매 Blackberry Lily 2024. 11. 2. 담음 * 2005년의 DNA 염기서열 분석 결과에 따라서, 범부채속(Belamcanda)의 유일종 범부채(Belamcanda chinensis)는 붓꽃속(Iris)으로 옮겨져 학명이 Iris domestica L.로 바뀌었다.      범부채 Iris domestica (L.) Goldblatt & Mabb.      속씨식물문 >외떡잎식물강 >백합목 >붓꽃과 >붓꽃속(Iris) 붓꽃속에 속하는 다년생초로 추위에도 꽤 견디나 양지바른 산지와 바닷가에서 자란다. 높이 50∼100cm이다. 뿌리줄기를 옆으로 짧게 벋고 줄기는 곧게 서며 윗부분에서 가지를 낸다. 잎은 어긋나고 칼 모양이며 좌우로 납작하고 2줄로 늘어선다. 빛깔은 녹색 바.. 2024. 11. 3.
메타세쿼이아 Metasequoia 또는 dawn redwoods 산과바다 메타세쿼이아 Metasequoia 또는 dawn redwoods 2024. 11. 2. 담음 * 중국 원산으로 호수나 강가에 심어 기르는 낙엽 큰키나무이다.      메타세쿼이아 Metasequoia glyptostroboides Hu & W.C.Cheng      겉씨식물문 >구과식물강 >구과목 >낙우송과 >메타세쿼이아속(Metasequoia) 중국 원산으로 호수나 강가에 심어 기르는 낙엽 큰키나무이다. 높이 35~50m, 지름 2.0~2.5m이다. 줄기의 나무껍질은 회갈색이다. 가지는 옆으로 퍼지고 일년생가지는 녹색이며 마주나기이고 나무껍질은 회갈색이다. 가지는 옆으로 퍼지고 작은 가지는 녹색이다.잎은 소엽 선형이며 두 줄로 마주나고, 길이 10~23mm, 나비 1.5~2mm로서 깃모양으로 .. 2024. 11. 3.
산구절초 Korean dendranthema 산과바다 산구절초 Korean dendranthema 2024. 11. 2. 국립세종수목원에서 담음 * 위로 갈수록 잎이 작아지고 엽병도 짧아져서 마침내 전체가 선형으로 되는 것도 있으며    양면에 선점(腺點)이 있고 털이 있거나 없으며 표면은 광택이 있고 뒷면은 엷은 녹색이다.      산구절초 Dendranthema zawadskii (Herb.) Tzvelev      속씨식물 >쌍떡잎식물강 >초롱꽃목 >국화과 >산국속(Dendranthema) 깊은 산 중턱 이상에 난다. 줄기는 높이 10~60cm이고 한 개가 서거나 또는 가지가 갈라지며 복모가 있다. 뿌리는 근경은 옆으로 뻗으며 자라고 길며 목질상이다.잎은 근생엽은 꽃이 필 때 없어지거나 반 정도 남아 있으며 밑부분의 잎은 길이 2~4.5cm의.. 2024. 11. 3.
참빗살나무 Hamilton’s spindletree 산과바다 참빗살나무 Hamilton’s spindletree 2024. 11. 2. 담음 지난 6월에 국립세종수목원에서 담았었는데 다시 가보니 4개로 모가진 열매가 연한 홍색으로 물들어 예쁘군요.      참빗살나무 Euonymus hamiltonianus Wall.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노박덩굴목 >노박덩굴과 >화살나무속(Euonymus)  산에서 자라며 높이는 3~9m이다. 가지가 많이 갈라지며 원가지에는 털이 없고 어린 가지는 녹색이나 나무껍질은 회갈색으로 흰 줄이 있는 것이 많다. 노목은 세로로 갈라진다. 잎은 마주나기하고 바소꼴 긴 타원형이며 길이 5~15cm 나비 2~8cm로서 끝이 뾰족하다. 가장자리에 불규칙하고 둔하며 자잘한 톱니가 있으며 잎 양면에 털이 없다. 잎자루는 길.. 2024. 11. 3.
넉줄고사리 Squirrel’s foot fern 산과바다 넉줄고사리 Squirrel’s foot fern 2024. 11. 2. 담음 * 뿌리줄기는 길게 옆으로 뻗고 지름이 3∼5mm이며 잎이 드문드문 달리고 비늘조각으로 덮인다.      넉줄고사리 Davallia mariesii T. Moore ex Baker      양치식물문 >고사리강 >고사리목 >넉줄고사리과 >넉줄고사리속(Davallia) 산지의 바위나 나무껍질 등에 붙어서 자란다. 뿌리줄기는 길게 옆으로 뻗고 지름이 3∼5mm이며 잎이 드문드문 달리고 비늘조각으로 덮인다. 비늘조각은 줄 모양의 바소꼴이고 갈색 또는 잿빛을 띤 갈색이며 막질이고 끝이 뾰족하며 길이가 6∼7mm이다.잎자루는 길이가 5∼15cm이고 떨어지기 쉬운 비늘조각이 드문드문 달리며 뿌리줄기의 마디에서 나온다. 잎몸은 세모.. 2024. 11.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