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산에는 꽃이 피네

★ 산에는 꽃이 피네3779

백합 Lily 산과바다 백합 Lily 2024. 7. 21. 담음 * 향기가 진하군요. * 백합속(나리속) 속명의 Lilium은 라틴어 ‘li(희다)’과 ‘lium(꽃)’의 합성어로 유럽에서 알려진 순백색의 Madona Lily에서 붙여짐.       백합 Lilium longiflorum L.      속씨식물문 >외떡잎식물강 >백합목 >백합과 >백합속(=나리속 Lilium) 높이 2m까지 자라는 구근(球根) 식물로 구근은 인경(鱗莖)으로 둥글다. 인경은 희거나 연노란색이고 직경 10cm 내외다. 주로 햇볕이 직접 쬐지 않는 숲이나 수목의 그늘 또는 북향의 서늘한 곳에서 자란다. 잎은 어긋나고 줄 모양이거나 바소꼴인데 때로 돌려난다. 잎의 길이는 10~18cm이며 피침형으로 표면은 광택이 나고 엽병(葉柄)은 없다. .. 2024. 7. 21.
박주가리 Rough potato 산과바다 박주가리 Rough potato 2024. 7. 21. 담음 * 꽃이 별 모양으로 5갈래로 깊게 갈라지고 꽃부리에는 연한 흰 털이 촘촘하게 나 있음이 특이하군요. * 하수오와 꽃과 덩굴이 비슷한데 하수오 잎은 오메가(Ω)처럼 동그랗게 파여 있어 구분된다.       박주가리 Metaplexis japonica (Thunb.) Makino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용담목 >박주가리과 >박주가리속(Metaplexis) 양지의 건조한 곳에서 자란다. 줄기는 길이가 3m 이상에 달하고 자르면 젖 같은 액체가 나온다. 뿌리는 땅속줄기가 길게 뻗어 번식한다. 잎은 마주나기하고 난상 심장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길이 5~10cm, 폭 3~6cm로서 털이 없으며 약간 두껍고 톱니가 없으며 지맥이 분명하.. 2024. 7. 21.
풀협죽도 Garden phlox 산과바다 풀협죽도 Garden phlox 2024. 7. 21. 담음 * 화관은 통 부분이 길어 분꽃 비슷한데 꽃의 위쪽이 5갈래로 갈라져서 갈래가 수평으로 퍼짐이 다르군요.       풀협죽도 Phlox paniculata L.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가지목 >꽃고비과 >풀협죽도속(Phlox)  북아메리카 원산으로 관상용으로 심어 기르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는 여러 대가 모여서 나고 높이 60~120cm이다. 잎은 번갈아 가며 마주나거나 3장이 돌려나며, 긴 타원형 또는 난상 피침형으로 길이 7~13cm, 폭 2~5cm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은 7~8월에 줄기 끝에 둥근 원추꽃차례로 달리며, 연한 붉은색(홍자색) 또는 흰색이다. 꽃받침은 5갈래로 갈라지며, 녹색이다. 화관은 통부분.. 2024. 7. 21.
하와이무궁화 Hawaiian hibiscus 산과바다 하와이무궁화 Hawaiian hibiscus 2024. 7. 21. 세종수목원에서 담음 * 옆에 미국부용의 꽃과 비슷해 보이는데 꽃의 색깔과 줄기의 모양과 색이 달라 하와이무궁화로 동정해 본다. * 하와이무궁화는 부상화(扶桑花), 불상화(佛桑花)라고도 한다.   * 무궁화꽃처럼 꽃은 하루 동안만 피어 있다가 진다.       하와이무궁화 Hibiscus rosa-sinensis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아욱목 >아욱과 >무궁화속(Hibiscus) 줄기 높이 2∼5m(온실에서는 1∼2m)이며, 가지를 많이 친다. 잎은 어긋나고 달걀모양이며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 윗부분에는 톱니가 있다. 잎은 쳐지지 않고 진한 녹색으로 약간 흑색이 섞여 있다. 여름에 새로 난 가지에 꽃잎이 두껍고 광택이.. 2024. 7. 21.
미국부용 Hibiscus oculiroseus 산과바다 미국부용 Hibiscus oculiroseus 2024. 7. 21. 세종수목원에서 담음 * 옆에서 자라는 하와이무궁화의 꽃과 비슷하군요.       미국부용 Hibiscus oculiroseus Britton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아욱목 >아욱과 >무궁화속(Hibiscus) 북미 원산의 원예식물로, 공원이나 도로변에 식재한다. 높이는 약 1~2.5m이며, 줄기는 곧게 서고 털은 거의 없다. 턱잎이 있으나 잎과는 다르게 일찍 떨어지고, 잎자루는 길이 4~10cm로 털이 있다. 잎은 어긋나며, 달걀 모양 또는 심장 모양이고, 2갈래로 갈라지는 경우도 있다. 잎의 길이는 약 10~20cm이고, 폭은 약 4~8cm이다. 잎끝은 뾰족한 창 모양이며, 가장자리에는 무딘 톱니가 있고 잎 아래.. 2024. 7. 21.
금호선인장 Golden Barrel 산과바다 금호선인장 Golden Barrel 2024. 7. 21. 세종수목원 사계절전시온실에서 담음 * 오래되면 지름 90㎝, 높이 1.3m의 원주형으로 자라는 대형종이다. * 황금술통선인장이라고도 한다.       금호선인장 Echinocactus grusonii Hildmann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선인장목 >선인장과 >성게선인장속(Echinocactus) 멕시코 중부 산 루이즈 포토시 주로부터 이다르고 주까지 분포한다.줄기는 단간(單幹)으로 식물체는 구형이다. 오래되면 지름 90㎝, 높이 1.3m의 원주형으로 자라는 대형종이다. 표피색은 밝은 녹색이다. 끝부분은 백색 또는 황색의 면모를 지닌다. 능(稜)은 어릴 때는 혹 모양으로 되지만 생장하면서 연속한다. 큰 것은 능(稜)이 예각으.. 2024. 7. 21.
가새쑥부쟁이 Incised leaf aster 산과바다 가새쑥부쟁이 Incised leaf aster 2024. 7. 21. 담음 쑥부쟁이와 꽃은 비슷한데 줄기잎은 어긋나기 하며 긴 타원상 피침형 또는 피침형이고 끝이 뾰족함이 다르군요.       가새쑥부쟁이 Aster incisus Fisch.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초롱꽃목 >국화과 >참취속(Aster)  전국 각지에 분포. 산야의 습지나 냇가에서 자란다. 줄기는 높이 1~1.5m이며 곧게 서고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지며 군데군데 털이 있다.잎은 근생엽은 꽃이 필 무렵에는 말라 죽는다. 줄기잎은 어긋나기 하며 긴 타원상 피침형 또는 피침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길이 8~10cm, 폭 2.5cm 정도로서 밑부분이 점차 좁아져서 엽병처럼 되고 가장자리가 길게 우상으로 갈라지며 열편은 안쪽으.. 2024. 7. 21.
맥문동 Broadleaf Liriope 산과바다 맥문동 Broadleaf Liriope  2024. 7. 20. 담음 * 종자가 익으면 검게 변하고 겨울에도 잎은 남아있다.       맥문동(麥門冬) Liriope platyphylla F. T. Wang      속씨식물문 >외떡잎식물강 >백합목 >백합과 >맥문동속(Liriope) 맥문동은 우리나라 중부 이남의 산지에서 자라는 상록 다년생 초본이다. 생육환경은 반그늘 혹은 햇볕이 잘 들어오는 나무 아래에서 자란다. 키는 30~50㎝이다.잎은 납작하며 길이가 30~50㎝, 폭이 0.8~1.2㎝이며, 끝이 뭉뚝하다. 꽃은 5∼8월에 피고 자줏빛이며 수상꽃차례의 마디에 3∼5개씩 달린다. 꽃이삭은 길이 8∼12cm이며 작은 꽃가지에 마디가 있다.열매는 삭과(蒴果)로 둥글고 10~11월에 익으며 푸.. 2024. 7. 21.
배롱나무 Crape Myrtle 산과바다 배롱나무 Crape Myrtle 2024. 7. 20. 담음 * 배롱나무는 붉은색과 분홍색으로 피고 흰색 꽃이 피는 것을 흰배롱나무라고 하는군요. * 붉은 꽃이 100일 이상 계속 피어서 목백일홍 또는 백일홍나무라고도 하며 나무껍질을 손으로 긁으면 잎이 움직인다고 하여 간지럼나무라고도 한다.       배롱나무 Lagerstroemia indica L.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도금양목 >부처꽃과 >배롱나무속(Lagerstroemia) 나무껍질을 손으로 긁으면 잎이 움직인다고 하여 간지럼나무라고도 한다. 높이 약 5m이다. 나무껍질은 연한 붉은 갈색이며 얇은 조각으로 떨어지면서 흰 무늬가 생긴다. 작은 가지는 네모지고 털이 없다. 새 가지는 4개의 능선이 있고 잎이 마주난다. 잎은 타.. 2024. 7. 21.
참취 Rough aster 산과바다 참취 Rough aster 2024. 7. 20. 담음 일명 `취나물`이라고도 하며 산나물의 대명사처럼 여겨질 만큼 가장 많이 이용되는 산채다.       참취 Aster scaber Thunb.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초롱꽃목 >국화과 >참취속(Aster)  일명 `취나물`이라고도 하며 산나물의 대명사처럼 여겨질 만큼 가장 많이 이용되는 산채다. 줄기는 높이 1~1.5m이고 근경 끝에서 가지가 산방상으로 갈라지며 전체가 거칠거칠하다. 뿌리는 근경이 굵고 짧다.잎은 근생엽은 꽃이 필 때쯤 되면 없어지고 엽병이 길며 심장형이고 줄기잎은 어긋나기 하며 밑 부분의 것은 날개가 있는 긴 엽병이 있고 심장형이며 길이 9~24cm, 나비 6~18cm로서 거칠고 양면에 털이 있으며 가장자리에 치.. 2024. 7. 20.
나무수국 Panicle Hydrangea 산과바다 나무수국 Panicle Hydrangea 2024. 7. 14. 담음 * 꽃이 피어 양성화와 열매가 없다면 나무수국과 큰나무수국의 구분이 어렵군요.   * 연록색 봉오리가 연녹색 꽃을 피워 점점 흰색으로 되고 모두 흰색이 되면 양성화가 피기 시작하는군요.  * 나무수국은 중성화와 양성화가 같이 피는데 큰나무수국은 꽃이 중성화만 피므로 구분이 되는군요. * 수국이나 산수국은 꽃이 산방꽃차례를 이루지만 나무수국은 원추꽃차례이군요.       나무수국 Hydrangea paniculata Siebold.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장미목 >범의귀과 >수국속(Hydrangea) 관상용으로 정원에 심는다. 낙엽 관목으로 높이는 2∼3m이다. 잎은 마주나고 때로는 3개가 돌려나는 것도 있으며 타원.. 2024. 7. 15.
어리연 Water gentian 산과바다 어리연 Water gentian 2024. 7. 14. 세종호수공원에서 담음 * 모양은 노랑어리연과 같아 보이고 화관은 흰색 바탕에 가운데 부분이 황색이고 지름이 1.5cm이며 5개로 깊게 갈라지고 안쪽과 가장자리에 흰색 털이 있다.        어리연 Nymphoides indica (L.) Kuntze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용담목 >조름나물과 >어리연속(Nymphoides) 못이나 호수에서 자라는 수생식물이다. 뿌리줄기가 진흙 속에서 옆으로 길게 뻗고 잔뿌리가 사방으로 퍼진다. 줄기는 물 속에서 비스듬히 길이 1m 이상 자라고 가늘며 끝 부분에 1∼3개의 잎이 드문드문 달린다. 잎은 물 위에 뜨고 지름 7∼20cm의 둥근 심장 모양이며 표면에 광택이 있고 밑 부분이 깊게 2개로.. 2024. 7. 15.
붉은인동 Sempervirens 산과바다 붉은인동 Sempervirens 2024. 7. 14. 담음 * 꽃망울의 끝은 5갈래로 갈라져서  4개는 뒤쪽에 1개는 앞쪽으로 늘어져 있고 같지 않고 꽃의 외면은 주홍색, 내면은 황백색으로 피어 아름답군요.       붉은인동 Lonicera sempervirens L.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꼭두서니목 >인동과 >인동속(Lonicera) 반상록 활엽 덩굴성 수목으로 한국의 전역에 분포하며 산이나 들에서 자란다. 줄기가 다른 물체를 감으면서 길이 5m까지 뻗는다. 줄기는 연한 초록빛 또는 분홍빛을 띠며, 거친 털이 빽빽히 나 있다. 잎은 마주나기 하며 길이 3~8cm의 긴 타원형이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늦게 난 잎은 상록인 상태로 겨울을 난다.꽃은 5∼8월에 잎겨드랑이에서 붉은색.. 2024. 7. 15.
별꽃아재비 Kew weed 산과바다 별꽃아재비 Kew weed 2024. 7. 14. 담음 * 별꽃아재비는 가지를 치고 윗부분에 털이 있군요. * 털별꽃아재비는 별꽃아재비에 비해 전체에 부드러운 털이 더욱 밀생하고, 꽃은 별꽃아재비보다 1개월이 늦은 6~9월에 피고, 설상화와 여윈열매에 깃털이 있는 것으로 구분하는군요.        별꽃아재비 Galinsoga parviflora Cav.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초롱꽃목 >국화과 >별꽃아재비속(Galinsoga) 한국, 북아메리카, 유럽, 일본, 월남 등지에 알려졌으며, 국내에서는 1976년에 보고 된 바 있다. 털별꽃아재비(Galinsoga ciliata)에 비하여 전체가 가냘프고 혀꽃에 관모가 없으며 총포조각에 샘털이 없고 통상화의 관모는 끝이 뭉툭하고 거꿀피침모양.. 2024. 7. 15.
피나무 Amur linden 산과바다 피나무 Amur linden 2024. 7. 14. 세종호수공원에서 담음 * 처음 담아보는데 나무모양과 잎의 모양을 살펴봄       피나무 Tilia amurensis Rupr.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아욱목 >피나무과 >피나무속(Tilia) 맹아력은 왕성하나 생장은 빠른 편이 못 된다. 줄기는 곧게 자라며 회갈색이고 일년생가지에 짧은 단모가 있거나 없다. 나무껍질은 회갈색이다.잎은 어긋나기하며 넓은 달걀형이고 급히 길어진 첨두이며 심장저이고 길이와 폭이 각 3~9cm × 3~7cm로 뒷면은 회녹색이며 맥 겨드랑이에 갈색 털이 밀생하고, 가장자리 예리한 톱니가 있으며, 잎자루 길이는 1.5~6cm이다.꽃은 5월 말~7월 말에 피며 3~20개씩 편평꽃차례로 달리고 담황색으로 지름은 .. 2024. 7. 13.
넓은잎산사 Hawthorn 산과바다 넓은잎산사 Hawthorn 2024. 7. 13. 담음 * 지난해 5월 12일에 꽃을 담았었는데 요즘엔 열매가 익어가는군요. * 잎이 산사나무에 비하여 크고 얕게 갈라진다.       넓은잎산사 Crataegus pinnatifida var. major N.E.Br.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장미목 >장미과 >산사나무속(Crataegus)  산지에서 자란다. 높이 3∼6m이다. 나무껍질은 잿빛이고 가지에 가시가 난다. 잎은 어긋나고 달걀모양이며 산사나무에 비하여 크고 얕게 갈라진다. 가장자리에는 거친 톱니가 있다. 겉면은 윤이 나고 뒷면 맥에는 잔털이 난다. 턱잎은 작고 떨어지며 잎자루는 길이 2∼6cm이다.꽃은 5월에 흰색으로 피는데, 지름 약 1.8cm로서 가지 끝에 산방꽃차례로 .. 2024. 7. 13.
꼬마부들 Slender cattail 산과바다 꼬마부들 Slender cattail 2024. 7. 13. 담음 * 수꽃은 다 떨어지고 흔적만 보이는군요.  * 꼬마부들 : 애기부들에 비해 암꽃이삭이 작다는 뜻의 이름이다.  * 국내 부들속(Typha) 식물 중에서 키가 가장 작으며, 잎이 5mm 미만으로 좁고 암꽃이삭의 길이 3~6cm로 짧으므로 구분된다.       꼬마부들 Typha laxmannii Lepech.      속씨식물 >외떡잎식물강 >벼목 >부들과 >부들속(Typha)  부들 또는 애기부들에 비해 암꽃이삭이 작다는 뜻의 이름이다. 여러해살이풀이며, 높이 80~130㎝이다.잎은 어긋나기하고 선형이며, 도톰하고 끝은 둔하다.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속은 스펀지 구조로 되어 있다. 길이는 40~90㎝, 폭은 0.2~0.6㎝이다... 2024. 7. 13.
히어리 Korean winter hazel 산과바다 히어리 Korean winter hazel 2024. 7. 6. 세종수목원에서 담음 * 한국에서만 자라는 특산종이다. 지리산과 조계산, 백운산 등 주로 남부 지방의 산기슭이나 골짜기에서 자란다.        히어리 Corylopsis coreana Uyeki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장미목 >조록나무과 >히어리속(Corylopsis) 한국에서만 자라는 특산종이다. 지리산과 조계산, 백운산 등 주로 남부 지방의 산기슭이나 골짜기에서 자란다. 송광납판화라고 부르기도 하였다. 높이 1∼2m이고 작은가지는 황갈색 또는 암갈색이며 피목(皮目)이 밀생한다. 겨울눈은 2개의 눈비늘로 싸여 있다. 잎은 어긋나고 달걀 모양의 원형이며 밑은 심장형이다. 잎 가장자리에 뾰족한 톱니가 있으며 양면에 털이 .. 2024. 7.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