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에는 꽃이 피네3779 왜당귀 Angelica acutiloba 산과바다 왜당귀 Angelica acutiloba 2024. 6. 15. 국립세종수목원에서 담음 * 원래 일본 원산으로 일정시대 일본에서 이식해 온 후 토당귀 대용으로 사용되었다. 왜당귀 Angelica acutiloba (Siebold & Zucc.) Kitag.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산형화목 >산형과 >당귀속(Angelica) 원래 일본 원산으로 일정시대 일본에서 이식해 온 후 토당귀 대용으로 사용되었다. 풀 전체에 특이한 향취가 있다.토당귀보다 따뜻한 곳을 좋아하며, 토질은 겉흙이 깊고 부드러운 참흙 또는 질참흙으로서 배수가 잘되는 곳이 재배에 적당하다. 줄기는 높이 60~90cm이고 곧게 자라며 원줄기는 엽병과 더불어 검은빛이 도는 자주색이고 전체에 털이 없다.잎은 근생엽.. 2024. 6. 16. 대왕참나무 Pin Oak 산과바다 대왕참나무 Pin Oak 2024. 6. 15. 담음 * 이 나무는 1936년 8월 9일 손기정선수가 베를린 하계 올림픽 마라톤에 우승하여 독일 총통 히틀러가 직접 손 선수에게 금메달과 월계관, 그리고 부상으로 참나무 묘목을 수여했던 그 나무이고 월계관도 이 나무의 잎이라는군요. * 한동안 이나무는 월계수로 잘못 알려졌으나 양정고가 서울 목동으로 이전해 간 뒤 서울시 기념수로 제정되는 과정에서 참나무 일종인 대왕참나무(핀오크 pin oak)로 밝혀졌다. 대왕참나무 Quercus palustris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참나무목 >참나무과 >참나무속(Quercus) 북미 원산으로 키가 30m까지 자라며 성장 속도가 매우 빠르다. 대왕참나무, 바늘잎참나무, 바늘참나무, 핀.. 2024. 6. 16. 애기부들 Smallreed mace 산과바다 애기부들 Smallreed mace 2024. 6. 15. 담음 * 부들은 수꽃과 암꽃이 이어져 있는데 * 애기부들은 위에 수꽃과 밑에 암꽃이삭이 층을 이루어 떨어져 달림으로 구분되는군요. 애기부들 Typha angustifolia L. 속씨식물문 >외떡잎식물강 >부들목 >부들과 >부들속(Typha) 연못가나 강가의 얕은 물 속에서 자란다. 뿌리줄기는 옆으로 벋는다. 줄기는 곧게 서고 높이가 1.5∼2m이다. 잎은 길이 80∼130cm의 줄 모양이고 털이 없으며 두텁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밑 부분이 잎집이 되어 줄기를 감싼다. 꽃은 6∼7월에 피고 줄기 윗부분에 원기둥 모양의 육수꽃차례를 이루며 달린다. 한 줄기에 2개의 꽃차례가 층을 이루며 달리는데, 수꽃은 위쪽의 꽃차.. 2024. 6. 16. 머루 Wild Grape 산과바다 머루 Wild Grape 2024. 6. 15. 담음 * 머루는 산포도의 총칭으로 과실을 식용하는 포도속의 머루와 식용할 수 없는 개머루속의 개머루로 크게 구분된다. 머루 Vitis coignetiae Pulliatex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갈매나무목 >포도과 >포도속(Vitis) 다래와 더불어 야생 열매의 대표적인 덩굴식물이다. 바위 위나 다른 나무 위로 기어올라 울창한 정글을 만든다. 줄기의 일년생가지는 뚜렷하지 않은 능선이 있으며 붉은빛이 돌고 어릴 때는 성모(星毛)로 덮여 있다.잎은 어긋나기하며 심장형 또는 원형이고 5개로 얕게 갈라지며, 길이와 폭이 각 8~30cm × 8~30cm로, 심장저이며, 작은 삼각형의 톱니가 있고, 3개로 얇게 갈라지기도 하고, 어.. 2024. 6. 16. 원추천인국(루드베키아) pinewood cone flower 산과바다 원추천인국(루드베키아) pinewood cone flower 2024. 6. 15. 담음 * 속명인 루드베키아라고도 부른다. * 혀꽃은 황색, 아래쪽(가운데) 자갈색, 통상화는 암적색 또는 흑색으로 아름답군요. * 원추천인국, 검은눈천인국, 큰원추국, 삼잎국화의 비교개화기생존크기꽃의 크기와 색깔잎 모양과 털 유무원추천인국6~9월한해살이30~50cm5~8cm 혀꽃 : 황색 자갈색통상화 : 암적색 흑색긴 타원 모양, 가장자리 밋밋검은눈천인국5~9월여러해살이60~80cm8~10cm 관상화(중심부) : 자갈색바소모양 가장자리 톱니큰원추국7~8월여러해살이1~3m10cm달걀모양 털 없고 가장자리 밋밋삼잎국화7~9월여러해살이1~3m6~7cm 두상화 : 노란색꽃잎관상화 : 녹황색잎 5~7개로 갈라짐. 가장자리.. 2024. 6. 16. 긴산꼬리풀 longleaf speedwell 산과바다 긴산꼬리풀 longleaf speedwell 2024. 6. 15. 담음 * 다른 이름으로는 큰산꼬리풀, 가는산꼬리풀, 가는잎꼬리풀, 좀꼬리풀, 산꼬리풀, 가는잎산꼬리풀이라고도 한다. 긴산꼬리풀 Veronica longifolia L.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통화식물목 >질경이과←(현삼과) >개불알풀속(Veronica) 산기슭에서 자란다. 전체에 털이 없거나 짧은 털이 흩어져 나고 줄기는 곧게 서며 높이는 1m 이상이다. 잎은 마주나거나 3∼4개씩 돌려나기도 하고, 잎자루가 짧으며 달걀 모양의 긴 타원형 또는 바소꼴로 길이 10cm, 나비 2.2cm 정도이다.꽃은 7∼8월에 하늘색으로 줄기 끝에 총상꽃차례[總狀花序]로 피고, 화관은 4갈래이며 수술은 2개이다. 꽃받침은 4.. 2024. 6. 16. 나비바늘꽃(Gaura) Whirling Butterflies 산과바다 나비바늘꽃(가우라) Whirling Butterflies 2024. 6. 15. 국립세종수목원에서 담음 * 꽃이 피는 아침에는 흰색이다가 저녁에는 분홍색으로 변한다. * 2003년 수행된 분류학 연구에서 학명의 Gaura lindheimeri는 재분류를 거쳐서 Oenothera lindheimeri로 학명이 변경되었다. 전에는 나비바늘꽃속(Gaura) : 나비바늘꽃 1종이었음. 나비바늘꽃(Gaura) Oenothera lindheimeri Engelm. et A. Gray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도금양목 >바늘꽃과 >달맞이꽃속(Oenothera)←나비바늘꽃속(Gaura) 미국이 원산지이며 2년생 또는 다년생 초본으로 근경이나 종자로 번식한다. 전국적으로 관상용으로 식재하.. 2024. 6. 15. 서양벌노랑이 Bird’s foot trefoil 산과바다 서양벌노랑이 Bird’s foot trefoil 2024. 6. 15. 담음 * 벌노랑이, 서양벌노랑이, 들벌노랑이의 구분 꽃줄기 끝 꽃의 수잎에벌노랑이2~3(4)개털이 없다서양벌노랑이3~7개털이 갈래조각에 많다들벌노랑이5~15개부드러운 털 잎 뒷면 백분색 서양벌노랑이 Lotus corniculatus L.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 >장미목 >콩과 >벌노랑이속(Lotus) 국내에서는 1994년 8월 2일 목포의 삼학도 매립지에서 들벌노랑이와 혼생되어 넓은 지역에 분포되었음을 확인하였으며, 그 후 전북 고창, 충남 서산 등지의 바닷가에서도 발견하였다.줄기는 기부에서 많은 가지를 치며, 길이 30cm 정도고 중공(中空)이 아니며 수질이 차 있다. 뿌리는 직근성이다.잎은 3소엽으로 .. 2024. 6. 15. 부처꽃 Loose strife 산과바다 부처꽃 Loose strife 2024. 6. 14. 담음 * 산남동 두꺼비생태공원 습지에서 자람을 담았는데 오랫동안(6월~8월 말까지) 꽃을 보여주는군요. 부처꽃 Lythrum anceps (Koehne) Makino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도금양목 >부처꽃과 >부처꽃속(Lythrum) 부처꽃과의 다년생 초본으로 천굴채(千屈菜)라고도 한다. 냇가, 초원 등의 습지에서 자란다. 높이 1m 정도로서 곧게 자라며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잎은 마주나고 바소꼴이며 대가 거의 없고 원줄기와 더불어 털, 잎자루도 거의 없으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은 5∼8월에 홍자색으로 피며 잎겨드랑이에 3∼5개가 달려 층층이 달린 것같이 보인다. 포는 보통 옆으로 퍼지며 밑부분이 좁고 바소꼴 또는.. 2024. 6. 14. 봉선화(봉숭아) Garden Balsam 산과바다 봉선화(봉숭아) Garden Balsam 2024. 6. 14. 담음 * 봉숭아꽃을 백반과 함께 짓찧어 손톱에 동여매어 하룻밤 자고 나면 곱게 물들이던 유년 시절이 그립군요. * 품종에 따라 꽃 색깔이 다양하고 꽃의 생김새가 마치 봉(鳳)을 닮아 봉선화라 부른다는군요. 봉선화(봉숭아 鳳仙花) Impatiens balsamina L.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무환자나무목 >봉선화과 >물봉선속(Impatiens) 봉숭아라고도 하며 봉선화과(鳳仙花科 Balsaminaceae)에 속하는 1년생 초. 키는 60㎝ 정도이다. 잎은 피침형으로 어긋나고 잎가장자리에 잔 톱니들이 있다.꽃은 7~8월에 잎겨드랑이에 1~3송이씩 모여 피며, 꽃 색은 품종에 따라 여러 가지이다. 꽃잎과 꽃받.. 2024. 6. 14. 모감주나무 Goldenrain tree 산과바다 모감주나무 Goldenrain tree 2024. 6. 13. 담음 * 꽃은 노란색이나 중심부는 붉은색이다. * 꽃받침은 거의 5개로 갈라지며 꽃잎은 4개가 모두 위로 향하여 한쪽은 없는 것같이 보이고, 뒤로 젖혀진 아랫부분에 붉은색 부속체가 있다. 모감주나무 Koelreuteria paniculata Laxm.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무환자나무목 >무환자나무과 >모감주나무속 Koelreuteria 추위와 공해에 강하고 토양의 비옥 요구도가 낮아 척박지에서도 잘 생육하며 토양에 관계 없이 잘 자라나 양지바른 곳을 좋아한다. 내조성과 내염성, 내건성이 대단히 강하다.잎은 어긋나기 하며, 홀수 깃모양 겹잎으로, 길이는 25~35cm이다. 소엽은 7~15개이고, 달걀형의 긴 타.. 2024. 6. 13. 까마중 Black nightshade 산과바다 까마중 Black nightshade 2024. 6. 13. 담음 꽃이 피고 난 후에 꽃잎이 뒤로 젖혀진 모양이 배풍등과 비슷하군요. * 까마중은 꽃밥이 노랗게 보이고 열매가 검게 익는 데 비해 * 배풍등은 적갈색(흑갈색) 꽃밥이 드러나 보이고 열매가 붉게 익음이 다르군요. 까마중 Solanum nigrum L.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통화식물목 >가지과 >가지속(Solanum) 가마중 까마종이 깜뚜라지라고도 한다. 밭이나 길가에서 자란다. 높이 20∼90cm이다. 줄기는 약간 모가 나고 가지가 옆으로 많이 퍼진다. 잎은 어긋나고 달걀 모양이며 길이 6∼10cm, 나비 4∼6cm이다. 가장자리에 물결 모양의 톱니가 있거나 밋밋하고 긴 잎자루가 있다.꽃은 5∼9월에 흰색으로.. 2024. 6. 13. 모과 Chinese quince 산과바다 모과 Chinese quince 2024. 6. 12. 담음 * 지난 4월 19일 담은 분홍색의 꽃이 예쁘던데 모과나무(24. 4. 19) 벌써 열매가 많이 커져 있군요. * 한국에는 모과나무를 비롯하여 명자나무, 흰명자나무, 풀명자나무 등 4종의 명자나무속 식물이 자라고 있다. 모과나무 Chaenomeles sinensis (Thouin) Koehne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장미목 >장미과 >명자나무속(Chaenomeles) 낙엽 활엽 교목으로 중국 원산이며 관상수, 과수 또는 분재용으로 심는다. 맹아력이 왕성하다. 줄기의 일년생가지에는 가시가 없으며 어릴 때는 털이 있으며 2년지는 자갈색으로서 윤채가 있다. 수피는(나무껍질) 붉은 갈색과 녹색 얼룩무늬가 있으며 비늘 모.. 2024. 6. 12. 신나무 Amur Maple 산과바다 신나무 Amur Maple 2024. 6. 12. 담음 * 꽃 모양과는 전혀 다른 모습으로 신나무(21. 4. 24) 5월 이후에 열매인 시과(翅果 : 날개처럼 달린 열매)가 벌레가 먹어서 가운데 구멍이 뚫린 것처럼 보이더군요. 신나무 Acer tataricum L. subsp. ginnala (Maxim.) Wesm.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무환자나무목 >단풍나무과 >단풍나무속(Acer) 계곡 주변 또는 산기슭에 자라는 낙엽 떨기나무 또는 작은키나무이다. 줄기는 높이 2~10m이다. 잎은 마주나며, 홑잎이고, 둥근 난형, 길이 5~9cm, 폭 3~6cm, 3갈래로 얕게 또는 깊게 갈라진다. 잎 양면에 털이 없다. 잎자루는 길이 3~5cm이다. 꽃은 5~6월에 가지.. 2024. 6. 12. 남천 Nandina 산과바다 남천 Nandina 2024. 6. 11. 담음 * 잎은 딱딱하고 톱니가 없으며 3회 깃꼴겹잎이다. * 꽃잎 6개가 뒤로 젖혀져서 노란 꽃밥이 도드라져 보임이 특이하군요. * 꽃이 피기 전 꽃봉오리 끝부분에 빨간색이 점같이 보이는군요. 남천 Nandina domestica Thunb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미나리아재비목 >매자나무과 >남천속(Nandina) 남천을 남천촉(南天燭) ·남천죽(南天竹)이라고도 한다. 중국 원산이며 남부지방에서는 정원에 심으며 북부지방에서는 분재(盆栽)로 기르고 있다. 높이 3m 정도 자란다. 밑에서 여러 대가 자라지만 가지는 치지 않고 목질(木質)은 황색이다.잎은 딱딱하고 톱니가 없으며 3회 깃꼴겹잎이다. 또한 엽축(葉軸)에 마디가 있고 길이 .. 2024. 6. 11. 섬초롱꽃 Korean bellflower 산과바다 섬초롱꽃 Korean bellflower 2024. 6. 11. 담음 * 일반적으로 흰색 꽃이 피는 초롱꽃과 연한 자줏빛 흰색에 자주색 반점이 많이 있는 섬초롱꽃은 곧게 서서 자람. * 짙은 자주색 꽃이 피는 자주섬초롱꽃과 흰 꽃이 피는 흰섬초롱꽃은 누워 자란다. 2019년에 섬초롱꽃의 피고 지고를 관찰 해 보니 같은 개체인데 5차례까지 꽃이 피고 지고 하더군요.같은 개체에서 꽃이 한 송이 피고 한 송이 지고 가 아니라......꽃이 모두 피었다가 모두 지고를 20여 일 간격으로 5차례나 반복하는군요. 꽃의 색은 3차로 피었을 때가 자주색이 제일 진하고 5차일 때는 흰색에 가깝군요. * 2019년 관찰한 1차~5차의 개화1차 * 섬초롱꽃(19. 5. 31) 2차 * 섬초롱꽃(19. 6. 1.. 2024. 6. 11. 자주섬초롱꽃 Korean bellflower 산과바다 자주섬초롱꽃 Korean bellflower 2024. 6. 11. 담음 * 일반적으로 흰색 꽃이 피는 초롱꽃과 연한 자줏빛 흰색 꽃 피고 자주색 반점이 많이 있는 섬초롱꽃도 곧게 서서 자람. * 짙은 자주색 꽃이 피는 자주섬초롱꽃과 흰 꽃이 피는 흰섬초롱꽃은 누워 자란다. * 넘어질까 봐서 지주목을 세워 주었군요. 자주섬초롱꽃 Campanula takesimana Nakai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초롱꽃목 >초롱꽃과 >초롱꽃속(Campanula) 햇볕이 잘 드는 풀밭 또는 절사면 등지에 분포하고, 배수성이 좋고 척박한 토양에 주로 생육한다.줄기는 높이 30-100cm 이고 비교적 털이 적으며 능선이 있고 흔히 녹색이나 자줏빛이 돌며 누워 자라고 줄기는 비대하다. 뿌리는.. 2024. 6. 11. 무 Radish (Daikon) 산과바다 무 Radish (Daikon) 2024. 6. 11. 담음 * 무를 조선무라고도 하는군요. * 꽃은 연한 자주색 또는 거의 백색이다. 무 Raphanus sativus L.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십자화목 >십자화과 >무속(Raphanus) 무는 배추, 고추와 함께 3대 채소다. 큰 원주형 뿌리의 윗부분은 줄기지만, 그 경계가 뚜렷하지 않다. 잎은 뿌리잎은 1회 깃꼴겹잎(一回羽狀複葉)이며 어긋난다. 털이 있고 최종 갈래 조각이 가장 크다. 꽃줄기는 길이 1m 정도 자란 후 가지를 치며, 그 밑에서 총상꽃차례[總狀花序]가 발달한다.꽃은 4∼5월에 피며 연한 자주색 또는 거의 백색이다. 십자형(十字形)으로 배열되며 작은 꽃자루가 있다. 꽃받침은 길이 7mm로서 줄 모양의 .. 2024. 6. 11. 이전 1 ··· 11 12 13 14 15 16 17 ··· 2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