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산에는 꽃이 피네

★ 산에는 꽃이 피네3779

고삼(苦蔘) lightyellow sophora 산과바다 고삼(苦蔘) lightyellow sophora 2024. 6. 2. 담음 * 긴 꽃줄기에 나비 모양의 연한 노란색 꽃이 투구 같은 꽃받침 통속에 주렁주렁 매달려 있군요.           고삼(苦蔘) Sophora flavescens Aiton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장미목 >콩과 >고삼속(Sophora)  고삼은 콩과의 여러해살이풀. 너삼, 뱀의정자나무, 느삼, 도둑놈의지팡이, 넓은잎능암, 쓴너삼, 교괴(驕槐)라고도 한다. 양지바른 풀밭에서 자란다. 높이 80∼100cm로 녹색이지만 어릴 때는 검은빛을 띤다. 줄기는 곧다.잎은 어긋나며 홀수깃꼴겹잎이다. 작은 잎은 15∼40개이고 긴 타원형 또는 긴 달걀 모양이며 길이 2∼4cm, 나비 7∼15mm이다. 잎자루가 길며 가장.. 2024. 6. 2.
밤나무 Korean Chestnut 산과바다 밤나무 Korean Chestnut 2024. 6. 2. 담음 * 꽃은 암수한그루로서 6월에 흰색으로 핀다.           밤나무 Castanea crenata S. et Z.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참나무목 >참나무과 >밤나무속(Castanea) 산기슭이나 밭둑에서 자란다. 높이 10∼15m, 지름 30∼40cm이다. 나무껍질은 세로로 갈라진다. 작은 가지는 자줏빛을 띤 붉은 갈색이며, 짧은 털이 나지만 나중에 없어진다. 잎은 어긋나고 곁가지에서는 2줄로 늘어서며, 타원형·긴 타원형 또는 타원 모양의 바소꼴이다. 길이 10∼20cm, 나비 4∼6cm이고 물결 모양의 끝이 날카로운 톱니가 있다. 겉면은 짙은 녹색이며 윤이 나고, 뒷면은 성모(星毛:여러 갈래로 갈라진 별 모.. 2024. 6. 2.
띠(띠풀) 산과바다 띠(띠풀) King cogongrass 2024. 6. 2. 담음 * 꽃피지 않은 띠의 어린 새순을 '띄, 삘기, 삐비'라 하고, 어린 이삭을 날것으로 먹는다.           띠(띠풀) Imperata cylindrica (L.) Raeusch.          속씨식물문 >외떡잎식물강 >벼목 >벼과 >띠속(Imperata) 화본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산이나 들의 볕이 잘 드는 풀밭이나 강가에서 무리 지어 자란다. 단단한 비늘조각이 덮인 뿌리줄기가 옆으로 길게 뻗는다. 줄기는 뿌리줄기의 마디에서 나와 곧게 서며 높이가 30∼80cm이고 마디에 털이 있다.잎은 주로 뿌리에서 나오고 편평하며 줄 모양이고 길이가 20∼50cm, 폭이 7∼12mm이며 끝이 뾰족하고 밑 부분이 좁아져 줄기를 감싸는 잎집.. 2024. 6. 2.
끈끈이대나물 Catchfly 산과바다 끈끈이대나물 Catchfly 2024. 5. 31. 담음 * 줄기(꽃대 아랫부분)는 종종 끈적끈적한 점액을 분비하여 만져보니 끈적거리기도 하더군요.  * 그래서 접두사로 대나물 앞에 끈끈이가 붙어 있군요.            끈끈이대나물 Silene armeria L.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중심자목 >석죽과 >(끈끈이)장구채속(Silene) (끈끈이)장구채속(Silene)의 한해살이풀 또는 두해살이풀. 유럽이 원산지이며 강가나 바닷가에서 주로 자란다. 전체에 분처럼 흰빛이 돌고, 줄기는 곧게 서며 가지를 치고 높이가 50cm 정도이다. 줄기 윗부분 마디 밑에서 점액을 분비하는데, 흔히 개미 같은 작은 곤충이 붙어 있다.잎은 마주나고 달걀모양 또는 넓은 바소꼴로 길이가 3∼4.. 2024. 5. 31.
낮달맞이꽃 Mexican evening primrose 산과바다 낮달맞이꽃 Mexican evening primrose 2024. 5. 31. 담음 * 정원에 화초로 심는 분홍달맞이꽃과 황금달맞이꽃은 낮에 꽃이 피어 낮달맞이꽃이라고 불린다. * 꽃잎에 실핏줄 같은 줄무늬가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            낮달맞이꽃 Oenothera speciosa Nutt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도금양목 >바늘꽃과 >달맞이꽃속(Oenothera)  낮달맞이꽃은 바늘꽃과의 두해살이식물로 남아메리카가 원산이며 귀화식물로 길가나 물가에 많이 자란다. 달맞이꽃이라는 이름은 꽃이 밤에 달을 맞이하며 피는 습성에서 붙여진 것이다. 이제는 낮에 피는 낮달맞이꽃도 많이 심는데 달맞이꽃 보다 꽃이 크다. 높이 50∼90cm로 곧추 자라며 잎은 어긋나고 넓은 .. 2024. 5. 31.
일본조팝나무 Japanese Spiraea 산과바다  일본조팝나무 Japanese Spiraea 2024. 5. 31. 담음 * 두꺼비생태공원에 식재되어 자람을 담음 * 수술은 꽃잎보다 훨씬 길고 많으며 꽃밥은 백색(흑색)점으로 보이는군요. * 잎은 어긋나기하고 피침형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예리한 톱니가 있군요.            일본조팝나무 Spiraea japonica L. f.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장미목 >장미과 >조팝나무속(Spiraea) 일본 원산으로 전국 각지에 관상용으로 식재하는 낙엽 활엽 떨기나무다. 줄기는 모여나고 높이 1m에 달하며 밑부분에서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잎은 어긋나기하고 피침형 또는 달걀모양이며 길이 1~8cm, 폭이 0.8~4cm로서 가장자리에 불규칙하고 예리한 톱니가 있거나 결각상의 톱니가 .. 2024. 5. 31.
낮달맞이꽃 Mexican evening primrose 산과바다 낮달맞이꽃 Mexican evening primrose 2024. 5. 30. 담음 * 정원에 화초로 심는 분홍달맞이꽃과 황금달맞이꽃은 낮에 꽃이 피어 낮달맞이꽃이라고 불린다. * 꽃잎에 실핏줄 같은 줄무늬가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          낮달맞이꽃 Oenothera speciosa Nutt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도금양목 >바늘꽃과 >달맞이꽃속(Oenothera)  낮달맞이꽃은 바늘꽃과의 두해살이식물로 남아메리카가 원산이며 귀화식물로 길가나 물가에 많이 자란다. 달맞이꽃이라는 이름은 꽃이 밤에 달을 맞이하며 피는 습성에서 붙여진 것이다. 이제는 낮에 피는 낮달맞이꽃도 많이 심는데 달맞이꽃 보다 꽃이 크다. 높이 50∼90cm로 곧추 자라며 잎은 어긋나고 넓은 선형.. 2024. 5. 31.
갈풀 Reed canary grass 산과바다 갈풀 Reed canary grass 2024. 5. 30. 담음            갈풀 Phalaris arundinacea L.          속씨식물문 >외떡잎식물강 >화본목 >벼과 > 갈풀속(Phalaris) 전국에 분포한다. 여러해살이풀이다. 산록 이하의 양지쪽 물가에서 무리 지어 자란다. 줄기는 높이 70-180cm이며 곧추선다. 뿌리는 근경이 땅속에서 옆으로 뻗으면서 번식하여 군락을 형성한다.잎은 엽초는 털이 없고 잎혀는 막질로서 길이 2~3mm이며 평두이다. 엽신은 편평하며 회록색이고 길이 20~30cm, 폭 8~15mm이며 털이 없고 앞뒷면이 껄껄하며 잔털이 복생한다. 잎혀는 절두이며 길이 2~3mm이다.꽃은 6~8월에 피며 원뿔모양꽃차례는 좁고 곧추서며 길이 10~17cm,.. 2024. 5. 31.
5월 중 하순 아름다운 꽃길 따라 산과바다  5월 중 하순 아름다운 꽃길 따라 2024. 5. 30. 작성 5월 하순이 되니 무더위가 시작되는 듯하네요. 꽃길 따라 거닐며 반겨주는 꽃들이 있어서 더위를 잊은 채 즐거웠답니다. 5월 15일~5월 30일꿀풀, 함박꽃(작약), 노랑꽃창포, 수염패랭이꽃, 가시엉겅퀴, 골풀, 꽃마리, 때죽나무, 별날개골풀, 봄망초(개망초), 뽀리뱅이, 산딸나무, 소리쟁이, 쇠별꽃, 이삭사초, 장미, 큰금계국, 토끼풀, 피라칸타, 개미자리, 괭이사초, 꽃창포, 돌나물, 만첩빈도리, 빈도리, 민뱀딸기, 별날개골풀, 산괭이사초, 인동, 가막살나무, 씀바귀, 으아리, 은난초, 한입버섯, 가는기름나물, 갈대, 기린초, 꽈리, 노랑어리연, 섬초롱꽃, 쥐똥나무, 자주달개비, 낙상홍, 뜰보리수, 수염가래꽃, 개미자리, 논피, .. 2024. 5. 30.
개미자리 Pear wort 산과바다 개미자리 Pear wort 2024. 5. 29. 담음 * 5월 18일 10여 일 전에 꽃을 담았었는데 이제는 길이가 1/3mm 정도인 열매가 달려있군요. * 하얀 점 같은 것이 보여서 흔하게 보이는 벼룩이자리가 논두렁에도 있나? 하고 자세히 보니 잎이 피침형으로 되어있어 잎이 난형인 벼룩이자리와 다르군요.  * 꽃식물 가운데 식물체 크기가 가장 작다는군요.꽃도 아주 작으며 꽃받침 열편이 5장 꽃잎 사이로 보임이 벼룩이자리의 꽃과 비슷하군요.            개미자리 Sagina japonica(Sw.) Ohwi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중심자목 >석죽과 >개미자리속(Sagina) 개미자리는 지구상에서 특히 온대지역에서 꽃식물 가운데 식물체 크기가 가장 작다. 코가 땅바닥에.. 2024. 5. 29.
얼치기완두 Lentil tare 산과바다 얼치기완두 Lentil tare 2024. 5. 29. 담음 지난 4월 19일에 꽃을 담았었는데 벌써 꼬투리에 종자가 3~6개 들어있어 익어가는군요. * 새완두, 얼치기완두, 살갈퀴의 비교꽃 색과 수종자 수새완두백자색꽃 3~4개씩 달림.꼬투리에 2개얼치기완두연한 홍자색꽃 1~3개씩 달림꼬투리에 3~6개살갈퀴홍자색 꽃 1~2개씩 달림꼬투리에 10개 내외* 꽃의 수와 종자수가 새완두와 살갈퀴의 중간형이기 때문에 얼치기완두라고 한다.            얼치기완두 Vicia tetrasperma (L.) Schreb.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장미목 >콩과 >나비나물속(Vicia) 새완두와 살갈퀴의 중간 정도 되는 모습이라 하여 붙은 이름이다. 유럽 원산으로 우리나라 남부지방의 산과.. 2024. 5. 29.
논피 Rice cockspur 산과바다 논피 Rice cockspur 2024. 5. 29. 담음 * 두꺼비집앞 논두렁에서 담았는데 녹색 원추꽃차례의 이삭이 막 나오기 시작하는군요. * 벼농사에서 귀찮은 존재다. 피살이 하던 생각이 나는군요. 50여년 전이니 벌써 옛날이 되었나?             논피 Echinochloa oryzoides (Ard.) Fritsch          속씨식물문 >외떡잎식물강 >화본목 >벼과 >피속(Echinochloa) 논과 논밭뚝 밭에 발생하는 한해살이 화본과 잡초이다. 강피라고도 한다. 논에서 자란다. 높이 80∼110cm로 곧게 자라며 마디는 낮게 있다. 줄기는 잎집에 싸여 있으며 연한 녹색으로 편평하고 수염뿌리가 난다. 잎은 긴 줄 모양 바소꼴로 나비 8∼12mm이고 가장자리에 작은 톱니가.. 2024. 5. 29.
떡쑥 Cudweed 산과바다 떡쑥 Cudweed 2024. 5. 29. 담음 괴쑥, 솜쑥, 흰떡쑥이라고도 한다.            떡쑥 Gnaphalium affine D. Don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초롱꽃목 >국화과 >떡쑥속(Pseudognaphalium) 괴쑥, 솜쑥, 흰떡쑥이라고도 한다. 들과 밭, 길가, 빈터에서 흔히 자란다. 줄기는 높이 15~40cm이고 전체가 백색 털로 덮여 있어 흰빛이 돌며 곧게 서고 땅 가까이에서 많은 가지가 갈라져 포기를 이룬다.잎은 근생엽은 꽃이 필 때 쓰러지며 줄기잎은 어긋나기하고 주걱모양 또는 거꿀피침 모양이며 끝이 둥글거나 뾰족하고 길이 2~6cm, 나비 4~12mm로서 밑부분이 좁아져 원줄기로 흐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꽃은 5~7월에 피고 원줄기 끝의 .. 2024. 5. 29.
수염가래꽃 Chinese Lobelia 산과바다 수염가래꽃 Chinese Lobelia 2024. 5. 26. 담음 * 5월부터 10월 상순까지도 오랫동안 꽃을 볼 수 있더군요. * 꽃은 연한 자줏빛 흰색으로 피고 꽃잎 5장이 좌우상칭으로 예쁘게 보이는군요.  * 한글명 수염가래꽃은 ‘수염+가래+꽃’의 합성어다.            수염가래꽃 Lobelia chinensis Lour.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초롱꽃목 >초롱꽃과 >숫잔대속(Lobelia) 논두렁 또는 습지에 난다. 줄기는 높이 3~15cm이고 옆으로 뻗으며 군데군데에서 뿌리가 내리고 옆으로 선다.잎은 어긋나기 하여 2줄로 배열되며 엽병이 없고 피침형 또는 좁은 타원형이며 길이 1~2cm, 폭 2~4mm로서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꽃은 5~10월에 잎겨드.. 2024. 5. 26.
뜰보리수 Cherry elaeagnus 산과바다  뜰보리수 Cherry elaeagnus 2024. 5. 26. 담음 * 5월 말경이면 빨갛게 익은 열매가 빈약한 꽃보다 훨씬 예쁘더군요. * 보리수나무, 뜰보리수, 왕보리수의 꽃은 빈약하고 꽃만 보아서는 구분이 잘 안 되는데 개화기 열매의 크기와 익는 시기가 다르군요.종개화빨간 열매열매 크기뜰보리수4~5월6월~7월 익음길이 1.5cm 정도왕보리수5~6월9월~10월 익음길이 1.5cm 이상 보리수나무5~6월9월~11월 익음길이 1cm 미만            뜰보리수 Elaeagnus multiflora Thunb.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도금양목 >보리수나무과 >보리수나무속(Elaeagnus) 일본 원산으로 민가 주변에 심어 기르는 낙엽 떨기나무이다. 높이 2~3m이다. 어.. 2024. 5. 26.
낙상홍 Japanese Winterberry 산과바다 낙상홍 Japanese Winterberry 2024. 5. 26. 담음 * 매년 5월 말경이면 꽃을 담는군요. 눈 속에서도 빨간 열매가 달려 있어 아름답더군요. * 암수딴그루로 암꽃(암술)과 수꽃(수술)의 구분이 어렵군요. * 꽃잎이 4~5장으로 그 수가 일정하지 않고 꽃잎의 색깔은 연한 자주색이군요.  * 잎끝이 뾰쪽하고 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있다. * 서리가 내린 뒤에 잎이 떨어져도 빨간색의 열매가 달려 있어서 낙상홍(落霜紅)이라 붙여진 이름이다.            낙상홍( 落霜紅) llex serrata Thunb.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노박덩굴목 >감탕나무과 >감탕나무속(Ilex) 낙상홍은 추위에 강하기 때문에 경기 지방에서는 관상용으로 심는다.잎은 어긋나고 타원.. 2024. 5. 26.
자주달개비 Spiderwort 산과바다 자주달개비 Spiderwort 2024. 5. 25. 담음 * 자주닭개비, 자주닭의장풀, 양달개비, 양닭개비 등으로 불린다. * 꽃은 아침에 피어 오후에 시든다. * 닭의장풀과 비슷하지만 꽃색이 보다 짙기 때문에 자주달개비라고 한다.            자주달개비 Tradescantia ohiensis Raf.          속씨식물문 >외떡잎식물강 >닭의장풀목 >닭의장풀과 >자주달개비속(Tradescantia) 양달개비·자주닭개비·자로초라고도 한다. 북아메리카 원산이며 관상용으로 심는다. 높이 50cm 정도이고, 줄기는 무더기로 자란다. 잎은 어긋나고 넓은 줄 모양이며 윗부분은 수채같이 되고 끝이 젖혀진다. 잎 길이 45cm, 나비 4cm 정도로 회색빛을 띤 녹색이며 밑부분은 넓어져서 줄기를.. 2024. 5. 25.
노랑어리연 Yellow floatingheart 산과바다 노랑어리연 Water fringe (Yellow floatingheart) 2024. 5. 22. 담음 * 꽃의 수명은 하루밖에 안 되지만 같이 올라온 다른 꽃봉오리에서 꽃이 피고 지고를 한동안 반복하여    오랫동안(5월~9월) 꽃을 볼 수 있더군요.           노랑어리연 Nymphoides peltata (J.G.Gmelin) Kuntze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용담목 >조름나물과 >조름나물속(Menyanthes) 노랑어리연꽃은 우리나라 각처의 연못과 늪에서 자라는 다년생 수초이다. 생육환경은 물이 깊지 않고 오래 고여 있는 곳에 자란다. 키는 10~15㎝이다.잎은 지름이 5~10㎝로 난형 또는 원형인데 밑 부분이 2개로 갈라지며 물 위에 뜨는 잎은 수련 잎과 비슷.. 2024. 5.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