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과바다
寒山詩集 : 한산(寒山) 습득(拾得) 풍간(豊干) 詩
한산시(寒山詩) 241
《詩 三百三首 其二四一》
常聞國大臣(상문국대신) : 언제나 듣건대 이 나라 고관 나리
朱紫簪纓祿(주자잠영록) : 붉은 옷에 높은 관 쓰고 봉록을 먹네.
富貴百千般(부귀백천반) : 백 가지 천 가지 부귀 누리고
貪榮不知辱(탐영부지욕) : 영화를 탐하면서 욕된 줄 모르네.
奴馬滿宅舍(노마만택사) : 하인과 말들이 온 집안에 가득하고
金銀盈帑屋(금은영탕옥) : 금과 은 보배가 창고 안을 채웠네.
癡福暫時扶(치복잠시부) : 어리석은 복이야 잠시 보탬은 될 테지만
埋頭作地獄(매두작지옥) : 정성 다해 지옥 갈 일 지어내는 것이네.
忽死萬事休(홀사만사휴) : 갑자기 죽고 나면 모든 것이 그만인데
男女當頭哭(남녀당두곡) : 사람들 일 닥치면 그때 서야 울겠지.
不知有禍殃(부지유화앙) : 불행한 일 닥칠 것을 알지 못한 채
前路何疾速(전로하질속) : 어쩌자고 앞만 보고 내쳐 달리는가?
家破冷颼颼(가파냉수수) : 무너진 집안에는 찬 바람 씽씽 불고
食無一粒粟(식무일립속) : 먹을 것은 좁쌀 한 톨 남지 않으리
凍餓苦凄凄(동아고처처) : 춥고 배고파 괴로워하는 것 처량하구나.
良由不覺觸(양유불각촉) : 진실로 깨닫지 못해 불러들인 것이네.
▶ 朱紫(주자) : 고대 고위 관원의 복색 혹은 복식을 말함. 주의자수朱衣紫綬라 하여 붉은색 관복과 자주색의 관인을 매는 끈을 이름.
▶ 簪纓(잠영) : 고대 고위 관리나 귀인들이 쓰던 모자를 말하며 나중에는 직위가 높고 명성과 권위가 대단한 관리들을 가리켜 사용함
▶ 帑屋(탕옥) : 금은 등의 귀한 물건을 저장하는 창고
▶ 癡福(치복) : 어리석은 복
▶ 埋頭(매두) : 온 마음을 기울이다. 열심이다.
▶ 當頭(당두) : (재난이나 불행이) 눈앞에 닥치다.
▶ 禍殃(화앙) : 재앙. 재난. 불행.
▶ 颼颼(수수) : 바람 소리
▶ 凄凄(처처) : 슬프고 처량하다. 처연하다.
산과바다 이계도
'禪詩 > 寒山詩集(寒山, 拾得, 豊干) 詩'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산시(寒山詩) 243 (0) | 2024.03.27 |
---|---|
한산시(寒山詩) 242 (0) | 2024.03.27 |
한산시(寒山詩) 240 (0) | 2024.03.27 |
한산시(寒山詩) 239 (0) | 2024.03.27 |
한산시(寒山詩) 238 (0) | 2024.03.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