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산에는 꽃이 피네
*** 詩 ***/詩聖 杜甫 詩

유객(有客)

by 산산바다 2020. 12. 13.

산과바다

 

두보 시(杜甫 詩) HOME

 

 

 

                 유객(有客) - 두보(杜甫)

                    나그네가 있다

 

 

幽棲地僻經過少(유서지벽경과소) : 사는 곳 외져서 오가는 이 드물고

老病人扶再拜難(노병인부재배난) : 나이 들어 병든 몸 예절 못 차립니다.

豈有文章驚海內(기유문장경해내) : 세상 놀란 문장이 이런데서 사나하고

漫勞車馬駐江幹(만로거마주강간) : 먼 길 와서 수레 잠깐 물가에 세워둔 참 이었소

竟日淹留佳客坐(경일엄류가객좌) : 귀한 손님 오셔서 하루 종일 머무는데

百年粗糲腐儒餐(백년조려부유찬) : 평생 먹던 거친 밥으로 대접합니다.

不嫌野外不供給(불혐야외불공급) : 형편없는 대접을 서운하다 마시고

乘興還來看藥欄(승흥환래간약란) : 오셨으니 내친김에 꽃구경이라도 하시지요.

題一作賓至

 

 

* 幽棲(유서) : 한적하고 외진 곳에 살다. 은거(隱居)를 가리키는 말 이기도하다.

* 老病(노병) : 나이 들어 병이 들다. 두보(杜甫)는 이 때 무릎과 허리가 좋지 않았다.

* 再拜(재배) : 절하고 또 절하다. 공경을 나타내는 고대의 예법이다.

* 江幹(강간) : 강변. 물가. 왕발(王勃)羈游錢別이란 시에서 客心懸隴路, 游子倦江幹(나그네 마음은 고갯길에 걸려 있고 / 길 떠난 이는 물가에 걸터앉아 있네)’이라고 읊었다.

* 竟日(경일) : 종일. 아침부터저녁까지. 곽말약(郭沫若)喜雪이란 시에서 瑞雪盈墀一尺高, 霏霏竟日又連宵(서설이 섬돌 덮고 한 자나 내리더니 / 종일 펄펄 내리던 눈 밤까지 이어지네)’라고 읊었다.

* 淹留(엄류) : 머물다. 조비(曹丕)燕歌行에서 慊慊思歸戀故鄕, 君何淹留寄他方(고향을 생각하며 돌아가려 하는데 / 그대는 어찌하여 다른 곳에 머무는가)’이라고 읊었다.

* 粗糲(조려) : 현미밥. 대개의 경우 거친 먹거리를 가리킨다.

* 腐儒(부유) : 책만 읽어 세상일에 어두운 서생

* 藥欄(약란) : 작약(芍藥). 대개는 꽃을 가리킨다. 유견오(庾肩吾)和竹齋란 시에서 向嶺分花徑, 隨階轉藥欄(산 향해 꽃길을 나누어 내고 / 섬돌 따라 작약을 옮겨 심었네)’이라고 읊었다. ‘看藥欄看花’, 꽃을 보다라는 뜻으로 읽는다.

 

상원(上元) 원년(760), 두보가 마흔아홉 살 나던 해에 성도(成都)의 완화계(浣花溪)가에 초당을 짓고 살면서 지은 작품이다. 빈지(賓至)라는 제목으로도 전한다.

客至라는 또 다른 작품을 지은 두보지만 이 작품에서는 손님과 주인의 관계가 분명하지 않고 교대로 나타난다. 그래서 을 시인 자신으로 보는 견해들이 나오는 모양이다.

어쨌거나 거친 밥으로 표기 된 현미밥은 입세(入世)를 꿈꾸는 시인의 바람에는 합치되지 못 할 먹거리였던 모양이다.

출세(出世)를 꿈꾸는 이였다면 그것을 곧 안빈낙도의 도구라 생각했을 것인데 말이다.

 

 

 

 

산과바다 이계도

'*** 詩 *** > 詩聖 杜甫 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남정(南征)  (0) 2020.12.14
모옥위추풍소파가(茅屋爲秋風所破歌)  (0) 2020.12.14
빈지(賓至)  (0) 2020.12.13
객지(客至)  (0) 2020.12.13
낙일(落日)  (0) 2020.12.13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