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과바다
50. 古風 其五十 - 이백(李白)
宋國梧臺東(송국오대동) : 송나라 오대의 동쪽에서
野人得燕石(야인득연석) : 시골 사람이 연석을 주워
誇作天下珍(과작천하진) : 천하의 보물이라 자랑하며
却哂趙王璧(각신조왕벽) : 조왕의 화씨벽을 비웃더라.
趙璧無緇磷(조벽무치린) : 화씨벽은 얇아지거나 검어지지 않고
燕石非貞眞(연석비정진) : 연석은 진짜가 아니나니
流俗多錯誤(유석다착오) : 세속은 착오가 많아
豈知玉與珉(기지옥여민) : 어찌 옥과 옥돌을 알랴
* 梧臺(오대) : 闞子(감자)라는 책에 실려 있는 이야기 : 宋나라 사람이 梧臺(오대)의 동쪽에서 燕石(연석)을 주워 가지고 돌아와 보석으로 알고 동네 사람들에게 자랑하였다. 사람들이 보여 달라고 하자 그는 큰 상자를 여는데 상자 안에 또 상자가 있고 열 번째 상자 안에서 꺼낸 비단으로 싼 물건을 보여 주었다. 사람들이 연석이라는 것을 알고 실소를 금치 못하고 돌아가니 그는 노하여 더욱 깊숙이 숨겼다. 여기서 ‘十襲而藏(십습이장)’이 유래한다.
十襲而藏 : 열 번을 싸서 보관하다. 소중하게 간직하다
* 野人 : 시골 사람, 평민
* 燕石 : 燕山(연산)에서 나는 돌. 옥같이 생겼으나 옥이 아닌 쓸데없는 돌
* 誇(과) : 뽐내다, 자랑하다
* 作 : 접미사
* 却(각) : 어조사, 발어사, 그러나, 도리어, 오히려, 물리치다
* 哂(신) : 웃다, 비웃다
* 趙王 : 조나라 惠文王(혜문왕)
* 趙王璧(조왕벽) : 자치통감에
趙王得楚和氏璧(조왕득초화씨벽) : 조왕이 초나라 화씨벽을 얻어
秦昭王浴之(진소왕욕지) : 진나라 소왕이 이것을 욕심내어
請易以十五城(청역이십오성) : 열다섯 성과 바꾸기를 청하였다
* 和氏璧 : 춘추시대 楚초나라의 卞和(변화)가 발견한 寶玉(보옥)
* 緇(치) : 검다
* 磷(린) : 얇다
* 공자가 자로에게 말하였다
不曰堅乎(불왈견호) : 단단하다고 말하지 않았느냐
磨而不磷(마이불린) : 갈아도 얇아지지 않느니라.
不曰白乎(불왈백호) : 희다고 말하지 않았느냐
涅而不緇(날이불치) : 검은 물을 들여도 검어지지 않느니라.
* 涅(날) : 검은 물을 들이다
* 流俗 : 世俗
* 珉(민) : 옥돌. 옥 다음 가는 아름다운 돌
* 豈知玉與珉(기지옥여민) : 어찌 옥과 옥돌을 알랴 (어찌 옥과 옥돌을 구분하랴. 이백을 옥에 비유하였다.)
산과바다 이계도
'*** 詩 *** > 詩仙 李白 詩' 카테고리의 다른 글
52. 古風 其五十二 - 이백(李白) (0) | 2020.11.18 |
---|---|
51. 古風 其五十一 - 이백(李白) (0) | 2020.11.18 |
49. 古風 其四十九 - 이백(李白) (0) | 2020.11.17 |
48. 古風 其四十八 - 이백(李白) (0) | 2020.11.17 |
47. 古風 其四十七 - 이백(李白) (0) | 2020.11.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