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산에는 꽃이 피네
*** 佛 心***/淨土三部經

정토삼부경 HOME

by 산산바다 2020. 3. 17.

산과바다

 

 정토삼부경 HOME

 


 

정토삼부경(淨土三部經)

 

무량수경(無量壽經) 관무량수경(觀無量壽經) 아미타경(阿彌陀經)의 세 경전을 말한다.

불교의 정토종에서 근본경전으로서 중요시하는 석가가 여러 가지 번뇌에 물든 중생을 위하여 아미타불의 구제를 설한 내용이다. 성립 연대에 관해서는 여러 설이 있으나, 무량수경아미타경BC 1세기경 서북 인도에서, 관무량수경은 이보다 훨씬 뒤인 45세기경 서북 인도 또는 중국에서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무량수경을 대경(大經), 아미타경은 소경(小經)으로도 부르는데, 모두 산스크리트 원전이 남아 있으나, 관경(觀經)이라 부르는 관무량수경은 한역과 위구르어역만이 남아 있다. 특히 무량수경의 법장(法藏)보살의 본원(本願:범본에는 46, 한역에는 36 또는 48)은 유명하다. 한국에서는 정토신앙이 신라에서 흥왕하여 정토3부경이 많이 알려졌는데, ()불교적으로 종파에 관계없이 아미타경은 특히 널리 알려지고 있다.

 

  해석 전문(한글파일 다운)
淨土三部經(정토삼부경) 무량수경 無量壽經卷上
무량수경 無量壽經卷下

佛說無量壽經 全文.hwp
佛說無量壽經卷上.hwp
佛說無量壽經卷下.hwp
관무량수경 觀無量壽經 佛說觀無量壽佛經 全文.hwp
佛說觀無量壽佛經.hwp
아미타경 阿彌陀經 佛說阿彌陀經 全文.hwp
阿彌陀經.hwp

 

아래

1. 무량수경(無量壽經)大意

2. 관무량수경(觀無量壽經)大意

3. 아미타경(阿彌陀經)大意

* 정토사상(淨土思想)

 

  

1. 무량수경(無量壽經)大意

 

아미타불(阿彌陀佛)을 무량수불(無量壽佛) 또는 무량광불(無量光佛)이라고 의역(意譯)하는데, 한역(漢譯) 무량수경의 명칭은 여기서 유래했다.

'Sukhavativyuha'는 산스크리트로 '극락세계의 장엄(莊嚴)'이라는 뜻이다. 무량수경 無量壽經관무량수경 觀無量壽經〉 〈아미타경 阿彌陀經과 함께 정토삼부경(淨土三部經)이라고 하며, 한국에서 가장 많이 유통되었던 불교경전으로서 정토교의 근본 소의경전(所依經典)이다. 무량수경'대경'(大經)이라 하고 아미타경'소경'(小經)이라 한다.

 

산스크리트 원본은 100년경에 성립된 것으로 추측되며, 일반에 공개된 것은 네팔에 전해 내려오는 여러 사본들을 대조하여 M. 뮐러와 난지오[南條文雄]가 편집·출간한 Sukhavativyuha, Description of Sukhavati, the Land of Bliss(2, 1883)가 최초이다. 한역은 12차례에 걸쳐 이루어졌으나 현존하는 것은 다음의 5가지이다.

후한(後漢)의 지루가참(支婁迦讖)이 번역한 무량청정평등각경 無量淸淨平等覺經(2)

()의 지겸(支謙)이 번역한 아미타경(2)

조위(曹魏)강승개(康僧鎧)가 번역한 무량수경(2)

()의 보리유지(菩提流志)가 번역한 대보적경 大寶積經의 제5무량수여래회(第五無量壽如來會2)

()의 법현(法賢)이 번역한 무량수장엄경 無量壽莊嚴經(3)으로, 이중 강승개의 번역본이 널리 유포되었다.

 

이 경은 석가모니 부처가 아미타불과 그의 국토인 극락세계에 대해 설법하는 형식을 취하고 있다.

먼 옛날 세자재왕여래(世自在王如來)가 출현했을 때 그 나라의 국왕이 보리심(菩提心)을 일으켜 출가하여 법장비구(法藏比丘)라는 이름을 갖게 되었다. 그는 일체의 중생을 제도(濟度)하리라고 결심하여 48가지의 서원(誓願)을 세우고 5()의 세월 동안 수행한 결과 지금으로부터 10겁 전에 아미타불, 즉 무량수무량광불(無量壽無量光佛)이 되어 극락세계를 건설했다. 모든 중생들은 아미타불이 세웠던 서원의 힘에 의지하여 염불만으로도 극락세계에 왕생(往生)할 수 있으며, 다시는 윤회의 괴로움에 떨어지지 않고 성불(成佛)할 수 있다고 한다.

이 경전에 대한 중국의 주석서는 담란(曇鸞)약론안락정토의 略論安樂淨土義1, 혜원(慧遠)무량수경의소 無量壽經義疏2, 길장(吉藏)무량수경의소 無量壽經義疏1권 등이 있다.

 

무량수경은 우리나라에서 매우 중요시되어 신라의 학승들에 의해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는데 이것을 저자별로 분류해보면 다음과 같다.

원측(圓測)무량수경소 無量壽經疏(3)

원효(元曉)무량수경종요 無量壽經宗要(1무량수경료간 無量壽經料簡·무량수경사기 無量壽經私記(1무량수경소 無量壽經疏(1)

법위(法位)무량수경의소 無量壽經義疏(2)

경흥(憬興)무량수경연의술문찬 無量壽經連義述文贊(3무량수경소 無量壽經疏(3)

영인(靈因)무량수경소 無量壽經疏(1)

현일(玄一)무량수경기 無量壽經記(2)

의적(義寂)무량수경소 無量壽經疏(3무량수경술의기 無量壽經述義記(4)

태현(太賢)무량수경고적기 無量壽經古迹記(1) 등이다.

이중 현존하는 것은 원효의 무량수경종요와 경흥의 무량수경연의술문찬이며, 현일의 무량수경기는 상권만이 전한다. 최근에 일본의 불교학자인 에다니[惠谷隆戒]가 다른 정토관계 문헌에 인용된 것을 토대로 하여 의적의 무량수경술의기와 법위의 무량수경의소를 복원한 바 있다.정토사상

 

 

무량수경의 의의와 평가

이 경의 요지가 염불칭명을 통한 정토왕생에 있다는 것은 일반적인 통념이다. 그래서 이 경을 의지하여 우리나라 불교사상에는 하나의 강력한 타력신앙(他力信仰)의 흐름이 나타났고, 오랜 기간에 걸쳐 우리 문화의 저변에 깊숙이 뿌리를 내리게 되었다.

극락정토를 묘사한 여러 경전에 대한 설명에는 약간의 차이가 있으나 이 경전은 전체적인 면에서 정토신앙을 조직적으로 설명한 경이며, 이것에 의해서 우리나라의 정토사상이 확립되었다는 점에서 더욱 주목되는 경전이다.

 

 

 

2. 관무량수경(觀無量壽經)大意

 

1권으로 된 이 경()은 정토종(淨土宗)의 근본 경전인 정토삼부경(淨土三部經)의 하나로서 실제 제목은 <관극락국무량수불 관세음보살 대세지보살경(觀極樂國無量壽佛 觀世音菩薩 大勢至菩薩經)> 또는 <정제업장생제불전경(淨除業障生諸佛前經)> <관무량수불경(觀無量壽佛經)>, <관경(觀經)>이라고도 한다. 이 경()은 두 곳에서 설한 것을 합본(合本)한 것으로 볼 수 있으니 하나는 왕궁회(王宮會)의 관경(觀經)이라 일컬을 수 있는 십육관(十六觀)의 대부분을 가리키는 것이요, 또 하나는 기사굴회라고 하여 영산회상(靈山會上)에서 설한 것으로 이것은 아난(阿難)이 왕국에서 들은 설법내용을 기사굴회에 와서 그곳에 모인 비구를 위하여 대설(代說)한 것으로 내용은 같다고 하겠다.

 

이 경의 내용은 석존께서 영산(靈山)에 계실 때에 마가다국 왕사성 성주의 부인인 위제희비(韋提希妃)가 절실한 구도의 염원(念願)을 갖고 석존의 구제(救濟)함을 바라고 있었는데, 그 이유는 아들인 아서세태자가 제바달다(提婆達多)의 악계(惡計)에 빠져 부왕(父王)인 빈바사라(頻婆裟羅)를 죽이려고 일곱겹의 감옥에 가두어 버렸다. 그래서 왕비가 음식을 몰래 가져다 준 것을 태자가 알고 어머니를 또 가두어서 음식을 주지 못하게 하였다.

 

왕비는 너무나 비통하여 석존의 법문을 듣기를 간청하여, 이 염원으로 석존은 왕에게 부루나존자를 보내어 설법하게 하고 아난과 함께 왕비를 위문하면서 석존은 영식(靈識)으로 보여주는 십만불세계(十萬佛世界)를 보고 극락정토에 왕생하기를 소원하였다. 석존께서 십삼정선(十三定善)과 삼복구품(三福九品)의 다종행법(多種行法)을 제시한 것이 유명한 정산이선(定散二善)이다. 선도대사(善導大師)의 관찰에 의하면 극락세계를 관찰하되 내용을 십삼종(十三種)으로 분리하여 설하였는데 이것은 지관행(止觀行)만이 아니라 일상 생활의 마음으로서 행()할 수 있는 복을 세복(世福)계복(戒福)행품(行品) 삼종(三種)으로 하고 이것을 다시 구품(九品)으로 펼쳐놓은 것이 나중의 삼관(三觀)이라 하였다.

 

선도대사(善導大師)는 이것을 분류 종합하여 오종정행(五種正行)과 오종잡행(五種雜行)으로 규정을 지으니, 즉 독송(讀誦)관찰(觀察)예배(禮拜)칭명(稱名)찬탄공양(讚嘆供養)의 오종(五種). 석존께서는 정행(正行)인 칭명염불행(稱名念佛行)을 아난(阿難)에게 부촉하여 왕국설법을 하셨다. 이를 기사굴산에와서 대설(代說)하였을 때에 모두 환희에 잠겼으며 그렇게 하여 기사굴산회의 법문이 끝마치게 되었다. 이 경에 대한 주석이 100여 부나 있으나 그 가운데서 선도대사의 관경소(觀經疏)4권이 가장 권위있는 주소(註疏)라고 전한다.


 

 

3. 아미타경(阿彌陀經)大意

 

l권으로 된 이 경()일체제불소호념경(一切諸佛小護念經)이라고도 하며, 줄여서 미타경》《호념경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전해오는 한역서(漢譯書)에는 구마라습(鳩摩羅什)아미타경과 현장(玄奘)칭찬정토불섭수경(稱讚淨土佛攝受經), 구나발타라(求那跋陀羅)소무량수경(小無量壽經)이 있다.

내용은 석가가 기원정사(祇圓精舍)에서 제자 사리불(舍利弗)을 상대로 하여 아미타불과 그가 머물고 있는 서방정토(西方淨土)인 극락세계의 공덕과 장엄을 설명하고, 아미타불의 이름을 부르면 극락세계에 왕생(往生)한다고 설법한 내용이 주요 골자인데, 끝에 가서는 신화적인 묘사로 여러 방면의 많은 부처들이 석가모니의 이 말이 진실임을증명하며 특별히 왕생을 권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주석서로 원효의 아미타경소(阿彌陀經疏), ()나라 규기(窺基)아미타경소, ()나라 주굉(袾宏)아미타경소초()등이 있다.

 

무량수경(無量壽經)·관무량수경(觀無量壽經)과 함께 정토삼부경(淨土三部經)이라고 하며, 일반 불교신도들 사이에 가장 많이 유포되어 독송되던 경전 가운데 하나이다. 이 경은 아미타불과 극락정토(極樂淨土)의 장엄을 설하고, 그러한 정토에 왕생하는 길이 아미타불을 칭명염불(稱名念佛)하는 데 있다는 것을 취지로 하고 있다.

정토사상(淨土思想) 계통의 대승불교 경전.

1. 산스크리트 원전의 명칭은 무량수경 無量壽經과 같으며, '성스런 극락장엄(極樂莊嚴)이라 칭하는 대승경전'이라는 뜻을 갖고 있다.

무량수경대경(大經)이라 하고, 아미타경소경(小經)이라 하여 구별한다.

아미타경은 여러 차례에 걸쳐 한역되었는데, 그 가운데 구마라집(鳩摩羅什)의 번역본이 가장 널리 유포되었다. 이 경은 아미타불의 본원력(本願力)으로 이루어진 극락세계의 장엄을 설명하고 있다. 그곳에는 수명(壽命)과 광명(光明)이 무량한 무량수불(無量壽佛), 즉 아미타불이 상주하며 설법하고 있다. 이러한 극락세계에 왕생하고자 하면 아미타불의 이름을 외우는 칭명염불(稱名念佛)로도 가능하다고 함으로써 대중들에게 접근하기 쉬운 정토신앙을 제시하고 있다. 이 경에 관한 주석서는 예부터 대단히 많아서 약 270여 부에 달한다.

중국에서는 승조·지의(智顗규기 등의 주소(註疏)가 대표적이다. 한국에서도 이 경에 대한 연구가 대단히 활발하여 자장(慈藏원측·원효(元曉경흥·현일(玄一도륜(道倫대현 등의 주석서가 있었다고 하나, 현존하는 것은 원효의 아미타경소 阿彌陀經疏1권뿐이다.

 

 

 

* 정토사상(淨土思想)

 

불교는 원래 스스로 수행하여 깨달음을 이룸으로써 해탈을 성취하려는 자력구원의 종교였다. 그러나 불교가 대중적인 종교로 발전하면서 부처와 보살의 본원력에 의지해 중생을 구제한다는 타력구원의 사상으로 전환되었고, 그 대표적인 것이 바로 정토사상이다. 정토란 부정잡예(不淨雜穢)가 없는 청정한 불국토를 말하는데, 정토사상은 인도에서 대승불교의 발생과 함께 나타나기 시작했다. 600부의 대승경전 가운데 정토사상을 설하고 있는 경전이 200여 부에 이른다. 정토사상 계열의 경전 중 대표적인 것은 아미타경1, 무량수경2, 관무량수경1권의 정토3부경이다. 이들 경전에서는 극락정토가 이루어지게 된 배경과 그곳의 안락함, 그리고 그곳에 왕생할 수 있는 방법 등을 설하고 있다.

정토사상의 개요 : 정토사상은 흔히 불교에서 타력신앙(他力信仰)이라고 불린다.

정토사상의 기원 : 불교는 원래 자신의 힘으로 수행하여 깨달음을 이룸으로써 해탈을 성취하려는 철저한 자력구원(自力救援)의 종교였다.

그러나 불교가 대중적인 종교로 발전하면서 보편적인 구원의 이념에서 부처와 보살의 본원력(本願力)에 의지하여 중생을 구제한다는 타력구원(他力救援)의 사상으로 전환되었고, 그 대표적인 것이 바로 정토사상이다. 이것은 "법에 의지하고 자신에 의지하라"(法燈明自燈明)는 석가모니의 유언과는 분명히 상반되는 입장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토신앙을 비롯한 여타의 타력신앙은 '자리(自利)가 곧 이타(利他)'라는 사상적 토대 위에서 성장한 대승불교의 불가결한 요소인 것이다.

인도에서 정토사상은 대승불교의 발생과 함께 나타나기 시작했다. 600부의 대승경전 가운데 정토사상을 설하고 있는 경전이 200여 부에 이르는 것만 보아도 정토사상이 대승불교에서 차지하는 위치를 짐작할 수 있다. 정토사상 계열의 경전 중 대표적인 것은 아미타경 阿彌陀經1, 무량수경 無量壽經2, 관무량수경 觀無量壽經1권의 정토3부경(淨土三部經)이다. 이들 경전에서는 극락정토가 이루어지게 된 배경과 그곳의 안락함, 그리고 그곳에 왕생할 수 있는 방법 등을 설하고 있다. 이러한 정토계 경전은 아미타불(阿彌陀佛)의 본원력(本願力)에 의지하여 극락정토(極樂淨土)에 왕생함으로써 불퇴전(不退轉)의 경지에 도달하고, 구경(究境)에 가서는 무상의 보리와 열반을 증득한다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정토계의 경전에서는 아미타불의 서방극락정토 이외에도 여러 정토를 설하고 있다. 동방 아촉불(阿閦佛)의 아비라제정토(阿比羅提淨土妙喜世界), 미륵보살의 도솔천정토(兜率天淨土), 약사여래(藥師如來)의 유리광정토(琉璃光淨土) 등이 대표적인 것들인데, 그 가운데 가장 수승(殊勝)한 것이 바로 아미타불의 서방정토라고 한다. 무량수경에서 묘사된 서방극락의 장엄상(莊嚴相)을 보면, 땅과 나무 등이 모두 황금이나 칠보로 되어 있고 무상정각을 이루려는 무수한 성문(聲聞)과 보살들이 있다고 한다.

 

서방극락은 이와 같은 장엄뿐만 아니라 모든 중생의 마음 먹은 바가 그대로 이루어지는 곳이며, 일체의 번뇌와 유혹이 끊긴 곳이다. '아미타불'의 이름이 지닌 의미가 곧 무량한 수명과 광명을 뜻하는데, 서방극락의 중생들은 그러한 아미타불의 공덕 속에서 불퇴전의 일생보처(一生輔處)에 머물며, 모든 부처가 성취한 것과 같은 무상정각을 쉽게 이룰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정토사상은 타자의 구원에 의지하는 이행도(易行道)로서 대승의 일반적 수행관과는 상반된다.

이 모순을 해결하기 위해 정토를 수행자의 마음에 나타난 해탈의 세계로 해석하려는 경향이 나타나게 되었다. 이러한 관점에서 중관학파(中觀學派)에서는 정토를 부정잡악이 사라진 중도(中道) 실천의 묘과(妙果)로 보았고, 유가행파(瑜伽行派)는 삼신설(三身說)에 의거하여 수용신(受用身)이 머무는 보토(報土)를 정토로 이해했다. 이러한 생각은 중국의 선종(禪宗)에서 유심정토사상(唯心淨土思想)으로 이어졌다.

여기에 따르면 정토와 예토(穢土)는 다른 공간에 있는 것이 아니라 오로지 중생의 심식(心識)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중국의 정토사상가인 담란(曇鸞476~542)은 왕생(往生)을 해석함에 있어 "불왕(不往)도 왕()이고, 불생(不生)도 생()"이라고 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정토의 해석은 정토사상이 일어난 근본적인 원인을 간과하고 있다고 볼 수 있는데, 왜냐하면 정토사상은 본래 깨달음에로의 길이 절망적인 실존적 극한상황에 처해 있는 범부들을 위해 설해진 방편설(方便說)이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범부들을 위해서 원시불교에서는 업설(業說)에 근거한 생천사상(生天思想)을 시설했던 것이다.

정토사상이 원시불교의 생천설과 구분되는 점은 부처의 본원력에 의지한다는 점이다. 본원이란 부처가 깨달음을 이루려고 발심(發心)했을 때 세운 서원을 말한다. 이 서원은 자신이 무상정등각(無上正等覺)을 증득함과 동시에 다른 모든 중생들도 자신과 같은 깨달음을 이루도록 하겠다는 자리와 이타의 서원이다.

즉 자리와 이타는 반드시 동시적이어야 하고 또 그럴 수밖에 없는 것이다. 그래서 아미타불은 자신이 성취할 부처의 깨달음이 성불의 가능성이 전혀 없어 보이는 중생이라 할지라도 그들을 제도할 수 없는 것이라면, 깨달음을 이루지 않겠노라는 서원을 세웠다. 본원력이란 바로 이러한 불보살의 이타적 구원의 원력에 의지한다. 이러한 부처의 본원설은 무량수경에서 48(四十八願)으로 제시된다. 아미타불이 법장비구였을 때 세웠던 이 서원들 가운데 제18원은 '미타본원'(彌陀本願)이라 하여 특별히 중시되었다.

그 내용은 "시방중생이 지심(至心)으로 신락(信樂)하여 나의 나라에 태어나고자 원한다면 오직 십념(十念)만 할 것이니, 그럼에도 나의 나라에 태어나지 않는다면 나는 정각(正覺)을 이루지 않겠다"는 것이다. 무량수경에는 이 서원에 "오역(五逆)과 정법(正法)을 비방한 자는 제외한다"라는 조건이 있으나, 관무량수경에서는 오역죄도 왕생할 수 있으며, 십념도 '나무불'(南無佛)10번 외우면 되는 십성(十聲)으로 경감되었다. 따라서 정토왕생은 그야말로 '쉬운 길'이 되어 아무리 대역죄를 범했거나, 극한상황에 처해 있는 중생이라 하더라도 '나무아미타불'10번 외우면 도달할 수 있는 것이 되었다.

정토사상이 인도에서 유행했다는 것은 아미타불과 극락정토에 관한 논서들이 많이 저술되었다는 것을 통하여 알 수 있다.

비교적 초기 대승경전에 속하는 정토계 경전을 바탕으로 하여 용수(龍樹)대지도론 大智度論의 왕생품(往生品)과 십주비바사론(十住毘婆沙論)의 석원품(釋願品이행품(易行品)에서 정토왕생과 정토십상(淨土十相)에 대해 설명했고, 이후 무착(無着)과 세친(世親)에 이르러 정토사상은 그 논리적 토대가 형성되었다.

특히 세친은 무량수경우바제사원생게 無量壽經優婆提舍願生偈에서 이십구종 장엄정토(二十九種莊嚴淨土)를 설명하고, 정토왕생의 정인(正因)으로 오염문(五念門), 즉 예배(禮拜찬가(讚歌작원(作願관찰(觀察회향(廻向)의 수행방법을 제시했다.

 

정토사상이 중국에 정착된 것은 후한과 삼국시대에 정토사상과 관련된 경전들이 번역되면서부터인데, 이후 중국의 정토사상은 3가지의 흐름을 형성했다.

1번째는 여산(廬山) 혜원(慧遠334~416)이 백련사(白蓮社)를 결성하여 반주삼매경 般舟三昧經에 근거하여 염불삼매를 닦았던 흐름이다.

 

2번째는 정토3부경을 중심으로 하여 담란이 창시했으며, 도작(道綽562~645)을 거쳐 선도(善導613~681)가 집대성한 정토종(淨土宗)의 흐름이다.

3번째는 자민삼장(慈愍三藏) 혜일(慧日680~748)이 제창한 선(정토(淨土계율(戒律)을 함께 닦는 흐름이다. 이 가운데에서 중국의 정토사상을 확립한 것은 2번째 정토3부경을 중심으로 한 정토종의 흐름이다.

 

 


1. 한국의 정토사상·신앙

 

한국의 정토신앙은 아미타경·무량수경·관무량수경등의 정토3부경에 근거를 두고 있는데, 한국에서 가장 널리 보급되고 신앙의 바탕이 된 것은 아미타경이다.

신라시대에 자장(慈藏)아미타경소 阿彌陀經疏·아미타경의기 阿彌陀經義記를 시작으로, 법위(法位)무량수경의소 無量數經義疏, 원효(元曉)무량수경종요 無量壽經宗要·유심안락도 遊心安樂道, 의적(義寂)무량수경술의기 無量壽經述義記, 태현(太賢)무량수경고적기 無量壽經古迹記, 경흥(憬興)무량수경연의술문찬 無量壽經連義述文贊등 많은 저술과 함께 전개되었다.

 

 

2. 통일신라시대

 

한국정토사상의 전성기였던 통일신라시대의 정토신앙 관계 기록은 삼국유사감통편에 설화 형식으로 많이 수록되어 있다.

 

사료가 통일 직후인 7~8세기에 집중되어 있어서 정토신앙의 유행이 전란 후의 피폐상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음을 보여준다. 7~8세기에는 정토사상에 관한 학승(學僧)들의 저술도 활발하여 신앙의 대중적 확산에 큰 영향을 미쳤다. 신라시대 정토사상의 흐름은 크게 2갈래로 나누어지는데, 수나라 정영사(淨影寺) 혜원(慧遠)의 지론계(地論系)와 당나라 현장(玄奬규기(窺基)의 유식계(唯識系)가 그것이다. 지론계에 속하는 신라의 정토사상가로는 자장·원효·의상(義相의적·법위·현일(玄一) 등이 있으며 유식계에는 원측(圓測태현·경흥·도륜(道倫) 등이 있다.

 

이들의 글은 대부분 전하지 않아 그 사상적 내용을 확실하게 알 수는 없으나 단순한 중국 정토사상의 도입이 아니라 신라 특유의 정토사상을 발전시켰음이 곳곳에서 확인된다. 이들 학승들의 사상이 그대로 일반 대중에게 전달될 수는 없는 것이나, 그러한 학술적 성과와 대중지향적 불교가 신라 정토신앙의 대중적 전개에 깊은 영향을 미쳤음은 확실하다.

 

특히 원효의 경우 유심안락도등의 저술을 통해 정토와 예토가 따로 없음을 천명했을 뿐 아니라 현실적으로 고통받고 있는 민중에게는 엄격한 계율이나 형이상학적 이론보다 정토를 지향하는 염원으로 삶을 헤쳐나갈 지혜가 필요함을 인식하고 순정심(淳淨心)을 바탕으로 관불(觀佛)과 칭념(稱念)을 함께 갖춘 칭관염불(稱觀念佛)을 제창, 대중적 정토신앙의 길을 열어놓았다.

 

원효의 이러한 입장과 실천은 때로 정토교(淨土敎)로도 불리는데, 한국에서는 중국이나 일본의 정토교와 같은 종파가 설립된 것은 없다. 이같이 활발한 정토사상의 전개와 원효 같은 이들의 실천행을 바탕으로 한 신라 정토신앙은 자력왕생(自力往生)과 현생성불(現生成佛)을 그 특징으로 하여 전개되었다.

 

자력왕생은 죽은 후 아미타불의 본원력(本願力)에 의해 왕생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의 사례는 삼국유사등에 많이 나오는데, 아미타불을 염하고 16관법(觀法)을 닦아 정토왕생한 광덕(廣德)과 엄장(嚴莊), 수십 년 간 염불로 일관했다는 포천산(布川山)의 이름 없는 다섯 승려, 주인의 염불회(念佛會)에 참석하여 마당에서 염불하며 끝내 왕생함으로써 정토왕생에 귀천의 차별이 없음을 보여준 비녀 욱면(旭面) 등이 대표적이다.

 

현생성불은 특히 신라 정토신앙의 중요한 특징으로 평가되는데, 백월산(白月山)에서 미륵불과 아미타불의 친견(親見)을 염원하며 기도하다 무량수불(無量壽佛)로 성불한 노힐부득(努肹夫得)과 달달박박이 그 사례이다.

 

이러한 현생성불의 사상과 신앙은 극히 희귀한 사례로서 신라의 불국토(佛國土) 사상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수십 명의 선사(善士)가 왕생을 기원하며 미타사(彌陀寺)라는 절을 세우고 만일염불계(萬日念佛契)를 조직했다는 기록으로 보아 이당시 정토신앙은 몹시 활발했던 것으로 보인다.

 

동시에 인용사(仁容寺)의 미타도량(彌陀道場)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사자(死者)의 극락왕생을 기원하는 신앙도 전개되었는데, 이 신앙 형식은 신라말 이후 조선에 이르기까지 가장 보편적으로 행해진 타력신앙이었다.

 

 

3. 고려시대

 

고려에서는 신라와 같은 자력왕생이나 현생성불의 독특한 정토신앙은 거의 보이지 않고, 정토신앙의 대중적 전개도 미약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보다는 화엄종(華嚴宗)이나 천태종(天台宗), 그리고 선종(禪宗)과 같은 각 종파에서의 정토 연구가 활발했다. 화엄종에서는 그 초조(初祖)로 받드는 신라의 의상이 아미타경의기를 저술하고, 화엄도량인 부석사(浮石寺)의 주존(主尊)으로 아미타불을 모신 데서 알 수 있듯이 화엄사상과 미타신앙을 깊이 연결시킨 흔적이 보인다. 대각국사(大覺國師) 의천(義天)이 세운 천태종에서는 요세(了世)가 백련사(白蓮社)를 조직하고 천태종 중흥을 위해 힘쓰면서 정토신앙을 긍정적으로 수용하는 자세를 보였다.

 

요세는 죄악 범부(凡夫) 중생을 정토문으로 섭수(攝受)하려고 했으며 스스로도 나날이 아미타불 명호(名呼)를 일만성(一萬聲)했다고 한다. 또 요세를 이은 천인(天因천책(天頙운묵(雲默) 등도 귀족불교에 반기를 들면서 서민불교적인 정토신앙을 찬양하기도 했다. 특히 운묵은 20년 동안 법화경 法華經을 읽고 아미타불을 염송하면서 말법(末法) 시대에는 오직 염불의 길밖에 없다고 주장하여 정토신앙을 크게 강조했다.

 

보조국사(普照國師) 지눌(知訥)이 세운 선종계에서는 타력신앙인 정토신앙과 자력 위주의 선종 사이에 큰 괴리가 있으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해 많은 고심을 했다.

 

이에 지눌은 정혜결사문 定慧結社文등에서 말법시대의 염불을 신랄하게 비판하면서 정토왕생은 오로지 마음에 의한 것으로 보는 유심정토관(唯心淨土觀) 내지 선정일여(禪淨一如)를 주장했다. 고려말 선종을 조계종으로 통합시킨 보우(普愚)"오직 마음이 정토요, 자성(自性)이 아미타불"이라고 주장하며 정토사상을 선 수행에 끌어들여 염불공안선(念佛公案禪), 즉 염불선(念佛禪)을 주장했다.

 

또 혜근(慧勤)도 유심정토관 위에서 선정겸수(禪淨兼修)를 주장하는 동시에 하근기(下根機)를 위한 정토신앙도 인정하는 입장을 취했다. 한편 충렬왕 때의 원담은 현행서방경 現行西方經에서 극락정토에 태어나기를 원하는 수행자는 아미타불본심미묘진언(阿彌陀佛本心微妙眞言)1만 번 이상 암송하며 팔재계(八齋戒)를 지키고 4대원(四大願)을 세워야 한다고 하여 독특한 밀교적(密敎的) 정토신앙을 전개시키기도 했다.

 

 

4. 조선시대

 

조선의 억불정책은 불교의 사상적 발전 자체를 심각하게 위협했기에 정토사상도 별다른 발전을 보지 못했다.

 

조선 초기에 대체로 선과 정토신앙을 함께 수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는데, 기화(己和)나 보우(普雨) 등은 아미타불의 염불을 권하고 임종에 이르러 극락왕생을 염원하기도 했다. 휴정(休靜)선가귀감 禪家龜鑑등에서 아미타정토에 관해 많은 글을 남기고 있는데, 염불이 곧 참선이라는 염불선(念佛禪)을 주장했다. 그는 동시에 근기가 낮은 범부를 위한 타력왕생도 부정하지는 않았다. 또 선사이면서 화엄강사(華嚴講師)인 성총(性聰)은 여러 경전에서 아미타정토 관계 부분을 뽑아 정토보서 淨土寶書라는 책을 편찬하기도 했다.

 

영조 때의 승려 팔관(捌關)삼문직지 三門直指를 지었는데, 여기서 삼문은 염불문(念佛門원돈문(圓頓門경절문(俓截門)을 가리킨다. 이는 염불과 참선과 교학(敎學)을 두루 함께 여는 조선 중기와 후기 불교의 일반적인 경향을 그대로 보여주는 저서인데, 여기서 염불문이 가장 먼저 거론된 것으로 보아 정토신앙이 크게 중시되었음을 알 수 있다.

 

후기의 치조(治兆)는 정원사(淨願社)를 조직하여 수십 명의 신도와 더불어 30년 동안 왕생을 기원하며 수행했고, 정토요결(淨土要訣) 120()을 본문으로 한 청주집 淸珠集을 지어 조선 후기의 정토신앙과 선행방법을 알 수 있게 해준다. 한편 정토신앙의 구체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것으로는 신라시대부터 전래된 염불계(念佛契)가 있는데, 이는 한 사찰을 중심으로 하여 염불수행하는 승려들이 약간의 토지와 돈을 각출하여 염불당(念佛堂)을 유지하며 만일(萬日)로 한정하여 수업하는 만일회(萬一會)를 조직한 것이다.

 

염불계는 전라도와 경상도에서 크게 유행했는데, 건봉사(乾鳳寺)와 망월사(望月寺)의 만일회가 유명했다. 이러한 정토신앙의 유행은 불교의식에도 그대로 반영되어 극락왕생을 기원하는 49, 영산재(靈山齋) 등 각종 천도재(薦度齋)가 오늘에까지 이어지고 있다.

 

 

 

산과바다 이계도

 

'*** 佛 心*** > 淨土三部經'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미타경 阿彌陀經  (0) 2020.03.20
관무량수경 觀無量壽經  (0) 2020.03.19
무량수경 無量壽經卷下  (0) 2020.03.17
무량수경 無量壽經卷上  (0) 2020.03.17

댓글